KR20190025374A - 바지선 - Google Patents
바지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5374A KR20190025374A KR1020170111952A KR20170111952A KR20190025374A KR 20190025374 A KR20190025374 A KR 20190025374A KR 1020170111952 A KR1020170111952 A KR 1020170111952A KR 20170111952 A KR20170111952 A KR 20170111952A KR 20190025374 A KR20190025374 A KR 201900253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g
- fluid
- barge
- tug boat
- hu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70—Tugs for push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 Y02T7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서, 터그 보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터그 보트와 일체로 추진할 수 있는 바지선에 있어서, 선체; 상기 선체의 후단에 마련되며 상기 터그 보트의 전방이 인입되는 터그 결합부; 및 상기 선체의 하면에서 상기 터그 보트에 인접한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그 보트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하강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몇천 개 이상의 컨테이너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선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선박은 엔진 등을 구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엔진은 가솔린 또는 디젤 등의 오일 연료를 사용하여 피스톤을 움직여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크랭크 축이 회전되도록 하고, 크랭크 축에 연결된 샤프트가 회전되어 프로펠러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선박과 달리, 해상에서의 작업을 위해 일정한 위치에 부유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바지선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체적인 추진 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러한 바지선은, 추진 방향에 따라 선수와 선미가 조파저항을 줄이기 위해 특정한 형상으로 설계되는 선박과는 다르게, 추진을 염두하지 않고 작업을 고려하여 제작되는 것이어서 직육면체 등과 같은 비교적 박스에 가까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해상에서 바지선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터그 보트(tug boat)가 활용될 수 있다. 터그 보트는 예인 로프를 이용하여 바지선을 잡아당겨서, 바지선의 위치를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터그 보트가 바지선을 잡아당기는 것이 아니라, 바지선을 밀어서 바지선의 추진을 구현하는 방식이 개발되었고, 그 예시로는 ATB(Articulated Tug & Barge)를 들 수 있다.
ATB는 바지선의 후방에 터그 보트를 결합하고 터그 보트의 추진을 이용하여 바지선과 터그 보트가 일체로 움직이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ATB는 바지선과 터그 보트의 안정적인 결합에 대해서만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졌을 뿐, 바지선과 터그 보트 사이의 간극으로 인한 선체 저항 증가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그 보트가 결합되는 경우 터그 보트와의 간극에서 발생하는 와류 현상을 감소시켜 선체 저항 증가를 최소화하는 바지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바지선은, 터그 보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터그 보트와 일체로 추진할 수 있는 바지선에 있어서, 선체; 상기 선체의 후단에 마련되며 상기 터그 보트의 전방이 인입되는 터그 결합부; 및 상기 선체의 하면에서 상기 터그 보트에 인접한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그 보트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하강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그 결합부는, 내측면이 상기 터그 보트의 전단과 간극을 두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그 결합부는, 상기 터그 보트의 전방을 두르는 U자 형태의 평단면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선체의 하면에서 상기 터그 결합부의 전단에 마련되며, 상기 터그 결합부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상기 터그 보트의 전방을 두르는 초승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는, 후면이 상기 터그 결합부의 내측면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는, 전단 대비 상기 터그 보트에 인접한 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더 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평면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전단보다 후단이 하방으로 더 돌출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지선은, 터그 보트와 결합하여 일체로 추진할 수 있으며, 다만 터그 보트와의 간극에서 발생하는 와류로 인한 선체 저항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선박의 속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은, 터그 보트(40)의 결합에 의해 터그 보트(40)와 일체로 추진할 수 있는 바지선(1)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바지선(1)은, 터그 보트(4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 및 터그 보트(40)가 결합된 상태를 모두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즉 본 발명의 바지선(1)은 터그 보트(40)를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지선(1)은, 선체(10), 터그 결합부(20), 고정부(30), 터그 보트(40)를 포함한다.
선체(10)는, 바다를 이루는 해수 등과 같은 유체에 잠겨있는 하면(11)을 가지며, 상면(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작업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선체(1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단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줄어드는 형태일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육면체 등의 사각 박스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터그 결합부(20)는, 선체(10)의 후단에 마련되며 터그 보트(40)가 결합된다. 터그 결합부(20)는 터그 보트(40)의 전방을 두르는 U자 형태의 평단면을 갖는 구조일 수 있으며, 터그 보트(40)의 전방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터그 결합부(20)와 선체(10)는 전후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지만, 터그 결합부(20)와 선체(10)가 일체화되어 있는 한, 터그 결합부(20)와 선체(10)을 구분짓는 지점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터그 결합부(20)는, 선체(10)의 후단에 U자 형태로 마련된다고 설명되거나, 또는 선체(10) 후단의 좌우에서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 형태로 마련된다고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터그 결합부(20)는 적어도 터그 보트(40)의 전방을 좌우로 두르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은 터그 보트(40)의 좌우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고정부(30)를 터그 결합부(20)에 마련하여 터그 보트(40)의 좌우를 터그 결합부(20)에 고정하기 위함이다.
터그 결합부(20)는, 터그 보트(40)가 결합될 때 내측면(21)이 터그 보트(40)의 전단과 간극(22)을 두도록 마련된다. 터그 보트(40)는 좌우로 마주하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 설치된 고정부(30)를 통해 터그 보트(40)로 결합되므로, 터그 보트(40)의 전단과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 전단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터그 보트(40)의 전단과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 전단 사이에 약 1m 내외의 간극(22)이 형성될 수 있다.
터그 보트(40)의 전단에는 펜더(fender; 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될 수 있으므로, 펜더에 의해 터그 보트(40)의 전단과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 간의 완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터그 보트(40)가 고정부(30)에 의해 터그 결합부(20)에 고정되어 있다면, 바지선(1)의 선체(10)를 기준으로 터그 보트(40)의 전후 움직임(Surging)은 (거의) 일어나지 않을 것이어서, 터그 보트(40)에 펜더가 마련된다 하더라도 펜더는 간극(22)을 메우면서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과 맞닿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 아니라, 다른 구조물과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즉 터그 보트(40)의 전단에 펜더가 마련되더라도 터그 보트(40)가 터그 결합부(20)에 결합될 때, 터그 보트(40)의 전단과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 사이에는 여전히 간극(22)이 존재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 마련되며 터그 보트(40)의 전방을 고정한다. 고정부(30)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서 터그 보트(40)의 좌현 및 우현과 마주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30)는 터그 보트(40)를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는데, 일례로 고정부(30)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 수직 홈(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터그 보트(40)의 좌우에 돌출되며 눕혀진 T자 형태를 갖는 걸쇠(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걸쇠는 일정 각도에서만 수직 홈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데, 일정 각도로 놓인 걸쇠를 수직 홈에 삽입한 후 걸쇠를 회전시키면, 걸쇠의 상하 움직임은 허용되나 전후 움직임은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그 보트(40)에 의한 선체(10)의 추진이 가능하다.
물론 고정부(30)가 터그 보트(40)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다만 고정부(30)는 터그 보트(40)의 전후 움직임을 선체(10)에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터그 보트(4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선체(10)에 구속시키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30)는 바지선(1)의 흘수선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부(30)의 안정적인 고정을 보장하면서 고정부(30)가 해수에 의하여 부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터그 보트(40)는, 터그 결합부(20)에 의하여 선체(10)에 결합되어 선체(10)를 추진시킨다. 터그 보트(40)는 추진기(41)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추진기(41)는 프로펠러(도시하지 않음)일 수 있고, 또는 워터젯(water jet)일 수도 있다. 물론 터그 보트(40)에 구비되는 추진기(4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터그 보트(40)에서 추진기(41)의 후방에는 방향타(42)(rudder)가 마련될 수 있으며, 터그 보트(40)는 추진기(41)를 이용하여 선체(10)를 전진시키면서, 방향타(42)를 이용하여 선체(10)의 진행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터그 보트(40)는 전단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터그 결합부(20)는 터그 보트(40)의 전방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므로, 일례로 터그 결합부(20)는 U자 형태를 갖는다. 물론 터그 보트(40)의 전단 형상에 따라 터그 결합부(20)의 형태 역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유체 흐름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 전단과 터그 보트(40)의 전단 사이에는 일정한 폭의 간극(22)이 존재한다. 그런데 바지선(1)이 터그 보트(40)의 추진기(41)에 의하여 전진하게 될 경우, 선체(10)의 하면(11)을 따라 유체(일례로 해수)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후방으로 이동하던 해수는, 터그 결합부(20)와 터그 보트(40) 사이의 간극(22)에서 상방으로 휘몰아치는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해수는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로 부드럽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간극(22) 내로 유입되려는 흐름을 발생시키면서 와류가 생성되어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터그 결합부(20)를 이용해 터그 보트(40)를 선체(10)에 결합하여 선체(10)와 터그 보트(40)가 일체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하지만, 간극(22)을 둠에 따라 간극(22)에서 복잡한 유동이 생성될 수밖에 없는바, 저항 증가로 인한 속도 성능 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은, 돌출부(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이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임을 알려둔다.
돌출부(30)는,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에 인접한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된다. 돌출부(30)는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결합부(20)의 전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후면이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과 나란하게 마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돌출부(30)는,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하강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선체(10)의 하면(11)을 따라 후방으로 흐르는 유체는, 돌출부(30)로 인하여 흐름이 하방으로 다소 경사지게 변형되고, 이후 간극(22)을 지나친 뒤 터그 보트(40)를 거쳐 후방으로 부드럽게 빠져나갈 수 있다.
즉 돌출부(30)는, 유체의 흐름에서 간극(22)으로 유입되려는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돌출부(30)는 전단(31) 대비 터그 보트(40)에 인접한 후단(32)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더 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돌출부(30)는, 하면(33)이 전단(31)에서 후단(32)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평면을 이룰 수 있으며, 즉 돌출부(30)는 측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돌출부(30)의 경사진 하면(33)은 선체(10)의 하면(11)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방향을 후하방으로 변형시켜서, 간극(22)으로 유입하려는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여 와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는 돌출부(30)의 하면(33)은, 도면과 달리 전단(31)보다 후단(32)이 하방으로 더 돌출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선체(10)의 하면(11)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방향은, 후하방을 향하는 특정 각도로 변형되는 대신, 후방으로 가면서 점점 더 하방을 향하는 각도로 가변될 수 있다.
물론 돌출부(30)의 하면(33)에 대한 형태는 상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만 돌출부(30)의 하면(33)은 돌출부(30)의 전단(31)에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수평 방향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변화시킨 뒤 돌출부(30)의 후단(32)으로 배출하기 위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앞서 터그 결합부(20)가 U자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설명하였는데, 이를 고려하여 돌출부(30)는 터그 결합부(20)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터그 보트(40)의 전방을 두르는 초승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돌출부(30)의 최후단(32)은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돌출부(30)는, 도면과 달리 좌우 방향으로 연직한 삼각 막대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만 돌출부(30)의 좌우 폭은 적어도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의 좌우 폭보다 크게 마련되어, 간극(22)에 의한 와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돌출부(30)를 두어 유체의 흐름을 강제로 아래로 끌어내림으로써, 터그 결합부(20)와 터그 보트(40) 사이에 간극(22)이 마련되더라도 유체가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로 부드럽게 흐르도록 하여 저항을 줄이고 속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은, 함몰부(40)를 포함한다. 함몰부(40)는 돌출부(30)와 반대로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의 인접한 위치에 상방으로 함몰되는 구성이다.
함몰부(40)는, 돌출부(30)와 마찬가지로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함몰부(40)는, 일 지점에서 터그 보트(40)에 인접한 후단(42)으로 갈수록 함몰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몰부(40)는, 전단(41)에서 일 지점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졌다가, 일 지점에서 후단(42)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함몰부(40)는 전단(41)에서 일 지점까지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일 지점에서 후단(42)까지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ㅅ 형태의 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함몰부(40)는, 일 지점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함몰부(40)는,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후상방으로 유도하였다가 후하방으로 변화시키면서, 간극(22) 내로 유입되는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간극(22) 내로의 흐름 억제에 대해서는 도 9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체(10)의 하면(11)을 따라 후방으로 흐르는 유체는, 함몰부(40)의 전단(41)으로 유입되면서 방향이 후상방으로 변화하였다가, 함몰부(40)의 일 지점을 기준으로 방향이 후하방으로 변화한 뒤 함몰부(40)의 후단(42)을 빠져나가게 된다.
이 경우 유체는, 간극(22) 내로 유입되는 것이 충분히 억제될 수 있는바, 선체(10)의 하면(11)과 터그 보트(40) 사이에서 부드러운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보장하기 위해 함몰부(40)의 좌우 폭은 터그 결합부(20) 내측면(21)의 좌우 폭보다 크거나 또는 터그 결합부(20) 내측면(21)의 좌우 폭에 가까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체(10)의 하면(11)에 함몰부(40)를 두어 유체의 흐름이 간극(22)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저항 감소 및 속도 성능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은, 앞선 제1 실시예 대비 유체 분사부(50)를 더 포함한다.
유체 분사부(50)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서 전단에 마련되며 후하방으로 유체를 분사하거나,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며 후하방으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유체 분사부(50)가 분사하는 유체는 해수일 수 있으며, 유체 분사부(50)가 분사하는 해수의 온도는 현재 바지선(1)이 위치한 해수의 온도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이는 유체 분사부(50)가 바지선(1)이 위치한 지역의 해수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체 분사부(50)는, 도 10에서와 같이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 마련되는 분사노즐(51)을 갖거나, 도 11에서와 같이 선체(10)의 하면(11)에 마련되는 분사노즐(51)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51)에는 분사구(511)가 마련될 수 있지만, 분사노즐(51)이 생략되고 선체(10)의 하면(11)이나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 자체에 분사구(511)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유체 분사부(50)는, 분사구(511) 또는 분사노즐(51)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펌프(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체 펌프(52)와 유체 분사부(50) 사이에는 유체 전달라인(5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체 펌프(52)는, 씨체스트(Sea chest;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해수를 직접 끌어올려서 분사노즐(51)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씨체스트와 유체 펌프(52) 사이에도 유체 전달라인(53)이 마련될 수 있다.
유체 분사부(50)는,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하강시킬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체(10)의 하면(11)에서 후방으로 흐르는 유체에 대해, 유체 분사부(50)가 후하방으로 유체를 분사하게 되면, 선체(10)의 하면(11)을 따라 흐른 유체의 흐름 방향은 다소 하방으로 경사지게 변화할 수 있다.
이후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는, 유체 분사부(50)가 분사하는 유체에 의한 영향이 점점 줄어들면서 수평하게 후방으로 흐르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 분사부(50)의 유체 분사로 인해, 터그 보트(40)로 흐르던 유체가 터그 결합부(20)와 터그 보트(40) 사이의 간극(22)에서 상방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간극(22)으로의 유체 유입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유체 분사부(50)는, 유체를 분사해 터그 보트(40)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직접 변화시키면서, 유체의 분사로 인하여 터그 보트(40)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가속화하여, 간극(22)으로 유입될 가능성을 절감하여 저항 감소가 가능하다.
유체 분사부(50)는, 좌우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터그 결합부(20)가 U자 형태를 갖는다는 점을 고려할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유체 분사부(50)는, 중앙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갈수록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유체 분사부(50)는 터그 결합부(2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U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간극(22)을 지나가는 유체의 흐름에 유체의 분사를 부가하여, 간극(22)으로의 유체 흐름을 억제하여 속도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은, 제1 실시예 대비 유체 분산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분산부(60)는,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며,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분산시킨다. 유체 분산부(60)는 일례로, 선체(10)의 하면(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판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체 분산부(60)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구멍(61)이 형성되는 타공판이거나, 또는 메쉬판, 그레이팅(grating)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유체 분산부(60)의 형태는 유체의 흐름을 분산시킬 수만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체 분산부(60)는,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분산시켜서, 유체가 간극(22)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유체 분산부(60)는,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가, 다수의 구멍(61)을 통과하도록 하여 유동을 분산시켜 흐름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의 정류를 구현할 수 있다.
유체 분산부(60)의 설치 각도는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 연직하게 마련될 수 있지만, 선속에 따라 다른 각도가 더 바람직할 수 있고, 때에 따라서는 유체 분산부(60)의 하방 돌출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선속이 낮을 경우).
이를 대비하기 위해 유체 분산부(60)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일례로 도면에서 선체(10)에 연결되는 유체 분산부(60)의 상단은 회전 중심을 이룰 수 있고, 유체 분산부(60)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유체 분산부(60)가 선체(10)의 하면(11)에 밀착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유체 분산부(60)는 선속에 따라 선체(10)의 하면(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정도 및 경사 각도 등이 달라질 수 있는바, 간극(22)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최적의 조건을 구현해낼 수 있다.
또한 유체 분산부(60)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정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서 선체(10)에 대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물론 유체 분산부(60)의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이 타공판 등을 지나면서 분산되도록 하여, 유체가 간극(22)으로 휘몰아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은, 제1 실시예 대비 플랩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랩부(70)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서 전단에 마련되며, 후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플랩부(70)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과 터그 보트(40)의 전단 사이의 간극(22) 내에 위치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플랩부(70)는,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가 간극(22)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플랩부(70)는 전단이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 결합되고 후단이 자유단으로 놓이는 플랩(flap) 형태이면서, 후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됨에 따라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상방 유동을 직접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플랩부(7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플랩부(70)간의 이격 거리는 자유단으로 놓이는 플랩부(70)의 후단이 흔들림에 따라 플랩부(70)의 후단 간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수준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플랩부(7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각도 및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측의 플랩부(70)는, 상측의 플랩부(70)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마련될 수 있다.
플랩부(70)는 앞서 설명한 유체 분산부(60)와 유사하게, 선내로 인입됨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선속 등의 상황에 따라 플랩부(70)가 간극(22) 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플랩부(70)의 경사각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유체가 간극(22) 내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플랩부(70)를 마련함으로써, 불필요한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은, 제1 실시예 대비 주머니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머니부(80)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서 전단에 마련된다. 즉 주머니부(80)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과 터그 보트(40)의 전단 사이의 간극(2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주머니부(80)는, 부피가 팽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간극(22)의 적어도 일부를 메울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플랩부(70)가 터그 결합부(20)에만 고정되면서 터그 보트(40)를 향해 돌출되어 물리적으로 간극(22)에서의 상방 유동을 억제하는 것이라면, 본 실시예의 주머니부(80)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과 터그 보트(40) 사이의 간극(22)에 끼워져서,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가 간극(22)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주머니부(80)는 도면과 같이 하단이 선체(10)의 하면(11)보다 아래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주머니부(80)의 하단이 선체(10)의 하면(11)보다 아래로 돌출되는 경우, 주머니부(80)의 하단은 앞선 실시예에서 언급한 돌출부(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주머니부(80)는, 앞서 설명한 펜더와 유사한 재질이나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펜더는 터그 보트(40)의 전단에 부착되며 터그 보트(40)의 독립적인 운항 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터그 보트(4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일 뿐 간극(22)을 메우지 못하는 반면, 주머니부(80)는간극(22)을 메울 때까지 팽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펜더와는 기능이나 목적 등에서 전혀 다르다.
주머니부(80)의 부피 팽창을 위해서는 공기가 사용될 수 있지만, 공기 외에도 바지선(1)이 항해하는 지역의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비용이 저렴하고 안전한 기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주머니부(8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주머니부(80)의 부피를 조절하는 공기 펌프(81)를 포함하는데, 공기 펌프(81)는 블로어(blower) 등과 같이 공기를 공급하여, 주머니부(80)의 내부에 공기가 채워짐에 따라 주머니부(80)의 부피가 팽창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주머니부(80)에 채워졌던 공기가 빠지면, 주머니부(80)는 부피가 줄어들어 얇아지면서 간극(22)을 메우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주머니부(80)는 간극(22)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고, 또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필요 시 공기 주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간극(22)에 부피가 팽창되는 주머니부(80)를 끼워넣음으로써, 간극(22)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와류로 인한 선체 저항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은, 제1 실시예 대비 매트부(90)를 더 포함한다.
매트부(90)는,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거나, 또는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서 전단 하측에 마련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된다.
매트부(90)는, 앞서 설명한 플랩부(70)와 마찬가지로 물리적인 차단을 통해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가 간극(22)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트부(90)는,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간극(22)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매트부(90)는, 도 15와 같이 선체(10) 내부에서 권취되었다가 풀리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늘어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매트부(90)는 선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권취부(91)를 통해 보관될 수 있다.
다만 매트부(90)가 간극(22)을 덮는 방향으로 풀려나갈 때, 매트부(90)는 앞선 플랩부(70)와 마찬가지로 후단이 자유단으로 놓이게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후단이 터그 보트(40)에 부착되도록 후단에 자성 재질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매트부(90)는 도 16과 같이 선체(10) 또는 터그 결합부(20)의 내부에 인입되었다가 슬라이딩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늘어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매트부(90)는 선체(10) 또는 터그 결합부(20)에 형성되어 매트부(90)의 보관 및 매트부(90)의 이송을 담당하는 이송부(9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부(92)는 매트부(90)를 밀어내기 위한 롤러나 기어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피스톤 구조 등 매트부(90)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슬라이딩되는 매트부(90) 역시 권취되었다가 풀리는 매트부(90)와 동일/유사하게, 후단이 자유단으로 놓이거나 또는 터그 보트(40)에 부착될 수 있으며, 물론 터그 보트(40)에 부착되는 방식은 자성 재질에 의한 인력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매트부(90)를 이용하여, 유체가 간극(22)으로 유입되는 것을 직접 차단함으로써 속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은, 제1 실시예 대비 유체 분사부(50)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유체 분사부(50)가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유체 분사부(50)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유체 분사부(50)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서 전단에 마련되며, 제4 실시예에서의 유체 분사부(50)와 달리 하방으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 역시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유체의 분사를 이용하여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하강시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유체 분사부(50)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 마련되는 분사노즐(51)을 구비하되, 분사노즐(51)은,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간극(22)을 향해 직하방(또는 직하방에 가까운 하방)으로 유체를 분사하기 위해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거나 휘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분사노즐(51)은, ㄱ자 형태를 갖는다.
분사노즐(51)은, 앞선 제4 실시예와 달리,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서 흘수의 상방에 마련되어 해수면에 유체를 분사한다. 이 경우 분사노즐(51)은, 해수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해수의 흐름에 해수를 분사하는 제4 실시예와 다르게, 해수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해수면 자체에 하방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해수면 아래에서 선체(10)의 하면(11)으로부터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해수의 흐름에 대해, 상방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51)은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서 좌우 방향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간극(22) 내에서의 해수면에 하방으로 고르게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해수가 간극(22)으로 상방 유동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간극(22)에서의 해수면에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하방 압력을 가해서, 간극(22)에서의 상방 유동을 줄여 와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은, 제1 실시예와 대비할 때 냉각부(100)를 더 포함한다.
냉각부(100)는, 선체(10)의 내부 또는 터그 결합부(20)의 내부에서 터그 보트(40)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냉각부(100)는 선체(10)나 터그 결합부(20)의 내부에서 간극(22)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냉각부(100)는,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에 인접한 위치의 주변에 마련되거나, 및/또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의 전단에서 하부의 주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냉각부(100)는,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를 냉각시킨다. 이때 냉각부(100)의 냉각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냉각부(100)에서 사용되는 냉열원 역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일례로 냉각부(100)는 전도를 이용하여 선체(10)의 하면(11) 및/또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 접하는 유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부(100)에 의해 냉각되는 유체는, 부피가 줄어들면서 밀도가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될 수 있다. 즉 냉각부(100)는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를 냉각시켜 밀도를 높여서, 간극(22)으로의 유체 흐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물리적인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화학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간극(22)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다만 해수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간극(22)에서의 상방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간극(22) 주변의 소량 유체를 냉각시키는 것일 뿐이므로, 환경오염을 우려할 수준은 아닐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해수 온도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활용하여 냉각부(100)의 냉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환경의 변화를 줄이기 위해 선체(10)의 하면(11)보다는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 마련될 수 있다. 선체(10)의 하면(11)에 냉각부(100)가 마련되는 경우 바지선(1)이 추진하는 과정에서 선체(10)의 하면(11)을 지나가는 모든 유체가 냉각될 수 있지만, 터그 결합부(20)의 내측면(21)에 냉각부(100)가 마련되는 경우 간극(22)으로 유입되려는 소량의 유체만 냉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유체를 냉각하면 밀도가 상승하게 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를 냉각시켜서 간극(22)으로의 유체 흐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측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정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은, 제1 실시예 대비 덕트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부(110)는, 선체(10)의 하면(11)에서 터그 보트(40)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며,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가속시킬 수 있다. 덕트부(110)는 유체를 전후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형태일 수 있고, 일례로 선체(10)의 하면(11)에서 하방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덕트부(110)는, 터그 보트(40)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가속시켜서, 유체가 간극(22)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덕트부(110)를 통과하는 유체는 직진성이 강화되면서 가속될 수 있고, 이 경우 간극(22)으로 유입되려는 상방 유동이 줄어들 수 있다.
이를 위해 덕트부(110)는, 전단보다 터그 보트(40)에 인접한 후단에서 유체가 통과하는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형태일 수 있으며, 물론 유체의 흐름을 가속시킬 수 있다면 덕트부(11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유체가 덕트부(110)를 관통하면서 직진성이 높아지면서 가속되도록 하여, 간극(22)으로의 유체 흐름을 줄여서 속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들의 내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바지선
10: 선체
11: 하면 20: 터그 결합부
21: 내측면 22: 간극
30: 돌출부 31: 전단
32: 후단 33: 하면
40: 함몰부 41: 전단
42: 후단 50: 유체 분사부
51: 분사노즐 511: 분사구
52: 유체 펌프 53: 유체 전달라인
60: 유체 분산부 61: 구멍
70: 플랩부 80: 주머니부
81: 공기 펌프 90: 매트부
91: 권취부 92: 이송부
100: 냉각부 110: 덕트부
30: 고정부 40: 터그 보트
41: 추진기 42: 방향타
11: 하면 20: 터그 결합부
21: 내측면 22: 간극
30: 돌출부 31: 전단
32: 후단 33: 하면
40: 함몰부 41: 전단
42: 후단 50: 유체 분사부
51: 분사노즐 511: 분사구
52: 유체 펌프 53: 유체 전달라인
60: 유체 분산부 61: 구멍
70: 플랩부 80: 주머니부
81: 공기 펌프 90: 매트부
91: 권취부 92: 이송부
100: 냉각부 110: 덕트부
30: 고정부 40: 터그 보트
41: 추진기 42: 방향타
Claims (8)
- 터그 보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터그 보트와 일체로 추진할 수 있는 바지선에 있어서,
선체;
상기 선체의 후단에 마련되며 상기 터그 보트의 전방이 인입되는 터그 결합부; 및
상기 선체의 하면에서 상기 터그 보트에 인접한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그 보트를 향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하강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그 결합부는,
내측면이 상기 터그 보트의 전단과 간극을 두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그 결합부는,
상기 터그 보트의 전방을 두르는 U자 형태의 평단면을 갖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선체의 하면에서 상기 터그 결합부의 전단에 마련되며, 상기 터그 결합부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상기 터그 보트의 전방을 두르는 초승달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후면이 상기 터그 결합부의 내측면과 나란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전단 대비 상기 터그 보트에 인접한 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더 큰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전단보다 후단이 하방으로 더 돌출되되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1952A KR20190025374A (ko) | 2017-09-01 | 2017-09-01 | 바지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1952A KR20190025374A (ko) | 2017-09-01 | 2017-09-01 | 바지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5374A true KR20190025374A (ko) | 2019-03-11 |
Family
ID=6575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1952A KR20190025374A (ko) | 2017-09-01 | 2017-09-01 | 바지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2537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58280A (zh) * | 2021-01-22 | 2021-05-07 | 武汉理工大学 | 顶推船舶阻力优化系统和方法 |
KR102273224B1 (ko) | 2020-03-25 | 2021-07-08 |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 부력체 어셈블리 |
-
2017
- 2017-09-01 KR KR1020170111952A patent/KR20190025374A/ko unkno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3224B1 (ko) | 2020-03-25 | 2021-07-08 |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 부력체 어셈블리 |
CN112758280A (zh) * | 2021-01-22 | 2021-05-07 | 武汉理工大学 | 顶推船舶阻力优化系统和方法 |
CN112758280B (zh) * | 2021-01-22 | 2022-04-22 | 武汉理工大学 | 顶推船舶阻力优化系统和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15736B1 (en) | Air lubrication system and vessel comprising such a system | |
KR100441723B1 (ko) | 마찰저항 저감선 및 선체의 마찰저항 저감방법 | |
US10759498B2 (en) | Air lubrication system with a wave deflector for a vessel | |
KR20190025374A (ko) | 바지선 | |
KR20190025416A (ko) | 바지선 | |
WO2014156721A1 (ja) | 気泡型抵抗低減装置を備えた船舶及び船舶の抵抗低減方法 | |
KR20190025389A (ko) | 바지선 | |
KR20190025392A (ko) | 바지선 | |
KR20190025397A (ko) | 바지선 | |
KR20190025383A (ko) | 바지선 | |
KR20190025410A (ko) | 바지선 | |
KR20190025388A (ko) | 바지선 | |
KR20190025402A (ko) | 바지선 | |
KR20190025407A (ko) | 바지선 | |
US10730588B2 (en) | Ship hull assembly for reducing water resistance and improving maneuverability | |
JP5806251B2 (ja) | 気泡型抵抗低減装置を備えた船舶及び船舶の抵抗低減方法 | |
JP2018154199A (ja) | 船舶 | |
KR101041918B1 (ko) | 압축공기를 이용한 수상오토바이 | |
JP6223656B2 (ja) | 小流物接近防止方法および小流物接近防止装置 | |
KR20180096833A (ko) | 에어제트 추진 선박 및 그 선체의 구성방법 | |
JP2017178181A (ja) | ツインスケグ船の船底構造及びツインスケグ船 | |
KR20210000900U (ko) | 풍수 기계 세트 | |
KR20210132860A (ko) | 선박 중앙부에서 높은 공기체적분율을 갖는 선박의 공기윤활시스템 및 공기윤활방법 | |
JP2582075B2 (ja) | 船舶推進装置用コアンダエンジン | |
JP6332333B2 (ja) | 小流物接近防止方法および小流物接近防止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