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061B1 - 향상된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상된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061B1
KR102273061B1 KR1020190066976A KR20190066976A KR102273061B1 KR 102273061 B1 KR102273061 B1 KR 102273061B1 KR 1020190066976 A KR1020190066976 A KR 1020190066976A KR 20190066976 A KR20190066976 A KR 20190066976A KR 102273061 B1 KR102273061 B1 KR 102273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mpound
present
inflammatory
improving inflam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134A (ko
Inventor
변의백
송하연
김우식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6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0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0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311/0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not hydrogenated in the hetero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며,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및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9058068360-pat00006
화학식(I)
상기 화학식(I)에서, X는 히드록시기, 수소 및 C1- 6알킬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Y 중 적어도 하나는 페닐이며, 나머지는 C1- 6알킬 및 수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m은 1 또는 2의 정수이다.

Description

향상된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A flavonoid compound having improved anti-inflammatory effect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inflamma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향상된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효과적인 염증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소량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항염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염증 반응은 활성화된 면역 세포에 의해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일련의 면역반응이다. 면역 세포가 세균, 바이러스 등을 포함한 미생물, 이물질 등 외부 물질에 노출되면 면역 세포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면역 세포에서 염증 반응을 가속시킨다. 세균성 염증 유발 물질인 지질다당류(LPS,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 여러 가지 염증 인자들(pro-inflammatory mediators)이 만들어지는데, 염증 인자에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 효소(iNO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해 만들어지는 산화 질소(NO, nitric oxide)와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2, cyclooxygenase)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prostaglandin E2) 등이 있다.
한편, 궤양성 대장염은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대장부터 항문에 걸쳐 염증반응이 일어나며, 혈변, 설사, 복통, 체중감소 등의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환경적, 면역학적 요인 등 다양한 인자간의 상호작용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제로 항-TNF-α 항체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장기간 사용 시 내성, 심혈관계 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식물유래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의 뛰어난 항염증 효과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면서, 기존 아토피 치료제를 대체할 수 있는 후보제로써 주목받고 있다. 그 중 크리신은 플라보노이드 중 플라본(flavonoe)의 백본(backbone)을 가지며, 주로 프로폴리스나 캐모마일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암, 항산화, 항염증 등 다양한 약리적 효능을 갖는다고 보고되었다. 최근 화학적 방법, 미생물에 의한 Bio-변환(conversion) 등의 기술로 플라보노이드의 구조를 변환을 유도해 생리활성 효능을 증가시켜, 천연물 신약 소재로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최근 방사선조사기술(Radiation Technology)을 적용하여 천연물의 물리, 화학, 생리적 특성을 변화시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방사선 조사에 의해 특정 물질의 활성 증가, 특정 물질의 구조 변화 또는 함량을 증가시키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으나(한국특허 제2009-0043706호, 한국특허 제2008-0046311호 등), 소량의 사용만으로 효과적인 항염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연구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독성이 발현되는 용량 미만으로 사용하면서도 효과적인 항염 활성을 획득할 수 있는 화합물이 제공되는 경우 의약품 개발의 관련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향상된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며,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제공된다.
Figure 112019058068360-pat00001
화학식(I)
(상기 화학식(I)에서, X는 히드록시기, 수소 및 C1- 6알킬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Y 중 적어도 하나는 페닐이며, 나머지는 C1- 6알킬 및 수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m은 1 또는 2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우수한 항염 활성을 나타내므로, 소량의 유효량의 사용만으로 목적으로 하는 항염 효과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사용량 증가에 따른 독성 증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아토피 피부염 등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기초로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방사선 조사된 크리신(1 mg/mL)의 HPLC 크로마토그래피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실시예 1 화합물의 13C-NMR 및 1H-NMR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새로운 방사선 조사 산물인 실시예 1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 화합물이 수지상 세포의 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으로, 세포생존율(a) 및 annexin V/PI 염색 결과(b)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 화합물과 크리신이 수지상 세포에서 LPS로 유도되는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 화합물 크리신이 수지상 세포에서 LPS 처리로 과발현된 표면분자(surface molecules)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1 화합물이 마우스 대장염 유도모델에서 대장염 완화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1 화합물이 마우스 대장염 유도모델에서 장관막 림프노드 내 림프구(lymphocytes)의 사이토카인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염 활성을 갖는 새로운 화합물이 제공되며,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며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것이다.
Figure 112019058068360-pat00002
화학식(I)
상기 화학식(I)에서, X는 히드록시기, 수소 및 C1- 6알킬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Y 중 적어도 하나는 페닐이며, 나머지는 C1-6알킬 및 수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m은 1 또는 2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I)에서, X는 히드록시기, 수소 및 C1- 6알킬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Y 중 적어도 하나는 페닐이며, 나머지는 C1-6알킬 및 수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며, m은 1 또는 2의 정수이다.
이때, X 및/또는 Y가 수소인 경우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해당 탄소 위치가 수소 이외의 다른 치환기로 치환되지 않고 수소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치환된 페닐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예를 들어 치환된 2-페닐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것이다.
예시적인 바람직한 화학식(I)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I)에서 상기 n이 3이고, 상기 m이 1이며, Y는 페닐인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화학식(I)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I)에서 상기 n은 3이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X는 C1- 4알킬히드록시기이고, 나머지는 히드록시기이며, 상기 m은 1이고, Y는 페닐인 것이다. 이때, X 및 Y의 치환기로 명시되지 않은 탄소 위치는 수소가 다른 치환기로 치환되지 않은 채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로 표현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112019058068360-pat00003
화학식 (Ia)
본 발명의 화학식 (I)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어떠한 합성 공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Ia)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크리신(Chrysin)에 대한 방사선 조사에 의해 크리신의 방사선 조사 산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방사선은 감마선, 전자선 및 X선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감마선인 것이다.
또한, 상기 감마선은 코발트(Co)-60, 크립톤(Kr)-85, 스트론튬(Sr)-90, 및 세슘(Cs)-137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사성 동위원소로부터 방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마선은 코발트(Co)-6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사선은 크리신의 구조가 변화되어 향상된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들)이 획득될 수 있는 선량 이상, 그리고 크리신으로부터 생성된 방사선 조사 산물이 모두 분해되는 선량 미만으로 조사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10 이상 150 kGy 이하의 선량으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00kGy 이하의 선량으로 조사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kGy의 선량으로 조사되는 것이다.
상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Ia)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크리신에 대한 방사선 조사 후 액체크로마토그래피, 예비(preparative)-HPLC, LC-MS, NMR 등의 과정을 통해 분리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온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는 크리신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크리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 후속적으로 크리신 용액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예를 들어 상기 화학식 (Ia)로 표현되는 화합물과 같이 항염 활성을 갖는 크리신의 방사선 조사 산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크리신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크리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크리신 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된다.
본 발명에서 "환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과 그 외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간(치료, 억제 또는 예방)뿐만 아니라 상업적으로 유용한 다른 동물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한 양의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택일적으로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약학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의 억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외용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5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 화합물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항염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독성 유발의 가능성이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및 급성 비염, 만성 및 급성 위염, 만성 및 급성 장염, 궤양성 위염, 급성 및 만성 신장염, 급성 및 만성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통증, 편두통,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프로스타글라딘 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및 다발성 경화증 중 하나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증성 장질환으로,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및/또는 베체트병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기능성 음료 등의 식품 조성물인 경우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 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 중량% 내지 약 0.5 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인 경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것으로,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고,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비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주사제의 기제로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및 방부제와 같은 종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 내지 도포함으로써 염증성 질환을 억제하고,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염증 개선용 조성물이 피부 외용 조성물로 제제화되는 경우,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 초과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환부에 예를 들어 매일 1 내지 3회, 격일, 주 1회 내지 3회 등으로 도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우수한 항염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세포 독성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아토피 피부염 등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기초로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험예 1: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제조
메탄올을 용매로 하여 크리신(Chrysin) 분말을 1 mg/mL의 농도로 용해하여 크리신 용액을 제조한 후,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 연구소 내에 설치된 감마선 조사 시설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크리신에 감마선을 100 kGy로 조사하였고, 감마선을 조사하지 않은(0 kGy) 크리신을 비교예 1로 하였다.
상기 크리신에 감마선을 100 kGy로 조사한 결과 화합물의 HPLC 피크(peak)를 확인한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2개의 방사선 유도 신규화합물(Radiolytic peak)의 생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상기 실시예 1 화합물의 정확한 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1HNMR과 13CNMR을 수행하였으며, 이들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도 2(a) 및 도 2(b)).
1HNMR (500MHz, DMSO-d6): 11.8(1H,s), 7.4(2H,d), 7.4(2H,d,J=8.6Hz), 7.2(2H,d,J=8.7Hz), 5.9(1H,s), 5.8(1H,s), 5.1(1H,Br), 4.6(1H,Br), 3.7(3H,q,J=8.6Hz), 3.3(3H,m).
13CNMR (125MHz, DMSO-d6): 197.9, 166.9, 163.3, 160.8, 141.5, 139.8, 128.6, 127.8, 126.8, 101.4, 96.0, 86.4, 66.2, 60.0, 52.6.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도 3과 같은 본 발명 실시예 1 화합물의 구조를 규명하였다.
상기 화합물의 화학식은 C17H16O5으로 나타내며, 화학명은 5,7-dihydroxy-3-(2-hydroxyethyl)-2-phenylchroman -4-one으로 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기 실시예 1 화합물을 화학식 (Ia) 화합물이라고도 지칭한다.
실험예 2: LPS처리된 수지상 세포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실시예 1 화합물과 크리신(비교예 1)이 세포 독성이 없는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MTT 방법과 annexin V/PI 염색을 이용하였다. 수지상 세포의 분화를 위하여 C57BL/6 마우스의 대퇴부에서 골수를 채취하여, 세척한 후, 염화암묘눔을 이용하여 적혈구를 제거하였다. 적혈구가 분리된 세포를 세포배양 플레이트에서 RPMI 1640 (10% FBS, 100 U/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20 ng/mL GM-CSF, 0.5 ng/mL IL-4)를 1일, 3일, 6일차에 첨가하여 8일 동안 분화시켰다.
분화된 수지상 세포에 100 ng/mL의 LPS와 실시예 1 화합물 또는 크리신을 농도 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0.5 mg/mL의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MTT) 용액을 이용하여 세포를 2시간 동안 염색한 뒤, 디메틸설폭시드(dimethyl sulfoxide)를 이용하여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을 용해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 nm의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도 4(a)). 실시예 1 화합물과 크리신 처리 후 24시간 배양된 세포를 Annexin V/PI 아포토시스 검출 키트(apoptosis detection kit)를 이용하여 염색한 후,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도 4(b)).
실험 결과, 실시예 1 화합물은 10 μM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다소간의 세포 증식을 활성시킬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실시예 1 화합물의 항염증 활성 평가
실시예 1 화합물이 LPS에 의해 과생성되는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지상 세포에 LPS와 실시예 1 화합물 또는 크리신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상층액을 수집하여, ELISA kit를 이용하여, TNF-α, IL-12p70, 및 IL-10의 생성량을 확인하였다(도 5(a)).
또한, 세포내(intracellular) 사이토카인의 생성량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내염색(intracellular staining) 후에,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도 5(b)).
실험 결과, 세포배양 상층액과 세포내 수준에서 실시예 1 화합물 처리군이 크리신 처리군보다 효과적으로 LPS에 의해 과생성되는 사이토카인(TNF-α, IL-12p70, 및 IL-10)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에서 "Con"은 미처리 그룹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4: 실시예 1 화합물이 LPS 처리된 수지상세포의 표면 분자(surface molecules)에 미치는 영향 평가
실시예 1 화합물이 효과적으로 LPS로 과발현되는 수지상세포의 표면분자를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화합물 처리군에서 크리신 처리군보다 효과적으로 과발현된 CD80, CD86, 및 MHC-II의 감소를 유도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6에서 "Con"은 미처리 그룹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5: 대장염 완화 효능 평가
실시예 1 화합물의 수지상 세포 내 항염증 효능을 확인한 후, DSS(Dextran Sulfate Sodium) 투여로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에서 대장염 완화 효능이 있는지 평가하였다. 양성대조군은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5-아미노살리실산(aminosalicylic acid)을 75 mg/kg 농도(0.5% DMSO 와 0.5% Tween 20 in PBS) 로 경구 투여한 방식으로 처리한 그룹으로 '5-ASA'로도 지칭한다.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에 실시예 1의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2 mg/kg 양으로 포함하는, PBS 내에 0.5% DMSO 및 0.5% Tween 20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구 경로로 투여하였다.
실험결과, DSS 투여로 인한 체중감소(도 7a)와 DAI 스코어(혈변 및 설사 정도, 도 7b)가 실시예 1 화합물 투여군과 양성대조군(5-ASA)투여군에서 완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 조직에서 호중구 침윤으로 증가하는 MPO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c). 나아가, DSS 투여로 유도되는 장 길이 감소가 실시예 1 화합물과 양성 대조군 처리군에서 완화되었고(도 7d 및 7e), 조직병리학적 관찰결과 역시 염증의 정도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f).
실험예 6: 장관막 림프노드 내 염증 조절 여부 확인 실험
실시예 1 화합물의 대장염 증상 완화 효과가 장관막 림프노드 내 염증 조절을 통한 것인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장관막 림프노드에서 림프구(lymphocyte)를 분리하여 사이토카인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포 상층액 수준에서 DSS 투여로 유도되는 IFN-γ, IL-5 및 IL-17의 발현이 실시예 1 화합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고(도 8a), 세포내 수준에서도 실시예 1 화합물 투여군에서 IFN-γ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IL-5와 IL-17A 또한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도 8b 및 c).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Ia)로 표현되며,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Figure 112021014447287-pat00005
    화학식 (Ia)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 조성물인, 염증 개선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염증 개선용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염증 개선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치료용인, 염증 개선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인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11. 제1항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90066976A 2019-06-05 2019-06-05 향상된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273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76A KR102273061B1 (ko) 2019-06-05 2019-06-05 향상된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76A KR102273061B1 (ko) 2019-06-05 2019-06-05 향상된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34A KR20200140134A (ko) 2020-12-15
KR102273061B1 true KR102273061B1 (ko) 2021-07-05

Family

ID=7378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976A KR102273061B1 (ko) 2019-06-05 2019-06-05 향상된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0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2898A1 (en) * 2014-01-23 2015-07-30 H. Lee Moffitt Cancer Center And Research Institute, Inc. Icariin derivativ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2898A1 (en) * 2014-01-23 2015-07-30 H. Lee Moffitt Cancer Center And Research Institute, Inc. Icariin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34A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172692A5 (ko)
US20020040050A1 (en) Immunosuppressive agents
US8974837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seudolysimachion longifolium and the catalpol derivatives isolated therefrom having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d antiasthmatic activity
KR102273061B1 (ko) 향상된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Wang et al. Natural polysaccharides as potential anti-fibrotic agents: A review of their progress
CN110724121B (zh) 铁皮石斛叶中的一种联苄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453609B1 (ko) 조팝나무잎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헤미테르펜 글루코사이드 화합물 및 이의 항산화 및 항염 용도
KR20160147540A (ko)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DE69825980T2 (de) 4,5-dihydroxy-2-cyclopentene-1-on für die behandlung von rheumatismus, entzündungen und autoimmunerkrankungen
Anyanji et al.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oil palm leaf (Elaeis guineensis Jacq.) extract in aged rats
KR102143862B1 (ko) 항염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및 염증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60080513A (ko) 줄풀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51529B1 (ko) 항염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40142580A (ko) 질려자로부터 분리한 엔-트랜스-로우-카페오일 티라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0427B1 (ko) 초음파 추출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연산호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33487B1 (ko) 개가시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요로결석 조성물
KR101722472B1 (ko) 까마귀쪽나무 추출물과 이로부터 분리된 Litseakolide D2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CN111205253B (zh) 一种地枫皮醇c、其制备方法及应用
WO1999029647A1 (fr) Inducteurs de l'apoptose
KR102640711B1 (ko) 디이노코커스 라디오두란스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CN108938653B (zh) 氧化型1,4-β-D-葡萄糖醛酸寡糖在制备治疗阿尔茨海默病的药物中的应用
KR100201585B1 (ko) 혈관이완제 조성물
KR20140052361A (ko) 신규한 로테논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032254A (ko) 저선량 방사선 치료와 병용 치료를 위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의 병용 치료 방법
US8455541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seudolysimachion longifolium and the catalpol derivatives isolated therefrom having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d antiasthmatic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