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898B1 -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898B1
KR102272898B1 KR1020200142611A KR20200142611A KR102272898B1 KR 102272898 B1 KR102272898 B1 KR 102272898B1 KR 1020200142611 A KR1020200142611 A KR 1020200142611A KR 20200142611 A KR20200142611 A KR 20200142611A KR 102272898 B1 KR102272898 B1 KR 102272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unit
radioactive material
rece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석
채민희
석광설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4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22Concentrating samples by thermal techniques; Phase ch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01F23/292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 G01F23/2921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for discrete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78Facilitating or initiatin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2Identification, exchange or storage of information
    • B01L2300/025Displaying results or values with integrated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22Concentrating samples by thermal techniques; Phase changes
    • G01N2001/4027Concentrating samples by thermal techniques; Phase changes evaporation leaving a concentrated samp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핫플레이트(100); 및 수위 측정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APPARATUS FOR EVAPORATING}
본 발명은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발 농축된 잔류량의 부피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능오염 또는 방사성오염이란 핵실험으로 방사성 낙진이나 원자력 시설에서 방출된 방사성 폐기물 등 인공방사능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원인이 되는 물질로는 핵분열생성물, 각종 유도방사능을 함유하는 냉각수, 방사성화된 기체, 방사성 물질이 부착한 오물·폐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사선에 피폭되면, 전신 혹은 광범위한 신체 부위가 대량의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전신 증상인 급성 방사선 증후군, 즉 신경혈관계, 조혈계, 위장관계, 피부 등에 손상이 나타난다.
한편, 방사성 핵종 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핵종의 농도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10L 이상의 시료를 1L로 증발 농축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료의 증발농축은 가열봉(Heating stick)이나 핫플레이트 등과 같은 공지의 가열장치를 주로 사용하며, 따라서 시료가 1L까지 농축되었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제대로 주의하지 않을 시에는 시료가 완전히 증발하여 가열장치의 고장이나 화재 등 큰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가열장치와 관련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5774호에는, 전면에 키입력부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가열판(12)이 설치되고 이 가열판(12)의 저면에는 히터(50)가 배설되며 상기 가열판(12)의 상측에 가열용제와 함께 실험용기에 담겨지는 마그네틱바(40)가 놓여지고, 상기 가열판(12)의 중앙부 하방에는 본체(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틱바(40)를 회전시키는 교반수단(20)과, 상기 반응플라스크를 가열하는 히터(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반응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탐침봉(30)과, 상기 자력발생부 및 히터(5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70)으로 구성된 핫플레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핫플레이트에는 마그네틱바가 회전할 수 있는 교반수단과 반응플라스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탐침봉 등의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나, 농축하고자 하는 시료의 부피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577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액상 시료를 가열하여 증발 농축시키고 또 증발 농축된 잔류량의 부피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핫플레이트(100); 및 수위 측정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에서, 상기 핫플레이트는, 소정 온도로 가열되는 안착부(111)가 중앙에 위치하며 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하는 온도조절부(120); 상기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하여 설정한 온도와 안착부(111)의 온도를 표시하는 제1 표시창(140); 상기 제1 표시창(140) 인근에 위치하여 가열시간을 표시하는 제2 표시창(150); 상기 안착부(111)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60); 및 상기 몸체부(11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코드(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에서, 상기 수위 측정부(200)는, 상기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하며 발광부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지지봉(210); 및 상기 제1 지지봉(210)과 서로 마주 볼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10) 타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가 장착되어 있는 제2 지지봉(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에서, 상기 발광부는 제1 발광부(211) 및 상기 제1 발광부(211) 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발광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제1 수신부(221)와 제2 수신부(22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신부(221)와 제2 수신부(222)는 상기 제1 발광부(211) 및 제2 발광부(212)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에서, 상기 제2 지지봉(220)에는 제1 발광부(211) 및 제2 발광부(2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할 시 점등을 위한 표시등(22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시료 농축방법은, 소정 온도로 가열되는 안착부(111)가 중앙에 위치하며 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하는 온도조절부(120), 상기 몸체부(110) 타측면에 위치하여 설정한 온도와 안착부(111)의 온도를 표시하는 제1 표시창(140), 상기 제1 표시창(140) 인근에 위치하여 가열시간을 표시하는 제2 표시창(150), 상기 안착부(111)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60), 및 상기 몸체부(11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코드(170)를 포함하는 핫플레이트(100); 및 상기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하며 제1 발광부(211) 및 상기 제1 발광부(211) 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발광부(212)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지지봉(210), 및 상기 제1 지지봉(210)과 서로 마주 볼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10)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발광부(211) 및 제2 발광부(212)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발광부(211) 및 제2 발광부(212)에서 조사된 빛을 각각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부(221)와 제2 수신부(222)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발광부(211) 및 제2 발광부(2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제1 수신부(221) 및 제2 수신부(222)가 수신할 시 시각적 표시를 위한 표시등(224), 및 청각적 표시를 위한 소리 발생부가 장착되어 있는 제2 지지봉(220)을 포함하는 수위 측정부(200)로 이루어진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를 이용한 방사성물질 분석용 시료 농축방법으로서, 방사성물질을 분석할 액상 시료 소정량을 투명한 용기(B)에 주입한 후 몸체부(110)의 안착부(111)에 위치시키는 제1 단계; 몸체부(110)에 전원을 공급한 뒤 안착부(111)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단계; 용기(B)의 액상 시료가 소정량 농축될 시, 시료의 수위와 일치하도록 제2 발광부(212)와 제2 수신부(222)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발광부(221)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제2 수신부(222)가 수신하면 표시등(224)이 점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안착부(111)로부터 용기(B)를 분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시료 농축방법에서, 상기 제3 단계와 제 4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 발광부(211)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제1 수신부(221)가 수신할 시, 표시등(224)이 점멸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시료 농축방법에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소리 발생부로부터 알람 소리가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및 농축방법에 의하면, 증발 농축된 잔류량의 부피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 측정부가 구비되어 있어 작업환경이 개선될뿐만 아니라 장치의 고장이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및 농축방법에 의하면, 발광부와 수광부가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지지봉은 암수나사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료를 담는 용기(B)가 바뀌더라도 잔류량과의 위치 정렬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핫플레이트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의 외형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에 구비된 제1 지지봉과 제2 지지봉의 확대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의 외형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는, 방사성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액상시료의 농축을 위해 열원을 제공하는 핫플레이트(100)와, 정해진 부피까지 시료가 농축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수위 측정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핫플레이트(100)는 몸체부(110), 온도조절부(120), 타이머(130), 제1 표시창(140), 제2 표시창(150), 전원코드(160) 및 스위치(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10)는 외형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방사성물질 분석을 위한 액상시료가 담겨 있는 용기(B)를 가열하기 위한 안착부(111)가 마련되어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몸체부(110)가 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원기둥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안착부(111) 내부에는 열선 등 가열을 위한 공지의 가열 수단이 내장되어 있다.
온도조절부(120)는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하며, 전술한 안착부(111)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다이얼식 또는 버튼식일 수 있다.
타이머(130)는 온도조절부(120)가 장착되어 있는 몸체부(110)와 동일한 측면에 위치하며, 안착부(111)의 가열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제1 표시창(140)은 몸체부 일측면(110), 바람직하게는 온도조절부(120) 인근에 위치하며, 온도조절부(120)에 입력한 설정 온도와 안착부(111)의 현재 온도를 실시간으로 보여주기 위한 구성이다.
제1 표시창(140) 인근,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이머(130)와 제1 표시창(140) 사이에는 제2 표시창(15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표시창(150)에는 타이머(130)에서 설정한 시간과 잔여 시간을 보여준다.
도면부호 160은 몸체부(110)에 구비된 안착부(111)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60)이며, 물론 온도조절부(120), 타이머(130), 제1 표시창(140) 및 제2 표시창(150) 등 몸체부(110) 자체의 작동을 위한 메인 스위치에 해당된다.
그리고 몸체부(110)에 필요한 전원은 전원코드(170)를 사용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받는다.
다음은 수위 측정부(2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B)에 담긴 액상시료가 정확한 양까지 농축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수위 측정부(200)는 용기(B)를 사이에 둔 채 서로 마주 보며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봉(210)은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한 채 상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있고, 몸체부(110)를 향하는 내측부에는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부(211)와 제2 발광부(212)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발광부(212)는 제1 발광부(211) 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지지봉(210)과 서로 마주 보며 몸체부(110) 타측면에는 제2 지지봉(220)이 위치하는데, 제2 지지봉(220)에는 전술한 제1 발광부(211)와 제2 발광부(212)에서 조사한 빛을 각각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수신부(221)와 제2 수신부(222)가 제1 발광부(211) 및 제2 발광부(212)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B)에 담긴 액상시료가 농축되어 제1 수신부(221) 및/또는 제2 수신부(222) 이하까지 수심이 내려가면 제1 발광부(211) 및/또는 제2 발광부(212)에서 조사된 빛은 제1 수신부(221) 및/또는 제2 수신부(222)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제2 지지봉(220)에는 제1 발광부(211) 및/또는 제2 발광부(212)에서 빛을 수신할 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점멸 또는 점등하도록 작동되는 표시등(224)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청각적으로도 확인할 수 있도록 소리 발생부(미도시)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록 도면에서는 발광부와 수신부가 각각 2개씩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증감하여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에 구비된 제1 지지봉과 제2 지지봉의 확대도이다.
일반적으로 방사성물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10L이상을 1L로 증발 농축해야 하며, 이때 용기(B)에 따라 1L에 해당되는 수위(수면)가 변한다. 따라서 제1 지지봉(210)의 제1 발광부(211) 및/또는 제2 발광부(212)와, 제2 지지봉(220)의 제1 수신부(221) 및/또는 제2 수신부(222)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암수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봉(210)은 외측면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1 상부 지지봉(210(a))과 내측면을 따라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1 하부 지지봉(210(b))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제1 상부 지지봉(210(a))을 조금씩 돌리면서 제1 발광부(211) 및/또는 제2 발광부(212)의 위치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제1 발광부(211) 및/또는 제2 발광부(212)는 제1 상부 지지봉(210(a))에 고정된 상태이어야 함은 자명하다.
제2 지지봉(210)의 경우에도, 외측면을 따라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2 상부 지지봉(220(a))과 내측면을 따라 암나사산이 형성된 제2 하부 지지봉(210(b))으로 구성되며, 마찬가지로 제2 상부 지지봉(220(a))을 조금씩 돌리면서 제1 수신부(221) 및/또는 제2 수신부(222)의 위치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1 지지봉(210)과 제2 지지봉(210)은 각각 제1 연결봉(213)과 제2 연결봉(223)에 의해 몸체부(110)와 연결되며, 공지의 체결수단을 통해 몸체부(110)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은 전술한 구성을 갖는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를 사용하여 방사성물질 분석용 시료를 농축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농축방법은, 방사성물질을 분석할 액상 시료 소정량을 투명한 용기(B)에 주입한 후 몸체부(110)의 안착부(111)에 위치시키는 제1 단계, 몸체부(110)에 전원을 공급한 뒤 안착부(111)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단계, 용기(B)의 액상 시료가 소정량 농축될 시, 시료의 수위와 일치하도록 발광부와 수신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3 단계,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부가 수신하면 표시등(224)이 점등하는 제4 단계, 및 안착부(111)로부터 용기(B)를 분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계에서는, 방사성핵종이나 함유량 분석이 필요한 채취한 액상 시료를 용기(B)에 담아 준비한 후, 가열 농축을 위해 몸체부(110) 안착부(111)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용기(B)는 투명한 소재, 예를 들어 내열성 유리 소재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발광부에서 조사한 빛이 수신부로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2 단계는 증발 농축에 필요한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이고, 제3 단계는 발광부와 수신부가 용기(B)의 1L에 해당되는 수위와 일치하도록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발광부는 제1 발광부(211)와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발광부(212), 그리고 수신부는 제1 수신부(221)와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수신부(22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발광부(212)와 제2 수신부(222)가 용기(B)의 1L에 해당되는 수위와 일치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높이가 다른 한 쌍식의 발광부와 수신부가 구비되면, 용기(B)의 시료가 1L에 근접할 시, 인근 작업자에게 미리 알려주기 때문에 정확한 시기에 농축 과정을 중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발광부(211)와 제1 수신부(221)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시료가 농축되면, 제2 지지봉(220)의 표시등(224)이 점멸하며 이와 동시에 소리 발생부에서 설정된 소정의 음향이 발생한다. 이는 증발 농축의 완료가 근접해 왔음을 인근 작업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것이고, 이후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 발광부(212)와 제2 수신부(222)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시료가 농축되면 제2 지지봉(220)의 표시등(224)이 점등하며 이와 동시에 소리 발생부에서 설정된 소정의 음향이 발생한다.
제5 단계는 전술한 제2 발광부(212)와 제2 수신부(222)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시료가 농축되어 표시등(224)이 점등하고 또 음향이 발생하면 안착부(111)로부터 용기(B)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핫플레이트
110 : 몸체부
111 : 안착부
120 : 온도조절부
130 : 타이머
140 : 제1 표시창
150 : 제2 표시창
160 : 스위치
170 : 전원코드
200 : 수위 측정부
210 : 제1 지지봉
210(a) : 제1 상부 지지봉 210(b) : 제1 하부 지지봉
211 : 제1 발광부 212 : 제2 발광부
213 : 제1 연결봉
220 : 제2 지지봉
220(a) : 제2 상부 지지봉 210(b) : 제2 하부 지지봉
221 : 제1 수신부 222 : 제2 수신부
223 : 제2 연결봉 224 : 표시등
B : 용기

Claims (8)

  1.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진 핫플레이트(100); 및
    수위 측정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핫플레이트는, 소정 온도로 가열되는 안착부(111)가 중앙에 위치하며 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하는 온도조절부(120); 상기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하여 설정한 온도와 안착부(111)의 온도를 표시하는 제1 표시창(140); 상기 제1 표시창(140) 인근에 위치하여 가열시간을 표시하는 제2 표시창(150); 상기 안착부(111)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60); 및 상기 몸체부(11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코드(170)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측정부(200)는, 상기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하며 발광부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지지봉(210); 및 상기 제1 지지봉(210)과 서로 마주 볼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10) 타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가 장착되어 있는 제2 지지봉(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제1 발광부(211) 및 상기 제1 발광부(211) 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발광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제1 수신부(221)와 제2 수신부(222)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신부(221)와 제2 수신부(222)는 상기 제1 발광부(211) 및 제2 발광부(212)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봉(220)에는 제1 발광부(211) 및 제2 발광부(2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조사된 빛을 수신할 시 점등을 위한 표시등(22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6. 소정 온도로 가열되는 안착부(111)가 중앙에 위치하며 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하는 온도조절부(120), 상기 몸체부(110) 타측면에 위치하여 설정한 온도와 안착부(111)의 온도를 표시하는 제1 표시창(140), 상기 제1 표시창(140) 인근에 위치하여 가열시간을 표시하는 제2 표시창(150), 상기 안착부(111)의 가열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60), 및 상기 몸체부(11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코드(170)를 포함하는 핫플레이트(100); 및
    상기 몸체부(110) 일측면에 위치하며 제1 발광부(211) 및 상기 제1 발광부(211) 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발광부(212)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지지봉(210), 및 상기 제1 지지봉(210)과 서로 마주 볼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10) 타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발광부(211) 및 제2 발광부(212)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발광부(211) 및 제2 발광부(212)에서 조사된 빛을 각각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부(221)와 제2 수신부(222)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발광부(211) 및 제2 발광부(2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제1 수신부(221) 및 제2 수신부(222)가 수신할 시 시각적 표시를 위한 표시등(224), 및 청각적 표시를 위한 소리 발생부가 장착되어 있는 제2 지지봉(220)을 포함하는 수위 측정부(200)로 이루어진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를 이용한 방사성물질 분석용 시료 농축방법으로서,
    방사성물질을 분석할 액상 시료 소정량을 투명한 용기(B)에 주입한 후 몸체부(110)의 안착부(111)에 위치시키는 제1 단계;
    몸체부(110)에 전원을 공급한 뒤 안착부(111)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단계;
    용기(B)의 액상 시료가 소정량 농축될 시, 시료의 수위와 일치하도록 제2 발광부(212)와 제2 수신부(222)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발광부(212)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제2 수신부(222)가 수신하면 표시등(224)이 점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안착부(111)로부터 용기(B)를 분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분석용 시료 농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와 제 4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 발광부(211)에서 조사된 빛을 상기 제1 수신부(221)가 수신할 시, 표시등(224)이 점멸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분석용 시료 농축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소리 발생부로부터 알람 소리가 송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물질 분석용 시료 농축방법.
KR1020200142611A 2020-10-30 2020-10-30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KR102272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11A KR102272898B1 (ko) 2020-10-30 2020-10-30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11A KR102272898B1 (ko) 2020-10-30 2020-10-30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898B1 true KR102272898B1 (ko) 2021-07-06

Family

ID=7686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611A KR102272898B1 (ko) 2020-10-30 2020-10-30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383B1 (ko) * 2021-06-10 2021-12-17 대한민국 마그네틱바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물질 분석용 시료 농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774B1 (ko) 2001-05-09 2003-08-21 대해산업 (주) 도로포장용 흙포장 조성물 제조장치
KR200395774Y1 (ko) * 2005-06-29 2005-09-13 주식회사 태산솔루젼스 마그네틱 교반식 핫플레이트
JP2019010133A (ja) * 2017-06-29 2019-0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水位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774B1 (ko) 2001-05-09 2003-08-21 대해산업 (주) 도로포장용 흙포장 조성물 제조장치
KR200395774Y1 (ko) * 2005-06-29 2005-09-13 주식회사 태산솔루젼스 마그네틱 교반식 핫플레이트
JP2019010133A (ja) * 2017-06-29 2019-0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水位検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383B1 (ko) * 2021-06-10 2021-12-17 대한민국 마그네틱바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성물질 분석용 시료 농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898B1 (ko) 방사성물질 분석용 증발 농축장치
GR3029446T3 (en) Method of preparing a radioactive rhenium complex solution.
CN102901768B (zh) 电化学溶出伏安法快速检测重金属的检测方法
CN205982098U (zh) 多通道食品安全快速分析仪
US2328461A (en) Continuous recorder for color changes
CN208999260U (zh) 一种检测大气环境污染的装置
CN206450648U (zh) 一种材料检测实验室用自动滴定仪
CN108918826A (zh) 一种环保检测装置
CN104485141B (zh) 一种核电站硼浓度测量系统测量参数的校准装置
CN102183473B (zh) 一种用于探测液体过滤系统中液体品质的方法
RU175147U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держатель образцов для спектрометра
KR20190037213A (ko) 자동강수샘플러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AU632720B2 (en) Water quality monitor
JP3218977U (ja) 余剰麻酔ガス検知器
CN211170279U (zh) 一种乙醛生产中的废水再利用处理装置
BR112020019048A2 (pt) Sistema para observação de dissolução dos meios e/ou crescimento bacteriano em saco transparente
CN113484896B (zh) 一种放射性物质检测装置
CN205246574U (zh) 一种应用于稻米中痕量元素分析的x射线检测装置
CN205426726U (zh) 一种使用方便的微粒检测仪
CN211636604U (zh) 一种祛痘护肤品检测实验台
CN214288233U (zh) 一种防止液体飞溅的反应杯
CN207020070U (zh) 一种消毒液浓度检测装置
USRE28009E (en) Method for measuring the coagulation time of organic substances (and albuminoid
CN204758556U (zh) 薄层层析装置
CN212523061U (zh) 一种中药材二氧化硫蒸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