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392B1 -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 Google Patents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392B1
KR102272392B1 KR1020190132917A KR20190132917A KR102272392B1 KR 102272392 B1 KR102272392 B1 KR 102272392B1 KR 1020190132917 A KR1020190132917 A KR 1020190132917A KR 20190132917 A KR20190132917 A KR 20190132917A KR 102272392 B1 KR102272392 B1 KR 10227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mpact
adhesive layer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793A (ko
Inventor
구태욱
조초원
유바울
홍순화
김경빈
김태호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to KR1020190132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3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8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using foamed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디스플레이용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께가 얇은 기재층을 합지하여 굴곡 부착성이 개선되고, 발포 점착층을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기기 유리면에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우수한 방수 효과를 나타내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이 형성된 점착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되는 코팅발포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를 일 실시 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IMPACT RESISTANT TAPE WITH IMPROVED BEND PERFORMANCE}
개시된 내용은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내충격성과 방수 효과를 가지면서도 굴곡 면에서 들뜸 현상 없이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부품 등을 접착 및 고정하기 위해 점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는데, 점착 테이프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처럼 점착 테이프는 디스플레이의 테두리 등을 고정하면서도 외부 불순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또한 액정 패널 등의 후방에 장착된 광원 등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디스플레이의 테두리로부터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박막화 되어가는 전자기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1단으로 된 두꺼운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발포층을 적용한 양면테이프가 제조되고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전자기기 패널의 한쪽이나 양쪽, 또는 상하좌우를 엣지 형태로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엣지의 곡률을 크게 하여 테두리가 없는 듯한 효과를 주고 있는 전자기기가 많이 생산되고 있는데, 엣지 프레임의 경우 패널로부터 방출되는 전하가 축적되는 경우 정전기 발생이나, 순간 전기 발생 및 전자방해잡음 (EMI)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사이에 전도성 테이프를 접착 시켜 이러한 부작용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내충격성과 방수 효과를 가지면서도 굴곡면 및 협폭화된 테두리에서도 들뜸 현상 없이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점착 테이프는 1단으로 된 두꺼운 기재층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발포층을 적용한 양면테이프 형태인데, 종래의 두꺼운 기재층을 가진 점착 테이프는 좁고 굴곡진 피부착 면에 대해서는 점착 성능이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된 내용은 우수한 내충격성과 방수 효과를 가지면서도 굴곡면 및 협폭화된 피부착면에서 들뜸 현상 없이 점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이 개시의 내용은 상하 복층 구조로 적층 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층;및 상기 기재층의 외면에 형성되는 코팅발포점착층을 포함하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는, 우수한 내충격성과 방수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굴곡 면 및 협폭화된 피부착 면에서 대해서도 우수한 점착 성능을 제공 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개시된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는 상하 복층 구조로 적층 되는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층(20) 및 상기 기재층의 외면에 형성되는 코팅발포점착층(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재층(10)은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의 기재가 되는 층으로, 12 내지 25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고, 개시된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여 형태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12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형태를 지지하는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25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방수기능이 저하될 뿐 아니라, 상하 복층 구조로 적층되는 기재층(10)의 두께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개시된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굴곡진 면에 대한 부착성이 저하되어 피부착 면에 들뜸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기재층(10)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필름의 형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테레프탈산과 에스터 또는 염화물과 에틸렌글리콜과의 다중축합 반응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포화 폴리에스터로 흔히 PET라고 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를 용융하여 가느다란 홈에서 압출하여, 바로 물속에서 급냉각 시켜 무정형인 채 고화시키며 이어서 가로세로 양방향으로 연신 하여 분자배열을 정리하고 결정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필름 형태로 제조된다. 또한, 전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다이메틸과 에틸렌글리콜을 150 내지 230℃에서 가열하여 에스터교환반응으로 Bis(β-하이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얻은 후, Bis(β-하이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를 1토르(torr) 이하에서 270 내지 300℃로 가열하면 다중축합 반응을 통해 에틸렌글리콜이 내보내지며 PET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내열성, 강성 및 전기적 성질 등이 뛰어나고, 높은 온도에 오랫동안 있어도 극한 강도가 약간만 줄어들며, 결정성 플라스틱에 속하기 때문에 디젤유와 같은 기름에 대한 내성이 좋다. 그러나 분자 사슬에 에스터결합이 있어 성형 제품이 높은 온도와 긴 시간에 걸쳐 산 또는 알칼리에 잠기면 변화되기 쉬운 성질이 있어, 결정화가 늦으므로 사출성형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조핵제를 첨가하거나 결정을 미결정으로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전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인장강도는 작지만, 내충격성이 커서 가공하기 쉽고 스스로 연소하는 성질을 나타내며, 콘덴서, 모터, 발전기, 변압기 등의 전기 절연 재료, 잡화, 단열 커버 등으로 이용되며 영화용 필름 및 디스플레이용 필름으로 사용된다.
상기 기재층(10)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은 석유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을 치글러-나타 촉매로 중합시킨 것으로, 저압법 폴리에틸렌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폴리프로필렌은 비중이 작은 부류에 속하며, 기계적 강도, 굽힘 피로성, 내열성, 전기적 특성이 좋으며, 특히 반복 휨에 강하다.
상기 기재층(10)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는 유기산과 아민이 반응하여 생기는 아미드 결합을 가지는 중합체의 총칭으로, 지방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지방족 고리 폴리아미드로 분류된다. 폴리아미드는 낮은 밀도, 낮은 마찰계수, 높은 내마모성, 높은 열 안정성, 높은 경도와 강도 및 우수한 내화학성과 내충격성을 가진다.
상기 점착층(20)은 개시된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의 상하 복층 구조로 적층 되는 기재층을 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점착층(20)은 38 내지 12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는데, 두께가 38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상하 복층 구조로 합지된 기재층(10)을 부착시켜주는 점착성능과 내충격성이 저하 되며, 상기 점착층(20)의 두께가 120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점착층(20)의 점착 성능은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하 복층 구조로 합지된 기재층(10)의 굴곡 유연성을 저하해, 굴곡 있는 피부착 면에 대한 점착 성능이 저하된다.
상기 점착층(20)은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와, 경화제 0.1 내지 2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 코팅하여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점착층(20)의 조성물에는 발포제 0.1 내지 2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20)에 사용되는 아크릴 수지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5 내지 55 중량부와, 메틸아크릴레이트 2 내지 7 중량부와,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1 내지 5 중량부 및 아크릴산 1 내지 3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 내지 900,000인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로 이루어진다.
상기 점착층(20)에 사용되는 우레탄 수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70 중량부 및 이소포론다이이소시아네이트 20 내지 40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120,000인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팅발포점착층(30)은 50 내지 12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0.5 내지 1.5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 발포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점착층(20) 및 코팅발포점착층(30)에 사용된 경화제는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혼합물을 경화시킬 수 있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층(20) 및 코팅발포점착층(30)에 사용된 용매는 상기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경화제 및 발포제 등이 고르게 혼합되어 균질한 물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나, 메틸에틸케톤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16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기재층의 상부면에 아크릴 수지(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부, 아크릴산 2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0) 100 중량부,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 및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68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층의 상부면에 기재층과 동일한 16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합지하여 100마이크로미터의 기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기재층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아크릴 수지(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부, 아크릴산 2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600,000) 100 중량부, 발포제(SDI사 MSH-320) 1 중량부,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 및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90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코팅과 동시에 170℃에서 발포하여 100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발포 점착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300마이크로미터의 내충격 방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기재층에 사용된 아크릴 점착제를 우레탄 수지로(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70 중량부 및 이소포론다이이소시아네이트 30 중량부로 중합, 중량 평균 분자량 110,000)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내충격 방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16마이크로미터 두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19 마이크로미터 두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변경하고 기재층 중간 아크릴 점착층의 두께는 68마이크로미터에서 38마이크로미터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내충격 방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16마이크로미터 두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20마이크로미터 두께 연신 된 폴리프로필렌 필름로 변경하고 기재층 중간 아크릴 점착층의 두께는 68마이크로미터에서 60마이크로미터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내충격 방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16마이크로미터 두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20 마이크로미터 두께 폴리아미드(나일론6) 필름으로 변경하고 기재층 중간 아크릴 점착층의 두께는 68마이크로미터에서 60마이크로미터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내충격 방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기재층에 사용된 아크릴 점착제를 점착층에 사용된 동일한 발포 점착제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내충격 방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38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기재층의 상부면에 아크릴 수지(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0 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부, 아크릴산 2 중량부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0,000) 100 중량부, 발포제(SDI사 MSH-320) 1 중량부, 경화제(이소시아네이트) 1 중량부 및 용매(메틸에틸케톤)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혼합물을 콤마 코팅 방식으로 120마이크로미터 두께로 코팅과 동시에 170℃에서 발포하여 131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발포 점착층을 형성하고 기재층의 하부면은 동일한 조성과 과정을 통해 300마이크로미터의 내충격 방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서 38마이크로미터 두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50 마이크로미터 두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변경하고 상부면과 하부면의 아크릴 점착층의 두께는 131마이크로미터에서 125마이크로미터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내충격 방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비교예 1에서 38마이크로미터 두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75마이크로미터 두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변경하고 상부면과 하부면의 아크릴 점착층의 두께는 131마이크로미터에서 113마이크로미터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내충격 방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16마이크로미터 두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38 마이크로미터 두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변경하고 기재층 중간 아크릴 점착층의 두께는 68마이크로미터에서 24마이크로미터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내충격 방수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내굴곡성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 샘플을 가로 20mm X 세로 100mm 자른 후 아래 그림과 같은 가로 20mm X 세로 200mm X 두께 3mm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피착재에 2mm 또는 5mm로 굽혀 붙힌 후 24℃ 72시간 또는 온도 80℃ X 상대습도 80%(항온항습기) 72시간 경과 들뜸 유무를 확인하여 들뜸 없이 초기 상태와 동일할 때 OK, 들뜸 발생 시 NG라고 표기하였다. 들뜸이 없을수록 내반발성이 우수하고 굴곡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다.
<실험예 2> 타발성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 샘플을 표1 및 도()과 같이 형상을 만들고 불필요한 부위를 제거했을 때 남아있는 샘플의 크기를 확인하여 타발성을 평가하였다. 남아있는 샘플 폭이 작을수록 타발성이 우수하다.
<실험예 3> 충격변형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 샘플을 가로 15.5mm X 세로 15.5mm X 살폭 0.7mm로 자른 후 가로 45mm X 세로 45mm X 두께 4mm X 가운데 hole 10mm인 마그네슘(Mg) 플레이트의 중간에 부착하고 해당 샘플 상면에 가로 20mm X 세로 20mm인 강화 유리 플레이트를 부착시켰다. 준비된 샘플을 24℃에서 72시간 방치시켜 샘플과 플레이트를 안착시켰다.
1) 충격변형 수직 평가
높이 50mm X 길이 50mm 블록 2개를 간격 35mm로 위치한 후 상기 준비된 샘플을 강화 유리 플레이트가 아래를 향하도록 위치시켰다. 마그네슘 플레이트 hole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 지름 5mm 스테인리스 금속 막대를 위치시키고 50g의 추를 높이 150mm 에서 금속 막대 위로 낙하시켜 마그네슘 플레이트와 강화 유리 플레이트가 분리되는 횟수를 표기하였다. 플레이트 분리는 충격에 의해 내충격 방수 테이프의 변형 및 파괴에 의해 발생한다.
2) 충격변형 전단 평가
높이 50mm X 길이 50mm 블록 2개를 고정할 수 있는 지그에 위치시키고 상기 준비된 샘플을 세로로 세운 후 10mm가 블록 사이에 물리도록 하여 고정했다. 세로로 위치한 강화 유리 플레이트 상부면에 지름 5mm 스테인리스 금속 막대를 위치시키고 50g의 추를 높이 500mm에서 금속 막대 위로 낙하시켜 마그네슘 플레이트와 강화 유리 플레이트가 분리되는 횟수를 표기하였다
<실험예 4> 재작업성 및 잔사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 샘플을 가로 25mm X 세로 150mm로 자른 후 가로 70mm X 세로 200mm 강화 유리 시편에 부착하고 상온 72시간 경과 후 샘플을 제거하였다. 이때 파단 없이 깨끗이 제거되면 OK로 표기하고 파단이 발생하면 NG라고 표기하였다. 그리고 강화 유리면에 점착제가 잔류하면 잔사 존재라고 표기하였다.
<실험예 5> 방수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 샘플을 가로 48mm X 세로 48mm로 자른 후 가로 47.3mm X 세로 47.3mm 잘라내어 사각형 모양이 유지되는 형태로 살폭 0.7mm인 샘플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가로 60mm X 세로 60mm X 두께 6.5mm 마그네슘(Mg) 플레이트와 동일 크기의 폴리카보네이트(PC) 플레이트 위에 샘플을 부착시킨 후 가로 50mm X 세로 50mm X 두께 2.8mm 유리 플레이트를 부착시켰다. 준비된 샘플을 24℃에서 72시간 방치시킨 후 물 2m 채워진 수조에 넣었다. 144시간 경과 후 샘플을 수거하여 누수 유/무를 확인하였다. 누수가 없는 샘플은 Pass로 표기하였고 누수 된 샘플은 NG로 표기한다.
<표1.실험예 1 내지 5의 실험 결과>
Figure 112019108818897-pat00001
10: 기재층
20: 점착층
30: 코팅발포점착층

Claims (7)

  1. 상하 복층 구조로 적층 되고, 12 내지 25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 사이에 개재되며, 38 내지 7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점착층; 및
    상기 기재층의 외면에 형성되는 코팅발포점착층;을 포함하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 경화제 0.1 내지 2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 수지 100 중량부, 경화제 0.1 내지 2 중량부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 및 발포제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는 노르말부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5 내지 55 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2 내지 7 중량부,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1 내지 5 중량부 및 아크릴산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0 내지 9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70 중량부 및 이소포론다이이소시아네이트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12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발포점착층은 50 내지 120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아크릴수지 100 중량부, 발포제 0.5 내지 1.5 중량부, 경화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용매 9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KR1020190132917A 2019-10-24 2019-10-24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KR10227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917A KR102272392B1 (ko) 2019-10-24 2019-10-24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917A KR102272392B1 (ko) 2019-10-24 2019-10-24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793A KR20210048793A (ko) 2021-05-04
KR102272392B1 true KR102272392B1 (ko) 2021-07-02

Family

ID=7591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917A KR102272392B1 (ko) 2019-10-24 2019-10-24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808A (ko)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영우 디스플레이용 내충격 방수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808B1 (ko) * 2021-08-12 2023-05-03 주식회사 영우 내충격성이 우수한 방수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206B1 (ko) * 2013-08-12 2020-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7101A (ko) * 2015-02-05 2016-08-17 주식회사 켐코 터치스크린 패널 고정용 양면 점착테이프
CN108410376B (zh) * 2015-04-10 2022-03-18 株式会社寺冈制作所 粘接片
KR102042224B1 (ko) * 2018-04-11 2019-11-08 주식회사 영우 내충격성이 우수한 양면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808A (ko)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영우 디스플레이용 내충격 방수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793A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9162B1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158825B1 (ko) 점착 성능이 있는 충격흡수 및 실링용 시트 및 이의제조방법
KR102272392B1 (ko) 굴곡부착 성능이 개선된 내충격성 방수 테이프
KR102340884B1 (ko) 양면 접착 테이프,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및 이를 통해 조립된 물품
TWI661020B (zh) 胺甲酸乙酯系黏著劑及使用其之表面保護膜
KR102035869B1 (ko) 표면 보호 필름
US8945668B2 (en) Phenoxy resin composition for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 and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 using the same
JP6946553B2 (ja) ディスプレイ機器用耐衝撃性両面テープ
KR20150060085A (ko) 재작업성이 우수한 양면 코팅 테이프
US20170121481A1 (en) Resin foam, foam member, and device with touch screen
WO2016075753A1 (ja) 発泡樹脂基材を有する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35022B1 (ko) 내충격성과 방수성능이 우수한 양면 테이프
KR102062417B1 (ko) 점착제
CN102850951A (zh) 衬垫及使用该衬垫将两个相对面紧密密封的方法
KR102359353B1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KR101802951B1 (ko) 충격 흡수용 금속 테이프
JP2023129449A (ja) 貼り合わせ用粘着シート、多層体および多層体の製造方法
KR20210070521A (ko) 고온 점착 특성이 우수한 방수테이프
KR101397707B1 (ko) 윈도우 시트용 적층체,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72467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모바일 기기용 점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18117A (ko) 수지 조성물, 성형품 및 적층체
JP2017115077A (ja) 両面粘着フィルムの積層構造体
TW201300444A (zh) 膜、積層膜、防刮傷膜及物品
KR20140023464A (ko) 점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575080B1 (ko) 디스플레이용 내충격 방수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