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020B1 -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020B1
KR102272020B1 KR1020180098132A KR20180098132A KR102272020B1 KR 102272020 B1 KR102272020 B1 KR 102272020B1 KR 1020180098132 A KR1020180098132 A KR 1020180098132A KR 20180098132 A KR20180098132 A KR 20180098132A KR 102272020 B1 KR102272020 B1 KR 102272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ndex
information
moisture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245A (ko
Inventor
박병덕
송희강
이신희
Original Assignee
닥터레이몬드 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닥터레이몬드 랩(주) filed Critical 닥터레이몬드 랩(주)
Priority to KR102018009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0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7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using item specif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선택 플렛폼의 제공 방법은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지수(index)를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피부장벽기능 및 보습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소비자에게 없더라도, 이 지수를 근거로 하여 소비자가 자신의 피부에 맞는 화장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소비자들에 자신의 피부 특성에 따른 제품을 추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Calculation method of cosmetic characteristics index}
본 발명은 소비자가 자신의 피부 특성에 따라 화장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통 또는 출시되는 화장품의 특성 지수를 산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외부로부터의 세균 및 유해물질의 침입 방지, 방수, 체온 조절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피부 타입은 건성, 지성, 민감성, 복합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종래까지는 소비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서 구분되었다.
최근에는 여러 가지 질문에 대한 소비자의 대답을 근거로 하여 이를 바탕으로 피부 타입을 16 가지로 구분하고, 타입별로 적합한 피부관리 제품을 추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 제공 플랫폼은 소비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근거하므로, 자신의 피부상태를 다른 사람들과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없고, 추천하는 제품 역시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천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사용후기나 주관적인 선호도 등의 주관적 정보를 기초로 추천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제품의 조성, 조성비에 따른 효과 등을 기반으로 추천되므로, 소비자에게 적합한 제품의 추천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제품 자체에 대한 피부장벽지수와 보습지수에 대한 정보는 소비자에게 제대로 제공되고 있지 않으며, 피부장벽지수와 보습지수의 개선도 등의 사용 후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피부장벽지수와 보습지수에 대한 정보 및 이들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소비자 맞춤형 정보 제공 플랫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피부의 세균 및 유해물질 방지 등의 기능을 피부장벽기능이라고 하며, 경피 수분 손실량은 피부장벽기능의 수준을 알려 주는 지표로서 피부장벽지수를 의미한다. 피부장벽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즉, 경피 수분 손실량이 큰 경우, 피부를 통한 외부 알러지 유발 물질의 침투가 용이해져 다양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므로, 피부장벽기능의 강화 및 유지는 민감성 피부 보유자 및 피부 질환자에게 중요하다.
건성 피부와 민감성 피부는, 피부장벽기능의 약화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고,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에는 피부건조와 피부 민감도가 매우 큰 상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부장벽기능이 약화된 피부의 경우, 장벽기능을 회복시켜주고 보습력을 회복시켜 주는 제품이 필요하지만, 소비자로서는 제품을 사용해보고 난 후, 제품의 효과를 근거로 장벽기능과 보습기능이 우수한 제품이라는 판단을 내릴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KR10-2000-0036873A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피부상태를 진단하고, 그 처방에 따라 화장품을 제조하는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고, KR20-2015-0004262U에는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하기 이전에 자신의 피부상태에 부합하는 화장품을 선택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장품을 정해진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셀프 선택 및 사용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로는, 사용자가 화장품을 선택하기 위하여 화장품 판매 매장을 직접 방문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피부장벽지수와 보습지수에 대한 정보 및 이들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소비자 맞춤형 정보 제공 플랫폼의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KR10-2000-0036873A (2000.07.05) KR20-2015-0004262U (2015.11.30)
본 발명의 목적은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지수(index)를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피부장벽기능 및 보습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소비자에게 없더라도, 이 지수를 근거로 하여 소비자가 자신의 피부에 맞는 화장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소비자들에 자신의 피부 특성에 따른 제품을 추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선택 플랫폼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은, 유통 또는 출시된 화장품 정보를 제품정보부에 입력하는 단계(S100); 상기 화장품을 피험자의 피부에 적용한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 및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피험자 수분 측정 데이터 정보를 상기 제품정보부에 저장하는 단계(S200); 상기 수분 측정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연산하여, 상기 연산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로부터 피부장벽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습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300); 및 상기 피부장벽지수 및 상기 보습지수를 상기 해당 화장품 별로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0)는 피험자 피부 정보를 상기 제품정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 피부 정보는 건성, 지성, 복합성 및 민감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피부상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 피부 정보는 국적, 인종, 성별 및 나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인체 식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 피부 정보는 피부질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0)는 상기 화장품의 액정 상태 정보를 상기 제품정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S400)는 상기 피부장벽지수 및 상기 보습지수와 함께 상기 액정 상태 정보를 상기 해당 화장품 별로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0)는 상기 피험자 피부 정보에 대한 연관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0)에서,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는 피부 수분 증발 시 시간에 따른 경피 수분 상실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얻어지는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0)에서,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는 피부 접촉면의 전기적 변화량을 측정하여 얻어지는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수분량 측정은 수분 감지 센서 및 피부에 대한 접촉각 측정 센서가 구비한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수분량 측정은 측정 장치의 피부 접촉 기울기 또는 측정 각도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측정된 수분도를 보정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은, 이로부터 산출된 화장품 특성지수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되,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참고가 되도록 제품정보와 함께 인터넷 상에 제공하는 화장품 선택 플랫폼의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선택 플렛폼의 제공 방법은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지수(index)를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피부장벽기능 및 보습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소비자에게 없더라도, 이 지수를 근거로 하여 소비자가 자신의 피부에 맞는 화장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소비자들에 자신의 피부 특성에 따른 제품을 추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선택 플렛폼의 제공 방법은 피부장벽기능이 약화된 피부의 경우, 장벽기능이 우선적으로 뛰어난 제품을 선택하는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고, 장벽기능은 튼튼하지만 보습기능이 필요한 피부상태에서는 장벽기능은 마일드하면서 보습기능이 특별히 향상된 제품을 소비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선택 플렛폼의 제공 방법은 제품에 대한 지수 정보와 소비자의 피부상태 정보에 대한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축적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한 빅데이터의 인공지능기술을 기반으로 한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제품 추천 모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내재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피부장벽지수의 산출을 위한 경피 수분 손실량 및 보습지수의 산출을 위한 피부 수분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의 일 예 및 이를 이용하여 각 지수를 동시에 산출하는 방법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제품 별 보습지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제품 별 액정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도면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단수 형태는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사용된 %의 단위는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피부"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은, 유통 또는 출시된 화장품 정보를 제품정보부에 입력하는 단계(S100); 상기 화장품을 피험자의 피부에 적용한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 및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피험자(소비자) 수분 측정 정보를 상기 제품정보부에 저장하는 단계(S200); 상기 수분 측정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연산하여, 상기 연산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로부터 피부장벽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습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300); 및 상기 피부장벽지수 및 상기 보습지수를 상기 해당 화장품 별로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0)는 피험자(소비자) 피부 정보를 상기 제품정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상기 피험자 수분 측정 데이터 정보 또는 상기 피험자 피부 특성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각 지수를 참조할 수 있음에 따라, 소비자 자신의 피부 타입과 상기 타입에 대한 사용 전후를 쉽게 예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 자신의 피부 타입에 대한 지수를 모르더라도, 즉, 설사 기기로 자신의 피부 타입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지 않았더라도, 본인이 생각하는 피부타입에 보여지는 지표를 통해 본인 피부에 적합한 제품의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피험자 피부 정보는 인체 식별 데이터, 피부상태 데이터 및 피부질환 데이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인체 식별 데이터는 국적, 인종, 성별 및 나이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피부상태 데이터는 건성, 지성, 복합성 및 민감성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피부질환 데이터는 건선, 아토피 피부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피험자 피부 정보가 상기 피험자 수분 측정 데이터 정보와 함께 조합되어 산출될 경우, 소비자 자신의 피부 타입에 대한 지수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본인 피부에 적합한 제품의 선택이 보다 용이하고 선택의 정밀도가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0)는 상기 화장품의 액정 상태 정보를 상기 제품정보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400)는 상기 피부장벽지수 및 상기 보습지수와 함께 상기 액정 상태 정보를 상기 해당 화장품 별로 표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액정 상태 정보는 화장품의 액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편광현미경 등의 사진 정보 등의 이미지 정보 및/또는 제형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액정 형성의 양호도는 단기간의 사용효과 뿐만이 아니라, 장기사용에서의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제품 선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제품에 대한 액정 상태 이미지는 편광 현미경으로 분석할 수 있는데, 접안렌즈에서 이미지 캡쳐 방법으로 관찰하거나, 접안렌즈에 카메라를 부착하여 이미지를 컴퓨터로 전송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액정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액정의 상태가 양호한 제품의 경우, 제품 사용 후에 피부장벽지수의 회복과 보습지수도 양호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므로, 피부장벽지수와 보습지수에 대한 보조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상태 정보는 본 발명에 따라 산출되는 지수와의 연관성의 파악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소비자가 본인 피부에 적합한 제품의 선택이 보다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식별력이 보다 향상되어 빅데이터 기반의 정밀도가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품정보부는 피험자 수분 측정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며, 또는 이와 함께 피험자 피부 정보 및 화장품의 액정 상태 정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더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0)는 상기 피험자 피부 정보에 대한 연관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정보부에 저장되는 상술한 각 정보들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방식 분석 모델을 활용하여 본 발명을 통해 피부장벽지수 및 보습지수와의 관련성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는 피부 수분 증발 시 시간에 따른 경피 수분 상실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얻어지는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는 제품을 피부에 처치한 후 피부 표면에서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수분에 의한 전기적인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데이터를 수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표면의 각질층은 수분 함량이 20 내지 70%이나, 공기는 피부보다 수분 함량이 낮아 피부표면의 수분이 증발하여 공기 중으로 확산하게 되므로, 표면의 수분이 증발할 때 변화되는 습도를 측정함으로써 경피의 수분 손실량을 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는 화장품을 피부에 적용한 후 일정 시간이 흐를 때까지 측정 장치를 피부에 지속적으로 접촉시킨 후 챔버 내의 수분량을 측정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이때 측정값은 제품 도포 전 피부에 접촉하여 측정되는 챔버 내 수분량을 100으로 환산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는 피부 접촉면의 전기적 변화량을 측정하여 얻어지는 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는 제품 적용 후 일정 시간 후의 전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수득될 수 있으며, 이때 제품의 피부 적용 전 측정된 전류량을 100으로 환산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과 상기 피부 수분량의 측정은 각각 별도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하나의 기기에서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장치를 피부에 접촉시키면 피부와 장치에 구비된 오픈 챔버(110) 사이에 형성되는 폐쇄된 챔버 내에서 경피수분 손실량이 측정되고, 동ㅇ시에 피부에 접촉한 두 개의 전극(120) 사이의 전류량이 측정되어 피부 수분량이 측정된다.
상기 측정 장치는 경피수분손실 측정기(TEWA meter)와 보습기능(hydration)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라면 모두 가능하며, 고가형의 클로즈형 챔버에서 측정하는 장치이거나 저가형의 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장치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접촉식으로 측정하는 장치의 경우, 상기 수분량 측정 시 수분도 측정 장치의 피부 접촉 기울기나 측정 각도를 검출하여 기울기나 측정 각도에 따라 측정된 수분도를 보정하여 검출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피부 수분량 측정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수분센서 또는 수분 감지 센서와 피부와의 접촉 각 측정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경피 수분 손실량과 피부 수분량 측정을 동시에 하는 장치로 지파워(GPower) 사의 지피스킨배리어(GPskin barrier)와 같은 장치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과 상기 피부 수분량의 측정 시, 각 피부장벽기능과 보습기능은 그 기능 및 효과가 단기간에 나타날 수도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피부장벽지수와 보습지수를 측정할 때 제품의 특성을 감안하여 지수를 부여하는 시간대를 적절히 변경 및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을 사용할 때, 제품에서 느끼는 텍스쳐(texture)는 대체로 제품을 바르고, 수분 이내에 느껴지는 감촉이 일차적인 판단기준이 되므로, 일반적인 유화제품의 경우, 피부에 제품을 바른 후 1 분에서 40 분 이내에 측정하여 지수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바세린과 같이 피부에 수분 증발막을 형성하여 보습을 유지하는 제품 타입의 경우, 2시간 이후의 피부장벽지수와 보습지수로서 지수화하여 제품 선택의 기준에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시 시간대의 변경 및 조절에 대하여 구체적인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유화 제품의 경우(D, E), 도포 후, 2 분이 경과하면, 제품에 함유된 수분은 피부의 온도에 의해 증발되거나 흡수되어 비교적 안정적인 값을 보여주지만, 시간 경과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 즉, 그 변화량이 음의 값을 가진다. 반면 바세린과 같은 에몰리언트(F) 제품의 경우, 피부에 수분 증발 차단막을 형성하고 증발되지 못한 수분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 즉, 그 변화량이 양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시간에 따른 경피수분 손실량 또는 피부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밀히 측정하고 이를 지수화하여 활용하면, 보다 높은 수준으로 소비자에 적합한 제품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 과정에서 제품을 도포한 이후에, 단기간에 측정되는 피험자 수분 측정정보에 의한 단기간 사용 효과뿐만이 아니라, 액정 상태 정보의 조합에 의해 장기 사용에서의 효과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제품 선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수는 그 단계의 수에 있어서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3 단계 이상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5 단계, 7 단계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지수는 지표로서 1 등급, 2 등급, 3 등급의 정수형 등급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Natural, Mild, Good, Strong, Extreme 등과 같은 문자 형태, 둥근 원형, 삼각형 등의 도형을 통한 도형 형태 등으로도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수는 다양한 형태로 표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단계를 더 세분화하거나 줄이는 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은, 이로부터 산출된 화장품 특성지수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되,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참고가 되도록 제품정보와 함께 인터넷 상에 제공하는 화장품 선택 플랫폼의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품을 사용하기 전 혹은 사용하면서, 피부장벽기능과 보습 기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소비자 맞춤형 정보 제공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는 제품이 실제 장벽기능의 회복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보다 명확히 알 수 있으므로, 과학적인 제품 선택이 가능하고 실제 피부의 회복을 객관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피험자의 피부를 세정한 후 20 분이 경과된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이후에 피부장벽기능 향상용 크림 제품 A, B 및 C를 피험자의 피부에 도포한 후, 2 분 후 및 20 분 후의 피부 장벽 지표인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세정 직후 측정된 경피 수분량을 100으로 기준하여 시간에 따른 수분 손실량을 산출함으로써 경피 수분 손실량을 계산하였다. 이때 측정은 지파워(GPower)사의 지피스킨배리어(GPskin barrier) 수분 측정 장치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경피 수분 손실량은 피부를 통해서 증발되는 수분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피부장벽기능이 뛰어난 제품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측정값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때 소비자는 경피 수분의 감소가 피부장벽기능을 악화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경피 수분이 낮아지는 것을 장벽기능이 회복되는 것으로 표 1과 같이 환산하였다.
제품 구분 A B C
세정 후 수분량 기준(a) 100.00 100.00 100.00
도포 2 분 후 수분량 (b) 106.18 99.44 88.38
도포 2 분 후 수분량 환산값 (100+(a-b)) 93.82 100.56 111.62
도포 2 분 후 장벽기능 회복 -6.18 0.56 11.62
도포 20 분 후(c) 75.84 84.18 67.17
도포 20 분 후 수분량 환산값 (100+(a-c)) 124.16 115.82 132.83
도포 20 분 후 장벽기능 회복 24.16 28.31 13.38
피부장벽지수의 산출
상기 표 1의 경피 수분 손실량을 바탕으로 하기 표 2에 피부장벽지수를 각 구간별로 나타내었다.
장벽지수 Natural Mild Good Strong Extreme
장벽기능 회복 부여 기준 <5% 6%~10% 11%~20% 20~29% >30%
상기 표 2를 기준으로,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A, B 및 C 제품의 도포 20 분 후 피부장벽지수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제품 A B C
20 분 후 장벽기능 회복 24.16 15.82 32.83
부여된 장벽지수 Strong Good Extreme
피부 수분량 측정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피험자의 피부를 세정한 후 20 분이 경과된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이후에 보습기능이 향상된 크림 제품 A, B 및 C를 피부에 도포한 후, 2 분 후 및 20 분 후에 보습지표인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은 지파워(GPower)사의 지피스킨배리어(GPskin barrier) 수분 측정 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피부 수분량은 세정 직후 피부 수분량을 100으로 기준하여 환산 및 산출하였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제품 A B C
세정 후 피부 수분량 100.00 100.00 100.00
도포 2 분 후 피부 수분량 331.59 268.78 228.23
도포 20 분 후 피부 수분량 319.15 246.24 207.18
보습지수 산출
상기 표 4의 피부 수분량을 기준으로 5 단계의 보습지수를 하기 표 5에 도시하였다.
구분 1 2 3 4 5
보습지수 Oint style Moisturizing Mild
Moisturizing
Good
Moisturizing
Strong
Moisturizing
Extreme
Moisturizing
보습지수 부여 기준 <100% 100 ~ 199% 200 ~ 249% 250 ~ 299% >300%
상기 표 4를 기준으로, 상기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A, B 및 C 제품의 도포 20 분 후 보습지수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제품 A B C
도포 20 분 후 수분량 319.15 246.24 207.18
부여된 수분지표 5 3 3
실시예 1의 각 제품에 대한 액정 상태 이미지를 편광 현미경으로 접안 렌즈에서 이미지 캡쳐의 방법으로 관찰하거나, 접안렌즈에 카메라를 부착하여 이미지를 컴퓨터로 이송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얻었다. 도 5는 제품 별 액정 상태의 예로서 피부장벽지수와 보습지수 함께 액정 상태 정보를 도시한 것이다.
100 : 측정 장치, 110 : 오픈 챔버,
111 : 오픈 챔버 내부 공간, 120 : 양측 전극,
200 : 피부층

Claims (12)

  1. 유통 또는 출시된 화장품 정보를 제품정보부에 입력하는 단계(S100);
    상기 화장품을 피험자의 피부에 적용한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 및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피험자 수분 측정 데이터 정보, 상기 화장품의 액정 상태 정보 및 피험자 피부 정보를 상기 제품정보부에 저장하는 단계(S200);
    상기 수분 측정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연산하여, 상기 연산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로부터 피부장벽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로부터 보습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정보들을 바탕으로 상기 피험자 피부 정보에 대한 연관지수를 산출하는 단계(S300); 및
    상기 피부장벽지수, 상기 보습지수, 상기 연관지수 및 상기 액정 상태 정보를 상기 해당 화장품 별로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며,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데이터는 피부 수분 증발 시 시간에 따른 경피 수분 상실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얻어지는 값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 피부 정보는 건성, 지성, 복합성 및 민감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피부상태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 피부 정보는 국적, 인종, 성별 및 나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인체 식별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 피부 정보는 피부질환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0)에서, 피부 수분량 측정 데이터는 피부 접촉면의 전기적 변화량을 측정하여 얻어지는 값인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수분량 측정은 수분 감지 센서 및 피부에 대한 접촉각 측정 센서가 구비한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수분량 측정은 측정 장치의 피부 접촉 기울기 또는 측정 각도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측정된 수분도를 보정하여 측정되는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12.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에 따라 산출된 화장품 특성지수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되, 소비자가 제품 구매 시 참고가 되도록 제품정보와 함께 인터넷 상에 제공하는 화장품 선택 플랫폼의 제공 방법.
KR1020180098132A 2018-08-22 2018-08-22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KR102272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132A KR102272020B1 (ko) 2018-08-22 2018-08-22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132A KR102272020B1 (ko) 2018-08-22 2018-08-22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45A KR20200022245A (ko) 2020-03-03
KR102272020B1 true KR102272020B1 (ko) 2021-07-02

Family

ID=69938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132A KR102272020B1 (ko) 2018-08-22 2018-08-22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0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472A (ja) * 2004-04-20 2005-11-04 Kanebo Cosmetics Inc 皮膚状態評価方法およびその評価にもとづく化粧品推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873A (ko) 2000-03-30 2000-07-05 윤호길 인터넷을 이용 피부상태를 진단하고 그 처방에따라화장품을 제조하는 시스템.
KR20150004262U (ko) 2014-05-19 2015-11-30 김동혁 피부 상태에 부합하는 화장품 셀프 선택 및 사용 장치
KR20170014536A (ko) * 2015-07-30 2017-02-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성질 맞춤형 보습력 측정방법
KR101894932B1 (ko) * 2016-07-18 2018-09-05 주식회사 지파워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WO2018088584A1 (ko) * 2016-11-10 2018-05-17 주식회사 웨이웨어러블 개인화된 화장품 추천방법 및 추천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8472A (ja) * 2004-04-20 2005-11-04 Kanebo Cosmetics Inc 皮膚状態評価方法およびその評価にもとづく化粧品推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45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llie et al. Evaluation of skull cortical thickness changes with age and sex from computed tomography scans
De Paepe et al. Validation of the VapoMeter, a closed unventilated chamber system to assess transepidermal water loss vs. the open chamber Tewameter®
Moran et al. An environmental stress index (ESI) as a substitute for the wet bulb globe temperature (WBGT)
Chastin et al. Comparison of self-reported measure of sitting time (IPAQ) with objective measurement (activPAL)
Fayers et al. Should linking replace regression when mapping from profile-based measures to preference-based measures?
US20030099383A1 (en) Method of enabling an analysis of an external body portion
Yum et al. Fingerprint ridges allow primates to regulate grip
Tsugita et al. Positional differences and aging changes in Japanese woman epidermal thickness and corneous thickness determined by 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US20050197542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a physical condition, in particular the apparent age, of at least one region of the body or the face of an individual
KR102123101B1 (ko) 피부 타입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에 따른 통합서비스 제공시스템
Steiner et al. Side‐by‐side comparison of an open‐chamber (TM 300) and a closed‐chamber (Vapometer™) transepidermal water loss meter
Kottner et al. Do repeated skin barrier measurements influence each other's results? An explorative study
O'goshi et al. Inter‐instrumental variation of skin capacitance measured with the Corneometer®
KR100434777B1 (ko) 인터넷을 통한 피부관리 원격진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Zhang et al. Near infrared imaging for measuring and visualizing skin hydration. A comparison with visual assessment and electrical methods
Falcone et al. Microspectroscopic confocal Raman and macroscopic biophysical measurements in the in vivo assessment of the skin barrier: perspective for dermatology and cosmetic sciences
WO201816674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mitteln eines hautfeuchtigkeitsgehalts
Lee et al. Different cosmetic habits can affect the biophysical profile of facial skin: a study of korean and chinese women
Samadi et al. Stratum corneum hydration in healthy adult humans according to the skin area, age and sex: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R102272020B1 (ko)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Leshem et al. The effects of common over-the-counter moisturizers on skin barrier function: a randomized, observer-blind, within-patient, controlled study
Sand et al. Evaluation of the epidermal refractive index measur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chnetz et al. Intra‐and inter‐individual variations in transepidermal water loss on the face: facial locations for bioengineering studies
Ezerskaia et al. Potential of short-wave infrared spectroscopy for quantitative depth profiling of stratum corneum lipids and water in dermatology
Choi et al. A new technique for evaluating heel xerosis grade and the effects of moisturizer on heel skin dry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