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932B1 -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932B1
KR101894932B1 KR1020160090756A KR20160090756A KR101894932B1 KR 101894932 B1 KR101894932 B1 KR 101894932B1 KR 1020160090756 A KR1020160090756 A KR 1020160090756A KR 20160090756 A KR20160090756 A KR 20160090756A KR 101894932 B1 KR101894932 B1 KR 10189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ss
skin
measurement
amount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426A (ko
Inventor
한창희
이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파워
Priority to KR102016009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932B1/ko
Priority to PCT/KR2017/007684 priority patent/WO2018016835A1/ko
Publication of KR2018000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1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Humidity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rmat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는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에 접촉되는 일 측면은 오픈되고 타 측면은 클로우즈된 원통형의 클로우즈 챔버, 클로우즈 챔버의 피부 접촉면에 구비되어 피부 접촉시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는 피부 수분도 측정부, 클로우즈 챔버 내부의 수분도 및 수분도 변화량을 검출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함과 아울러 피부 수분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피부 수분도에 따라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보정 출력하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를 구비하고, 수분 손실량 측정시의 기울기에 따라 측정된 검출 값을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피부 표면의 수분량에 따른 측정 오차 발생을 방지하고, 다양한 기울기나 각도에서도 측정 결과에 대한 정확성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SKIN CONTACT TYPE CARE APPARATUS USING MEASURING SKIN MOISTURE FUNCTION AND MEASURING TRANSEPIDERMAL WATER LOSS FUNCTION}
본 발명은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시 피부 각질층의 수분 상태를 동시에 측정하고 피부 각질층의 수분 상태 정보와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 정보를 획득 함으로써, 그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외부로부터의 세균 및 유해물질 침입 방지, 방수, 체온 조절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피부 장벽 기능이라고 하며, 경피 수분 손실량은 피부 장벽 기능의 수준을 알려 주는 지표이다.
피부 장벽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즉 경피 수분 손실량이 큰 경우 피부를 통한 외부 알러지 유발 물질의 침투가 용이해져 아토피 증상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일으키므로 피부 장벽 기능의 강화 및 유지는 피부 질환자에게 특히 중요하다. 또한 경피 수분 손실량이 높게 측정되는 신생아는 아토피 유병률이 높으며, 적절한 보습 관리를 함으로써 유병률을 절반으로 낮출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표면의 각질층은 수분 함량이 약 20 ~ 70%이다. 그러나 공기는 피부보다 수분 함량이 낮아 피부표면의 수분이 증발하여 공기중으로 확산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피부 상에 오픈형 또는 클로우즈형의 챔버를 위치시킨 후, 피부 표면의 수분이 증발할 때 변화되는 습도를 챔버 내에서 측정하여 경피의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일정 부위의 피부를 덮도록 오픈형 또는 클로우즈 챔버를 위치시키면 챔버 내에서 피부 수분이 증발하여 공기중에서 확산되는바, 이때 챔버 내에서 증가되는 습도의 증가 속도를 측정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검출하게 된다.
하지만,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방법들은 피부 각질층의 수분 상태에 따라 매우 많은 영향을 받게된다. 예를 들어, 땀이 나는 경우나 보습제를 바른 후에는 실제 피부 장벽을 통해 증발하는 수분의 양보다 피부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한 수분 증발량이 많아서 피부 장벽의 특성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임상실험 기관에서는 이 때문에 엄격히 온습도(22C, 40~60%)에서 피험자를 대기시켜 피험자의 피부를 적응시킨다. 이렇게 피험자의 피부를 주변 환경에 알맞게 미리 적응시켜두지 않고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게 되면 수분 증발량이 안정화 되지 못해 그 오류는 커질 수밖에 없었다.
특히, 땀이 나는 경우나 물이 존재하는 경우는 수분도가 증가한 원인을 미리 확실하게 특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피부 각질층의 수분 존재 여부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만일, 피부의 수분 존재 여부와 그 수분 정도를 미리 파악하지 못하면 그 측정 결과에 대한 오차율이 높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등 그 신뢰도가 저하될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5142호(2015.12.02, 공보)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시 피부 각질층의 수분 상태를 동시에 측정하여 피부 각질층의 수분 상태 정보와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에 대한 정보를 모두 감안하여 피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는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에 접촉되는 일 측면은 오픈되고 타 측면은 클로우즈된 원통형의 클로우즈 챔버, 클로우즈 챔버의 피부 접촉면에 구비되어 피부 접촉시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는 피부 수분도 측정부, 클로우즈 챔버 내부의 수분도 및 수분도 변화량을 검출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함과 아울러 피부 수분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피부 수분도에 따라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보정 출력하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로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시 피부 각질층의 수분 상태를 동시에 측정하고 피부 각질층의 수분 상태 정보와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피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감지된 수분도에 따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치를 보정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감지된 수분도 및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에 따라 피부 상태를 확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피부 각질을 벗겨내면서 측정한 피부 수분도와 경피 수분 손실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각질 박피 시험에 따른 경피 수분 손실량 변화 경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장치(100)는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에 접촉되는 일 측면은 오픈되고 타 측면은 클로우즈된 원통형의 클로우즈 챔버 형태로 구성되어, 오픈된 일 측면에 접속된 피부 표면에서 증발하는 수분량과 습도를 타 측의 클로우즈된 면에서 검출 및 분석함으로써 경피의 수분 손실량을 측정한다. 이때,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장치(100)는
피부 표면에서 증발하는 수분량과 습도를 검출함과 동시에 피부 각질층의 수분도를 검출한 후, 검출된 피부 수분도에 따라 측정되는 경피 수분 손실량 값을 보정하여 출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피부 표면을 이루는 각질층의 수분 함량은 약 20 ~ 70% 정도이지만, 공기는 피부보다 수분 함량이 낮기 때문에 피부 표면의 수분은 공기 중에 증발하여 확산하게 된다. 이에,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일부를 클로우즈 챔버형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장치(100)의 오픈 면으로 덮으면, 덮혀있는 내부에서 피부 수분이 증발하여 공기중에서 확산된다. 이때 챔버 내에서 증가되는 습도의 증가 속도를 측정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검출하게 된다.
경피 수분 손실량은 피부 표면의 수분에 따라 매우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땀이 나는 경우나 보습제를 바른 후에는 실제 피부 장벽을 통해 수분이 증발하는 양보다 피부표면에 존재하는 수분에 의해 수분의 증발량이 많아서 피부 장벽 특성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여느 임상 실험기관에서는 땀이 나지 않도록 특정 기온과 습도의 환경에서 측정자를 안정시킨 후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기도 한다.
피부 각질층에 존재하는 수분량에 따른 오차 발생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피부 표면에서 증발하는 수분량과 습도를 검출함과 동시에 피부 각질층의 수분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피부 수분도에 따라 측정되는 경피 수분 손실량 값을 보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오차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오차율을 줄여서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은 데이터화 되어 근거리/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송되며, 사용자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기기로 데이터화된 경피 수분 손실량 정보를 공유하고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화된 경피 수분 손실량 정보는 관리 서버를 통해 관리 및 공유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경피 수분 손실량 정보에 따른 관리 방법과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기기로 제공받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장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장치(100)는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에 접촉되는 일 측면은 오픈되고 타 측면은 클로우즈된 원통형의 클로우즈 챔버(120), 클로우즈 챔버(120)의 피부 접촉면에 구비되어 피부 접촉시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는 피부 수분도 측정부(130), 클로우즈 챔버(120) 내부의 수분도 및 수분도 변화량을 검출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함과 아울러 상기 피부 수분도 측정부(130)에서 검출된 피부 수분도에 따라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보정 출력하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110)는 원통형의 클로우즈 챔버(120)의 타 측 클로우즈된 면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분량 측정부(110)는 클로우즈 챔버(120)의 내부에 구성되거나, 클로우즈 챔버(120)의 타 측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110)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시 클로우즈 챔버(120) 내부의 수분도 및 수분도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 및 분석하고, 수분도 검출시의 피부 수분도 측정부(130)에서 검출된 피부 수분도에 따라 분석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자체 보정한 다음 보정된 손실량을 데이터화해서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와 아울러,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110)는 자체 보정되어 데이터화된 경피 수분 손실량 정보를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에 전송하여 데이터화된 경피 수분 손실량 정보가 공유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분량 측정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110)는 수분 손실량 검출부(114), 측정 각도 검출부(113), 보정 제어부(112), 표시부(111), 통신부(11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분 손실량 검출부(114)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시 클로우즈 챔버(120) 내부의 수분도 및 수분도 변화량을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검출하고, 검출된 수분도 변화량을 분석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수분 손실량 검출부(114)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나 수분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시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클로우즈 챔버(120) 내부의 수분도를 검출하는 수분량 센싱부(116), 및 수분량 센싱부(116)에서 검출되는 수분도를 실시간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수분도 및 수분도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검출한 다음 데이터화 하는 손실량 분석부(1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110)에는 측정 각도 검출부(113)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때, 측정 각도 검출부(113)는 자체 기울기나 측정 각도 검출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또는 물방울 센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측정 각도 검출부(113)는 수분도를 검출하는 동안에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클로우즈 챔버(120)의 기울기나 측정 각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측정 각도 정보를 실시간 보정 제어부(112)로 공급한다.
측정 각도 검출부(113)는 클로우즈 챔버(120)와 중력방향의 차이를 인식하여 측정각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 각도 검출부(113)의 측정 각도는 측정시작 각도, 측정 중 각도, 측정 완료 각도, 측정 중 모든 각도, 평균각도 등이 될 수 있다.
보정 제어부(112)는 수분 손실량 검출부(114)에서 검출된 경피 수분 손실량 데이터를 수분도 측정부(130)에서 검출된 피부 수분도에 따라 수치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상기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1차 보정 출력한다. 수분도 측정부(130)에서 검출된 피부 수분도는 피부 임피던스 값이 될 수 있는바, 이에 보정 제어부(112)는 검출된 경피 수분 손실량 데이터에 상기 측정된 피부 임피던스 값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부여하거나 가감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의 수치적인 데이터를 1차적으로 보정하게 된다. 여기서 보정 제어부(112)에서 수치적으로 1차 보정 및 데이터화된 경피 수분 손실량 정보는 표시부(111) 및 통신부(118)와 공유되도록 한다.
이후, 보정 제어부(112)는 측정 각도 검출부(113)에서 검출된 측정 각도 정보에 따라 1차적으로 보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수치적으로 2차 보정함으로써, 2차로 보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출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측정 각도 검출부(113)에서 검출된 측정 각도 정보가 측정시작 각도, 측정 중 각도, 측정 완료 각도, 측정 중 모든 각도, 측정기간 동안의 평균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도 정보가 될 수 있는바, 이에 보정 제어부(112)는 1차적으로 보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 데이터에 측정시작 각도, 측정 중 각도, 측정 완료 각도, 측정 중 모든 각도, 측정기간 동안의 평균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부여하거나 가감하여 2차적으로 경피 수분 손실량의 수치적인 데이터를 보정하게 된다. 여기서 보정 제어부(112)에서 수치적으로 2차 보정 및 데이터화된 경피 수분 손실량 정보는 표시부(111) 및 통신부(118)와 공유되도록 한다.
표시부(111)는 세그먼트 LED. 디스플레이 패널,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보정 제어부(112)에서 보정 및 데이터화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수치적으로 외부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1)는 보정 제어부(112)의 동작 상태나 통신부(118)의 통신 상태 및 전원 상태 등을 더 표시하기도 한다.
통신부(118)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등의 보정 제어부(112)에서 데이터화된 경피 수분 손실량 정보를 무선 통신방식으로 외부에 전송하여 데이터화된 경피 수분 손실량 정보가 공유되도록 한다.
도 4는 감지된 수분도에 따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치를 보정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110)에서는 클로우즈 챔버(120) 내부의 수분도 및 수분도 변화량을 검출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고, 피부 수분도 측정부(130)는 피부 각질층의 임피던스 값을 검출하여 피부 수분도를 측정한다. 이후, 검출된 경피 수분 손실량과 피부 임피던스 값이 미리 설정된 안정화 기준 값보다 높거나 낮은지 비교한다. 만일 검출된 경피 수분 손실량과 피부 임피던스 값이 안정화 기준 값에 미치지 못한 경우에는 재측정을 의뢰하여 측정 부위를 관찰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피부 임피던스 측정값이 일정 이하의 캐패시턴스 및 일정 이상의 레지스턴스로 판단되면, 경피 수분 손실량을 정상값으로 인정하고, 만약 일정 이상의 캐패시턴스나 일정 이하의 레지스턴스 값이 측정되면 경피 수분 손실량을 무시하고 일정시간 지난 후 피부를 충분히 말린 다음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게 하면 제대로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반면, 경피 수분 손실량과 피부 임피던스 값이 안정화 기준 값에 미치는 경우에는 피부 임피던스 값을 피부 수분도로 환산한다. 이때, 보정 제어부(112)에서는 수분 손실량 검출부(114)에서 검출된 경피 수분 손실량 데이터를 검출된 피부 수분도에 따라 수치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1차 보정 출력한다. 즉, 보정 제어부(112)는 검출된 경피 수분 손실량 데이터에 측정된 피부 임피던스 값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부여하거나 가감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의 수치적인 데이터를 1차적으로 보정하게 된다. 수치적으로 1차 보정 및 데이터화된 경피 수분 손실량 정보는 표시부(111) 및 통신부(118)와 공유되도록 한다.
도 5는 감지된 피부 수분도 및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에 따라 피부 상태를 확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피부 수분도 및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정상 측정된 상태에서 피부 수분도와 경피 수분 손실량이 모두 낮은 경우는 피부가 건조하나 건강한 장벽을 가진 피부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피부 장벽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수분도 및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정상 측정된 상태에서 피부 수분도는 낮고,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이 높으면 건조하고 건강하지 못한 피부이며, 피부가 가장 안좋은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5에 따라 피부의 상태를 파악하고 상태를 확정 지을 수 있다.
도 6은 피부 각질을 벗겨내면서 측정한 피부 수분도와 경피 수분 손실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7은 각질 박피 시험에 따른 경피 수분 손실량 변화 경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수분도 경향을 볼 때 피부를 많이 벗겨냄에 따라, 피부수분도는 일정 두께까지 유지되다가 일정 두께에서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 경우 피부 각질층에 물이 존재하면 피부의 캐패시턴스는 증가하고 레지스턴스 값은 감소하므로 피부 임피던스 값이 그에 대응하도록 가변될 수 있다. 이에,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중에 캐패시턴스와 레지스턴스 값을 같이 측정하면 땀의 발생, 물의 존재에 의한 경피 수분 손실량 증가를 예측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에 따른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로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시 피부 각질층의 수분 상태를 동시에 측정하고 피부 표면의 수분 상태 정보와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에 대한 정보를 모두 감안하여 피부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에 접촉되는 일 측면은 오픈되고 타 측면은 클로우즈된 원통형의 클로우즈 챔버;
    상기 클로우즈 챔버의 상기 일 측면의 오픈된 부분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오픈된 부분에 피부가 맞닿게 되면 피부와 접촉하여 피부 표면의 임피던스 값을 검출하여 피부 표면을 형성하는 피부 각질층의 수분도를 측정하는 피부 수분도 측정부;
    상기 클로우즈 챔버 내부의 수분도 및 수분도 변화량을 검출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고, 상기 피부 수분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피부 수분도에 따라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출력하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
    를 포함하는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시 상기 클로우즈 챔버 내부의 수분도 및 수분도 변화량을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검출하고, 검출된 수분도 변화량을 분석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는 수분 손실량 검출부; 및
    상기 수분 손실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경피 수분 손실량 데이터를 상기 피부 수분도 측정부에서 검출된 피부 수분도에 따라 수치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상기 측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을 1차 보정 출력하는 보정 제어부;
    를 포함하는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는
    피부 수분도를 검출하는 동안에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상기 클로우즈 챔버의 기울기나 측정 각도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측정 각도 정보를 실시간 보정 제어부로 공급하는 측정 각도 검출부가 더 구비된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경피 수분 손실량 데이터에 측정된 피부 임피던스 값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부여하거나 가감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의 수치적인 데이터를 1차 보정하고, 수치적으로 1차 보정 및 데이터화된 경피 수분 손실량 정보는 표시부 및 통신부와 공유하는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제어부는
    상기 1차 보정된 경피 수분 손실량 데이터에 측정시작 각도, 측정 중 각도, 측정 완료 각도, 측정 중 모든 각도, 측정기간 동안의 평균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부여하거나 가감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의 수치적인 데이터를 2차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손실량 검출부는
    적어도 하나의 습도 센서나 수분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시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클로우즈 챔버 내부의 수분도를 검출하는 수분량 센싱부; 및
    상기 수분량 센싱부에서 검출되는 수분도를 실시간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수분도 및 수분도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검출하여 데이터화 하는 손실량 분석부;
    를 포함하는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부는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시 상기 클로우즈 챔버의 측정시작 각도, 측정 중 각도, 측정 완료 각도, 측정 중 모든 각도, 측정기간 동안의 평균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도 정보 검출하며,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에 대한 데이터에 측정시작 각도, 측정 중 각도, 측정 완료 각도, 측정 중 모든 각도, 측정기간 동안의 평균 각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도 정보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부여하거나 가감하여 상기 경피 수분 손실량의 수치적인 데이터를 보정하는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KR1020160090756A 2016-07-18 2016-07-18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KR10189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56A KR101894932B1 (ko) 2016-07-18 2016-07-18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PCT/KR2017/007684 WO2018016835A1 (ko) 2016-07-18 2017-07-18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56A KR101894932B1 (ko) 2016-07-18 2016-07-18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426A KR20180009426A (ko) 2018-01-29
KR101894932B1 true KR101894932B1 (ko) 2018-09-05

Family

ID=6099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756A KR101894932B1 (ko) 2016-07-18 2016-07-18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4932B1 (ko)
WO (1) WO20180168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020B1 (ko) * 2018-08-22 2021-07-02 닥터레이몬드 랩(주) 화장품 특성 지수의 산출 방법
KR102204194B1 (ko) * 2018-10-08 2021-01-1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휴대형 피부분석 장치 및 피부 분석 방법
KR20210126191A (ko) * 2020-04-09 2021-10-20 송민구 영상 인공지능 기반 피부 손실도 및 수분도 추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647A (ja) * 2002-05-28 2003-12-02 Naoyuki Minorikawa 水分蒸散量測定装置
JP2015029881A (ja) * 2013-08-07 2015-02-16 株式会社バイオエコーネット 赤外線体温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5767A (ja) * 1995-04-14 1996-11-01 Chino Corp 水分計
JP3600959B2 (ja) * 2002-09-18 2004-12-15 坂口 正雄 皮下水分・皮膚蒸散水分同時計測器
KR20150105574A (ko) * 2014-03-07 2015-09-17 주식회사 하루소프트 휴대용 피부측정기를 이용한 피부 관리 시스템
US9907506B2 (en) 2014-05-22 2018-03-06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ing skin mois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647A (ja) * 2002-05-28 2003-12-02 Naoyuki Minorikawa 水分蒸散量測定装置
JP2015029881A (ja) * 2013-08-07 2015-02-16 株式会社バイオエコーネット 赤外線体温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6835A1 (ko) 2018-01-25
KR20180009426A (ko) 201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932B1 (ko) 피부의 수분 감지 기능과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 기능을 이용한 피부 접촉형 관리장치
Imhof et al. Closed‐chamber transepidermal water loss measurement: microclimate, calibration and performance
WO2004062484A3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respiratory disturbances
CA2879841C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sed and dried sensors
EP4324399A3 (en) Advanced analyte sensor calibration and error detection
US20120253691A1 (en) Testing a humidity sensor
DE602005024166D1 (de) Gerät zur bestimmung von oversensing in einem medizinprodukt
Jacquemin et al. The addition of idarucizumab to plasma samples containing dabigatran allows the use of routine coagulation assays for the diagnosis of hemostasis disorders
CN108369206A (zh) 具有快速恢复的传感器询问
CN102133085A (zh) 人体出汗数字化检测仪
US20210076991A1 (en) In-situ sweat rate monitoring for normalization of sweat analyte concentrations
Cohen et al. Comparison of closed chamber and open chamber evaporimetry
KR101863185B1 (ko) 기울기 보정 가능한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시스템
WO201606657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diffusion
Benjamin Sweating response to local heat application
KR102082772B1 (ko) 보정 기능을 포함하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장치
Dai et al. Noninvasive electrical impedance sensor for in vivo tissue discrimination at radio frequencies
KR102241449B1 (ko) 경피 수분 손실도 측정장치
JP5010537B2 (ja) 飲酒検出装置
RU2011130250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результата спинальной анестезии
US20190167184A1 (en) Device for measuring transepidermal water loss and skin care system using same
US20190064047A1 (en)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evaluating method, and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evaluating device
CA3021364C (en) Medical analyte tes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0605759B2 (en) Verifying operation of a meter
KR101894931B1 (ko) 써큘레이팅 기능을 갖는 경피 수분 손실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