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950B1 - 태양광 추적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추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950B1
KR102271950B1 KR1020200120761A KR20200120761A KR102271950B1 KR 102271950 B1 KR102271950 B1 KR 102271950B1 KR 1020200120761 A KR1020200120761 A KR 1020200120761A KR 20200120761 A KR20200120761 A KR 20200120761A KR 102271950 B1 KR102271950 B1 KR 102271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guide
bent
sola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담
Priority to KR1020200120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추적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태양광 추적장치는, 태양광 발전을 위해 태양전지가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광 추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하부 중심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를 360°회전시키며, 상기 태양전지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태양전지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태양전지 하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회전부 외측을 감싸도록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상단의 원형 테두리는 일측은 상부로 완만한 곡면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타측은 일측에 비해 낮게 하측으로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되는 원형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일단은 상기 태양전지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가 회전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추적장치{APPARATUS FOR SOLAR TRACKING}
본 발명은 태양광 추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태양의 방위와 고도 변화에 대응하여 최적의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추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은 태양전지(Solar Cell)를 이용하여 태양의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태양광 발전은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태양광을 무제한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환경문제와 화석연료 고갈로 인한 에너지부족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통상적인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가 집적된 형태의 태양전지패널, 태양전지패널에서 생성된 전기를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 및 직류전기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패널의 고정여부에 따라 고정형과 태양추적형으로 구분된다.
고정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패널이 일조량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각도로 고정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단순한 구조로 내구성이 좋고,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태양광의 입사각에 따른 발전량의 편차가 심하여 평균 발전효율이 좋지 않다는 큰 단점을 갖고 있다.
태양추적형 태양광 발전장치는 일출에서 일몰까지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태양의 방위를 추적하도록 태양전지패널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고정형 태양광 발전장치에 비해 발전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종래에는 태양광 발전 장치에서 태양 광선을 태양 전지판에 최적 각도로 입사시키기 위한 '태양광 추적 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04500)'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태양광 추적 장치는 가이드 부재에 비선형 형태의 일정한 괘적을 가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가이드홈을 따라 링크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태양 전지판의 각도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태양광 추적 장치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태양 전지판이 예를 들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한쪽 방향에 대해서만 각도가 조절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즉, 태양의 정확한 위치를 향해 최적의 입사각도를 가지지 못하고 제한적으로 각도 조절이 됨에 따라 태양광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0450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25649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의 방위와 고도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전지의 설치 각도 및 방향을 세밀하게 제어하여 최적의 태양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추적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는, 태양광 발전을 위해 태양전지가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광 추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하부 중심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를 360°회전시키며, 상기 태양전지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태양전지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태양전지 하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회전부 외측을 감싸도록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상단의 원형 테두리는 일측은 상부로 완만한 곡면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타측은 일측에 비해 낮게 하측으로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되는 원형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일단은 상기 태양전지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가 회전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가이드부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축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봉; 및 상기 태양전지 하부와 상기 회전봉 단부를 결합시키되, 상기 태양전지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봉에는, 상기 가이드부 내부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에 의한 회전 동작 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회전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회전봉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링부재; 및 일단은 상기 링부재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부재는, 내측은 상기 회전봉 외주면에 고정되되, 외측은 내측과 분리되어 별도로 회전가능한 베어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링부재는, 상기 회전봉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바는, 일단은 상기 링부재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 내주면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지지롤러가 안착되어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단의 원형 테두리는 일측은 상부로 완만한 곡면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측 절곡부와, 타측은 일측의 상기 상측 절곡부에 비해 낮게 하측으로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된 하측 절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 절곡부와 상기 하측 절곡부의 곡면부분에는 절곡된 곡면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해 절곡된 곡면 외부로 인출되거나 절곡된 곡면 내부로 인입되는 가변곡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측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상부는 하부와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상부를 회전시켜 특정 주기에 따라 가변되는 태양의 방위와 고도 변화에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와 하부는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되, 상기 상부는 기설정된 일정 간격만큼씩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부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의 회전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는, 상기 태양전지 하측에 고정되는 봉 형태의 롤러봉; 및
상기 롤러봉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봉은 일측과 타측이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태양전지 하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롤러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하측으로 낮게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된 부분 중 기설정된 위치에는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하측으로 낮게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된 부분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는, 태양전지가 설치 상태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고, 좌우 방향을 향해 각도 조절이 될 수 있어, 태양전지의 설치 각도 및 방향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태양의 방위와 고도 변화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태양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음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 분해 사시도.
도 2는 회전지지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태양광 추적장치에 있어 베어링 구조의 링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지지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태양광 추적장치에 있어 지지롤러가 구비된 회전지지부의 단면도.
도 5는 가변곡면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 분해 사시도.
도 6은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 분해 사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태양의 방위와 고도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전지의 설치 각도 및 방향을 세밀하게 제어하여 최적의 태양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추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10)는 크게 회전부(100), 가이드부(200) 및 롤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광 추적장치(10)는 태양광 발전을 위해 태양전지(1)가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미도시) 중 하나의 구성으로서 태양전지(1) 복수 개가 모듈화 구성으로 구성된 경우 소정 단위마다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먼저, 상기 회전부(100)는 상기 태양전지(1) 하부 중심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1)를 360°회전시키며, 상기 태양전지(1)가 좌·우 방향으로도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태양전지(1)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태양전지(1)가 태양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 회전하거나 좌·우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부(100)는 기본적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0), 후술하는 가이드부(200)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모터(110)의 모터축(111)에 축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1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봉(120) 및 상기 태양전지(1) 하부와 상기 회전봉(120) 단부를 결합시키되, 상기 태양전지(1)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100)는 최초 상기 모터(110)의 회전력에 의해 모터축(111)과 축결합된 상기 회전봉(120)이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회전봉(120) 단부의 힌지홀(121)과 상기 태양전지(1) 하부의 힌지고정부(131)의 힌지홀(132)이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상태로 힌지(133)에 의해 회전봉(120)과 태양전지(1)가 상호간 힌지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봉(120)이 회전하고, 이때, 상기 태양전지(1)는 상기 회전봉(120)과 힌지결합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도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가이드부(200)는 상기 태양전지(1) 하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회전부(100) 외측을 감싸도록 원통형의 몸체(2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10) 상단의 원형 테두리는 일측은 상부로 완만한 곡면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타측은 일측에 비해 낮게 하측으로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되는 원형의 가이드레일(220)이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몸체(210)는 상측에 가이드레일(220)을 포함하는 상부(211)와 상기 상부(211) 하측으로 상부(211)와 분리되도록 하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측의 가이드레일(220)을 포함하는 상부(211)는 하부(212)와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고, 이를 통해, 가이드레일(220)이 형성된 상기 상부(211)를 회전시켜 특정 주기에 따라 가변되는 태양의 방위와 고도 변화에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211)와 하부(212)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211)를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절곡된 곡면은 태양의 방위와 고도 변화에 대응하여 절곡된 형상임으로, 계절 및 시기에 따라 변하는 태양의 방위와 고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211)를 회전시켜 가이드레일(220)의 설정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태양전지(1)가 회전하는 방향 및 각도를 달리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220)은 상단의 원형 테두리는 일측은 상부로 완만한 곡면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측 절곡부(221)와 타측은 일측의 상기 상측 절곡부(221)에 비해 낮게 하측으로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된 하측 절곡부(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20)은 상기 몸체(210) 상단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210)의 상단 테두리 부분이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완만한 곡면을 그리도록 절곡된 것으로서, 후술하는 가이드롤러(320)가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부분이고,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테두리 전체는 태양의 일출부터 일몰까지의 시간과 매칭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220)에 있어 상부로 완만한 곡면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측 절곡부(221) 부분은 태양전지(1)가 수평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설정되는 부분이고, 상기 상측 절곡부(221)에 비해 낮게 하측으로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된 하측 절곡부(222) 부분은 태양전지(1)가 특정 방향을 향해 경사진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는 롤러부(300)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200)의 상부(211)와 하부(212)는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되, 상기 상부(211)는 기설정된 일정 간격만큼씩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부(200)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211)의 회전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214)는 상기 상부(211)의 회전된 각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식별하기 위해 표시된 부분으로, 회전각도 및 범위를 가늠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표시정보가 상기 가이드부(200) 외주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220)은 하측으로 낮게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된 하측 절곡부(222) 부분 중 기설정된 위치에는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223)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223)는 후술하는 가이드롤러(320)가 상기 하측 절곡부(222) 위치에 도달하면 보다 용이하게 하측 절곡부(222) 위치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상기 자성체(223)에 의해 상기 가이드롤러(320)가 하측 절곡부(222)에 위치되면 자성에 의해 자성체(223) 위치까지 당겨지면서 결국 태양전지(1)가 힌지(133)를 기준으로 원활하게 회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롤러부(300)는 상기 회전부(100)에 의해 회전하는 태양전지(1)가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롤러부(300)는 일단은 상기 태양전지(1)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모터(110)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1)가 회전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3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롤러부(300)는 상기 태양전지(1) 하측에 고정되는 봉 형태의 롤러봉(310) 및 상기 롤러봉(310)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봉(310)은 일측과 타측이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태양전지(1) 하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롤러(3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회전지지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태양광 추적장치에 있어 베어링 구조의 링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지지부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태양광 추적장치에 있어 지지롤러가 구비된 회전지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봉(120)에는 상기 가이드부(200) 내부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110)에 의한 회전 동작 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회전지지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부(140)는 상기 회전봉(120)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링부재(141) 및 일단은 상기 링부재(141)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200) 내주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바(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부재(141)는 내측은 상기 회전봉(120) 외주면에 고정되되, 외측은 내측과 분리되어 별도로 회전가능한 베어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링부재(141)는 상기 회전봉(120)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지지바(142)는 회전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200)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부재(141)는 상기 회전봉(120)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바(142)는 일단은 상기 링부재(141)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200) 내주면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롤러(14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00)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지지롤러(143)가 안착되어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가변곡면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레일(220)은 상단의 원형 테두리는 일측은 상부로 완만한 곡면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측 절곡부(221)와 타측은 일측의 상기 상측 절곡부(221)에 비해 낮게 하측으로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된 하측 절곡부(222)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 절곡부(221)와 상기 하측 절곡부(222)의 곡면부분에는 절곡된 곡면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해 절곡된 곡면 외부로 인출되거나 절곡된 곡면 내부로 인입되는 가변곡면부(2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변곡면부(224)는 상기 상측 절곡부(221) 또는 상기 하측 절곡부(222)의 절곡된 일부분이 가변적으로 상부로 인출되거나 하부로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절곡된 곡면의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변곡면부(224)는 기설된 값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220)의 곡면의 형상이 가변되고 이는 태양전지(1)의 회동 각도의 정도 및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가변곡면부(224)는 곡면으로 절곡된 부분이 가이드레일(220) 일측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조로서, 내부에 승하강 가능한 실린더 등의 승하강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레일(220)에는 하측으로 낮게 완만한 곡면으로 절곡된 하측 절곡부(222) 부분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3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2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225)는 상기 가이드롤러(320)가 상기 가이드레일(220)상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하측 절곡부(222)를 통과하는 경우, 가이드레일(220)을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하측 절곡부(22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를 통해 태양전지(1)가 회동되어 경사진 상태에서 쉽게 반대측 방향으로 회동하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추적장치(10)는 태양전지(1)가 설치 상태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고, 좌우 방향을 향해 각도 조절이 될 수 있어, 태양전지(1)의 설치 각도 및 방향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태양의 방위와 고도 변화에 대응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태양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음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태양전지 10: 태양광 추적장치
100: 회전부 110: 모터
111: 모터축 120: 회전봉
121: 힌지홀 130: 힌지부
131: 힌지고정부 132: 힌지홀
133: 힌지 140: 회전지지부
141: 링부재 142: 지지바
143: 지지롤러 200: 가이드부
210: 몸체 211: 상부
212: 하부 213: 가이드홈
214: 표시부 220: 가이드레일
221: 상측 절곡부 222: 하측 절곡부
223: 자성체 224: 가변곡면부
225: 이탈방지부 300: 롤러부
310: 롤러봉 320: 가이드롤러

Claims (12)

  1. 태양광 발전을 위해 태양전지가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광 추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하부 중심에 수직되게 설치되고,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를 360°회전시키며, 상기 태양전지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태양전지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태양전지 하측으로 배치되되 상기 회전부 외측을 감싸도록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상단의 원형 테두리는 일측은 상부로 곡면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타측은 일측에 비해 낮게 하측으로 곡면 형상으로 절곡되는 원형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부; 및
    일단은 상기 태양전지 하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가 회전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하측으로 낮게 곡면 형상으로 절곡된 부분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추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가이드부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축결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봉; 및
    상기 태양전지 하부와 상기 회전봉 단부를 결합시키되, 상기 태양전지가 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추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에는,
    상기 가이드부 내부 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에 의한 회전 동작 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회전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회전봉 외주면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링부재; 및
    일단은 상기 링부재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추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내측은 상기 회전봉 외주면에 고정되되, 외측은 내측과 분리되어 별도로 회전가능한 베어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추적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상기 회전봉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바는,
    일단은 상기 링부재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부 내주면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추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지지롤러가 안착되어 안내될 수 있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추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단의 원형 테두리는 일측은 상부로 곡면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상측 절곡부와, 타측은 일측의 상기 상측 절곡부에 비해 낮게 하측으로 곡면 형상으로 절곡된 하측 절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측 절곡부와 상기 하측 절곡부의 곡면부분에는 절곡된 곡면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해 절곡된 곡면 외부로 인출되거나 절곡된 곡면 내부로 인입되는 가변곡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추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측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상부는 하부와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상부를 회전시켜 특정 주기에 따라 가변되는 태양의 방위와 고도 변화에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추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와 하부는 분리되어 회전 가능하되,
    상기 상부는 기설정된 일정 간격만큼씩 회전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부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의 회전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추적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태양전지 하측에 고정되는 봉 형태의 롤러봉; 및
    상기 롤러봉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봉은 일측과 타측이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상기 태양전지 하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롤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추적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하측으로 낮게 곡면 형상으로 절곡된 부분 중 기설정된 위치에는 자력을 가지는 자성체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추적장치.
  12. 삭제
KR1020200120761A 2020-09-18 2020-09-18 태양광 추적장치 KR102271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61A KR102271950B1 (ko) 2020-09-18 2020-09-18 태양광 추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61A KR102271950B1 (ko) 2020-09-18 2020-09-18 태양광 추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950B1 true KR102271950B1 (ko) 2021-07-05

Family

ID=7689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761A KR102271950B1 (ko) 2020-09-18 2020-09-18 태양광 추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952A (ko) 2021-07-20 2023-01-27 김도훈 태양광모듈의 각도 및 방향 조절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204B2 (ko) * 1976-11-29 1980-02-23
KR101031286B1 (ko) * 2011-03-07 2011-04-29 박기주 로보트형 태양광 추적장치
KR20140015806A (ko) * 2012-07-25 2014-02-07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55900B1 (ko) * 2012-04-10 2014-11-03 김종호 날개 각도 가변 구조를 가진 수직축 풍력 발전기
KR20150004500A (ko) 2013-07-02 2015-01-13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태양광 추적 장치
KR101516735B1 (ko) * 2013-06-25 2015-05-04 신명섭 다목적 회전구조물
KR20200025649A (ko) 2018-08-31 2020-03-10 한기식 태양광 추적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204B2 (ko) * 1976-11-29 1980-02-23
KR101031286B1 (ko) * 2011-03-07 2011-04-29 박기주 로보트형 태양광 추적장치
KR101455900B1 (ko) * 2012-04-10 2014-11-03 김종호 날개 각도 가변 구조를 가진 수직축 풍력 발전기
KR20140015806A (ko) * 2012-07-25 2014-02-07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광 발전장치
KR101516735B1 (ko) * 2013-06-25 2015-05-04 신명섭 다목적 회전구조물
KR20150004500A (ko) 2013-07-02 2015-01-13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태양광 추적 장치
KR20200025649A (ko) 2018-08-31 2020-03-10 한기식 태양광 추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952A (ko) 2021-07-20 2023-01-27 김도훈 태양광모듈의 각도 및 방향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55342B (zh) 滚动跟踪式太阳能组件
KR101780946B1 (ko)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 조립 시스템
KR101056192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JP2016163522A (ja) 角度可変形太陽光発電システム
EP3045838A1 (en) Heliostat device, solar thermal collection device, and solar concentrating photovoltaic device
KR102271950B1 (ko) 태양광 추적장치
KR20100118347A (ko) 태양광 전지판의 각도 조절장치
KR101502374B1 (ko) 태양광 어레이 각도 조절 장치
US8242424B2 (en) Single axis solar tracker
JP2016092969A (ja) 角度可変形太陽光発電システム
CN110979579B (zh) 一种用于水上漂浮式的光伏组件面板浮体
CN101662237A (zh) 追日式太阳能储能装置及其方法
KR102112354B1 (ko) 태양전지 모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발전 설비
KR102016951B1 (ko) 추적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제어방법
KR20110124824A (ko) 태양광 추적용 구동장치
KR101697292B1 (ko) 추적식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616974B1 (ko) 태양광 집광장치
KR20110009023U (ko) 태양광 발전기용 집광장치
KR100626732B1 (ko) 솔라셀시스템을 구비한 정류장 구조
KR102108220B1 (ko) 태양광 발전 설비
KR102485027B1 (ko) 하이브리드 난간 조명등
KR101984650B1 (ko) 추적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441617B1 (ko) 경사 조절이 가능한 지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307020B1 (ko) 태양광 모듈 각도 조절장치
CN109546943A (zh) 太阳能追踪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