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331B1 -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 Google Patents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331B1
KR102271331B1 KR1020190121776A KR20190121776A KR102271331B1 KR 102271331 B1 KR102271331 B1 KR 102271331B1 KR 1020190121776 A KR1020190121776 A KR 1020190121776A KR 20190121776 A KR20190121776 A KR 20190121776A KR 102271331 B1 KR102271331 B1 KR 10227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lip
outsole
mid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211A (ko
Inventor
이주용
Original Assignee
이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용 filed Critical 이주용
Priority to KR1020190121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33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7/00Machines for trimming as an intermediate op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밑창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에 있어서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미드솔과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아웃솔 사이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결합되어 있는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sole of safety shoes}
본 발명은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밑창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에 있어서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미드솔과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아웃솔 사이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결합되어 있는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화는 산업 현장에서 착용하는 신발로써 산업 현장에서의 위험요소를 감안하여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안전화의 외피는 날카로운 물체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죽으로 되어있으며 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이루어진 토우를 안전화의 선단에 내입하고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화의 바닥창 내부에 발바닥 크기의 금속판을 내입한 구조로되어 있다.
안전화의 구조에서 발바닥을 보호하기 위하여 바닥창을 이루는 미드솔 앞 또는 뒤에 설치하는 금속판은 보행에 불편이 없도록 무게가 가벼우며 굽힘과 펼침의 반복에 의한 스트레스를 잘 견딜수있는 재질을 사용하며, 안전화를 장기간 착용하게 되면 접착제로 결합한 부분이 이격되어 금속판이 바닥창의 앞부분을 뚫고 나오는 문제점이 있다.
안전화는 바닥창의 내측 미드솔 앞 또는 뒤에 하드한 재질의 보호창을 삽입하고 상기 안전화의 바닥창은 아웃솔과 미드솔 사이에 보호창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보호창은 날카로운 물체로부터 발바닥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바닥창은 보호창이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안전화를 장기간 착용 했을때 신발의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보호창의 형태가 함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 제10-2013-9067호를 살펴보면 일정 두께를 갖는 방탄섬유판에 열용해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고 이를 적절한 규격에 따라 재단하는 제1공정과; 열가소성 스펀지로 미드솔의 모형별 일정한 배율에 의한 바닥저면, 바닥앞, 바닥뒤, 측면 등 그라인다를 통해 미드솔 형성을 위한 부품을 준비하는제2공정과; 금형의 맨하부에 상기 제1공정에서 준비된 규격별 방탄섬유판을 놓고 그 상부에 제2공정에서 준비된 미드솔의 준비물을 투입하는제3공정; 및 상기 방탄섬유판과 미드솔용 스펀지 준비물이 투입되어진 금형을 가압 열냉각하여 일체형 미드솔을제조하는 제4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탄섬유판을 이용한 내답판 일체형 미드솔 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사용하면서 방탄섬유판과 미드솔이 서로 밀려나면서 접착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밑창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에 있어서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미드솔과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아웃솔 사이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결합되어 있는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갑피, 인솔, 미드솔 및 아웃솔로 구성되어 있으며, 밑창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에 있어서 방탄부재 내답판(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미드솔(20); 상기 미드솔(20)과 아웃솔(10)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방탄부재 내답판(30); 및 상기 방탄부재 내답판(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아웃솔(10);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탄부재내답판이 인서트 사출된 안전화용 밑창은 미드솔과 아웃솔이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어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서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미드솔과 아웃솔이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어 안전화를 장기간 착용 했을때 신발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의 형태가 밑창과 함께 변형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탄부재내답판이 인서트 사출된 안전화용 밑창은 미드솔의 하부면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홈에 방탄섬유로 이루어진 방탄부재내답판을 일체로 인서트 사출성형함으로써 강도가 대폭 강화되고 안전화의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방탄부재내답판의 위치가 고정되어 제품의 수명이 최대한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탄부재내답판이 발바닥과 밀착되는 아웃솔과 미드솔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미드솔과 아웃솔이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 제작되어 안전화 착용이 매우 편안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화 밑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화 밑창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화 밑창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화 밑창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화 밑창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갑피, 인솔, 미드솔 및 아웃솔로 구성되어 있으며, 밑창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에 있어서 방탄부재 내답판(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미드솔(20); 상기 미드솔(20)과 아웃솔(10)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방탄부재 내답판(30); 및 상기 방탄부재 내답판(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아웃솔(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드솔(20)은 경도 40∼60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미드솔 재질 100 중량부; 및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웃솔(30)은 부타디엔고무 40~60 중량부와 천연고무 40~6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무기재 100 중량부, 난슬립제재 및 고무첨가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무첨가제는 금속산화물 중량부 노화방지제 1~3 중량부, 계면활성제 1~3 중량부, 황 0.5~1.5 중량부, 가황촉진제 0.5~1.0 중량부 및 발포제 0.5~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난슬립제재는 폐유리나노튜브 분말 10∼30 중량부; 및 난슬립제재 분말용 분산제인 수용성 아마씨유 3∼5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드솔(20)은 하부면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22)의 내부에 방탄부재 내답판(30)이 안착된 상태로 미드솔(20)과 아웃솔(1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탄부재 내답판(30)은 방탄부재 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탄부재 내답판의 측면 가장자리에 오바로크 휘감아치기(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탄부재 내답판(30)은 방탄부재 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탄부재 내답판 삽입주머니(50)의 내부에 담겨진 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서 미드솔(20)은 하부면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22)의 내부에 방탄부재 내답판(30)이 안착된 상태로 미드솔(20)과 아웃솔(10)이 결합되어 있어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서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미드솔과 아웃솔이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어 안전화를 장기간 착용 했을때 신발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의 형태가 밑창과 함께 변형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서 방탄부재 내답판(30)은 방탄부재 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탄부재 내답판의 측면 가장자리에 오바로크 휘감아치기(40)가 형성되어 있어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서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미드솔과 아웃솔이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어 안전화를 장기간 착용 했을때 신발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의 형태가 밑창과 함께 변형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서 방탄부재 내답판(30)은 방탄부재 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탄부재 내답판 삽입주머니(50)의 내부에 담겨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서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미드솔과 아웃솔이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어 안전화를 장기간 착용 했을때 신발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의 형태가 밑창과 함께 변형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서 아웃솔(10)은 난슬립 아웃솔 고무기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타디엔고무(BR) 40~60 중량부와 천연고무 40~6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무기재 100 중량부; 폐유리나노튜브분말 및 탄소나노튜브분말 중에서 선택된 난슬립 제재 10 내지 30 중량부; 난슬립 제재분말용 분산제 3~5 중량부; 및 고무첨가제;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고무첨가제는 금속산화물 3~5 중량부, 노화방지제 1~2 중량부, 계면활성제 1~3 중량부, 황 0.5~1.5 중량부, 가황 촉진제 0.5~1.0 중량부 및 발포제 0.5~1.0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난슬립 제재분말용 분산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아크릴릭 폴리머 에멀죤(acrylic polymer emulsion), 설포네이티드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및 수용성 아마씨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으로 이루어져 있어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서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미드솔과 아웃솔이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어 안전화를 장기간 착용 했을때 신발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의 형태가 밑창과 함께 변형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미드솔(20)은 경도 40∼60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미드솔 재질 100 중량부; 및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어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서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으며, 미드솔과 아웃솔이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어 안전화를 장기간 착용 했을때 신발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미드솔과 아웃솔 사이에 결합된 방탄부재내답판의 형태가 밑창과 함께 변형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웃솔은 표면과 접촉되는 아웃솔 성형금형 표면에 나노입자 형태의 동심원 미세골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아웃솔 성형금형을 이용하여 아웃솔 고무기재를 사용하는 성형 단계에서 성형되는 아웃솔의 표면에 다수개의 동심원 형태의 미세골이 형성되는 난슬립 아웃솔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아웃솔에서 사용된 난슬립 아웃솔 성형금형은 난슬립 아웃솔 고무기재를 사용하여 성형 단계에서 성형되는 아웃솔의 표면에 동심원 형태의 미세골이 형성될 수 있도록 아웃솔의 표면과 접촉되는 아웃솔 성형금형 표면에 나노입자 형태의 동심원 미세골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아웃솔에서 사용된 난슬립 아웃솔 성형금형은 아웃솔의 표면과 접촉되는 아웃솔 성형금형 표면에 나노입자 형태의 동심원 미세골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아웃솔이 성형되는 순간 아웃솔의 표면과 접촉되는 아웃솔 성형금형 표면에 미세한 골(gully)이 유지되며, 아웃솔의 표면과 접촉되는 아웃솔 성형금형 표면 사이에 유지된 미세한 골(gully)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감에 따라서 그 빠져나가는 공기의 방향으로 난슬립 패턴의 돌기가 증가하게 되며, 이렇게 증가된 난슬립 형태의 돌기들은 동심원 형태의 미세골의 평균 폭보다 더 넓은 평균 폭을 가진 다수의 메인돌기가 접지력을 향상 시킨다.
본 발명의 아웃솔에서 사용된 동심원 형태의 미세골(gully)은 곤충이나 양서류등이 수직벽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서 곤충 다리의 미세한 털이 마찰력을 증가시켜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원리 인 것이다.
본 발명의 아웃솔에서 사용된 난슬립 아웃솔 성형금형은 나노입자 형태의 동심원 미세골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아웃솔 성형금형 표면에 접촉되는 아웃솔의 표면은 아웃솔 성형금형 표면에에 음각된 난슬립 패턴의 홈으로 진입하게 되고, 그러면, 난슬립 패턴에 의해 각각의 메인 돌기들의 표면에는 난슬립돌기들이 성형된다.
본 발명의 아웃솔에서 사용된 성형금형은 아웃솔의 표면과 접촉되는 성형금형 표면의 재질이 철, 구리, 알루미늄 및 철과 구리의 합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서 난슬립 아웃솔 고무기재를 사용하여 성형 단계에서 성형되는 아웃솔의 표면에 동심원 형태의 미세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웃솔에서 사용된 난슬립 패턴은 동심원 형상이 일정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겹쳐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난슬립 아웃솔 고무기재를 사용하여 성형 단계에서 성형되는 아웃솔의 표면에 동심원 형태의 미세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웃솔에서 사용된 고무 기재는 부타디엔고무(BR) 40~60 중량부, 천연고무 40~6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웃솔에서 사용된 부타디엔고무(BR)는 뛰어난 기계적 강도와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부타디엔고무의 사용량이 4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등과 같은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부타디엔고무의 사용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부타디엔고무의 흐름성이 낮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부타디엔고무는 무늬점도가 40~60이고, 시스 함량이 95~99%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웃솔에서 사용된 천연고무는 흐름성이 우수하고 폐유리나노튜브분말 및 탄소나노튜브분말 중에서 선택된 난슬립 제재와의 친화성이 높아 난슬립 제재의 분산성과 보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천연고무의 사용량이 4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분산성이 떨어져 난슬립성과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천연고무의 사용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마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폐유리나노튜브분말 및 탄소나노튜브분말 중에서 선택된 난슬립 제재는 뛰어난 아웃솔 난슬립제로서 기계적 강도와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등과 같은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부타디엔고무의 사용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폐유리나노튜브분말 및 탄소나노튜브분말 중에서 선택된 난슬립 제재를 사용 경우 분산제를 사용하여 분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난슬립 제재분말용 분산제를 사용해야 하며,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아크릴릭 폴리머 에멀죤(acrylic polymer emulsion), 설포네이티드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및 수용성 아마씨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수용성 아마씨유는 유성이면서 수용성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폐유리나노튜브분말 및 탄소나노튜브분말을 서로 엉켜붙지 않고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를 사용하여 분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작업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난슬립 제재분말용 분산제는 폐유리나노튜브분말 및 탄소나노튜브분말 중에서 선택된 난슬립 제재를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해야 하며, 가교 속도 조절과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산화물의 사용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가교 속도가 떨어져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금속산화물의 사용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가교속도가 너무 빨라 도리어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산화물은 가교 속도 조절과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3~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산화물의 사용량이 3 중량부 미만일 경우 가교 속도가 떨어져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금속산화물의 사용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가교속도가 너무 빨라 도리어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금속산화물은 산화카드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수은, 산화주석, 산화납 및 산화칼슘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노화방지제는 고무의 컴파운드 제조, 이송 및 보관에서 나타나는 물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화방지제의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노화방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움이 우려되고, 노화방지제의 사용량이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노화방지제의 사용량 과다로 고무 컴파운드 등의 표면에 노화방지제가 분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노화 방지제는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N,N'-diphenyl-p- phenylenediamine), 4,4'-비스(알파,알파-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4,4'-Bis(alpha,alpha- dimethylbenzyl)di -phenylamine), 중합 1,2-디하이드로-2,2,4-트리메틸 퀴놀린(polymerized 1,2-dihydro-2,2,4-trimethyl quinoline)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는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여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3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의 개선을 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움이 우려되고,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의 개선에는 효과가 있지만 내마모성 등의 향상이 미약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써,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파르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모노올레이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황은 가황제로써 그 사용량은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의 사용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고무 조성물이 제대로 가황되지 아니하여 고무 성형에 어려움이 우려되고, 황의 사용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기 가황이 나타나고 성형 고무의 경도가 급격히 상승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황촉진제는 고무 조성물의 성형시간 단축과 적정 가교구조를 얻기 위한 것으로 그 사용량은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과산화물의 사용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고무 조성물이 제대로 가황되지 아니하여 고무 성형물의 물성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유기과산화물의 사용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도한 가황으로 인하여 가교 밀도가 증가하여 고무의 제반 물성이 현저히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황촉진제는 비스(2-벤조티아졸)디설파이드, 2-머캅토벤조티아졸, 및 2-머캅토이미다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포제는 미세발포 구조를 형성하여 난슬립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발포제의 사용량은 기재 100 중량부에 0.5~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의 사용량이 0.5 중량부 미만 경우 발포구조를 형성하기 어렵고 발포제의 사용량이 1.0 중량부를 초과 경우에는 과도한 발포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신발 겉창용 난슬립 패드는 기존의 고무 조성물과 비교하여 난슬립성이 우수하며 산업현장에서의 동적 난슬립성이 우수한 것이다.
실시예 1: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 또는 니이더(kneader)를 이용하여 부타디엔고무(BR) 50 중량부와 천연고무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무기재 10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분말 난슬립 제재 20 중량부, 난슬립 제재분말용 분산제인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5 중량부 및 고무첨가제를 혼합하여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고 오픈롤밀(open roll mill)을 이용하여 난슬립 고무 혼합물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발포제를 첨가하여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여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시키면서 압출된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스팀오븐에서 가열하여 가교시켜 난슬립 아웃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 또는 니이더(kneader)를 이용하여 부타디엔고무(BR) 50 중량부와 천연고무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무기재 100 중량부, 폐유리나노튜브분말 난슬립 제재 20 중량부, 난슬립 제재분말용 분산제인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5 중량부 및 고무첨가제를 혼합하여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고 오픈롤밀(open roll mill)을 이용하여 난슬립 고무 혼합물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발포제를 첨가하여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여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시키면서 압출된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스팀오븐에서 가열하여 가교시켜 난슬립 아웃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 또는 니이더(kneader)를 이용하여 부타디엔고무(BR) 50 중량부와 천연고무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무기재 10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분말 난슬립 제재 20 중량부, 난슬립 제재분말용 분산제인 아크릴릭 폴리머 에멀죤(acrylic polymer emulsion) 5 중량부 및 고무첨가제를 혼합하여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고 오픈롤밀(open roll mill)을 이용하여 난슬립 고무 혼합물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발포제를 첨가하여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여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시키면서 압출된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스팀오븐에서 가열하여 가교시켜 난슬립 아웃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 또는 니이더(kneader)를 이용하여 부타디엔고무(BR) 50 중량부와 천연고무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무기재 10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분말 난슬립 제재 20 중량부, 난슬립 제재분말용 분산제인 설포네이티드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5 중량부 및 고무첨가제를 혼합하여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고 오픈롤밀(open roll mill)을 이용하여 난슬립 고무 혼합물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발포제를 첨가하여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여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시키면서 압출된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스팀오븐에서 가열하여 가교시켜 난슬립 아웃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 또는 니이더(kneader)를 이용하여 부타디엔고무(BR) 50 중량부와 천연고무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무기재 100 중량부, 탄소나노튜브분말 난슬립 제재 20 중량부, 난슬립 제재분말용 분산제인 수용성 아마씨유 5 중량부 및 고무첨가제를 혼합하여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고 오픈롤밀(open roll mill)을 이용하여 난슬립 고무 혼합물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발포제를 첨가하여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제조하여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일축 또는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시키면서 압출된 황첨가 난슬립 고무 혼합물을 스팀오븐에서 가열하여 가교시켜 난슬립 아웃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에서 난슬립 제재분말용 분산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아크릴릭 폴리머 에멀죤(acrylic polymer emulsion), 설포네이티드 폴리스티렌(sulfonated polystyrene) 및 수용성 아마씨유 중에서 수용성 아마씨유를 사용하는 것이 작업공정에서 난슬립성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고 난슬립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물성 및 난슬립성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분말 난슬립 제재를 고무 기재에 혼합하여 압출공정으로 난슬립 특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등산화 및 각종 신발에 적용이 가능하며 산업현장(기계가공 등의 공업용오일 사용 작업장/ 육가공 업체의 동물성지방오일 사용업소/ 식용 또는 식물성오일 사용업소/ 주방용세재 또는 청소용세재 사용업소)등의 위험지역에서 덧신과 같은 추가 부대 장비 없이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드솔(20)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아웃솔(10)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30)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아웃솔 20: 미드솔
30: 방탄부재 내답판

Claims (7)

  1. 갑피, 인솔, 미드솔 및 아웃솔로 구성되어 있으며, 밑창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에 있어서, 상기 안전화는 방탄부재 내답판(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미드솔(20); 상기 미드솔(20)과 아웃솔(10)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방탄부재 내답판(30); 및 상기 방탄부재 내답판(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아웃솔(10);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미드솔(20)은 경도 60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미드솔 재질 100 중량부; 및 난슬립제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며,
    상기 아웃솔(30)은 부타디엔고무 60 중량부와 천연고무 60 중량부로 이루어진 고무기재 100 중량부, 난슬립제재 및 고무첨가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무첨가제는 금속산화물 중량부 노화방지제 3 중량부, 계면활성제 3 중량부, 황 1.5 중량부, 가황촉진제 1.0 중량부 및 발포제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난슬립제재는 폐유리나노튜브 분말 30 중량부; 및 난슬립제재 분말용 분산제인 수용성 아마씨유 5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미드솔은 하부면에 방탄부재 내답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22)의 내부에 방탄부재 내답판(30)이 안착된 상태로 미드솔(20)과 아웃솔(10)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방탄부재 내답판은 방탄부재 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탄부재 내답판의 측면 가장자리에 오바로크 휘감아치기(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방탄부재 내답판은 방탄부재 내답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탄부재 내답판 삽입주머니(50)의 내부에 담겨진 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21776A 2019-10-01 2019-10-01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KR102271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776A KR102271331B1 (ko) 2019-10-01 2019-10-01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776A KR102271331B1 (ko) 2019-10-01 2019-10-01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211A KR20210039211A (ko) 2021-04-09
KR102271331B1 true KR102271331B1 (ko) 2021-07-01

Family

ID=7544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776A KR102271331B1 (ko) 2019-10-01 2019-10-01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3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355B1 (ko) 2014-02-27 2014-08-22 (주)빅토스 트레킹화용 미드솔
KR102000137B1 (ko) 2018-01-24 2019-07-16 이주용 난슬립 아웃솔 고무기재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9863B2 (ja) * 1997-04-16 2003-12-15 株式会社力王 履物、履物用接地底及び履物用中敷
KR101216763B1 (ko) * 2010-09-30 2012-12-28 장명계 건강 신발
KR20170004175U (ko) * 2016-06-03 2017-12-13 김광호 절개선 표면에 점착테이프로 개폐기능이 가능한 주머니가 구비된 깔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355B1 (ko) 2014-02-27 2014-08-22 (주)빅토스 트레킹화용 미드솔
KR102000137B1 (ko) 2018-01-24 2019-07-16 이주용 난슬립 아웃솔 고무기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211A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4327B1 (ko) 다중-밀도 밑창부재, 및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JP2019515057A (ja) 発泡体組成物及びその使用
EP3248495A1 (en) Outer sole and shoes
CN107200911A (zh) 一种超轻高弹环保鞋底及其制备方法
US10455886B2 (en) Epoxidised natural rubber based blend for antistatic footwear application
CN107400308A (zh) 耐磨防滑鞋
WO2022184597A1 (en) A shoe sole formed from a polymeric foam compound with enhanced perfomance characteristics
KR102271331B1 (ko)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KR102271334B1 (ko) 난슬립 방탄부재 내답판이 내장된 안전화 밑창
KR100202297B1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
JP4474515B2 (ja) アーチサポ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ソール
TWI254615B (en) S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le
JP2018015149A (ja) 耐滑性履物底及びその製造方法
EP3713439A1 (en) A shoe sole with enhanc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KR102068522B1 (ko) 난슬립 아웃솔로 이루어진 신발용 덧신
KR101165052B1 (ko) 슬립방지 신발 겉창용 조성물
KR100691857B1 (ko) 성형용 스폰지 조성물
KR102109437B1 (ko) 난슬립 아웃솔의 제조방법
CA2993069C (en) Polyvinyl chloride safety boots
KR20220013779A (ko) 난슬립 아웃솔로 이루어진 신발용 덧신
EP4173516A1 (en) Use of leather fibers as anti-slip agents in polymeric compositions and articles obtained therewith
ES2555352T3 (es) Suela exterior para un artículo de calzado
CN220157686U (zh) 一种防滑效果好的鞋底
KR101636530B1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아웃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물품
KR20160119585A (ko) 고무시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