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309B1 -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그 제조 방법 및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인쇄물 - Google Patents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그 제조 방법 및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309B1
KR102271309B1 KR1020190011094A KR20190011094A KR102271309B1 KR 102271309 B1 KR102271309 B1 KR 102271309B1 KR 1020190011094 A KR1020190011094 A KR 1020190011094A KR 20190011094 A KR20190011094 A KR 20190011094A KR 102271309 B1 KR102271309 B1 KR 102271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weight
releasing
offset ink
ink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851A (ko
Inventor
한영대
오정문
석진안
Original Assignee
(주)디어스아이
주식회사 비상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어스아이, 주식회사 비상교육 filed Critical (주)디어스아이
Priority to KR102019001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3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06Patterns of chemical products used for a specific purpose, e.g. pesticides, perfumes, adhesive patterns; use of microencapsulated material; Printing on smoking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1/108Hydrocarbon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친환경 옵셋 잉크에 사용될 수 있는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그 제조 방법 및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그 인쇄물에 대한 기술로서 상기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은,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44 내지 65중량% 및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 35 내지 66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잉크 조성물은 투명 타입의 잉크로 어떤 인쇄물이던지 적용 가능하며 6개월에서 1년동안 계속 사용되는 초중고교용 교과서, 학습지 등에 적용시에 항균 작용, 면역력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 등 피톤치드의 여러 효능을 학생들에게 전달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그 제조 방법 및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인쇄물{PERFUME EMITTING TYPE OFFSET INK VEHICLE COMPOSITION FOR REDUCING SMEL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NK COMPOSITION, PRINTED MATTER}
본 발명은 잉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향기 방출기간이 증가된 친환경 옵셋 잉크에 사용될 수 있는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그 제조 방법 및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그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서적, 포장재 등의 인쇄를 이용하여 사용되는 잉크는, 수지, 용제, 오일, 향오일 또는 향기 캡슐 분말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향 오일을 적용하여 옵셋 잉크를 제조할 경우 옵셋 인쇄의 특성상 인쇄과정에서 향기가 대부분 방출되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향기 방출성 인쇄물의 경우 향기 방출 기간이 약 1 내지 2주로 매우 짧다.
또한, 향기캡슐 분말의 경우 흡유량이 높아 그라비아 잉크, 후렉소 잉크처럼 도막 두께가 10~30㎛ 정도로 후막(厚膜)를 형성하며 용제 함량이 높은 경우에는 제조가 용이하나, 옵셋 잉크처럼 1~2㎛ 정도의 박막(薄膜)을 형성하여 향기캡슐 분말 함량을 높여야 하며 상대적으로 용제 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제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와 더불어 낮은 압력에도 캡슐이 깨지면 향이 방출되는 향기캡슐의 특성상, 그라이바 잉크, 후렉소 잉크 제조시보다 높은 전단응력으로 교반 및 분산되는 옵셋 잉크의 경우 향기캡슐 분말이 깨지면서 많은 손실이 수반됨으로 인해 더욱 많은 향기분말의 투입이 요구되며, 그라비아 및 후렉소 잉크대비 향 방출지속기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따라서, 향기캡슐 분말의 사용량을 최소화 하면서 향기 캡슐의 깨짐이 발생하지 않는 향기방출성 옵셋 잉크의 제조가 필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요구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향기캡슐 분말의 사용량을 최소화 하면서 향기 캡슐의 깨짐이 발생하지 않는 옵셋 잉크를 제조하는데 적용되는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친환경의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하여 제조된 인쇄물을 접하는 독자에게 산림욕과 같은 효과를 얻도록 하는 향기 방출성 인쇄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은, 로진 변성 페놀 수지 20 내지 40 중량%, 석유계 수지 14 내지 22 중량%, 지방산 에스테르 18 내지 38 중량%, 겔화제 0.1 내지 2 중량%, 친유성 산화 방지제 0.05 내지 1중량% 및 여분의 식물성 오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100,000 범위이고, 연화점이 150~185℃ 범위이고, 산값이 15~18mgKOH/g 범위이고, 가드너 점도가 L~O 범위이고, n-헵탄 희석성이 4.5~6.5 범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겔화제는, 킬레이트 알콕사이드, 알콕시화물 및 알루미늄 킬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친유성 산화방지제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 톨루엔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성 오일은 아마씨유 또는 동유를 포함하고, 상기 석유계 수지는 방향성 하이드록시카본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히클의 제조 방법은, 로진 변성 페놀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석유계 수지 14 내지 22 중량부, 식물성 오일 15 내지 25 중량부 혼합하고 210 내지 240℃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 3 내지 8 중량부 및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15 내지 30 중량부를 투입하며, 상기 혼합물을 145 내지 155℃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혼합물을 155 내지 165℃로 승온하며, 겔화제 0.1 내지 2 중량부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겔화제가 투입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 2 내지 5 중량부 및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3 내지 8 중량부를 투입하며, 상기 혼합물을 135 내지 145℃로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혼합물에 친유성 산화 방지제 0.05 내지 1 중량부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은,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44 내지 65중량% 및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 35 내지 56 중량%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은 로진 변성 페놀 수지 20 내지 40 중량%; 석유계 수지 14 내지 22 중량%; 지방산 에스테르 18 내지 38 중량%; 겔화제 0.1 내지 2 중량%; 친유성 산화 방지제 0.05 내지 1 중량% 및 여분의 식물성 오일을 혼합 반응시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은 마이크로향기캡슐 분말 28 내지 48 중량%, 지방산 에스테르 51 내지 70중량%; 및 습윤분산제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향기캡슐 분말은 피톤치드향기캡슐 분말, 허브향기캡슐 분말 및 꽃향기캡슐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은 크기 조절제(sizer), 유화 안정제, 왁스 , 건조제 및 친수성 산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첨가제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도 조절을 위해 지방산 에스테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타입의 향기 방출성 인쇄층이 형성된 향기 방출성 인쇄물은,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44 내지 65중량% 및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 35 내지 56 중량%를 포함하는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쇄용지 표면에 형성된 클리어 타입의 향기 방출성 인쇄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및 잉크 조성물에 따르면,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제조시 향기 캡슐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향기 캡슐 분말의 투입량을 최소화 하루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향기 방출 성능이 수 개월 이상 지속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클리어 타입의 향기 방출성 인쇄물을 만듦으로써 그 활용 범위를 대중적으로 넓히고 해당 인쇄물을 접하는 독자에게 향기치료 또는 산림욕과 같은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은, 로진 변성 페놀 수지, 석유계 수지, 지방산 에스테르, 겔화제 및 친유성 산화방지제 및 식물성 오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은, 로진 변성 페놀 수지 20 내지 40 중량%, 석유계 수지 14 내지 22 중량%, 지방산 에스테르 18 내지 38 중량%, 겔화제 0.1 내지 2 중량%, 친유성 산화 방지제 0.05 내지 1중량% 및 여분의 식물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는 고체상을 가지며, 상기 비히클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석유계 수지 및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와 함께 가열에 의해 용해되며, 알루미늄 킬레이트와 같은 겔화제를 이용하여 겔화될 수 있다.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100,000 범위이고, 연화점이 150~185℃ 범위이고, 산값이 15~18mgKOH/g 범위이고, 가드너 점도가 L~O 범위이고, n-헵탄 희석성이 4.5~6.5 범위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에 적용되는 로진 변성 페놀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 미만이면,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에 적용시, 잉크의 탄성 수치가 떨어져 잉크 유화, 잉크 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을 초과하면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의 적용되는 향기캡슐 분말의 높은 흡유량으로 인하여 Wetting성 불량, Yiled Value 상승 등으로 인하여 잉크 조성물의 유동성 불량, 전이성 불량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100,000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의 연화점이 150℃ 미만이면, 열에 의한 처짐 현상이 심해져, 인쇄 작업시, 색상 농도, 광택 등이 불균일해지고, 잉크 튐, 건조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화점이 185℃를 초과하면, 잉크의 경시 변화가 심해지고,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의 연화점은 150℃ 내지 185℃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는 로진, 다가 알코올, 페놀 화합물 및 파라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는 로진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얻어진 중간체를 페놀 화합물 및 파라포름알데히드와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의 분자량과 용해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트 건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유화 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로진과 석유 수지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에 적용되는 로진 변성 페놀 수지 사용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향기 캡슐 분말의 전이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이 40중량%를 초과하면 향기 캡슐 분말의 wetting성이 떨어지며, 점성 대비 탄성 수치가 증가하여 유동성 저하, 잉크 착육성이 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는 20 내지 40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유계 수지는 M.W 2,500 ~ 4,000 정도를 가지며, 140 ~ 150℃의연화점, 1mg KOH/g 이하의 산값, Q~T의 가드너 점도, 8~14 정도의 n-헵탄 희석성을 갖는 석유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석유계 수지로 방향성 하이드로카본 수지(Aromatic Hydrocarbon Resin)를 사용하고, 그 사용량이 14 중량% 미만이면 낮으면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말의 Wetting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소지로의 전이력이 떨어져 향방출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그 사용량이 22 중량%를 초과하면 잉크 쳐짐이 심해져 잉크 튐, 침투 건조성 지연, 산화 건조 지연, 각종 유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석유계 수지는 비히클 전체의 14 내지 22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식물성 오일에 비하여 적은 양으로도 비히클 조성물 및 잉크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수지 또는 비히클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조 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초류점(Initial boiling point)이 350℃이상으로VOCs 함량이 "0"이어서 친환결적이다. 또한, 높은 용해력으로, High solid (resin, pigment) 설계가 가능하다. 식물성 오일대비 계면장력 수치가 높아, 내수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Fatty acid methyl ester)가 사용될 수 있다. 하기 표 1에 지방산 메킬 에스테르의 특성을 개시하였다.

일반 옵셋

잉크용 용제
친환경 옵셋 잉크용 용제
성분 Hydro carbon Solvent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식물성 오일
비점 (℃) 280 350 390
비중 0.83 0.88 0.94
침투건조성 빠름 빠름 매우 느림
VOCs (%) 100 0 0
내수성 양호 양호 불량
수지 용해력 우수 매우 우수 보통
유해성 CMR 물질
무해 무해
상기 겔화제는, 비히클 조성물의 분자량 증대 및 잉크의 점탄성 조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성분으로서 킬레이트 알콕사이드(chelated alkoxides), 알콕시화물(alkoxides), 알루미늄 킬레이트 (Al-chelate)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ASB (aluminum sec-butoxide), AIE-M(aluminum di-isopropoxide acetoacetic ester chelate), OAO(oxyaluminum octoat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겔화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잉크의 탄성이 불량해질 수 있으며, 2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불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겔화제의 함량은 0.1 내지 2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유성 산화 방지제는, 식물성 오일의 산화를 방지하여, 잉크 이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유성 산화 방지제는 친유성을 가지므로, 잉크가 인쇄 과정에서 물과 접촉하더라도 빠져나가지 않고, 인쇄층에 잔류하여 이취 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친유성 산화 방지제는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 톨루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히클 조성물은,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 상기 석유계수지 및 식물성 오일 및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의 혼합 가열(cooking)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로진 변성 페놀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석유계 수지 14 내지 22 중량부, 식물성 오일 15 내지 25 중량부를 혼합하고 210 내지 240℃에서 가열한다. 상기 과정에서, 로진 변성 페놀 수지가 용해되고, 수지, 콩기름 및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의 결합 및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 시간은 0.5 내지 3시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열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 3 내지 8 중량부 및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15 내지 30 중량부를 투입하며, 상기 혼합물을 145 내지 155℃로 냉각한다.
다음으로, 냉각된 혼합물을 약 155 내지 165℃로 승온하며, 겔화제 0.1 내지 2 중량%를 투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는 0.5 내지 3시간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겔화제가 투입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 2 내지 5 중량부 및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3 내지 8 중량부를 투입하며, 상기 혼합물을 135 내지 145℃로 냉각한다.
상기 냉각된 혼합물에 친유성 산화 방지제 0.05 내지 1 중량부를 투입한다. 상기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얻어진 비히클 조성물 전체 중량부로 표시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중량%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순서 및 온도 조절을 통해, 적절한 인쇄 적성을 가지며, 용제 이탈 및 젖음성(wetting)이 향상된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을 얻을 수 있다.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그 인쇄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은,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및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크기 조절제(sizer), 유화 안정제, 왁스, 건조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이상의 첨가제를 식물성 오일에 용해시켜 더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 조성물은,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44 내지 65중량% 및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 35 내지 56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 조성물은, 잉크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크기 조절제 0.5 내지 2 중량%, 왁스 0.5 내지 2 중량%, 건조제 0.1 내지 1 중량% 및 식물성 오일 1 내지 5 중량% 및 지방산 에스테르 0.2 내지 1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은 로진 변성 페놀 수지 20 내지 40 중량%; 석유계 수지 14 내지 22 중량%; 지방산 에스테르 18 내지 38 중량%; 겔화제 0.1 내지 2 중량%; 친유성 산화 방지제 0.05 내지 1 중량% 및 여분의 식물성 오일을 혼합 반응시켜 형성된다. 상기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은 기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히클 및 그 제조방법이 동일할 수 있다.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에서 상기 비히클 조성물이 44 중량% 미만이면 잉크 쳐짐이 발생하며 유화율 증가로 인한 블랑켓 남음, 종이 picking 발생, 잉크 날림 현상 등이 증가하고, 그 사용량이 65중량%를 초과하면 향기 캡슐 분말의 wetting성이 떨어지며, 잉크 유동성이 줄어들어 그로 인한 블랑켓 남음, 착육성 저하등이 발생 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은 마이크로향기캡슐 분말 , 지방산 에스테르 및 습윤분산제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옵셋 잉크 도막이 박막이라(1~2마이크로) 높은 함량의 마이크로 향기 캡슐이요구 된다. 상기 마이크로 향기 캡슐을 인쇄물로 전이시키기 위해서는 그에 비례한 하드한 수지의 함량이 필요하기에 최소한의 용매 함량으로 최대한의 프리 젖음성(Pre wetting)을 시키기 위하여 용해력이 높은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F.A.M.E)와 적절한 습윤 분산제를 사용해야 한다.
상기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은 분산되어 젖음성을 갖는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과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을 낮은 RPM하에서 단순 교반(최소한의 외력을 가함)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을 적용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유기 안료의 흡유량은 50~70cc/100g 으로써, 마이크로 향기 캡슐 분말처럼 100cc/100g 이상의 흡유량을 갖는 물질을 젖음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온, 고압을 가하여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즉, 고속 교반, 고압을 가한 3 Roll-Mill 분산시, 마이크로 향기 캡슐의 입자 손상 정도가 커서 제품의 향기 발현 정도, 향기 유지 기간이 짧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향기 캡슐이 에멀젼 상태로 분산되어 흡수성이 향상된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은 마이크로향기캡슐 분말 28 내지 48 중량%, 지방산 에스테르 51 내지 70중량% 및 습윤분산제 0.5 내지 2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향기캡슐 분말은 피톤치드향기캡슐 분말, 허브향기캡슐 분말 및 꽃향기캡슐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에서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의 함량이 3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향 방출 강도가 약하며, 방출 지속 시간이 줄어들 수 있으며, 56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잉크의 유동성 저하와 그로 인한 전이력 불량이 수반되어, 마찬가지로 실제 인쇄물에서 향 방출 강도가 떨어지며, 방출 지속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건조제는 오일과의 산화 중합을 촉진하여 산화 건조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제는, 철, 코발트, 망간, 아연, 지르코늄, 티탄 또는 칼슘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코발트계 건조제의 경우, 유해 물질로서 사용에 대한 규정이 점차적으로 강화되고 있으므로,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제는 코발트계 건조제를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으며,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비교적 소량으로 점도 조절이 가능하여, 이취의 원인이 되는 식물유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식물유에 비하여 침투 건조성이 빠르고, 내수성 및 수지 용해력이 높다.
예를 들어, 상기 크기 조절제는 전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기 조절제의 입도는, 잉크 인쇄층 두께보다 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 내지 30㎛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크기 조절제는 인쇄물 사이에 공극을 발생시키는 스페이서 역할을 함으로써, 인쇄물들의 들러붙음 및 뒷묻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잉크의 슬립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계 왁스, 폴리에틸렌(PE)계 왁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PTFE계 왁스가 사용될 수 있다. PTFE계 왁스는 PE계 왁스 대비 경도가 높아, 슬립성이 우수하여 뒷묻음 방지를 위하여 저취 잉크 설계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옵셋 인쇄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용 가능한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쇄용지 표면에 클리어 타입의 향기 방출성 인쇄층이 형성된 향기 방출성 인쇄물은 그 활용 범위를 대중적으로 넓히고 해당 인쇄물을 접하는 독자에게 아로마 테라피 치료 또는 산림욕과 같은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의 비히클 조성물 및 잉크 조성물의 제조 및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합성예
하기 표 2의 개시된 성분들을 저속 혼합 교반한 이후 24시간 동안 에이징을 수행하여 합서예 1 및 비교 합성예 1 ~3의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합성예 1 비교
합성예 1
비교 합성예2 비교
합성예 3
1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말 37 37 37 25
2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62 62 - -
3 미네랄 오일     62  
4 식물성 오일       74
5 습윤분산제 A
(BORCHI GEN 0650 )
1   1   
6 습윤분산제 B
(BYK-163)
  1
1
평가예 1
하기 표 2의 성분으로 제조된 합성예 1 , 비교 합성예 1, 비교 합성예 2, 비교 합성예 3의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의 젖음성 및 유동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개시하였다.
에멀젼 평가 합성예 1 비교
합성예 1
비교 합성예2 비교
합성예 3
젖음성(Wetting)
X
유동성
X X X
(○ : 접음성 및 유동성 우수, X : 젖음성 및 유동성 불량)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합성예 1의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의 경우만 젖음성 및 유동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젖음성과 유동성이 우수해야 이후 옵셋 잉크 인쇄시 마이크로 향기캡슐이 깨짐이 발생하지 않아 향기 방출 잉크로 인쇄된 인쇄물의 향기 방출 지속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비히클 제조
<실시예 1>
온도계, 콘덴서, 교반기 및 수분 분리기가 장착된 가압 케틀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로진 변성 페놀 수지(LATON, LA-795) 28 중량부, 석유계 수지(C9 Aromatic Hydrocarbon Resin) 18중량부 ,아마유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230℃로 온도를 상승 시킨 후, 1시간 유지하여 혼합물을 충분히 용해하고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아마유 5 중량부 및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20 중량부를 투입하며 150℃로 냉각하였다. 다음으로, 160℃로 승온하여, 겔화제로서 알루미늄 킬레이트 0.75 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를 1시간 정도 유지하였다. 다음으로,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 톨루엔 0.1 중량부, 아마유 3 중량부 및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5.15 중량부를 투입하며 140℃로 냉각하고 30분간 유지하여 비히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230℃ 쿠킹)
<비교예 1>
온도계, 콘덴서, 교반기 및 수분 분리기가 장착된 가압 케틀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로진 변성 페놀 수지(LATON, LA-795) 43 중량부, 아마유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190℃로 온도를 상승 시킨 후, 1시간 유지하여 혼합물을 충분히 용해하고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미네랄 오일 28 중량부를 투입하며 150℃로 냉각하였다. 다음으로, 160℃로 승온하여, 겔화제로서 알루미늄 킬레이트 0.9 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를 1시간 정도 유지하였다. 다음으로,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 톨루엔 0.1 중량부, 아마유 4 중량부 및 미네랄 오일 4 중량부를 투입하며 140℃로 냉각하고 30분간 유지하여 비히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190℃ 쿠킹)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3
하기 표 4에 개시된 성분을 혼합 교반하여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비교
제조예 1
비교
제조예 2
비교
제조예 3
1 실시예 1 (비히클) 54   79  
2 비교 실시예 1(비히클) 0 54   54
3 마이크로향기캡슐 분말       15
4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
(합성예 1 )
40 40    
5 피톤치드 오일     15  
6 크기 조절제 1 1 1 1
7 PE Wax Base 1 1 1 1
8 Co Drier (10%) 0.5 0.5 0.5 0.5
9 Tung Oil 3 3 3 3
10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0.5 0.5 0.5 25.5
평가예 2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3에서 제조된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에 대하여 DM 점도, Tack Value, 고속인쇄적성, 향방출 강도(인쇄직후), 향 지속 시간 평가하여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 비교
제조예 1
비교
제조예 2
비교
제조예 3
비 고
DM 점도 38.5 36 40 34.5 60초, 25℃, mm
Tack Value 4.4 4.7 4.5 4.9 60초, 32℃, 400rpm
고속인쇄적성 8 5.5 8.5 5 1<Bad, Good>10
Prubau
향방출 강도(인쇄직후) 8 7.5 9 6 1<Weak, Strong>10
향 지속 시간 (day) 38 35 1 22 50℃ Oven
향 지속 시간 (week) 26주 이상 26주 이상 1~2 16 상온
표 5를 참조하면, 제조예 1의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의 경우 비교 제조예 1~3의 잉크와 달리 향기 지속성뿐만 아니라 고속인쇄적성 모두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비교 제조예 3의 경우 에멀전 상태로 분산되지 않은 마이크로향기캡슐 분말을 사용함으로 인해 잉크 제조 공정 중 마이크로향기캡슐의 손상이 크며, 높은 용매의 흡유량으로 잉크의 점도가 높아 인쇄 작업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동시에 평가군 중 향방출 지속 시간이 가장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및 잉크 조성물은 마이크로향기 캡슐을 이용하여 옵셋 잉크 제조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향 방출 지속 시간을 늘리고, 잉크 원재료 중 상대적으로 고가인 마이크로향기캡슐의 손실을 줄여 그 사용량을 최소화가 가능하여 잉크의 제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상기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과 잉크의 제조 공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마이크로향기 캡슐을 옵셋 인쇄 잉크화가 가능도록 하여 아로마 테라피 요법 가능한 향기 방출성 인쇄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향기 방출성 인쇄물은 해충 기피 효과를 갖는 인쇄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는 투명 타입의 잉크로 어떤 인쇄물이던지 적용 가능하며 특히, 단발성 인쇄물이 아닌 6개월에서 1년동안 계속 사용되는 초중고교용 교과서, 학습지 등에 적용시에 항균 작용, 면역력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 등 피톤치드의 여러 효능을 학생들에게 전달이 가능하므로, 건강한 교과서, 건강한 학습지를 제작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2)

  1. 로진 변성 페놀 수지 20 내지 40 중량%와, 석유계 수지 14 내지 22 중량%와, 지방산 에스테르 21 내지 38 중량%와, 겔화제 0.1 내지 2 중량%와, 친유성 산화 방지제 0.05 내지 1중량% 및 여분의 식물성 오일을 혼합시켜 형성된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44 내지 65중량%; 및
    마이크로향기캡슐 분말 28 내지 48 중량%, 지방산 에스테르 51 내지 70중량% 및 습윤분산제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향기캡슐 분산 에멀젼 35 내지 56 중량%를 포함하는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100,000 범위이고, 연화점이 150~185℃ 범위이고, 산값이 15~18mgKOH/g 범위이고, 가드너 점도가 L~O 범위이고, n-헵탄 희석성이 4.5~6.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는 킬레이트 알콕사이드, 알콕시화합물 및 알루미늄 킬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아마씨유 또는 동유를 포함하고, 상기 석유계 수지는 방향성 하이드록시카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은
    상기 로진 변성 페놀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석유계 수지 14 내지 22 중량부, 식물성 오일 15 내지 25 중량부 혼합하고 210 내지 240℃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 3 내지 8 중량부 및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15 내지 30 중량부를 투입하며, 상기 혼합물을 145 내지 155℃로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혼합물을 155 내지 165℃로 승온하며, 겔화제 0.1 내지 2 중량부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겔화제가 투입된 혼합물에 식물성 오일 2 내지 5 중량부 및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3 내지 8 중량부를 투입하며, 상기 혼합물을 135 내지 145℃로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혼합물에 친유성 산화 방지제 0.05 내지 1중량부를 투입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향기캡슐 분말은 피톤치드향기캡슐 분말, 허브향기캡슐 분말 또는 꽃향기캡슐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크기 조절제(sizer), 유화 안정제, 왁스, 건조제 및 친수성 산화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11. 청구항 1항의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쇄용지 표면에 클리어 타입의 향기 방출성 인쇄층이 형성된 향기 방출성 인쇄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에 적용되는 마이크로향기캡슐 분말은 피톤치드향기캡슐 분말, 허브향기캡슐 분말 또는 꽃향기캡슐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방출성 인쇄물.
KR1020190011094A 2019-01-29 2019-01-29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그 제조 방법 및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인쇄물 KR102271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094A KR102271309B1 (ko) 2019-01-29 2019-01-29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그 제조 방법 및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인쇄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094A KR102271309B1 (ko) 2019-01-29 2019-01-29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그 제조 방법 및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인쇄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851A KR20200093851A (ko) 2020-08-06
KR102271309B1 true KR102271309B1 (ko) 2021-06-30

Family

ID=7204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094A KR102271309B1 (ko) 2019-01-29 2019-01-29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그 제조 방법 및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인쇄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3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3770A (ja) 2000-04-19 2002-01-09 Sakata Corp オフセット印刷インキ用ゲルワニ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オフセット印刷インキ組成物
JP2005290177A (ja) * 2004-03-31 2005-10-20 Sakura Color Prod Corp 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29301A (ja) * 2009-03-27 2010-10-14 Toyo Ink Mfg Co Ltd 印刷インキ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6203A (en) * 1994-03-31 1997-07-08 Toppan Moore Co., Ltd. Microcapsule-containing oil-based coating liquid, ink, coated shee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0639619B1 (ko) * 2001-09-27 2006-10-31 다이니뽄 잉끼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인쇄 잉크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3770A (ja) 2000-04-19 2002-01-09 Sakata Corp オフセット印刷インキ用ゲルワニ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オフセット印刷インキ組成物
JP2005290177A (ja) * 2004-03-31 2005-10-20 Sakura Color Prod Corp 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29301A (ja) * 2009-03-27 2010-10-14 Toyo Ink Mfg Co Ltd 印刷インキ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851A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02722B (zh) 活性能量線硬化型膠版印刷用墨組成物、及使用此組成物之印刷物的製造方法
EP2402378A1 (en) Rosin-modified phenol resi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rinting ink
EP0666294A2 (de) Modifizierte Naturharzsäure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Bindemittelharze in Druckfarben
US11597847B2 (en) Plasma-curable offset printing ink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matter using same, and printing method
KR102271309B1 (ko)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용 비히클, 그 제조 방법 및 클리어 타입 향기 방출성 옵셋 잉크 조성물 및 인쇄물
WO2002020679A1 (fr) Composition d&#39;encre pour impression offset
EP0748854A2 (de) Modifizierte Naturharzsäure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Bindemittelharze in Druckfarben
CN112996866B (zh) 胶版印刷用油墨组合物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了该胶版印刷用油墨组合物的印刷物的制造方法
JP5943511B2 (ja) 印刷インキ組成物
EP3722380A1 (en) Active-energy-ray curable offset printing ink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inted matter and method for enhancing gloss of printed matter using same
TWI825283B (zh) 活性能量線硬化型墨組成物及其製造方法、以及使用該組成物之印刷物的製造方法
JP2011068863A (ja) 浸透乾燥型オフセット印刷用インキ組成物
JP5976546B2 (ja) 非芳香族系溶剤の混合物、該混合物の製造方法、ならびに印刷インキおよび印刷ワニスにおける該混合物の使用
US20120318158A1 (en) Biodegradable vehicle/carrier for printing ink
KR102046361B1 (ko) 이취 저감용 무용제 잉크용 비히클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잉크 조성물
CN112552737A (zh) 一种胶印免喷粉油墨
KR100795455B1 (ko) 로진 변성 페놀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무용제형 잉크조성물
JP4793747B2 (ja) 印刷インキ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46296B1 (ko) 건식 평판 인쇄용 잉크 바니쉬 조성물
CN107523125A (zh) 一种腰果壳油型油墨连接料及其油墨组合物
JP7073027B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キ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482547A (zh) 一种荧光平板胶印油墨及其制备方法
EP1338630A1 (de) Offsetdruckfarb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Offsetdruckfarbe
JP2006124687A (ja) 印刷インキ用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印刷インキ用樹脂ワニス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印刷インキ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132669A (ja) オフセット印刷用インキ組成物、及び枚葉オフセット印刷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