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731B1 -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731B1
KR102270731B1 KR1020190166882A KR20190166882A KR102270731B1 KR 102270731 B1 KR102270731 B1 KR 102270731B1 KR 1020190166882 A KR1020190166882 A KR 1020190166882A KR 20190166882 A KR20190166882 A KR 20190166882A KR 102270731 B1 KR102270731 B1 KR 102270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riving pattern
score
vehicle
emotio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270A (ko
Inventor
장지훈
이창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6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73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Othe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2Turn sign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43Identity of occup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60Traffic rules, e.g. speed limits or right of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66Overtaking, changing 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 프로파일 DB에서 운전자 식별정보와 운전자 점수를 포함하는 운전자 프로파일을 로딩하는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와,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는 동안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와 센서 및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통해 운전패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운전패턴 수집부와, 실시간으로 수집된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차량의 평균 속력, 안전거리 확보 여부, 신호위반 여부, 불법유턴 여부, 차선 변경 시 방향지시등 점등 여부, 급가속 여부, 욕설이나 고성의 감지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감점 요인이나 가점요인이 있는지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운전패턴 분석부 및 산출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프로파일의 운전자 점수를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감성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더라도, 운전자의 감정 상태나 스트레스 여부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감정 상태를 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Emotio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driver}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주행하는 운전자의 감정 상태나 스트레스 여부를 판정하여 차량에 탑재된 오디오나 방향 방치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감정 상태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쾌적한 운전 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감성제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감성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감정 상태나 스트레스를 판정하기 위해 운전자의 뇌파를 측정하거나, 표정이나 홍채를 인식하거나, 맥박을 측정하는 등의 각종 생체정보를 활용하여, 기쁨, 행복, 화 및 슬픔 등의 감정 상태나 스트레스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거나 사전에 설치된 특정한 향이 발산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감성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전제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생체정보 측정을 위해 운전자 신체 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생체정보 감지센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이러한, 생체정보 감지센서를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을 할 때마다 착용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즉,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운전에 불필요한 부가적인 행위를 수반되는 것이어서, 생체정보 감지센서의 착용을 기피하거나 불편해하게 되며, 또한, 생체정보 감지센서로 인해 운전석 내부가 복잡해질 수도 있다.
또한, 생체정보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감정 상태나 스트레스 여부를 판정할 경우, 그 기술적 한계로 인해 운전자의 감정 상태나 스트레스 여부와 상관없이 감성제어 장치가 동작하거나 감성제어 장치가 동작해야 할 시점에 감성제어 장치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운전자의 표정이나 홍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정밀한 카메라 장치와 영상분석 장치가 요구되므로 제조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카메라 장치가 구비되더라도, 차량 내외부의 조명이나 명암에 따라 표정이나 홍채의 인식율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의 운전패턴을 근거로 스트레스나 감정 상태의 변화 여부를 판정하고, 향기를 방출하거나 음악을 재생하거나 무드등을 점등시켜 운전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감정 상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현재 위치나 날씨에 따라 향기를 방출하거나 음악을 재생하거나 무드등을 점등시킬 수 있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사전에 구축된 운전자 프로파일 DB에서 운전자 식별정보와 운전자 점수를 포함하는 운전자 프로파일을 로딩하는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는 동안,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와 센서 및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속력, 알피엠(RPM), 조향각, 방향지시등 동작 상태, 주변차량 밀도, 차선변경 여부, 고성이나 욕설의 감지 여부, 차량 위치, 도로 규정속도 및 교통신호에 대한 정보를 운전패턴 정보로서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운전패턴 수집부; 상기 실시간으로 수집된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차량의 평균 속력, 안전거리 확보 여부, 신호위반 여부, 불법유턴 여부, 차선 변경 시 방향지시등 점등 여부, 급가속 여부, 욕설이나 고성의 감지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감점 요인이나 가점요인이 있는지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운전패턴 분석부; 및 상기 산출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프로파일의 운전자 점수를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감성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패턴 분석부는,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운전패턴을 분석하는 운전패턴 분석수단; 분석된 운전자의 운전패턴에서 감점 요인에 해당하는 운전패턴이 존재하였는지 판정하고, 감점요인이 발생한 경우 기설정된 감점 기준에 따라 감점 점수를 부과하는 감점요인 판정수단; 및 부과된 감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서 차감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운전패턴 점수 산출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패턴 분석부는,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이 주행한 시간과 가점 부여시간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가점요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가점요인 판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운전패턴 점수 산출수단은, 가점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기설정된 가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 보상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성제어부는,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계산수단; 및 상기 계산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감성제어 설정값을 초과하면,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는 감성제어 여부 판정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성제어부는,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과 단계별 스트레스 상태값을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발생된 스트레스의 정도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를 위한 스트레스 구간의 단계를 설정하는 스트레스 구간 설정수단; 및 상기 설정된 스트레스 구간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의 출력을 단계별로 제어하는 감성제어 출력 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정될 경우, 차량의 현재 위치와 날씨에 따른 연동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위치날씨 연동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는, 차량의 시동 오프 여부 또는 프로파일 업데이트 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운전자 프로파일 DB에 업데이트하여 기저장된 운전자 점수를 갱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으로서, (1)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사전에 구축된 운전자 프로파일 DB에서 운전자 식별정보와 운전자 점수를 포함하는 운전자 프로파일을 로딩하는 단계; (2)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는 동안,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와 센서 및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속력, 알피엠(RPM), 조향각, 방향지시등 동작 상태, 주변차량 밀도, 차선변경 여부, 고성이나 욕설의 감지 여부, 차량 위치, 도로 규정속도 및 교통신호에 대한 정보를 운전패턴 정보로서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3)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상기 실시간으로 수집된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차량의 평균 속력, 안전거리 확보 여부, 신호위반 여부, 불법유턴 여부, 차선 변경 시 방향지시등 점등 여부, 급가속 여부, 욕설이나 고성의 감지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감점 요인이나 가점요인이 있는지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4)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산출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프로파일의 운전자 점수를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3-1)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운전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3-2)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분석된 운전자의 운전패턴에서 감점 요인에 해당하는 운전패턴이 존재하였는지 판정하고, 감점요인이 발생한 경우 기설정된 감점 기준에 따라 감점 점수를 부과하는 단계; 및 (3-3)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부과된 감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서 차감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2)단계 이후에, (3-4)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이 주행한 시간과 가점 부여시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가점요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3-5)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기설정된 가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 보상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4-1)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4-2)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상기 계산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감성제어 설정값을 초과하면,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2)단계 이후에, (4-3)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될 경우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과 단계별 스트레스 상태값을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발생된 스트레스의 정도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를 위한 스트레스 구간의 단계를 설정하는 단계; 및 (4-4)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상기 설정된 스트레스 구간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의 출력을 단계별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후에, (5)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정될 경우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차량의 현재 위치와 날씨에 따른 연동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후에, (6)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차량의 시동 오프 여부 또는 프로파일 업데이트 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운전자 프로파일 DB에 업데이트하여 기저장된 운전자 점수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 프로파일 DB에서 운전자 식별정보와 운전자 점수를 포함하는 운전자 프로파일을 로딩하는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와,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는 동안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와 센서 및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통해 운전패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운전패턴 수집부와, 실시간으로 수집된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차량의 평균 속력, 안전거리 확보 여부, 신호위반 여부, 불법유턴 여부, 차선 변경 시 방향지시등 점등 여부, 급가속 여부, 욕설이나 고성의 감지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감점 요인이나 가점요인이 있는지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운전패턴 분석부 및 산출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프로파일의 운전자 점수를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감성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의 생체정보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더라도, 운전자의 감정 상태나 스트레스 여부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감정 상태를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현재 위치와 날씨에 따른 연동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이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보다 쾌적한 운전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에 따라 실시간 운전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에 따라 스트레스 구간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은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110), 운전패턴 수집부(120), 운전패턴 분석부(130), 감성제어부(140) 및 위치날씨 연동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감성제어용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감정 상태나 스트레스 여부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10)를 동작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때, 전술한 감성제어용 장치(10)는 빛이나 소리를 출력하거나 향기를 발산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무드등(11), 오디오(12), 향기 발산용 장치(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향기 발산용 장치(13)의 경우에는 차량에 탑재된 공조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하거나 아로마 오일을 훈증시켜 발산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110)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운전자 프로파일 DB(105)에서 운전자 식별정보와 운전자 점수를 포함하는 운전자 프로파일을 로딩한다.
이를 위한,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110)는 차량의 제어기나 정션블록으로부터 차량의 시동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이 시동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운전자 프로파일 DB(105)는 사전에 구축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운전자의 식별정보가 입력되며, 운전자 점수는 N개 샘플의 이동평균 점수로서, 초기에는 기설정된 설정값으로 저장되었다가 운전패턴 점수가 반영되면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110)는 운전자 점수를 갱신할 수도 있는데, 차량의 시동 오프 여부 또는 프로파일 업데이트 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운전자 프로파일 DB(105)에 업데이트함으로써, 기저장된 운전자 점수를 갱신한다.
이때, 전술한 프로파일 업데이트 시간의 경우 5분 내지 10분으로 설정될 수 있고, 그 외에도, 다른 값으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110)는 운전패턴 점수의 업데이트 시 기저장된 운전자 점수와 운전패턴 점수를 비교하여 신뢰도 90% 이상의 표본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운전패턴 점수를 업데이트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110)에서 로딩된 운전자 프로파일은 후술하는 감성제어부(140)에 제공되거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운전패턴 수집부(120)는 운전자의 감정 상태나 스트레스를 판정하기 위한 운전패턴 정보를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와 센서 및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통해 수집한다.
이러한, 운전패턴 수집부(120)는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는 동안, 차량의 속력, 알피엠(RPM), 조향각, 방향지시등 동작 상태, 주변차량 밀도, 차선변경 여부, 고성이나 욕설, 차량 위치, 도로 규정속도 및 교통신호에 대한 정보를 운전패턴 정보로서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패턴 수집부(120)는 차량의 제어기로부터 차량의 속력, 알피엠(RPM), 조향각, 방향지시등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차량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주변차량 밀도, 차선변경 여부, 고성이나 욕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차량에 탑재된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통해 차량 위치, 도로 규정속도, 교통신호 및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텔레메틱스 시스템에는 글로벌 내비게이션 새틀라이트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운전패턴 수집부(120)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운전패턴 정보를 후술하는 운전패턴 분석부(130)에 제공되거나 출력될 수 있으며, 차량 위치와 날씨에 대한 정보는 후술하는 위치날씨 연동제어부(150)에 제공되거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운전패턴 분석부(130)는 운전패턴 수집부(120)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운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평상 시와 다른 운전패턴을 보이거나 스트레스 상태인 것으로 추정되는 운전패턴을 보이는지 분석한 다음, 분석된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감점 요인이나 가점요인이 있는지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운전패턴 분석부(130)는 운전패턴 분석수단(131), 감점요인 판정수단(132), 가점요인 판정수단(133) 및 운전패턴 점수 산출수단(1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전패턴 분석수단(131)은 실시간으로 수집된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차량의 평균 속력, 안전거리 확보 여부, 신호위반 여부, 불법유턴 여부, 차선 변경 시 방향지시등 점등 여부, 급가속 여부, 욕설이나 고성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평균 속력은 소정의 시간동안 측정된 차량의 속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고, 안전거리 확보 여부는 주변차량 밀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과 전방 차량 간의 거리를 판정한 다음 판정된 거리가 안전거리보다 큰지 혹은 작은지의 여부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신호위반 여부는 교통신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지 신호인지 주행 신호인지 확인한 다음, 차량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차량이 지정된 정지 신호에 따라 정지하였는지 혹은 주행하였는지 여부로 분석할 수 있고, 불법유턴 여부는 조향각에 대한 정보와 교통신호에 대한 정보, 차량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유턴 구역이 아닌 위치에서 차량의 유턴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차선 변경 시 방향지시등 점등 여부는 방향지시등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와 차선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고, 급가속 여부는 차량의 알피엠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욕설이나 고성은 차량에 탑재된 센서에서 욕설이나 부적절한 단어로 설정된 음성이 인식되거나 설정 데시벨(dB) 이상의 음성이 감지되는지 여부로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감점요인 판정수단(132)은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운전패턴이 분석되면, 분석된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감점 요인이 존재하는지 판정한다.
예를 들어, 감점요인 판정수단(132)은 신호위반 또는 불법유턴을 하거나, 안전거리를 미확보한 상태에서 차선변경이 이루어지거나, 차량의 평균 속력이 도로 규정속도 또는 기설정된 설정 속도를 초과하거나, 차선 변경을 하면서 방향지시등을 미점등하거나, 욕설 또는 고성이 감지되거나, 급가속을 하는 경우 감점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감점요인 판정수단(132)은 감점요인이 발생한 경우 기설정된 감점 기준에 따라 감점 요인에 부합하는 감점 점수를 부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점요인 판정수단(132)은 신호위반 또는 불법유턴을 하는 경우 -5점의 감점 점수를 부과하고, 안전거리를 미확보한 상태에서 차선변경이 이루어지면 -3점의 감점 점수를 부과하며, 차선 변경을 하면서 방향지시등을 미점등하면 -3점의 감점 점수를 부과하고, 욕설이나 고성이 감지되면 -10점의 감점 점수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감점요인 판정수단(132)은 주변차량 밀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원활한 도로에서, 차량의 평균 속력이 도로 규정속도 또는 기설정된 설정 속도를 초과하면, 도로 규정속도와 차량의 평균 속력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감점 점수를 차등 부과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평균 속력이 30% 내지 39%의 범위에서 도로 규정속도를 초과하면 -8점의 감점 점수를 부과하고, 40% 내지 49%의 범위에서 도로 규정속도를 초과하면 -9점의 감점 점수를 부과하며, 50% 이상으로 도로 규정속도를 초과하면 -10점의 감점 점수를 부과할 수 있다.
아울러, 감점요인 판정수단(132)은 급가속을 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도 급가속 시의 알피엠에 따라 감점 점수를 다르게 부과할 수 있으며, 예컨대, 주변차량 밀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정체된 도로에서 3000 알피엠 내지 3999 알피엠으로 30초 이상 주행하면 -3점의 감점 점수를 부과하고, 4000 알피엠 내지 4999 알피엠으로 30초 이상 주행하면 -5점의 감점 점수를 부과하며, 5000 알피엠 내지 5999 알피엠으로 30초 이상 주행하면 -6점의 감점 점수를 부과하고, 6000 알피엠 이상으로 30초 이상 주행하면 -7점의 감점 점수를 부과할 수 있다.
상기 가점요인 판정수단(133)은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가점 요인이 존재하는지 판정한다.
이때, 가점요인 판정수단(133)은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이 주행한 시간과 가점 부여시간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가점요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가점 부여시간은 사전에 특정값을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운전패턴 점수 산출수단(134)은 감점 점수 또는 가점 점수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운전패턴 점수 산출수단(134)은 감점요인 판정수단(132)으로부터 부과된 감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서 차감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거나, 가점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기설정된 가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 보상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가점 점수는 사전에 특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10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운전패턴 점수 산출수단(134)으로부터 운전패턴 점수의 산출이 완료되면, 산출된 운전패턴 점수는 후술하는 감성제어부(140)에 출력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성제어부(140)는 감성제어용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산출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프로파일의 운전자 점수를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감성제어용 장치(1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감성제어부(140)는 계산수단(141), 감성제어 여부 판정수단(142), 스트레스 구간 설정수단(143) 및 감성제어 출력 제어수단(1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계산수단(141)은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을 계산한다.
상기 감성제어 여부 판정수단(142)은 계산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감성제어 설정값을 초과하면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고,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감성제어 설정값 이하이면 별도의 감성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때, 감성제어 설정값은 사전에 설정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구간 설정수단(143)은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과 단계별 스트레스 상태값을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발생된 스트레스의 정도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를 위한 스트레스 구간의 단계를 설정한다.
여기서, 전술한 단계별 스트레스 상태값은 제 1단계 스트레스 상태값, 제 2단계 스트레스 상태값 및 제 3단계 스트레스 상태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감성제어 설정값이 X인 경우 제 1단계 스트레스 상태값은 X+x로 설정될 수 있고, 제 2단계 스트레스 상태값은 X+y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 3단계 스트레스 상태값은 X+z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x, y, z는 특정한 수로서, z가 가장 크고, y는 x보다 크고 z보다는 작으며, x는 가장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레스 구간 설정수단(143)은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감성제어 설정값보다 크고 제 1단계 스트레스 상태값보다 작으면, 운전자의 스트레스 정도가 1단계인 것으로 판정하고 스트레스 구간을 1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 구간 설정수단(143)은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제 1단계 스트레스 상태값보다 크고 제 2단계 스트레스 상태값보다 작으면, 운전자의 스트레스 정도가 2단계인 것으로 판정하고 스트레스 구간을 2단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제 2단계 스트레스 상태값보다 크고 제 3단계 스트레스 상태값보다 작으면, 운전자의 스트레스 정도가 3단계인 것으로 판정하고 스트레스 구간을 3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스트레스 구간 설정수단(143)에는 제 1단계 스트레스 상태값, 제 2단계 스트레스 상태값 및 제 3단계 스트레스 상태값 이외의 단계별 스트레스 상태값이 더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감성제어 출력 제어수단(144)은 스트레스 구간 설정수단(143)에서 설정된 스트레스 구간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10)의 출력을 단계별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감성제어 출력 제어수단(144)은 스트레스 구간 설정수단(143)에서 설정된 스트레스 구간이 1단계이면 감성제어용 장치(10)의 출력을 가장 낮게 설정하고, 스트레스 구간이 2단계이면 감성제어용 장치(10)의 출력을 보통으로 설정하며, 스트레스 구간이 1단계이면 감성제어용 장치(10)의 출력을 최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감성제어용 장치(10)의 출력이 단계별로 제어되며, 예컨대, 무드등(11)의 경우 색온도나 밝은 정도가 단계별로 변경될 수 있고, 오디오(12)의 경우 음성이나 소리의 크기가 단계별로 변경될 수 있으며, 향기 발산용 장치(13)의 경우에는 발산되는 향의 양이나 송풍 속도가 단계별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감성제어 출력 제어수단(144)에는 무드등(11), 오디오(12) 및 향기 발산용 장치(13) 중에서 어느 감성제어용 장치(10)만 독립적으로 동작시킬지 혹은 모든 감성제어용 장치(10)를 동시에 동작시킬지 여부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사전에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감정 상태 변화나 스트레스로 인해 과격하고 불법적인 운전 습관이 발현되었을 때, 감성제어부(140)에 의해 감성제어용 장치(10)가 동작됨으로써, 운전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감정 상태를 완화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의 환경도 보다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날씨 연동제어부(150)는 차량의 현재 위치와 날씨에 따른 연동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10)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위치날씨 연동제어부(150)는 전술한 운전패턴 수집부(120)로부터 차량 위치와 날씨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감성제어부(140)로부터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차량의 위치나 주행 경로, 날씨에 근거하여 감성제어용 장치(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위치날씨 연동제어부(150)는 사전에 설정된 위치나 경로 상에 차량이 도달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날씨가 발생되면, 감성제어용 장치(1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감성제어부(140)와 다르게 별도의 출력 제어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위치날씨 연동제어부(150)는 차량이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거나 날씨가 변화하면, 감성제어용 장치(1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이 특정 위치를 지나거나 특정 날씨가 발생될 때마다 위치날씨 연동제어부(150)에 의해 감성제어용 장치(10)가 동작됨으로써, 운전자의 집중력을 높이는 한편, 차량 내부의 환경도 보다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에 따라 실시간 운전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에 따라 스트레스 구간을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은 모두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므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어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에서 수행되고,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모든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에서 그대로 수행됨을 주의해야 한다.
먼저,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가 운전자 프로파일을 로딩한다(S100).
이때,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S110), 사전에 구축된 운전자 프로파일 DB에서 운전자 식별정보와 운전자 점수를 포함하는 운전자 프로파일을 로딩할 수 있다(S120).
그 다음, 운전패턴 수집부가 운전패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S200).
이때, 운전패턴 수집부는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는 동안,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와 센서 및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속력, 알피엠(RPM), 조향각, 방향지시등 동작 상태, 주변차량 밀도, 차선변경 여부, 고성이나 욕설, 차량 위치, 도로 규정속도 및 교통신호에 대한 정보를 운전패턴 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운전패턴 수집부는 차량의 제어기로부터 차량의 속력, 알피엠(RPM), 조향각, 방향지시등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차량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주변차량 밀도, 차선변경 여부, 고성이나 욕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차량에 탑재된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통해 차량 위치, 도로 규정속도, 교통신호 및 날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운전패턴 분석부가 실시간으로 수집된 운전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평상 시와 다른 운전패턴을 보이거나 스트레스 상태인 것으로 추정되는 운전패턴을 보이는지 분석한 다음, 그 결과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한다(S300).
예컨대, 운전패턴 분석부는 운전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운전자의 운전패턴에서 감점 요인이나 가점요인이 있는지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패턴 분석부는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차량의 평균 속력, 안전거리 확보 여부, 신호위반 여부, 불법유턴 여부, 차선 변경 시 방향지시등 점등 여부, 급가속 여부, 욕설이나 고성이 감지되는지 분석하고(S310), 분석된 운전자의 운전패턴에서 감점 요인에 해당하는 운전패턴이 존재하였는지 판정한 다음(S320), 감점요인이 발생한 경우 기설정된 감점 기준에 따라 감점 점수를 판정하여 부과하고(S330), 부과된 감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서 차감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S340).
참고로, 전술한 제 320단계에는 차량의 운전자가 신호위반 또는 불법유턴을 하거나, 안전거리를 미확보한 상태에서 차선변경이 이루어지거나, 차량의 평균 속력이 도로 규정속도 또는 기설정된 설정 속도를 초과하거나, 차선 변경을 하면서 방향지시등을 미점등하거나, 욕설 또는 고성이 감지되거나, 급가속을 하는 경우 감점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 320단계에서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으면,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이 주행한 시간과 가점 부여시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가점요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한 다음(S350), 기설정된 가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 보상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S360).
한편, 전술한 제 350단계에서 가점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 360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후술하는 제 410단계가 바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 다음에는, 감성제어부가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여 기설정된 감성제어용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400).
이때, 감성제어부는 산출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프로파일의 운전자 점수를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성제어부는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를 비교하여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을 계산한 다음(S410), 계산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감성제어 설정값을 초과하면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S420).
여기서, 감성제어 설정값은 사전에 설정되거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설정된 특정값일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면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과 단계별 스트레스 상태값을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발생된 스트레스의 정도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를 위한 스트레스 구간의 단계를 설정한 다음(S430), 설정된 스트레스 구간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의 출력을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다(S440).
참고로, 전술한 제 430단계에서 단계별 스트레스 상태값은 제 1단계 스트레스 상태값, 제 2단계 스트레스 상태값 및 제 3단계 스트레스 상태값을 포함하며, 감성제어 설정값이 X인 경우 제 1단계 스트레스 상태값은 X+x로 설정될 수 있고, 제 2단계 스트레스 상태값은 X+y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 3단계 스트레스 상태값은 X+z로 설정될 수 있는데, x, y, z는 특정한 수로서, z가 가장 크고, y는 x보다 크고 z보다는 작으며, x는 가장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S430단계는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감성제어 설정값보다 크고 제 1단계 스트레스 상태값보다 작으면(S431), 운전자의 스트레스 정도가 1단계인 것으로 판정하고 스트레스 구간을 1단계로 설정하며(S432),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제 1단계 스트레스 상태값보다 크고 제 2단계 스트레스 상태값보다 작으면(S433), 운전자의 스트레스 정도가 2단계인 것으로 판정하고 스트레스 구간을 2단계로 설정하며(S434),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제 2단계 스트레스 상태값보다 크고 제 3단계 스트레스 상태값보다 작으면(S435), 운전자의 스트레스 정도가 3단계인 것으로 판정하고 스트레스 구간을 3단계로 설정할 수 있으며(S436), 제 435단계에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제 3단계 스트레스 상태값보다 큰 경우에는 스트레스 구간이 N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S437).
한편, 전술한 제 440단계는 스트레스 구간이 1단계로 설정되면 감성제어용 장치의 출력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설정하고, 스트레스 구간이 2단계이면 감성제어용 장치의 출력을 보통 수준으로 설정하며, 스트레스 구간이 3단계 또는 N단계이면 감성제어용 장치의 출력을 최대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전술한 제 420단계에서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면, 위치날씨 연동제어부가 감성제어용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S500).
이때, 위치날씨 연동제어부는 차량의 현재 위치와 날씨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위치와 날씨에 따른 연동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S510),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20).
즉, 차량이 사전에 설정된 위치나 경로 상에 차량이 도달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날씨가 발생되면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성제어부와 다르게 별도의 출력 제어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가 운전패턴 점수를 운전자 프로파일 DB에 업데이트한다(S600).
이때,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S610), 운전패턴 점수를 운전자 프로파일 DB에 업데이트하여 기저장된 운전자 점수를 갱신하고(S620),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지 않은 상태, 즉, 주행중인 상태에서 프로파일 업데이트 시간을 경과하면(S630), 운전패턴 점수를 운전자 프로파일 DB에 업데이트하여 기저장된 운전자 점수를 갱신할 수 있다(S640).
참고로, 운전패턴 점수의 업데이트 시 기저장된 운전자 점수와 운전패턴 점수를 비교하여 신뢰도 90% 이상의 표본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운전패턴 점수가 업데이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제 630단계에서 프로파일 업데이트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전술한 제 200단계부터 각 단계가 다시 반복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제 610단계 및 제 620단계가 수행되면 모든 단계가 종료되므로, 추후에 차량이 시동이 켜질 때 제 100단계부터 순차적으로 각 단계가 수행되고, 전술한 제 630단계 및 제 640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제 200단계부터 각 단계를 다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10 :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
120 : 운전패턴 수집부
130 : 운전패턴 분석부
131 : 운전패턴 분석수단 132 : 감점요인 판정수단
133 : 가점요인 판정수단 134 : 운전패턴 점수 산출수단
140 : 감성제어부
141 : 계산수단 142 : 감성제어 여부 판정수단
143 : 스트레스 구간 설정수단 144 : 감성제어 출력 제어수단
150 : 위치날씨 연동제어부

Claims (14)

  1.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사전에 구축된 운전자 프로파일 DB에서 운전자 식별정보와 운전자 점수를 포함하는 운전자 프로파일을 로딩하는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는 동안,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와 센서 및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속력, 알피엠(RPM), 조향각, 방향지시등 동작 상태, 주변차량 밀도, 차선변경 여부, 고성이나 욕설, 차량 위치, 도로 규정속도 및 교통신호에 대한 정보를 운전패턴 정보로서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운전패턴 수집부;
    상기 실시간으로 수집된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차량의 평균 속력, 안전거리 확보 여부, 신호위반 여부, 불법유턴 여부, 차선 변경 시 방향지시등 점등 여부, 급가속 여부, 욕설이나 고성의 감지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감점 요인이나 가점요인이 있는지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운전패턴 분석부; 및
    상기 산출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프로파일의 운전자 점수를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감성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성제어부는,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과 단계별 스트레스 상태값을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발생된 스트레스의 정도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복수의 단계들 중 어느 한 단계로 감성제어를 위한 스트레스 구간을 설정하는 스트레스 구간 설정수단; 및
    상기 설정된 스트레스 구간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의 출력을 단계별로 제어하는 감성제어 출력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패턴 분석부는,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운전패턴을 분석하는 운전패턴 분석수단;
    분석된 운전자의 운전패턴에서 감점 요인에 해당하는 운전패턴이 존재하였는지 판정하고, 감점요인이 발생한 경우 기설정된 감점 기준에 따라 감점 점수를 부과하는 감점요인 판정수단; 및
    부과된 감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서 차감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운전패턴 점수 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패턴 분석부는,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이 주행한 시간과 가점 부여시간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가점요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가점요인 판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운전패턴 점수 산출수단은,
    가점요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기설정된 가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 보상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제어부는,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계산수단; 및
    상기 계산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감성제어 설정값을 초과하면,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는 감성제어 여부 판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정될 경우, 차량의 현재 위치와 날씨에 따른 연동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위치날씨 연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프로파일 로딩부는,
    차량의 시동 오프 여부 또는 프로파일 업데이트 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운전자 프로파일 DB에 업데이트하여 기저장된 운전자 점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8.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으로서,
    (1)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사전에 구축된 운전자 프로파일 DB에서 운전자 식별정보와 운전자 점수를 포함하는 운전자 프로파일을 로딩하는 단계;
    (2)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는 동안, 차량에 탑재된 제어기와 센서 및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통해 차량의 속력, 알피엠(RPM), 조향각, 방향지시등 동작 상태, 주변차량 밀도, 차선변경 여부, 고성이나 욕설, 차량 위치, 도로 규정속도 및 교통신호에 대한 정보를 운전패턴 정보로서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3) 상기 실시간으로 수집된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차량의 평균 속력, 안전거리 확보 여부, 신호위반 여부, 불법유턴 여부, 차선 변경 시 방향지시등 점등 여부, 급가속 여부, 욕설이나 고성의 감지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감점 요인이나 가점요인이 있는지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4) 산출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프로파일의 운전자 점수를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4)단계는,
    (4-3)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정될 경우,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과 단계별 스트레스 상태값을 비교하여 운전자에게 발생된 스트레스의 정도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복수의 단계들 중 어느 한 단계로 감성제어를 위한 스트레스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4-4) 상기 설정된 스트레스 구간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의 출력을 단계별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3-1)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운전패턴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운전패턴을 분석하는 단계;
    (3-2)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분석된 운전자의 운전패턴에서 감점 요인에 해당하는 운전패턴이 존재하였는지 판정하고, 감점요인이 발생한 경우 기설정된 감점 기준에 따라 감점 점수를 부과하는 단계; 및
    (3-3)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부과된 감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서 차감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2)단계 이후에,
    (3-4)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감점요인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차량이 주행한 시간과 가점 부여시간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가점요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3-5)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기설정된 가점 점수를 운전패턴 점수에 보상하여 운전패턴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4-1)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4-2)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상기 계산된 운전패턴 점수와 운전자 점수 간의 차이값이 감성제어 설정값을 초과하면,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한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후에,
    (5) 운전자에게 감성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정될 경우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차량의 현재 위치와 날씨에 따른 연동제어가 필요한 상태인지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감성제어용 장치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 이후에,
    (6) 상기 감성제어 시스템이, 차량의 시동 오프 여부 또는 프로파일 업데이트 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운전패턴 점수를 운전자 프로파일 DB에 업데이트하여 기저장된 운전자 점수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방법.

KR1020190166882A 2019-12-13 2019-12-13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0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882A KR102270731B1 (ko) 2019-12-13 2019-12-13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882A KR102270731B1 (ko) 2019-12-13 2019-12-13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270A KR20210076270A (ko) 2021-06-24
KR102270731B1 true KR102270731B1 (ko) 2021-06-30

Family

ID=7660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882A KR102270731B1 (ko) 2019-12-13 2019-12-13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7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441B1 (ko) * 2016-09-27 201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감성 평가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390B1 (ko) * 2015-07-01 2022-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운전자의 주의 환기 장치 및 그 방법
KR101914512B1 (ko) * 2016-12-29 2018-11-02 주식회사 디맨드 차량의 무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02917B1 (ko) * 2017-12-18 2021-09-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안전운전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417514B1 (ko) * 2018-01-04 2022-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441B1 (ko) * 2016-09-27 201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행 감성 평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270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328B1 (ko) 주행 지원 방법 및 운전 제어 장치
US10818297B2 (en) Dialogue system,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109597317B (zh) 一种基于自学习的车辆自动驾驶方法、系统及电子设备
JP6477551B2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7805223B2 (en) Dialogue system
JP4728839B2 (ja) 車載機器制御装置
US10733994B2 (en) Dialogue system,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JP4797948B2 (ja) 運転行動推定方法および装置
US8204665B2 (en) Vehicle controll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RU2743829C1 (ru) Способ помощи при движен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мощи при движении
KR20100062145A (ko) 차량 운전자의 감성 조절 시스템 및 방법
JP2019043495A (ja) 自動運転調整装置、自動運転調整システム、及び自動運転調整方法
US10640137B2 (en) Automatic control of a heating element in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pursuant to predictive modeling that recalibrates based on occupant manual control of the heating element
JPH10166899A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DE102006049561A1 (de) Spracherkennungsbasierte Gerät-Steuerungsvorrichtung
CN114239423A (zh) 长大连续纵坡路段驾驶员危险感知能力预测模型构建方法
US20200269865A1 (en) Method of recognizing emotion of drive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220101752A1 (en) Driving support apparatus
KR102625398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270731B1 (ko) 차량의 운전자를 위한 감성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312802A (zh) 驾驶辅助装置
CN112319505B (zh) 自动驾驶换道判断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55234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1221228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9001096A (ja) 運転支援装置、運転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