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376B1 -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 - Google Patents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376B1
KR102270376B1 KR1020200114786A KR20200114786A KR102270376B1 KR 102270376 B1 KR102270376 B1 KR 102270376B1 KR 1020200114786 A KR1020200114786 A KR 1020200114786A KR 20200114786 A KR20200114786 A KR 20200114786A KR 102270376 B1 KR102270376 B1 KR 10227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e
fragrance
flowerpot
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예은
Original Assignee
박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예은 filed Critical 박예은
Priority to KR102020011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이 개시된다. 상기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은, 식물을 키우기 위해 배양토와 함께 식물을 담기 위한 화분에 있어서, 식물과 배양토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되 내측면과 외측면이 구비된 이중 구조의 제1용기; 테두리에 원형의 띠 형상의 발향수단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측으로 상기 제1용기가 삽입되되 상기 제1용기의 외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1용기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제2용기; 및 상기 발향수단 수용부에 수용되어 화분 주변으로 향을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FLOWERPOT WIHT SCENT GENERATING FUNCTION}
본 발명은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화분 내에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구비하여 화분 주변으로 향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식물에서 향이 발산되는 듯한 느낌을 전달함은 물론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제 및 방향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나무, 꽃, 식물 등을 심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고, 인체에 필요한 산소를 배출하면서 사람이 호흡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실내에서 기르는 화분은 일반적으로 화분의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실내 바닥으로 그대로 배출되지 않도록 물받이가 마련된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정화하고, 다양한 가전제품이 사용되는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하기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실내에서 키우는 꽃 등의 식물은 식물 자체의 향이 있기 마련이나 실제 식물 자체에서 발산되는 향은 미미한 수준이며, 식물에서 발산되는 미미한 향의 경우에도 소비자 개개인의 호불호가 있을 정도로 식물의 미관은 아름답다 하더라도 해당 식물에서 발산되는 향은 풀 고유의 비린내가 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실내에 관상용으로 키우는 식물을 통해 인공의 화학물질로 제조된 방향제를 대체하기 어렵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향의 식물을 선택하는데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식물을 키우기 위한 화분에 '향 발생장치를 구비한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9006)'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종래의 향 발생장치를 구비한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는, 화분(80)을 내측에 안착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화분받침대(2)에 있어서, 상기 화분받침대(2)를, 화분(80)이 안착 되는 상측의 화분지지대커버(10)와, 화분지지대커버(10)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며 내부에 수용되는 향발생장치(3)를 보호하는 하측의 화분지지대(20)로 분할하여 상호 결합시킨 것과 상기 화분받침대(2)의 상측으로 장입되어 상단 일측이 화분지지대커버(10)의 중앙에 장착되고 타측은 화분지지대(20)의 내부에 매입되어 내부에 저장된 향액에 의해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향발생장치(3)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종래의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의 경우, 향액저장통외함(60) 내에 양액저장통(50)이 수용된 상태에서 방출공(25) 및 배출공(26)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함침패드(41)에 함침된 향액이 방출공(25) 및 배출공(26)을 통해 배출되어 향이 발산되는 효과가 미미하여 소비자가 실제 화분받침대 근처까지 접근하기 전에는 향을 느끼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함침패드(41)에 함침된 향액이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접촉과 순환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경우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되기 어려운 구조로서, 이에 따라, 향 발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는 화분을 받치기 위한 받침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을 키우기 위한 화분(80)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39006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분 내에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구비하여 화분 주변으로 향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식물에서 향이 발산되는 듯한 느낌을 전달함은 물론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제 및 방향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은, 식물을 키우기 위해 배양토와 함께 식물을 담기 위한 화분에 있어서, 식물과 배양토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되 내측면과 외측면이 구비된 이중 구조의 제1용기; 테두리에 원형의 띠 형상의 발향수단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측으로 상기 제1용기가 삽입되되 상기 제1용기의 외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1용기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제2용기; 및 상기 발향수단 수용부에 수용되어 화분 주변으로 향을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용기에는, 상기 내측면의 외측 하부에 하측방향을 향해 원형으로 연장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에는, 상기 삽입부와 대응되어 상기 제1용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방향을 향해 원형으로 연장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 내측으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용기와 상기 제2용기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홀이 타공된 제1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에는, 상기 제1공기홀과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마다 홀이 타공된 제2공기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기홀과 상기 제2공기홀의 홀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1용기와 상기 제2용기가 결합될 경우 상기 삽입부 내부공간에서 상기 삽입홈부 외측까지 공기가 유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홀은, 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기홀은, 상기 제1용기가 상기 제2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공기홀과 상기 제2공기홀이 일치될 경우 상기 돌출가이드가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에는, 외측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부에는, 상기 돌기가 끼움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홀이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홀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공기홀과 상기 제2공기홀이 일치될 경우 상기 제1용기가 상기 제2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정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홀은, 수평방향으로 타공된 수평홀; 및 상기 수평홀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타공된 수직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향수단은, 향을 발산할 수 있는 인공향료 및 천연향료 중 어느 하나이고, 액상 또는 고체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향수단은, 향을 발산하는 향액이 함침되고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 향 흡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 흡수부재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으로부터 공기가 유통하기 위해 외주면에 유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통홀은, 상기 향 흡수부재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내측을 향해 타공된 복수 개의 제1유통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유통홀들간 연통되도록 상기 향 흡수부재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유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은, 식물을 수용하는 화분과 분리된 구조로 화분 내에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구비하되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 발산 효과를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화분 주변으로 발산되는 향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발산되는 향이 실제 식물에서 발산되는 듯한 느낌을 전달함은 물론 인공의 화학물질로 제조된 탈취제 및 방향제를 대체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제 및 방향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을 뒤집은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식물이 수용된 모습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을 뒤집은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을 뒤집은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향 흡수부재에 유통홀이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향수단의 사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은 화분 내에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구비하여 화분 주변으로 향이 발산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식물에서 향이 발산되는 듯한 느낌을 전달함은 물론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제 및 방향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을 뒤집은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식물이 수용된 모습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10)은 크게 제1용기(100), 제2용기(200) 및 발향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10)은 꽃 등의 식물을 키우기 위한 것으로, 배양토와 함께 식물을 담기 위한 것이다.
먼저, 제1용기(100)는 식물과 배양토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되 내측면(110)과 외측면(120)이 구비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내측면(110)에 의해 중심 부분이 상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측면(110)과 상측이 연결되어 내측면(110)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측면의 외주면이 형성되도록 외측면(12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면 내부는 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면(110)과 외측면(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용기(100)에는 상기 내측면(110)의 외측 하부에 하측측방향을 향해 원형으로 연장되는 삽입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삽입부(111)는 후술하는 제2용기와 결합되기 위해 하측을 향해 돌출된 부분이다.
다음으로, 제2용기(200)는 테두리에 원형의 띠 형상의 후술하는 발향수단(300)이 수용되기 위한 발향수단 수용부(210)가 마련되고, 상측으로 상기 제1용기(100)가 삽입되되 상기 제1용기(100)의 외측면(120)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1용기(10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제2용기(200)에는 상기 삽입부(111)와 대응되어 상기 제1용기(1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방향을 향해 원형으로 연장되는 삽입홈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홈부(220) 내측으로 상기 삽입부(111)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용기(100)와 상기 제2용기(200)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용기(100)의 외측면(120)은 상기 제2용기(200)의 외주면 외측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삽입되되, 제1용기(100)의 외측면(120) 하단은 상기 제2용기(20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삽입되며, 외측면(120)은 제2용기(200)의 발향수단 수용부(210)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용기(100)와 제2용기(200)의 이격된 측면에 의해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향 발산 공간(S)이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용기(200)의 발향수단 수용부(2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외부에서 내부 공간으로 자유롭게 공기가 유통할 수 있어, 발향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발향수단(300)은 화분 주변으로 향을 발산하는 것으로, 상기 발향수단 수용부(21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발향수단(300)은 향을 발산할 수 있는 인공향료 및 천연향료 중 어느 하나이고, 액상 또는 고체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향을 발산할 수 있는 물질이고, 상기 발향수단 수용부(210)에 수용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양한 형태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을 뒤집은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부(111)에는 일정 간격마다 홀이 타공된 제1공기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220)에는 상기 제1공기홀(112)과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마다 홀이 타공된 제2공기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공기홀(112)과 상기 제2공기홀(221)의 홀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1용기(100)와 상기 제2용기(200)가 결합될 경우 상기 삽입부(111) 내부공간에서 상기 삽입홈부(220) 외측까지 공기가 유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공기홀(112)은 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가이드(1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기홀(221)은 상기 제1용기(100)가 상기 제2용기(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공기홀(112)과 상기 제2공기홀(221)이 일치될 경우 상기 돌출가이드(113)가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2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222)에 상기 돌출가이드(113)이 일정 간격마다 회전하면서 걸림될 수 있어 사용자가 발향수단의 발향 정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제1공기홀(112)과 상기 제2공기홀(221)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222)에 상기 돌출가이드(113)이 걸림되어 고정시키면 발향의 정도를 최대로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용기(100)와 상기 제2용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공기홀(112)과 상기 제2공기홀(221)이 일치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시키면 공기유통에 제한되면서 발향의 정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원하는 발향 정도를 선택하여 제1공기홀(112)과 제2공기홀(221)을 일치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을 뒤집은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부(111)에는 외측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114)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부(220)에는 상기 돌기(114)가 끼움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홀(223)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기(114)가 상기 돌기홀(223)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공기홀(112)과 상기 제2공기홀(221)이 일치될 경우 상기 제1용기(100)가 상기 제2용기(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정지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돌기(114)가 상기 돌기홀(223)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1용기(100)와 상기 제2용기(200)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홀(223)은 수평방향으로 타공된 수평홀(224) 및 상기 수평홀(224)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타공된 수직홀(2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홀(224)은 상기 돌기(114)가 끼움된 상태로 상기 제1용기(100)가 수평이동하기 위해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수직홀(225)은 상기 제1용기(100)의 제1공기홀(112)과 제2용기(200)의 제2공기홀(221)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용기(10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114)가 상기 수평홀(224)을 통해 수평이동한 후 제1공기홀(112)과 제2공기홀(221)이 일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돌기(114)가 상기 수직홀(225)에 위치되도록 홀의 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114)가 수평홀(224)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1공기홀(112)과 제2공기홀(221)이 일치되지 않아 홀이 폐쇄된 상태가 되고, 상기 돌기(114)가 수직홀(225)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1공기홀(112)과 제2공기홀(221)이 일치된 상태로서 홀이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용기(100)에 돌기(114)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200)에 돌기홀(223)이 형성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상기 제2용기(200)에 돌기(114)가 형성되고, 상기 제1용기(100)에 돌기홀(22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향 흡수부재에 유통홀이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향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발향수단(300)은 향을 발산하는 향액이 함침되고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 향 흡수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 흡수부재(310)는 향액을 장기간 흡수한 상태로 보존하기 위한 부분으로, 액상의 향액을 흡수하되, 쉽게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섬유재, 부직포 또는 통상의 향수 테스터용 용지와 같이 흡수력이 우수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액은 특정 향기 또는 식물의 향기를 낼 수 있는 액체로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식물을 통해 향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향액은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향 흡수부재(310)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으로부터 공기가 유통하기 위해 외주면에 유통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통홀(311)은 외부에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거나 향 흡수부재(310)에 흡수된 향이 원활하게 발산될 수 있도록 향 흡수부재(310)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유통홀(311)은 상기 향 흡수부재(310)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내측을 향해 타공된 복수 개의 제1유통홀(311a)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유통홀(311a)들간 연통되도록 상기 향 흡수부재(31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유통홀(3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통홀(311a)은 향 흡수부재(310)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내측을 향해 타공된 홀이고, 상기 제2유통홀(331b)은 복수 개의 상기 제1유통홀(311a)들 사이를 연통하도록 향 흡수부재(310) 외주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홀이다.
즉, 상기 제1유통홀(311a)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제2유통홀(311b)을 통해 인접한 제1유통홀(311a)들 사이를 유통하면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향 흡수부재(310)에 흡수되어 있는 향액은 공기가 제1유통홀(311a)과 제2유통홀(311b)을 유통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면서 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통홀(311)을 통해 향액의 확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10)은 식물을 수용하는 화분과 분리된 구조로 화분 내에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수단(300)을 구비하되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 발산 효과를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화분 주변으로 발산되는 향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하고, 발산되는 향이 실제 식물에서 발산되는 듯한 느낌을 전달함은 물론 인공의 화학물질로 제조된 탈취제 및 방향제를 대체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제 및 방향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화분 100: 제1용기
110: 내측면 111: 삽입부
112: 제1공기홀 113: 돌출가이드
114: 돌기 120: 외측면
200: 제2용기 210: 발향수단 수용부
220: 삽입홈부 221: 제2공기홀
222: 가이드홈 223: 돌기홀
224: 수평홀 225: 수직홀
300: 발향수단 310: 향 흡수부재
311: 유통홀 311a: 제1유통홀
311b: 제2유통홀 S: 향 발산 공간

Claims (10)

  1. 식물을 키우기 위해 배양토와 함께 식물을 담기 위한 화분에 있어서,
    식물과 배양토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되 내측면과 외측면이 구비된 이중 구조의 제1용기;
    테두리에 원형의 띠 형상의 발향수단 수용부가 마련되고, 상측으로 상기 제1용기가 삽입되되 상기 제1용기의 외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1용기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제2용기; 및
    상기 발향수단 수용부에 수용되어 화분 주변으로 향을 발산하는 발향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용기에는,
    상기 내측면의 외측 하부에 하측방향을 향해 원형으로 연장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에는,
    상기 삽입부와 대응되어 상기 제1용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방향을 향해 원형으로 연장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 내측으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용기와 상기 제2용기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홀이 타공된 제1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에는,
    상기 제1공기홀과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마다 홀이 타공된 제2공기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기홀과 상기 제2공기홀의 홀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1용기와 상기 제2용기가 결합될 경우 상기 삽입부 내부공간에서 상기 삽입홈부 외측까지 공기가 유통할 수 있고,
    상기 제1공기홀은,
    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기홀은,
    상기 제1용기가 상기 제2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공기홀과 상기 제2공기홀이 일치될 경우 상기 돌출가이드가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에는, 외측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부에는, 상기 돌기가 끼움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홀이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돌기홀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공기홀과 상기 제2공기홀이 일치될 경우 상기 제1용기가 상기 제2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정지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홀은, 수평방향으로 타공된 수평홀; 및 상기 수평홀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타공된 수직홀;을 포함하고,
    상기 발향수단은, 향을 발산할 수 있는 인공향료 및 천연향료 중 어느 하나이고, 액상 또는 고체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향수단은, 향을 발산하는 향액이 함침되고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 향 흡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향 흡수부재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으로부터 공기가 유통하기 위해 외주면에 유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유통홀은, 상기 향 흡수부재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내측을 향해 타공된 복수 개의 제1유통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유통홀들간 연통되도록 상기 향 흡수부재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유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14786A 2020-09-08 2020-09-08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 KR10227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786A KR102270376B1 (ko) 2020-09-08 2020-09-08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786A KR102270376B1 (ko) 2020-09-08 2020-09-08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376B1 true KR102270376B1 (ko) 2021-06-28

Family

ID=7660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786A KR102270376B1 (ko) 2020-09-08 2020-09-08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3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48U (ja) * 1993-06-28 1995-01-27 株式会社大阪製薬 植木鉢用芳香器
KR100639800B1 (ko) * 2005-04-30 2006-10-30 (주)코엑스프로젝트 다용도 방향제 휘산기
KR100839006B1 (ko) 2008-01-30 2008-06-17 염영철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48U (ja) * 1993-06-28 1995-01-27 株式会社大阪製薬 植木鉢用芳香器
KR100639800B1 (ko) * 2005-04-30 2006-10-30 (주)코엑스프로젝트 다용도 방향제 휘산기
KR100839006B1 (ko) 2008-01-30 2008-06-17 염영철 향 발생장치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베이스어스 자동차 송풍구 링 방향제(https://blog.naver.com/v150609/221587765534).2019.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US20010051234A1 (en) Fragrant artificial flower apparatus
US4165835A (en) Combined fragrance dispenser and humidifier
KR101737934B1 (ko)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US3848803A (en) Decorative room air treating device
KR20050043799A (ko) 인조 꽃
CA2126631A1 (en) Plant growing apparatus
JP2010017153A (ja) 植物栽培装置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US20030217507A1 (en) Pot plant stand with air cleaning function and plant pot for the stand
KR102270376B1 (ko)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
KR100639800B1 (ko) 다용도 방향제 휘산기
KR101669621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20220015858A (ko) 향 발생 기능이 구비된 화분
KR101329784B1 (ko) 화분 수납형 가습기
KR100825823B1 (ko)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철망화분
KR20210150666A (ko) 디퓨저가 결합된 화분
KR200320283Y1 (ko) 이중화분
JP2006158383A (ja) 植物栽培方法ならびにそれに用いる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具
KR20160095424A (ko) 다육식물 재배장치
KR101894368B1 (ko) 향 발생 기능이 있는 화분
KR960001057Y1 (ko) 관상용 화분
KR200402454Y1 (ko) 발향 조화 화분
KR101996948B1 (ko) 이중구조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