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727B1 - Lng 및 액체 질소를 위한 이중 극저온 카고 탱크를 구비한 선박/부유식 저장 유닛 - Google Patents

Lng 및 액체 질소를 위한 이중 극저온 카고 탱크를 구비한 선박/부유식 저장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727B1
KR102269727B1 KR1020197032091A KR20197032091A KR102269727B1 KR 102269727 B1 KR102269727 B1 KR 102269727B1 KR 1020197032091 A KR1020197032091 A KR 1020197032091A KR 20197032091 A KR20197032091 A KR 20197032091A KR 102269727 B1 KR102269727 B1 KR 102269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cryogenic storage
dual
li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228A (ko
Inventor
사티쉬 발라서브라마니안
오스틴 블랙커트
Original Assignee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캄파니 filed Critical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200013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2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large sea-borne storag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6/00Methods and apparatus for filling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13/02Ports for passing water through vessels'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66Shape complex divided in several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17C2205/0134Two or more vessel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luid connection between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7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f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4Nit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 F17C2227/044Methods for emptying or filling by pu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2Improving properties related to fluid or fluid transfer
    • F17C2260/021Avoiding over press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2Improving properties related to fluid or fluid transfer
    • F17C2260/025Reducing transfer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1Barges
    • F17C2270/0113Barges fl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 천연 가스(LNG) 및 액화 질소(LIN)의 이송을 위한 수계 운반선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은 선박의 길이를 따라 배열된다.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은 LNG 또는 LIN을 보유할 수 있다.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는 선박의 길이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는 LNG만을 보유한다.

Description

LNG 및 액체 질소를 위한 이중 극저온 카고 탱크를 구비한 선박/부유식 저장 유닛
관련 특허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3월 3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LNG 및 액체 질소를 위한 이중 극저온 카고 탱크를 구비한 선박/부유식 저장 유닛(SHIP/FLOATING STORAGE UNIT WITH DUAL CRYOGENIC CARGO TANK FOR LNG AND LIQUID NITROGEN)인 미국 특허출원 제62/478,96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문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액화 천연 가스(liquefied natural gas)(LNG) 형성을 위한 천연 가스 액화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천연 가스의 연안 및/또는 원거리 공급원으로부터의 LNG의 생산 및 전달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본 발명과 관련될 수 있는 당업계의 다양한 측면들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본 발명의 특정 측면들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한 체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섹션은 이러한 관점에서 읽어야 하며 반드시 선행 기술의 승인으로서 읽으면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LNG는 천연 가스가 풍부하게 공급되는 지역으로부터 천연 가스 수요가 많은 먼 지역으로 천연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급속 성장 중인 수단이다. 종래의 LNG 사이클은 a) 천연 가스 자원을 초기 처리하여, 물, 황 화합물 및 이산화탄소와 같은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 b) 자체 냉동, 외부 냉동, 희박 오일(lean oil) 등을 포함하는 각종 가능한 방법에 의해 프로판, 부탄, 펜탄 등과 같은 여러 중질 탄화수소 가스를 분리하는 단계; c) 외부 냉동에 의해 천연 가스를 실질적으로 냉동하여 대기압에서 또는 대기압 근처에서 약 -160℃에서 액화 천연 가스를 형성하는 단계; d)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계된 선박(ship) 또는 탱커(tanker) 내의 LNG 제품을 시장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및 e) 재가스화(regasification) 플랜트에서 LNG를, 천연 가스 소비자에게 배분될 수 있는 가압 천연 가스로 재가압 및 재가스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종래의 LNG 사이클의 단계 (c)는 대개 실질적인 탄소 및 다른 방출물을 방출하는 대형 가스 터빈 구동기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는 대형 냉동 압축기(refrigeration compressor)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수십억 미국 달러의 대규모 자본 투자 및 광범위한 사회 기반시설이 액화 플랜트의 일부로서 요구된다. 종래의 LNG 사이클의 단계 (e)는 일반적으로, 극저온 펌프(cryogenic pump)를 사용하여 LNG를 요구 압력으로 재가압하고, 이어서, LNG를 중간 유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해수와 열교환함으로써 또는 천연 가스의 일부를 연소시켜 LNG를 가열 및 증기화시킴으로써, LNG를 가압 천연 가스로 재가스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극저온 LNG의 이용 가능한 엑서지(exergy)는 활용되지 않는다.
종래의 LNG 사이클의 단계 (c) 및 (e)를, 액체 질소(LIN)를 냉각수로 사용하여 그리고 극저온 LNG의 엑서지를 사용하여 천연 가스를 액화시켜 질소 가스의 액화를 촉진시켜 LIN을 형성하고, 이후 LIN은 자원 위치로 이송되어 LNG 생산을 위한 냉동 공급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수정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LIN-대-LNG 개념은 선박 또는 탱커에서 자원 위치(익스포트 터미널(export terminal))로부터 시장 위치(임포트 터미널(import terminal))로의 LNG의 이송 및 시장 위치로부터 자원 위치로의 LIN의 역이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LIN-대-LNG 개념은 LIN을 LNG 액화 위치로 이송하고 LNG를 LNG 재가스화 위치로 이송하도록 고안된 하나 이상의 극저온 저장 탱크를 갖는 이중 사용 운반선(dual-use carrier)에서의 LIN 및 LNG의 이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2016년 11월 1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액체 질소를 저장하는 LNG 운반선에서의 천연 가스 액화 방법"인 공동 소유의 미국 특허출원 제15/348,00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전문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LIN-대-LNG 개념은 부유식 생산 유닛으로부터 천연 가스를 수용하는 액화선(liquefaction vessel)에서 LNG 액화가 이루어질 때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 개념은 육상 LNG 액화 시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알려진 이중 목적 운반선 내의 저장 탱크는 선수(bow)에서부터 선미(stern)까지 분포된다. LNG 및/또는 LIN의 종류와 양에 관계 없이 일정하고 동일한 흘수(draught)로 항해할 이중 목적 LIN/LNG 운반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액화 천연 가스(LNG) 및 액화 질소(liquefied nitrogen)(LIN)의 이송을 위한 수계 운반선(water-borne carrier)을 제공한다.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은 선박의 길이를 따라 배열된다.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은 LNG 또는 LIN을 보유할 수 있다.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는 선박의 길이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는 LNG만을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계 운반선 내의 액화 천연 가스(LNG) 및 액화 질소(LIN)의 이송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위치에서, LIN을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비운다. 제1 위치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운다. 추가의 저장 탱크는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LNG를 운반선을 사용하여 제2 위치로 이송하고, 여기서 LNG를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비운다.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제2 위치에서 LIN으로 채운다. LIN을 운반선을 사용하여 제1 위치로 이송한다.
본 발명은 수계 운반선 내의 액화 천연 가스(LNG) 및 액화 질소(LIN)의 이송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제1 위치에서, LIN을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비운다. 제1 위치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운다.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는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사이에 배치된다. LNG를 운반선을 사용하여 제2 위치로 이송하고, 여기서 LNG를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비운다.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제2 위치에서 LIN으로 채운다. LIN을 운반선을 사용하여 제1 위치로 이송된다. 제1 위치 및/또는 제2 위치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과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비우고 채우는 동안 운반선의 부하 균형이 유지된다.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은 제2 위치에서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기 전에 LNG를 비운다. 제2 위치에서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면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운다. 제1 위치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우면서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운다.
전술한 내용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들을 광범위하게 약술하였다. 추가의 특징들이 또한 여기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양태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 첨부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선박의 측면, 상면, 및 후면 절취도(cutaway view)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방법을 보여주는 간단한 개략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선박의 후면 절취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선박을 보여주는 간단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은 단지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추가로, 도면은 일반적으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을 예시함에 있어 편리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본원 내용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제 도면들에 도시된 특징들이 참조될 것이며, 특정 언어가 그 설명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그럼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의도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임의의 변경과 추가의 수정 및 임의의 추가 출원은 본 발명이 관련된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명료성을 위해, 본 발명과 관련 없는 몇몇 특징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서두에는, 참조의 용이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특정 용어 및 이 문맥에서 사용되는 이들의 의미가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가 아래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관련 기술 분야의 숙련가들이 적어도 하나의 인쇄물 또는 발행된 특허에 반영된 용어를 부여한 가장 넓은 정의가 주어져야 한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목적을 제공하는 모든 등가물, 동의어, 신규 개발 및 용어 또는 기술이 본 청구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본 기술은 아래에 나타낸 용어의 사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한 사람들은 동일한 특징 또는 구성 요소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문헌은 명칭만 상이한 구성 요소들과 특징들을 구별하지 않는다. 도면들은 반드시 크기 조정되지는 않는다. 본원의 일부 특징 및 구성 요소는 규모 또는 개략적인 형태로 과장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종래의 구성 요소들의 일부 세부 사항은 명확성 및 간결성을 위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단순화를 위해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다수의 도면에서 참조될 수 있다. 하기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including)" 및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자유로운 형식으로 사용되므로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관사 "the", "a" 및 "an"은 반드시 하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와 같은 요소들을 임의로 복수로 포함하도록 포괄적이며 개방적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략", "약", "실질적으로" 및 유사한 용어들은 본 개시의 주제가 관련된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사용법과 조합하여 넓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를 검토하는 당업자라면, 이들 용어는 제공된 정확한 숫자 범위로 이들 특징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면서 설명되고 청구된 특정한 특징들의 설명을 허용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 용어는 설명된 주제의 본질적이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은 변경 또는 대안이 기재된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시적인"은 본 명세서에서 독점적으로 사용되어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제공하는"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기재된 임의의 구현예 또는 양태는 다른 구현예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용어 "이중 목적 운반선"는 LIN 및/또는 LNG를 저장 및/또는 이송할 수 있는 선박을 지칭한다.
본 개시는 LNG 및 LIN의 안전한 저장, 선적(loading) 및 하역(offloading)을 위한 설비 및 극저온 저장 탱크를 구비한 수계 운반선 또는 선박 설계를 기술한다. 운반선은 횡방향 및/또는 종방향 재분할(subdivision)된 다수의 저장 구획 또는 카고 탱크(cargo tank)를 갖도록 계획된다. 카고 탱크는, 증발(boil-off)을 특정 값으로 제한하고 처리하기 위해, 극저온 카고 및 기능(feature) 시스템의 유체 하중, 온도 및 압력 한계에 대한 산업 표준을 충족하도록 설계된다. LIN 및 LNG용 전용 배관 및 전달 시스템이 포함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각각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수계 운반선, 선박(vessel), 바지(barge), 또는 선박(ship)(100)의 측면, 상면, 및 후면 절취도이다. 선박(100)은 선박의 길이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LNG 전용 극저온 탱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양태에서, LNG 전용 극저온 탱크(102)는 선박의 중심 축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박은 LNG 전용 극저온 탱크(102) 양쪽을 따라 배치된 제1 및 제2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104, 106)를 포함한다. 각각의 탱크(102, 104, 106)는 각각의 탱크를 재분할하여 선박 이동 과정에서 출렁임으로 인한 하중을 최소화시키는 배플(baffle)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단일 탱크로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탱크의 일례를 발명의 명칭이 "롱 탱크(Long Tank) FSRU/FLSV/LNGC"인 공동 소유의 미국 특허출원 제8,079,321호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의 전문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또는, 각각의 탱크(102, 104, 106)는 선박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는 일련의 더 작은 탱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박(100)은 탱크(102, 104, 106)의 구조를 따라 내용물을 극저온 상태로 유지하는 냉동 구성품(refrigeration component)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LNG만을 이송하는 LNG 전용 극저온 탱크(102)는 LNG 비점(즉, -162℃) 또는 그 미만이지만 반드시 질소의 비점(-196℃) 미만이지는 않는 온도에서 이의 내용물을 유지하도록 제작된다. 반면,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104, 106)는 LNG 또는 LIN를 보유할 수 있어, 이들 탱크는, 내부에 LIN이 보유되는 경우 질소의 비점 또는 그 미만에서 그리고 내부에 LNG가 보유되는 경우 LNG의 비점 또는 그 미만에서 이의 내용물을 유지하도록 제작된다. LNG를 LIN의 비점 미만으로 유지할 필요는 없다.
일양태에서, 선박(100)은 LNG 액화 위치일 수 있는 제1 위치로 LIN을 이송하도록 고안된다. 제1 위치에서, LIN은 천연 가스를 액화시키는 냉각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선박은 제1 위치로부터, LNG가 재가스화되는 재가스화 위치일 수 있는 제2 위치로 LNG를 이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원 개시된 양태에 따른 예시적 방법의 개략도이다. 이 개략도는 LNG 이송 및 전달 사이클(200)의 다양한 단계에 있는 선박(100)을 보여준다. LIN을 보유한 제1 및 제2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104, 106) 및 도 3a와 같이 비워진 LNG 전용 극저온 탱크(102)를 구비한 선박(100)은 천연 가스의 생산, 천연 가스의 액화, 및/또는 LNG의 저장에 관한 육지 기반 시설, 부유식 생산 저장 유닛(floating production and storage unit)(FPSU), 또는 임의의 기타 육상/해양 시설일 수 있는 제1 위치(202)에 도달한다. 제1 위치(202)에서, 제1 및 제2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는 LIN을 비워낸다. LIN은 천연 가스를 액화하여 LNG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다른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104, 106)가 LIN를 비워내면, LNG가 LNG 전용 극저온 탱크(102)로 펌핑될 수 있다. 또한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LIN을 제1 및 제2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104, 106)로부터 비워내면 LNG가 이들 탱크로 펌핑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LIN 및/또는 LNG의 완전 부하보다 적은 부하량을 가질 때 해수 형태의 밸러스트(ballast)가 밸러스트 탱크(110)로 도입되어 선박을 적절한 흘수로 유지 또는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양태에서, 탱크(102, 104, 106)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저장 및 충전 작업 동안 유사한 수준의 LNG로 채워지도록 설계되어, 선박이 앞뒤로 그리고 양옆으로 균형 잡힌 하중을 견디는 것을 보장한다. 선박이 원하는 LNG 용량으로 채워지면, 20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은 LNG를, 일양태에서 LNG 재가스화 시설(210) 및/또는 공기 분리 유닛과 같은 LIN 생산 시설(212)일 수 있거나 또는 그 근처일 수 있는 제2 위치로 이송한다. 이어서 LNG는 탱크(102, 104, 106)로부터 하역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제1 및 제2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104, 106)로부터 LNG가 우선 제거되고 이어서 LNG 전용 극저온 탱크(102)로부터 LNG가 제거된다. LNG의 재가스화 동안 추출된 LNG로부터의 냉 에너지(cold energy)는 공기 분리 유닛(212)에서 질소의 액화를 도와 LIN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LNG를 비워내거나 실질적으로 비워내면, 제1 및 제2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가 퍼징(purging)되어 임의의 잔류 LNG를 제거할 수 있다. 퍼징은 예를 들면 2017년 2월 24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이중 목적 LNG/LIN 저장 탱크를 퍼징하는 방법"이며 전문이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 공동 소유의 미국 가특허원 제62/463,274호에 개시된 방법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어서, LNG 전용 극저온 탱크(102)가 비워지는 동안, 제1 및 제2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104, 106)는 LIN으로 채워질 수 있다. LIN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적절한 부하 균형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선박에 선적된다. LIN이 선적된 선박은 이제 (20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202)로 돌아와서 사이클(200)을 반복한다.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LNG 액화 설비는 선박(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에 기재된 양태에 따른 부유식 생산 유닛(floating production unit)(FPU)(400) 및 액화선(402)을 도시한다. 천연 가스는 FPU(400)에서 생산되어 처리될 수 있다. FPU(400)는, 존재하는 경우, 생성된 천연 가스를 액화 및/또는 시판에 적합하게 만들기 위해 천연 가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가스 처리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불순물은 물, 증질 탄화수소, 사워 가스(sour ga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FPU는 처리된 천연 가스를 액화선으로 이송하기 전에 사전냉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사전냉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전냉각 수단은 심해 해수 회수 및 냉각, 기계 냉동, 또는 기타 공지된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사전냉각된 처리된 천연 가스는, 파이프라인 또는 기타 가요성 연결부(407), 및 하나 이상의 액화선에 연결되고 재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계류된 부유식의 분리형 터릿(moored floating disconnectable turret)(408)을 통해, FPU(400)로부터 액화선으로 이송될 수 있다. 선박(100)과 마찬가지로, 액화선(402)은 LNG 또는 LIN을 보유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 및 LNG만을 보유할 수 있는 LNG 전용 극저온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탱크는 이전 도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며, 간결성을 위해 다시 설명되지는 않을 것이다) 사전냉각된 처리된 천연 가스는, LIN 스트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증기화시키고 사전냉각된 처리된 천연 가스 스트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결시켜 LNG를 형성하기 위해, (액화선에 저장된 LIN으로부터의) LIN 스트림과 사전냉각된 처리된 천연 가스 스트림 사이에서 열을 교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는 LIN-대-LNG 공정 모듈(416) 내의 설비를 사용하여 액화선 상에서 액화될 수 있다. 적절한 LIN-대-LNG 공정 모듈의 일례가 2016년 11월 10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액체 질소를 저장하는 LNG 운반선에서의 천연 가스 액화 방법"인 공동 소유의 미국 특허출원 제15/348,00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의 전문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또한 액화선(402)은 액화 공정과 연계된 추가의 유틸리티 시스템(418)을 포함할 수 있다. 유틸리티 시스템(418)은 액화선(402)의 선체(hull) 내에 및/또는 액화선의 최상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LIN-대-LNG 공정 모듈(416)에서 생산된 LNG는 전술된 바와 같은 LNG 전용 극저온 탱크 또는 제1 또는 제2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LNG는 이송선으로서의 역할도 하는 액화선에서 생산되므로, 생산 현장에서 LNG의 수면 상에서의 전달은 없다. 본원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 및 LNG 전용 극저온 탱크는 각각 다수의 LIN 탱크, 다수의 LNG 탱크, 및 다수의 다목적 탱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도 4에 개시된 양태는 여러 이점들을 갖는다. 우선, 선박(100)에 근거한 액화선(402)의 설계는 액화 시설의 건설 및/또는 유지가 경제적으로 실행 불가한 원거리 육상 및 연안 위치에서 LNG를 생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LIN 및/또는 액체 질소 증발 가스(boil off gas)를 사용하여, 액화 공정의 턴다운(turndown) 또는 셧다운(shutdown) 동안 액화 설비를 차갑게 유지시킬 수 있다. LIN은 증기화된 질소를 액화시켜 액화 공정의 "공회전과 같은(idling-like)" 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팽창기 서비스에서 발견되는 압축기/팽창기 조합에 소형 헬퍼 모터(helper motor)가 부착되어, 액화 공정의 턴다운 또는 셧다운 동안 압축기/팽창기 서비스 회전(spinning)을 유지할 수 있다. 질소 증기를 사용하여, 액화선에서 LNG 생산 사이의 기간 동안 열교환기를 데밍(de-rime)할 수 있다. 또한, LNG 액화 동안 생성된 임의의 질소 증기는 대기로 배출될 수 있다.
개시된 측면들은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주 내로 유지되면서 여러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LNG 전용 극저온 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가의 LNG 전용 탱크들 중 하나가 도 1112번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내부에 보유된 LNG가 선박 추진(propulsion)용 연료로 사용된다. 다양한 탱크들의 배치는, 선박 안정성 고려사항에 따라 배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적/하역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열될 수 있다. 제1 LNG/LIN 선박 또는 운반선 상의 LIN은 제2 LNG 운반선 또는 LNG/LIN 운반선에 의해 이송될 LNG를 액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LNG/LIN 운반선은 제2 및/또는 제3 LNG/LIN 운반선으로부터 LIN을 사용하여 액화된 LNG로 선적될 수 있다. 또한, 선박(100)이, LIN 및/또는 LNG를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 또는 심지어 다른 위치에서 불확실한 시간 동안 저장하는 부유식 저장 유닛 또는 바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NG 전용 극저온 탱크(102)는, LNG 및 LIN를 저장 및 이송할 수 있는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LNG 및/또는 LIN은 임의의 바람직한 순서로 선박(100)에 선적 및/또는 하역될 수 있으며, 선박 상의 이러한 모든 이중 목적 극저온 탱크들은, 주어진 시간에, 탱크의 내용물에 따라, 그 내용물을 질소 및 메탄의 비점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수계 운반선에서 LNG 및 LIN을 이송하는 방법(500)의 흐름도이다. 블럭(502)에서, 제1 위치에서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운다. 블럭(504)에서, 제1 위치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운다. 추가의 저장 탱크는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는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일 수 있거나, LIN이 아닌 오직 LNG가 저장 및/또는 이송되도록 구성된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일 수 있다. 블럭(506)에서, LNG를 제2 위치로 이송한다. 블럭(508)에서, 제2 위치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운다. 블럭(510)에서, 제2 위치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운다. 블럭(512)에서, 운반선을 사용하여 LIN을 제1 위치로 이송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라 수계 운반선에서 LNG 및 LIN을 이송하는 방법(600)의 흐름도이다. 블럭(602)에서, 제1 위치에서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운다. 블럭(604)에서, 제1 위치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운다.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는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사이에 배치된다. 블럭(606)에서, LNG를 제2 위치로 이송한다. 블럭(608)에서, 제2 위치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운다. 블럭(610)에서, 제2 위치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운다. 블럭(612)에서, 운반선을 사용하여 LIN을 제1 위치로 이송한다. 블럭(614)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과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비우고 채우는 동안 제1 위치 및/또는 제2 위치에서 운반선의 부하 균형을 유지한다. 블럭(616)에서, 제2 위치에서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기 전에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NG를 비운다. 블럭(618)에서, 제2 위치에서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면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운다. 블럭(620)에서, 제1 위치에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우면서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운다.
도 5도 6에 기술된 단계들은 설명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특정 단계는 개시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도 5도 6은 수행될 수 있는 모든 단계를 도시하지는 않는다. 청구항이 그리고 청구항만이, 기재된 시스템 및 방법을 정의한다.
본원에 개시된 양태들은 공지된 기술에 비해 여러 이점들을 갖는다. 예를 들면, 개시된 탱크 재분할 및 배열의 이점은 선박의 항해 조건을 LIN 및 LNG 항해 둘 다와 유사하게 유지한다는 점이다. 또한, 재분할은 2개 카고의 동시 선적 및 배출이 제1 및 제2 위치에서 항구(port)에서 소비되는 시간을 최적화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이점은, 선박이 알려진 LNG 운반선과 유사하게 다양한 연료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수송 과정에서 그리고 항구에서 선박의 전력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LNG 선적물의 일부로서 청정 연소 디젤(clean burning diesel)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점은, 개시된 탱크 배열이 LNG/LIN 운반선이 종래의 LNG 운반선과 유사한 방식으로 항구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본원에 개시된 재분할 및 복수의 탱크는 LIN 및 LNG의 선적 및 하역시의 안정성 및 작동 용이성을 보장한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LNG 액화 공정에서 LNG를 사용하는 것은 추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LIN을 사용하여, LNG 생산, 이송 및/또는 하역 과정에서 LNG 전용 극저온 탱크(102) 및/또는 제1 및 제2 이중 목적 탱크(104, 106)로부터 LNG 증발 가스를 액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양태는, 저장된 액체 질소의 일부가 LNG가 저장되지 않는 기간 동안 LNG 전용 극저온 탱크를 차갑게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동(startup) 및 감소된 열 사이클링(thermal cycling)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의 이점을 갖는다.
본원의 양태는 하기 번호의 단락에 서술된 방법 및 시스템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임의의 수의 변형태가 구현될 수 있으므로, 모든 가능한 측면들의 전체 목록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1. 액화 천연 가스(LNG) 및 액화 질소(LIN)의 이송을 위한 수계 운반선으로서, 상기 선박의 길이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은 내부에 LNG 또는 LIN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수계 운반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길이를 따라 배열된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는 내부에 LNG만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수계 운반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은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들의 양쪽에 배열되는, 수계 운반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각각은 횡방향으로 재분할되는, 수계 운반선.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는 횡방향으로 재분할되는, 수계 운반선.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종방향 재분할부(subdivider)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계 운반선.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러스트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 시스템은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울 때 상기 운반선에 밸러스트를 추가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울 때 상기 운반선으로부터 상기 워터 밸러스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수계 운반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 중 적어도 하나에 보유된 LNG로부터 연료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추진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수계 운반선.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박 추진용 LNG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LNG 전용 극저온 연료 탱크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계 운반선.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운반선 상에 배치된 액화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액화 모듈은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보유된 LIN을 사용하여 제1 위치에서 수용된 천연 가스 스트림을 액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수계 운반선.
11. 수계 운반선 내의 액화 천연 가스(LNG) 및 액화 질소(LIN)의 이송 방법으로서,
제1 위치에서,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우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우는 단계로서, 상기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가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단계;
상기 운반선을 사용하여 상기 LNG를 제2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LNG를 비우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운반선을 사용하여 상기 LIN을 상기 제1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는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이고, LIN은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에 놓이지 않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LNG 액화 시설 가까이에 있는,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LNG 재가스화 시설 및 LIN 생산 시설 중 적어도 하나 가까이에 있는,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은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2개 이상의 행(row)들로 배열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는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2개 이상의 행들 사이로 배열되는,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기 전에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NG를 비우는 단계;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우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우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우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및/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과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비우고 채우는 동안 상기 운반선의 부하 균형을 유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이 LIN을 비울 때 상기 운반선에 워터 밸러스트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울 때 상기 운반선으로부터 상기 워터 밸러스트를 배출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는 단계는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에서 LNG의 운반선 연료 허용량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12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는 단계는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연료 탱크에서 LNG의 운반선 연료 허용량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에 LIN이 저장될 때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 액화 온도 또는 그 미만으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내부에 LNG가 저장될 때 LNG 액화 온도 또는 그 미만 및 LIN 액화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4. 제12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내부에 LNG가 저장될 때 LNG 액화 온도 또는 그 미만 및 LIN 액화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5. 제1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운반선 상에,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비워낸 LIN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 수용된 천연 가스 스트림을 액화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액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 중 적어도 하나를 채우는 상기 LNG를 생산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6. 수계 운반선 내의 액화 천연 가스(LNG) 및 액화 질소(LIN)의 이송 방법으로서,
제1 위치에서,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우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우는 단계로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가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사이에 배치된, 단계;
상기 운반선을 사용하여 상기 LNG를 제2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LNG를 비우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우는 단계;
상기 운반선을 사용하여 상기 LIN을 상기 제1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및/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과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비우고 채우는 동안 상기 운반선의 부하 균형을 유지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기 전에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NG를 비우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우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우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우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운반선 상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비워낸 상기 LIN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 수용된 천연 가스 스트림을 액화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액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 중 적어도 하나를 채우는 상기 LNG를 생산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전술한 설명은 대한 다수의 변경, 수정 및 대안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 및 이의 등가물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구조 및 특징은 변경, 재배열, 대체, 제거, 복제, 결합 또는 서로 추가될 수 있는 것으로도 간주된다.

Claims (27)

  1. 액화 천연 가스(LNG) 및 액화 질소(LIN)의 이송을 위한 수계 운반선(water-borne carrier)으로서,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은 내부에 LNG 또는 LIN을 보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배열된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는 내부에 LNG만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은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들의 양쪽에 배열되는, 수계 운반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각각은 횡방향으로 재분할되는, 수계 운반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는 횡방향으로 재분할되는, 수계 운반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종방향 재분할부(subdivider)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계 운반선.
  5. 제1항에 있어서, 밸러스트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 시스템은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울 때 상기 운반선에 워터 밸러스트를 추가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울 때 상기 운반선으로부터 상기 워터 밸러스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수계 운반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 중 적어도 하나에 보유된 LNG로부터 연료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추진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수계 운반선.
  7. 제1항에 있어서, 선박 추진용 LNG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LNG 전용 극저온 연료 탱크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계 운반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운반선 상에 배치된 액화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액화 모듈은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중 적어도 하나에 보유된 LIN을 사용하여 제1 위치에서 수용된 천연 가스 스트림을 액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수계 운반선.
  9. 수계 운반선 내의 액화 천연 가스(LNG) 및 액화 질소(LIN)의 이송 방법으로서,
    제1 위치에서,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우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우는 단계로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가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단계;
    상기 운반선을 사용하여 상기 LNG를 제2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LNG를 비우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우는 단계; 및
    상기 운반선을 사용하여 상기 LIN을 상기 제1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LIN은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에 보유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은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2개 이상의 행(row)들로 배열되고,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는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2개 이상의 행들 사이로 배열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LNG 액화 시설 가까이에 있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LNG 재가스화 시설 및 LIN 생산 시설 중 적어도 하나 가까이에 있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기 전에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NG를 비우는 단계;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우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우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우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또는 둘 다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과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비우고 채우는 동안 상기 운반선의 부하 균형을 유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이 LIN을 비울 때 상기 운반선에 워터 밸러스트를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울 때 상기 운반선으로부터 상기 워터 밸러스트를 배출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는 단계는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에서 LNG의 운반선 연료 허용량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는 단계는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연료 탱크에서 LNG의 운반선 연료 허용량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내부에 LIN이 저장될 때 LIN 액화 온도 또는 그 미만으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내부에 LNG가 저장될 때 LNG 액화 온도 또는 그 미만 및 LIN 액화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내부에 LNG가 저장될 때 LNG 액화 온도 또는 그 미만 및 LIN 액화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운반선 상에,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비워낸 LIN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 수용된 천연 가스 스트림을 액화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액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추가의 극저온 저장 탱크 중 적어도 하나를 채우는 상기 LNG를 생산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1. 수계 운반선 내의 액화 천연 가스(LNG) 및 액화 질소(LIN)의 이송 방법으로서,
    제1 위치에서,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우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우는 단계로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가 상기 운반선의 길이를 따라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사이에 배치된, 단계;
    상기 운반선을 사용하여 상기 LNG를 제2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LNG를 비우는 단계;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우는 단계;
    상기 운반선을 사용하여 상기 LIN을 상기 제1 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또는 둘 다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과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비우고 채우는 동안 상기 운반선의 부하 균형을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기 전에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NG를 비우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비우면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을 LIN으로 채우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로부터 LIN을 비우면서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를 LNG로 채우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 운반선 상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비워낸 상기 LIN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위치에서 수용된 천연 가스 스트림을 액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액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이중 목적 극저온 저장 탱크들 및 상기 LNG 전용 극저온 저장 탱크 중 적어도 하나를 채우는 상기 LNG를 생산하는,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97032091A 2017-03-30 2018-02-13 Lng 및 액체 질소를 위한 이중 극저온 카고 탱크를 구비한 선박/부유식 저장 유닛 KR102269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78961P 2017-03-30 2017-03-30
US62/478,961 2017-03-30
PCT/US2018/017992 WO2018182862A1 (en) 2017-03-30 2018-02-13 Ship/floating storage unit with dual cryogenic cargo tank for lng and liquid nitro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228A KR20200013228A (ko) 2020-02-06
KR102269727B1 true KR102269727B1 (ko) 2021-06-29

Family

ID=6202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091A KR102269727B1 (ko) 2017-03-30 2018-02-13 Lng 및 액체 질소를 위한 이중 극저온 카고 탱크를 구비한 선박/부유식 저장 유닛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696360B2 (ko)
EP (1) EP3601872B8 (ko)
JP (1) JP7022144B2 (ko)
KR (1) KR102269727B1 (ko)
CN (1) CN110476005A (ko)
AU (1) AU2018243432B2 (ko)
CA (1) CA3056863C (ko)
MY (1) MY196550A (ko)
SG (1) SG11201907952RA (ko)
WO (1) WO2018182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96550A (en) * 2017-03-30 2023-04-19 Exxonmobil Upstream Res Co Ship/Floating Storage Unit With Dual Cryogenic Cargo Tank for LNG and Liquid Nitrogen
DE102018129898B4 (de) * 2018-11-27 2021-02-04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Vorrichtung zum Mitführen von Treibstoff in einem Luft- und Raumfahrzeug
CN110091960B (zh) * 2019-05-09 2021-10-08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无横撑少制荡舱壁的超大型油船的货舱结构
US11465093B2 (en) 2019-08-19 2022-10-11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Compliant composite heat exchangers
US20210063083A1 (en) 2019-08-29 2021-03-04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Liquefaction of Production Gas
WO2021055074A1 (en) 2019-09-20 2021-03-2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Removal of acid gases from a gas stream, with o2 enrichment for acid gas capture and sequestration
JP2022548529A (ja) 2019-09-24 2022-11-21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Lng及び液体窒素のための船舶又は浮遊貯蔵ユニット上の両用極低温タンクのための貨物ストリッピング機能
CN111409776B (zh) * 2020-04-10 2021-10-01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液化气船菱形隔离空舱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1763A1 (en) * 2006-07-18 2010-10-07 Ntnu Technology Transfer As Apparatus and Methods for Natural Gas Transportation and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0547A (en) * 1966-11-02 1968-09-10 Williams Process for liquefaction of natural gas and transportation by marine vessel
JPS55123585A (en) * 1979-03-14 1980-09-24 Yamashita Shin Nippon Kisen Kk Pumping and drainage system for ballast water
JPH11115885A (ja) * 1997-10-14 1999-04-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油槽船
US20060000615A1 (en) * 2001-03-27 2006-01-05 Choi Michael S Infrastructure-independent deepwater oil field development concept
US7028489B1 (en) * 2003-12-22 2006-04-18 Harsco Technologies Corporation Over-pressurization protection system for cryogenic vessel
JP5282336B2 (ja) 2006-12-15 2013-09-04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ロングタンク型fsru/flsv/lngc
JP5229833B2 (ja) 2007-04-26 2013-07-03 エクソンモービル アップストリーム リサーチ カンパニー 独立型波形lngタンク
WO2009007439A2 (en) * 2007-07-12 2009-01-15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efying a gaseous hydrocarbon stream
KR100967815B1 (ko) * 2008-02-26 2010-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lng 저장탱크
EP2157013B1 (en) 2008-08-21 2012-02-22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Liquefied gas storage tank and marin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20100127470A (ko) * 2009-05-26 2010-1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저장탱크의 다열 배치 구조를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55049B1 (ko) * 2010-02-22 2019-12-11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탄화수소 프로세싱 베슬 및 방법
JP6143407B2 (ja) * 2010-12-07 2017-06-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KR101386543B1 (ko) * 2012-10-24 2014-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SG11201504439YA (en) * 2012-12-11 2015-07-30 Daewoo Shipbuilding & Marine Liquefied gas processing system for ship
JP5953363B2 (ja) * 2014-12-25 2016-07-20 三井造船株式会社 液化ガス貯蔵設備を備えた浮体構造物
US20170167785A1 (en) * 2015-12-14 2017-06-15 Fritz Pierre, JR. Expander-Based LNG Production Processes Enhanced With Liquid Nitrogen
CN108291767B (zh) * 2015-12-14 2021-02-19 埃克森美孚上游研究公司 在储存液氮的lng运输工具上的天然气液化的方法
US10663115B2 (en) * 2017-02-24 2020-05-26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 of purging a dual purpose LNG/LIN storage tank
MY196550A (en) * 2017-03-30 2023-04-19 Exxonmobil Upstream Res Co Ship/Floating Storage Unit With Dual Cryogenic Cargo Tank for LNG and Liquid Nitrog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51763A1 (en) * 2006-07-18 2010-10-07 Ntnu Technology Transfer As Apparatus and Methods for Natural Gas Transportation and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2862A1 (en) 2018-10-04
EP3601872B8 (en) 2023-02-08
KR20200013228A (ko) 2020-02-06
EP3601872B1 (en) 2023-01-04
AU2018243432A1 (en) 2019-09-19
US10696360B2 (en) 2020-06-30
CN110476005A (zh) 2019-11-19
JP2020512234A (ja) 2020-04-23
SG11201907952RA (en) 2019-10-30
AU2018243432B2 (en) 2021-08-19
EP3601872A1 (en) 2020-02-05
MY196550A (en) 2023-04-19
JP7022144B2 (ja) 2022-02-17
CA3056863A1 (en) 2018-10-04
US20180281905A1 (en) 2018-10-04
CA3056863C (en)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727B1 (ko) Lng 및 액체 질소를 위한 이중 극저온 카고 탱크를 구비한 선박/부유식 저장 유닛
EP3390940B1 (en) Method of natural gas liquefaction on lng carriers storing liquid nitrogen
CN110088521B (zh) 用于运输液化气的船舶和船舶的操作方法
US7360367B2 (en) Apparatus for cryogenic fluids having floating liquefaction unit and floating regasification unit connected by shuttle vessel, and cryogenic fluid methods
US10359229B2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US20120324910A1 (en) Articulated Tug and Barge Arrangement for LNG Storage, Transportation and Regasification
AU2017207324B2 (en) Natural gas liquefaction vessel
Aspelund et al. A liquefied energy chain for transport and utilization of natural gas for power production with CO2 capture and storage–Part 3: The combined carrier and onshore storage
US20140290281A1 (en) Articulated tug and barge arrangement for LNG storage, transportation and regasification
KR20220033068A (ko)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2333068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
KR102553159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150447A (ko) 액화가스 급유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