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678B1 -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678B1
KR102269678B1 KR1020190082035A KR20190082035A KR102269678B1 KR 102269678 B1 KR102269678 B1 KR 102269678B1 KR 1020190082035 A KR1020190082035 A KR 1020190082035A KR 20190082035 A KR20190082035 A KR 20190082035A KR 102269678 B1 KR102269678 B1 KR 102269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composition
weight
honeycomb board
adhesive
lin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134A (ko
Inventor
강건우
최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펄슨피비
강건우
최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펄슨피비, 강건우, 최덕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펄슨피비
Priority to KR1020190082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6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3/00Making articles of cellular structure, e.g. insulating board
    • B31D3/02Making articles of cellular structure, e.g. insulating board honeycombed structures, i.e. the cells having an essentially hexagonal section
    • B31D3/0292Making articles of cellular structure, e.g. insulating board honeycombed structures, i.e. the cells having an essentially hexagonal section involving auxiliary operations, e.g. expanding, moistening, glue-applying, joining, cont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4Secondary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 향상용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하여 발수성, 발유성, 그리고 기존 목재 패널을 대체할 정도의 고강도를 유지하는 한편, 표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하여 질감과 시각적으로 우수한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지(古紙)를 재생하여 형성하고 강도 향상을 위해 외면과 내면에 1차 코팅 조성물과 2차 코팅 조성물이 순차적으로 도포 및 경화처리되어 가공된 라이너지를 이용해 제조하여 내부에 육각형 코어가 형성된 심지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을 상기 라이너지의 내면과 외면에 4~14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라이너지의 내면과 외면에 도포된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을 110~150℃의 온도로 경화시키는 단계; 경화된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내부에 육각형 코어가 형성된 심지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상기 2차 코팅 조성물을 4~14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도포된 상기 제2 코팅 조성물을 110~150℃의 온도로 경화시키는 단계; 제조된 허니콤 보드를 70~90℃ 온도에서 2~4초 동안 경화처리하는 단계; 경화 처리된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고,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은 열경화성수지인 에폭시수지 5~35중량%, 멜라민수지 5~35중량%, 폴리졸 3~28중량%, 메탄올 3~8중량%, 파라핀왁스 EP-1400과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이 9:1로 혼합된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방수제 10~30중량%, 나머지는 물이 혼합되고,
상기 2차 코팅 조성물은 우레탄 25~45중량%, 메탄올 45~65중량%, 나머지는 티뉴빈(tinubin)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로 혼합된 가구 자재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FURNITURE MATERIALS MANUFACTURED BY USING THE LINER PAPE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강도 향상용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하여 발수성, 발유성, 그리고 기존 목재 패널을 대체할 정도의 고강도를 유지하는 한편, 표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하여 질감과 시각적으로 우수한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구 자재로는 가공성과 강도가 매우 우수한 목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목재는 폐기시 환경 오염이 유발되고, 폐기시 처리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전체 사용량의 8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자원 고갈로 인한 목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가구 제조 단가가 상승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유럽을 중심으로 선진국들은 목재를 대체할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목재를 대체할 제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제품 중 하나가 종이이다.
즉, 종이를 가공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강도가 향상된 종이를 가구 자재에 접목시켜 가구를 제조하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우리나라가구산업에서는 목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가구를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368875호(등록일 : 2003 01 08)와, 제 10-1085075호(등록일 : 2011 11 14)에는 가구자재로 활용이 가능한 건축용 내외장재가 제안된 바 있었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에서는 고지(폐지)를 이용하여 건축용 내외장재를 제조하였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5075호에서는 판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초산비닐수지 에멀젼 접착제, 일라이트, 기화성 방청제, 방염제, 메탄올 및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코팅 조성물을 제안하고, 제안된 코팅 조성물을 고지를 재생한 원지의 외면에 코팅처리하여 강도가 향상된 판지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85075호에서 제안된 판지를 복수개로 적층시킨 후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압착하여 합판형태로 제조된 친환경 건축용 내외장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68875호에 제안된 건축용 내외장재에 비해 어느 정도 강도 향상을 이끌어 내어 가구 자재로 활용될 수는 있으나, 강도를 제외한 기능적인 부분에서는 아직까지 미흡하여 기능성 가구 자재의 연구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368875호(공고일 : 2003.01.2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85075호(공고일 : 2011.11.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에 한정적으로 가구 재료로 사용된 목재의 대체품으로서 가공, 절단, 접합하는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여 가공이 용이하고, 종래 종이의 단점인 방수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기능성을 부여하여 질감과 시각적으로 우수성을 갖는 다양한 가구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지(古紙)를 재생하여 형성하고 강도 향상을 위해 외면과 내면에 1차 코팅 조성물과 2차 코팅 조성물이 순차적으로 도포 및 경화처리되어 가공된 라이너지를 이용해 제조하여 내부에 육각형 코어가 형성된 심지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을 상기 라이너지의 내면과 외면에 4~14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라이너지의 내면과 외면에 도포된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을 110~150℃의 온도로 경화시키는 단계;
경화된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내부에 육각형 코어가 형성된 심지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상기 2차 코팅 조성물을 4~14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도포된 상기 제2 코팅 조성물을 110~150℃의 온도로 경화시키는 단계;
제조된 허니콤 보드를 70~90℃ 온도에서 2~4초 동안 경화처리하는 단계;
경화 처리된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를 통해 제조되고,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은 열경화성수지인 에폭시수지 5~35중량%, 멜라민수지 5~35중량%, 폴리졸 3~28중량%, 메탄올 3~8중량%, 파라핀왁스 EP-1400과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이 9:1로 혼합된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방수제 10~30중량%, 나머지는 물이 혼합되고,
상기 2차 코팅 조성물은 우레탄 25~45중량%, 메탄올 45~65중량%, 나머지는 티뉴빈(tinubin)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로 혼합된 가구 자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지(古紙)를 재생하여 형성하고 강도 향상을 위해 외면과 내면에 1차 코팅 조성물과 2차 코팅 조성물이 순차적으로 도포 및 경화처리되어 가공된 라이너지를 이용해 제조하여 내부에 육각형 코어가 형성된 심지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은 열경화성수지인 에폭시수지 5~35중량%, 멜라민수지 5~35중량%, 폴리졸 3~28중량%, 메탄올 3~8중량%, 파라핀왁스 EP-1400과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이 9:1로 혼합된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방수제 10~30중량%, 나머지는 물이 혼합되고, 상기 2차 코팅 조성물은 우레탄 25~45중량%, 메탄올 45~65중량%, 나머지는 티뉴빈(tinubin)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로 혼합된 가구 자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을 상기 라이너지의 내면과 외면에 4~14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라이너지의 내면과 외면에 도포된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을 110~150℃의 온도로 경화시키는 단계; 경화된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내부에 육각형 코어가 형성된 심지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상기 2차 코팅 조성물을 4~14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도포된 상기 제2 코팅 조성물을 110~150℃의 온도로 경화시키는 단계; 제조된 허니콤 보드를 70~90℃ 온도에서 2~4초 동안 경화처리하는 단계; 경화 처리된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에 육각형 코어가 형성된 심지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는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데,
복수의 심지 롤에 의해 상기 라이너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심지를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되는 상기 심지 롤의 일면에 접착 롤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제 도포 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복수의 심지가 가압 유니트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통과되면서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에 의해 일부분이 부착되는 가압 단계; 상기 가압 유니트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일부분이 부착된 심지군을 단위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단위 길이로 절단된 상기 심지군의 양 끝단부를 잡아당겨서 펼쳐지도록 하는 단계;펼쳐진 상기 단위 길이의 복수 심지의 다른 양쪽 끝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라이너지를 부착하여 상기 허니콤 보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구 자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도 향상용 1차 및 2차 코팅 조성물이 도포된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허니콤 보드를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허니콤 보드를 가구 자재로 사용함으로써 발수성, 발유성, 그리고 기존 목재 패널을 대체할 정도의 고강도를 유지하면서 가공, 절단, 접합하는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여 가공이 용이하다.
또한, 표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하여 질감과 시각적으로 우수성을 갖는 가구 자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한정적으로 가구 재료로 사용된 목재의 대체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의 목재에 비해 월등히 가볍고, 폐기시 100% 재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목재에 비해 가격이 현저하게 저렴함에 따라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 자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구 자재용 허니컴 보드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템플릿 부재 및 접착제가 도포되는 심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 자재를 이용하여 실제 제조된 가구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자재에 코팅되는 1차 코팅 조성물은 열경화성수지인 에폭시수지 및 멜라민수지, 폴리졸, 메탄올, 방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강도 향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1차 코팅 조성물의 혼합비는 열경화성수지인 에폭시수지 5~35중량%, 멜라민수지 5~35중량%, 폴리졸 3~28중량%, 메탄올 3~8중량%, 파라핀왁스 EP-1400과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이 9:1로 혼합된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방수제 10~30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은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1차 코팅 조성물은 총 합이 100중량%가 되지 않는 경우 나머지는 물로 채워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가구 자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 자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공지된 기술로 고지(古紙)를 100%로 재생하여 라이너지를 제조한다.
이후, 고지를 재생하여 제조된 라이너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열경화성수지인 에폭시수지 5~35중량%, 멜라민수지 5~35중량%, 폴리졸 3~28중량%, 메탄올 3~8중량%, 파라핀왁스 EP-1400과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이 9:1로 혼합된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방수제 10~30중량%로 혼합하여 제조된 1차 코팅 조성물을 라이너지의 내면과 외면에 일정량, 예를 들면 4~14g/m2, 바람직하게는 8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한다(S11).
이후, 라이너지의 내면과 외면에 도포된 1차 코팅 조성물을 110~150℃, 바람직하게는 140℃의 표면 온도를 유지하는 열롤러를 이용하여 2~4초, 바람직하게는 3초 동안 접촉시켜 경화시킨다(S12).
이외에도,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은 열풍을 이용하여 경화시킬 수도 있다.
이후, 가공된 라이너지를 롤(roll) 형태로 둘둘 감아 허니콤 보드 제조장치의 롤러에 끼운 후 대략 육각형 코어(허니콤 모양)가 형성된 심지를 갖는 허니콤 보드를 제조한다(S13).
이후, 우레탄 25~45중량%과 메탄올 45~65중량%, 나머지는 티뉴빈(tinubin)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로 혼합된 2차 코팅 조성물을 제조된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일정량 도포한다(S14).
예를 들면 2차 코팅 조성물은 4~14g/m2, 바람직하게는 8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한다. 이때, 상기 2차 코팅 조성물은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2차 코팅 조성물은 총 합이 100중량%가 되지 않는 경우 나머지는 물로 채워질 수 있다.
이후, 상기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도포된 2차 코팅 조성물을 110~150℃ 온도에서 경화시킨다(S15).
상기 단계 S14에서와 같이, 라이너지의 외면과 내면에 강도 향상을 위해 부가하기 위하여 2차 코팅 조성물을 추가로 도포하되, 허니콤 보드를 제조한 후 그 외면에 도포한 후 실시하는 이유는 1차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상태에서 2차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경우 라이너지의 고유한 흡수성 때문에 2차 코팅 조성물의 일부가 허니콤 보드를 구성하는 라이너지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차 코팅 조성물을 라이너지의 외면과 내면에 도포하여 1차 코팅 조성물 피막을 일정 두께로 형성한 상태에서,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1차 코팅 조성물 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기능성 2차 코팅 조성물을 그 상면에 도포함으로써 1차 코팅 조성물의 피막으로 인해 2차 코팅 조성물이 허니콤 보드에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어 2차 코팅 조성물이 흡수되어 피막이 얇아져 기능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구 자재를 구성하는 허니콤 보드의 제조 장치의 개략도로서, 본 발명의 라이너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심지(10)를 이송시키는 심지 롤(20)과, 심지 롤(20)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의 심지(10)가 합해지면서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 유니트(30)와, 심지 롤(20)과 가압 유니트(30)사이에서 각 심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포되고 심지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하는 접착 롤(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접착 롤(40)에는 복수의 구멍(52)이 형성된 템플릿 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템플릿 부재(50)의 구멍(52)을 통해 접착 롤(40)의 접착제가 통과하여 이송되는 심지(10)에 도포되어 접착제 도포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유니트(30)은 심지(10)를 가압하면서 통과되도록 이웃하는 한쌍의 제1 가압 롤러(31)와 제2 가압 롤러(32)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가압 롤러(31)와 제2 가압 롤러(32)는 통과되는 심지(10)의 두께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탄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제1 가압 롤러(31)에 탄지되는 제1 탄성부재(33)와, 제2 가압 롤러(32)에 탄지되는 제2 탄성부재(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제1 가압 롤러(31)와 제2 가압 롤러(32)는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되고, 회전시 탄성부재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는 제1 가압 롤러(31)와 제2 가압 롤러(32)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후방에 마련된 구동수단과 탄지되어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 롤(40) 및 템플릿 부재(50)는 복수의 심지(10) 모두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맨위와 맨 아래에 위치하는 심지에는 구비하지 않고, 그 사이에는 모두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수의 심지가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제1 가압 롤러(31)와 제2 가압 롤러(32) 사이의 통과시, 맨위와 맨 아래의 심지의 바깥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으므로, 제1 가압 롤러(31)와 제2 가압 롤러(32)와 접촉하면서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33) 또는 제2 탄성부재(34)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텐션 조정부재(60)가 갖추어질 수 있다.
복수의 심지가 제1 가압 롤러(31)와 제2 가압 롤러(32) 사이를 통과할때, 통과되는 심지의 갯수에 따라 제1 가압 롤러(31)와 제2 가압 롤러(32)는 탄성부재의 지지를 받으면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텐션 조정부재(60)는 제1 탄성부재(33) 또는 제2 탄성부재(34)중 어느 한쪽에서 제1 가압 롤러(31) 또는 제2 가압 롤러(32)중 어느 한쪽의 초기 가압 세기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대신에 실린더로 대체하여 제1 가압 롤러(31) 및 제2 가압 롤러(32)에 가압력이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라이너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심지가 가압 유니트(30)를 통과한 다음에는, 소정의 단위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양쪽 끝단부를 취부편으로 취부시킨 상태에서 잡아 당겨서 허니콤 모양의 심지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취부편이 취부되지 않은 다른 양쪽 끝단부에는 별도의 접착 롤러를 통과시켜서 접착제를 도포시킨 다음,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라이너지가 감겨진 롤러의 이송에 따라 허니콤 모양의 심지를 통과시키면서 부착하여 내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허니콤 보드를 70~90℃, 바람직하게는 80℃ 온도에서 2~4초 동안 경화시킨다(S16).
이때, 경화 공정은 열 챔버를 이용하여 80℃에서 3초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이후, 응용장치 내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을 공급하여 용융시킨 후, 필름성형장치를 이용하여 0.2~0.32mm의 두께로 폴리에틸렌 필름, 즉 PE 필름을 성형한다.
이후, 단계 S16을 통해 제조된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성형된 PE 필름을 합지시킨다(S17). 이때, 합지공정은 합지롤러를 이용하여 허니콤 보드와 PE 필름을 합지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PE 필름이 열처리 과정을 통해 견고하게 합지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 자재를 이용하여 실제 제조된 가구들을 촬영한 사진들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구 자재의 제조방법은 허니콤 보드를 제조하기 전, 허니콤 보드의 소재로 사용될 라이너지의 외면에 1차 코팅 조성물을 도포 및 반경화시켜 라이너지가 일정 강도를 갖는 상태에서 허니콤 보드를 제조함으로써 허니콤 보드의 제조가 단순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강도 향상용 1차 코팅 조성물이 도포 및 경화된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허니콤 보드를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우레탄을 포함하는 2차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시켜 제조된 허니콤 보드를 가구 자재로 활용함으로써 발수성, 발유성, 그리고 기존 목재 패널을 대체할 정도의 고강도를 유지하면서 가공, 절단, 접합하는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여 가공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하여 질감과 시각적으로 우수성을 갖는 가구 자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한정적으로 가구 재료로 사용된 목재의 대체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의 목재에 비해 월등히 가볍고 폐기시 100% 재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목재에 비해 가격이 현저하게 저렴함에 따라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다.
10 : 심지 11 : 접착제 도포부
20 : 심지 롤 30 : 가압 유니트
31 : 제1 가압 롤러 32 : 제2 가압 롤러
33 : 제1 탄성부재 34 : 제2 탄성부재
40 : 접착 롤 50 : 템플렛 부재
52 : 구멍 60 : 텐션 조정부재

Claims (4)

  1. 삭제
  2. 고지(古紙)를 재생하여 형성하고 강도 향상을 위해 외면과 내면에 1차 코팅 조성물과 2차 코팅 조성물이 순차적으로 도포 및 경화처리되어 가공된 라이너지를 이용해 제조하여 내부에 육각형 코어가 형성된 심지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은 열경화성수지인 에폭시수지 5~35중량%, 멜라민수지 5~35중량%, 폴리졸 3~28중량%, 메탄올 3~8중량%, 파라핀왁스 EP-1400과 폴리올레핀계 화합물이 9:1로 혼합된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방수제 10~30중량%, 나머지는 물이 혼합되고,
    상기 2차 코팅 조성물은 우레탄 25~45중량%, 메탄올 45~65중량%, 나머지는 티뉴빈(tinubin)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차단제로 혼합된 가구 자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을 상기 라이너지의 내면과 외면에 4~14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라이너지의 내면과 외면에 도포된 상기 1차 코팅 조성물을 110~150℃의 온도로 경화시키는 단계;
    경화된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내부에 육각형 코어가 형성된 심지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상기 2차 코팅 조성물을 4~14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도포된 상기 제2 코팅 조성물을 110~150℃의 온도로 경화시키는 단계;
    제조된 허니콤 보드를 70~90℃ 온도에서 2~4초 동안 경화처리하는 단계;
    경화 처리된 허니콤 보드의 외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에 육각형 코어가 형성된 심지를 포함하는 허니콤 보드는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데,
    복수의 심지 롤에 의해 상기 라이너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심지를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되는 상기 심지 롤의 일면에 접착 롤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제 도포 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복수의 심지가 가압 유니트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로 통과되면서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에 의해 일부분이 부착되는 가압 단계;
    상기 가압 유니트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일부분이 부착된 심지군을 단위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단위 길이로 절단된 상기 심지군의 양 끝단부를 잡아당겨서 펼쳐지도록 하는 단계;
    펼쳐진 상기 단위 길이의 복수 심지의 다른 양쪽 끝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라이너지를 부착하여 상기 허니콤 보드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유니트는,
    서로 인접한 2개의 가압 롤러, 상기 각 가압 롤러의 가압 상태가 가변되도록 각각 연결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 상태가 조절되고,
    상기 접착 롤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제 도포 단계는,
    각 심지마다 구비되는 접착 롤과, 상기 접착 롤의 일면에 마련되는 템플렛 부재의 구멍을 통해 이송되는 심지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접착 롤의 접착제가 도포되는 가구 자재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90082035A 2019-07-08 2019-07-08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69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035A KR102269678B1 (ko) 2019-07-08 2019-07-08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035A KR102269678B1 (ko) 2019-07-08 2019-07-08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134A KR20210006134A (ko) 2021-01-18
KR102269678B1 true KR102269678B1 (ko) 2021-07-05

Family

ID=7423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035A KR102269678B1 (ko) 2019-07-08 2019-07-08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6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03B1 (ko) * 2007-07-03 2009-05-08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무기도막탄성 방수제의 무용제 우레탄 상도 코팅제
KR101175530B1 (ko) * 2012-02-16 2012-08-22 이피아이주식회사 종이 합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3096B1 (ko) * 2013-04-17 2013-09-06 주식회사 펄슨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875B1 (en) 2002-08-19 2003-01-24 Bo Yeun Hwa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for construction by using waste paper
US20080145602A1 (en) * 2006-12-15 2008-06-19 Gary Lee Hendren Processes for making shaped honeycomb and honeycombs made thereby
KR101085075B1 (ko) 2011-08-29 2011-11-21 주식회사 태력 판지의 강도 향상용 코팅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판지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내외장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503B1 (ko) * 2007-07-03 2009-05-08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무기도막탄성 방수제의 무용제 우레탄 상도 코팅제
KR101175530B1 (ko) * 2012-02-16 2012-08-22 이피아이주식회사 종이 합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3096B1 (ko) * 2013-04-17 2013-09-06 주식회사 펄슨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134A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4016A (en) Reinforced paper products
EP2324989B1 (en) Method for making a laminated paint roller
US10226909B2 (en) Laminated moisture resistant poultry box and process
WO2006071920A3 (en) Composite structural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00062233A1 (en) Methods for converting used paper material into structural panels, and structural panels made thereby
KR950701750A (ko) 전자요소를 포함하는 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카드(method for producing a card with at least one electronic component, and card thereby obtained)
RU2005125183A (ru) Компенса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в частности противорастягивающий импрегнат, для плит ламинированных полов, плита ламинированного пола с таким компенсационным элементом,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10307994B2 (en) Composite board composed of wood material
EP3548243B1 (en) Floor til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of
RU2765643C2 (ru) Древесно-стружечная плита
KR102269678B1 (ko)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US1299747A (en) Wood veneer.
DE2632103A1 (de) Verstaerkte papierprodukte und verfahren sowie vorrichtung fuer deren herstellung
US4232074A (en) Reinforced paper product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WO2008078003A1 (en) Wood pa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269677B1 (ko) 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SE1150965A1 (sv)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skivformat sandwichmaterial med wellpappkärna och ytskikt av härdad spånmatta
KR101303096B1 (ko) 라이너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구 자재 및 그의 제조방법
AU2016238861B2 (en) Corrugated Paperboard Product
FI75758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skivor.
KR101637154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가구용 경량패널의 제조방법
CN217455178U (zh) 材料板
KR100786780B1 (ko) 폐수지도공지의 재생 방법 및 그에 따른 재생지
KR102269680B1 (ko) 라이너지 강도 향상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허니콤 보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패널
JPH10109383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