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205B1 -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 Google Patents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205B1
KR102269205B1 KR1020190131385A KR20190131385A KR102269205B1 KR 102269205 B1 KR102269205 B1 KR 102269205B1 KR 1020190131385 A KR1020190131385 A KR 1020190131385A KR 20190131385 A KR20190131385 A KR 20190131385A KR 102269205 B1 KR102269205 B1 KR 10226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testing machine
bearing structure
holding force
fix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589A (ko
Inventor
허윤혁
성한결
조리라
박찬진
고경호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2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치과에서 사용되는 보철물과 지대주간의 결합을 위한 시멘트의 유지력을 측정하는데에 있어서 오차범위를 최소화함으로써, 낮은 표준편차값을 도출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Jig for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bearing structure for objective retention evaluation of dental prostheses}
본 발명은 주로 치과에서 사용되는 보철물과 지대주간의 결합을 위한 시멘트의 유지력을 측정하는데에 있어서 오차범위를 최소화함으로써, 낮은 표준편차값을 도출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인공치아) 또는 이러한 인공치아를 구강의 치조골에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상실된 치아를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인공 치근을 치아가 빠져나간 부분의 치조골, 즉 결손부위에 식립한 뒤, 상기 인공 치근에 인공 치관을 고정시켜 인공적으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 또는 인공치아를 말한다.
일반적인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주위 치아와 골조직(치조골)이 상하지만 상기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에 해를 입히지 않으며, 자연 치아와 비교하여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임플란트 주위의 골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일 예는, 인공치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의 상부에 부착되는 보철물과, 인공 치근으로서 결손부위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매식체(Fixture)와, 상기 지대주를 매식체에 고정시키는 지대주 고정스크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대주와 보철물은 통상적으로 시멘트에 의해 접착되는 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시멘트의 유지력에 대한 성적평가는 임상 적용 전에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한편, 위와 같은 유지력 평가를 위해 치과나 또는 기공소에서 사용되는 장비로서, 통상적으로 만능재료시험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만능재료시험기(UTM:Universal Testing Machine)란, 재료의 기계적 성질에 관하여 시험하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서, 시험편이나 가하는 하중의 종류에 따라 인장 시험기, 압축 시험기, 비틀림 시험기, 굽힘 시험기, 경도 시험기, 충격 시험기, 피로 시험기 등이 있으며, 시험에 따라 그립(Grip)만 교환해가며 수행하는 규격별 시험을 포함하여 환경챔버를 장착한 후 실제 환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시험편의 물성시험을 실시함으로써 각종 물성, 이를테면 인장, 인열, 굴곡, 압축강도를 비롯하여 박리강도, COF(정마찰, 동마찰계수측정), IFD, ILD(경도시험), W굴곡 등 다양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험기기를 말한다.
또한, 만능재료시험기는 유압식과 공간식으로 분류되며, 앞에 것의 대표적인 것은 암슬러식 시험기, 뒤의 것은 올젠식 시험기가 있고, 또 공간식에는 모르식 시험기가 있다.
이러한 만능재료시험기의 다양한 물성 시험 중,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험은 인장시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탈락력) 즉, 인장성을 시험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인장 시험은 보철물의 외부에 와이어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레진을 이용하여 시험하는 방법과, 금속재질의 지그를 제작하여 상부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와이어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인장시험을 하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보철물 또는 동일 형태의 보철물에 대한 장축방향의 오차가 발생되었고, 고정장치인 지그의 미세한 3차원적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시험횟수를 통해 표준편차값을 구해야 하는 시간적, 경제적인 낭비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측정값에 대한 오차범위가 크고 서로 다른 실험군 간의 대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수직력을 측정 및 스캔하는 별도의 전자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는 바, 이러한 전자장비의 경우 고가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비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8696호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보철물과 지대주간의 결합을 위한 시멘트의 유지력을 측정하는데에 있어서, 기존의 와이어방식이 아닌 반구 형태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상부지그 및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장축방향의 오차와 지그 자체의 3차원적 오차를 보정 가능함으로써, 유지력 측정값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와이어를 이용한 인장 시험의 횟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시험 횟수로도 측정값의 낮은 표준편차값을 도출가능하여, 다양한 시편의 실험군에 대한 통계적인 우수함은 물론, 각 실험군의 측정값의 대조가 용이한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지그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한 쌍의 삽입홈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시편을 적용할 수 있는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는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만능재료시험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지그에 있어서,
측정하고자 하는 시편(10)이 삽입고정되도록 일측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삽입홈(110)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내주면이 아치형상으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공(121)이 구비된 가이드부(120)가 형성되는 함체 형상의 고정지그(100); 및 상기 베이스지그의 가이드부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반구형상의 베어링부재(210)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재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핀부재(220)로 이루어진 상부지그(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지그 및 상부지그는 상기 중공의 내경의 크기에 비해 상기 핀부재의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삽입홈(110)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그 및 상부지그는 티타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지그는 상기 핀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프레임(3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최외측단부를 연결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면에는 레일홈(321)이 구비된 링형레일(320)이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의 레일홈에 일측이 삽입되도록 구 형상의 이송부재(331)와, 상기 이송부재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연장핀(332)으로 이루어진 이송구(330)로 구성되는 측정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보철물과 지대주간의 결합을 위한 시멘트의 유지력을 측정하는데에 있어서, 기존의 와이어방식이 아닌 반구 형태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상부지그 및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장축방향의 오차와 지그 자체의 3차원적 오차를 보정 가능함으로써, 유지력 측정값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와이어를 이용한 인장 시험의 횟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시험 횟수로도 측정값의 낮은 표준편차값을 도출가능하여, 다양한 시편의 실험군에 대한 통계적인 우수함은 물론, 각 실험군의 측정값의 대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지그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한 쌍의 삽입홈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시편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기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의 일측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지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2는 종래기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의 일측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지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술한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는 크게 고정지그(100) 및 상부지그(20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지그는 측정하고자 하는 시편(10)이 삽입고정되도록 일측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삽입홈(110)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내주면이 아치형상으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공(121)이 구비된 가이드부(120)가 형성되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시편은 통상적으로 임플란트에 연결되는 지대주와, 상기 지대주에 시멘트에 의해 결합되는 보철물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단부에 레진을 이용하여 시험에 사용하기 용이한 형태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그를 자세히 설명하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단부의 일측 축방향에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하단부가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상기 시편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타측 축방향은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지그의 하부측에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관통공(1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은 후술되는 상부지그의 베어링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부지그가 상기 관통공을 통해 고정지그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그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삽입홈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시편의 지대주 부분은 어금니, 송곳니 등 치아의 형태는 물론, 환자의 치아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대주의 크기에 따라 삽입홈을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지그의 베어링부재와 접촉되는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내주면이 아치형상의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베어링부재의 곡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지그는, 상기 베이스지그의 가이드부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반구형상의 베어링부재(210)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재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핀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어링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지그의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반구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부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회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베어링부재는 인장 시험 시, 시편 및 고정지그의 무게로 인해 중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장축방향으로의 보정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시편을 고정지그에 고정한 상태만으로 인장 시험에 가장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지그 및 상부지그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부재가 가이드부의 내주면을 따라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중공의 내경의 크기에 비해 상기 핀부재의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어링부재 및 가이드부의 접촉면에는 별도의 윤활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윤활제는 구리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그 및 상부지그는 바람직하게는 티타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지그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핀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프레임(3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최외측단부를 연결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면에는 레일홈(321)이 구비된 링형레일(320)이 형성되며, 상기 링부재의 레일홈에 일측이 삽입되도록 구 형상의 이송부재(331)와, 상기 이송부재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연장핀(332)으로 이루어진 이송구(330)로 구성되는 측정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측정부재는 상기 이송구의 움직임에 따라 상부지그가 수평선을 기준으로 한 정렬 상태를 판단할 수 있음은 물론, 시편의 제작오차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종래 와이어를 사용한 지그와 본 발명의 베어링구조를 적용한 최대 인장강도(N)의 측정값은 표 1과 같다.
최대 인장강도(N)
시험횟수
와이어 지그
(E그룹)
와이어 지그
(M그룹)
베어링구조지그
(E그룹)
베어링구조지그
(M그룹)
1 221 324 627 710
2 132 332 623 682
3 254 283 449 600
4 463 533 638 753
5 472 388 567 617
6 599 605 562 654
7 255 454 445 779
8 491 432 676 670
9 226 362 590 597
10 188 281 597 596
평균값 330.1 399.4 577.4 665.8
표준편차 159.72 107.23 76.62 65.92
상기 표 1에서 E그룹 'Ivoclar' 사의 'IPS e.max CAD' 제품이고, M그룹은 'HASS' 사의 'Amber-Mill' 제품으로, 각각 세라믹재질의 치과용 보철물로서,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보철물들이다.
이에 동일한 만능재료시험기에 각각 종래의 와이어 지그와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구조의 지그를 통해 상술한 두 제품에 대한 인장강도를 측정한 것으로서,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10회씩 측정 후에 평균값을 도출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베어링구조의 지그와 종래의 와이어 지그로에 비해 대략 2배 정도의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 지그는 표준편차의 범위가 베어링구조의 지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베어링구조의 지그를 사용할 때 보다 안정적인 측정 수행이 가능함은 물론, 장축방향의 오차와 3차원적 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즉, 베어링구조의 와이어는 기존 와이어를 이용한 인장 시험의 횟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시험 횟수로도 측정값의 낮은 표준편차값을 도출가능하여, 다양한 시편의 실험군에 대한 통계적인 우수함은 물론, 각 실험군의 측정값의 대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치과에서 사용되는 보철물과 지대주간의 결합을 위한 시멘트의 유지력을 측정하는데에 있어서, 기존의 와이어방식이 아닌 반구 형태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진 상부지그 및 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장축방향의 오차와 지그 자체의 3차원적 오차를 보정 가능함으로써, 유지력 측정값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시편
100 ... 고정지그 110 ... 삽입홈
111 ... 관통공 120 ... 가이드부
121 ... 중공
200 ... 상부지그 210 ... 베어링부재
220 ... 핀부재
300 .. 측정부재 310 ... 지지프레임
320 ... 링형레일 321 ... 레일홈
330 ... 이송구 331 ... 이송부재
332 ... 연장핀

Claims (4)

  1.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만능재료시험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지그에 있어서,
    측정하고자 하는 시편(10)이 삽입고정되도록 일측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삽입홈(110)이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내주면이 아치형상으로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공(121)이 구비된 가이드부(120)가 형성되는 함체 형상의 고정지그(100); 및
    상기 고정지그(100)의 가이드부에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반구형상의 베어링부재(210)가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부재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핀부재(220)로 이루어진 상부지그(200);를 포함하되,
    상기 핀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지지프레임(3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최외측단부를 연결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면에는 레일홈(321)이 구비된 링형레일(320)이 형성되며, 상기 링형레일(320)의 레일홈에 일측이 삽입되도록 구 형상의 이송부재(331)와, 상기 이송부재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연장핀(332)으로 이루어진 이송구(330)로 구성되는 측정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 및 상부지그는,
    상기 중공의 내경의 크기에 비해 상기 핀부재의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삽입홈(110)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 및 상부지그는 티타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KR1020190131385A 2019-10-22 2019-10-22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KR10226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385A KR102269205B1 (ko) 2019-10-22 2019-10-22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385A KR102269205B1 (ko) 2019-10-22 2019-10-22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589A KR20210047589A (ko) 2021-04-30
KR102269205B1 true KR102269205B1 (ko) 2021-06-24

Family

ID=7574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385A KR102269205B1 (ko) 2019-10-22 2019-10-22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2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5703A (ja) 2006-04-12 2007-11-01 Nippon Steel Corp 高温引張試験用冶具
US20100307259A1 (en) 2009-06-03 2010-12-09 Sdi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a dental material
KR101065924B1 (ko) 2011-03-09 2011-09-19 박영일 지대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런트
JP2013224873A (ja) 2012-04-23 2013-10-31 Shimadzu Corp 材料試験機
KR101515227B1 (ko) 2013-12-26 2015-04-24 동국제강 주식회사 인장시험장치
KR101916766B1 (ko) 2017-05-08 2019-01-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시편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9352U (ja) * 1984-03-30 1985-10-2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高温引張試験治具
JPH01235830A (ja) * 1988-03-17 1989-09-20 Sumitomo Heavy Ind Ltd 硬脆材料試験における試験片の上部把み部のチャッキング方法
KR950003667Y1 (ko) * 1993-08-14 1995-05-11 손정준 편직기용 재크 구동장치
JPH109485A (ja) * 1996-06-21 1998-01-13 Daifuretsukusu:Kk 角度可変式物品支持具
KR20090048696A (ko) 2007-11-12 2009-05-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5703A (ja) 2006-04-12 2007-11-01 Nippon Steel Corp 高温引張試験用冶具
US20100307259A1 (en) 2009-06-03 2010-12-09 Sdi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a dental material
KR101065924B1 (ko) 2011-03-09 2011-09-19 박영일 지대부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런트
JP2013224873A (ja) 2012-04-23 2013-10-31 Shimadzu Corp 材料試験機
KR101515227B1 (ko) 2013-12-26 2015-04-24 동국제강 주식회사 인장시험장치
KR101916766B1 (ko) 2017-05-08 2019-01-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시편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589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ttmer et al. Influence of the interface design on the yield force of the implant–abutment complex before and after cyclic mechanical loading
Balfour et al. Comparative study of antirotational single tooth abutments
Akça et al. A photoelastic and strain-gauge analysis of interface force transmission of internal-cone implants.
Quek et al. Load fatigue performance of a single-tooth implant abutment system: effect of diameter.
Freitas Jr et al. Effect of implant connection and restoration design (screwed vs. cemented) in reliability and failure modes of anterior crowns
Mehl et al. Retrievability of implant‐retained crowns following cementation
Çehreli et al. Dynamic fatigue resistance of implant–abutment junction in an internally notched morse‐taper oral implant: influence of abutment design
Ribeiro et al. Resistance of three implant-abutment interfaces to fatigue testing
Sannino et al. Mechanical evaluation of an implant-abutment self-locking taper connection: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xperimental tests.
Karl et al. Parameters determining micromotion at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Alonso‐Pérez et al. Original vs. non‐original abutments for screw‐retained single implant crowns: An in vitro evaluation of internal fit, mechanical behaviour and screw loosening
Dailey et al. Axial displacement of abutments into implants and implant replicas, with the tapered cone-screw internal connection, as a function of tightening torque.
Alhasanyah et al. Effect of core thickness differences on post‐fatigue indentation fracture resistance of veneered zirconia crowns
Binon The spline implant: design, engineering, and evaluation.
Karl et al. In Vitro Characterization of Original and Nonoriginal Implant Abutments.
Seol et al. Axial displacement of external and internal implant-abutment connection evaluated by linear mixed model analysis.
Diez et al. Influence of diamondlike carbon-coated screws on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Drew et al. Fracture strength of implant screw-retained all-ceramic crowns with the use of the angulated screw channel: a pilot study
Elsyad et al. Effect of Buccal Implant Inclination on Stresses Around Two-Implant–Retained Overdentures with Resilient Stud Attachments.
Karl et al. Effect of Cyclic Loading on Micromotion at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Joo et al. Influence of preparation depths on the fracture load of customized zirconia abutments with titanium insert
Deporter et al. Porous-surfaced dental implants in the partially edentulous maxilla: assessment for subclinical mobility.
Ahmed et al. Prosthetic design and restorative material effect on the biomechanical behavior of dental implants: strain gauge analysis
Alghazzawi et al. An experimental study of flexural strength and hardness of zirconia and their relation to crown failure loads
KR102269205B1 (ko)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