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227B1 - 인장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인장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227B1
KR101515227B1 KR1020130163868A KR20130163868A KR101515227B1 KR 101515227 B1 KR101515227 B1 KR 101515227B1 KR 1020130163868 A KR1020130163868 A KR 1020130163868A KR 20130163868 A KR20130163868 A KR 20130163868A KR 101515227 B1 KR101515227 B1 KR 10151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tension
cooling
fixing
tens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걸
김기현
Original Assignee
동국제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8Performing tests at high or low temper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6High temperature; He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8Low temperature; Cool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한 쌍을 이루며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시편을 상부로 인장(引張)하는 상부 인장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며, 상기 시편을 지지 고정하는 하부 인장부;를 포함하며, 상부 인장부에는 상부 냉각부가 구비되고, 하부 인장부에는 하부 냉각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장시험장치{TENSILE TEST DEVICE}
본 발명은 인장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편의 상온 인장시험과 고온 인장시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장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장시험장치는 시편에 서서히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시편의 기계적 성질을 파악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인장시험장치는 시편의 온도가 상온 상태인 경우에 측정 가능한 상온 인장시험장치와 시편의 온도 상태가 고온 상태에서 측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고온 인장시험장치로 각각 구별된다.
상온 인장시험장치는 시편을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노(furnace)가 구비되지 않으며, 상온 상태의 시편을 상부와 하부에서 서서히 당김으로써 시편의 기계적 성질을 파악하게 된다.
고온 인장시험장치는 상온 인장시험장치와는 달리 시편을 가열하기 위한 노(furnace)가 구비되며, 시편이 일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시편을 상부와 하부로 서서히 당김으로써 시편의 기계적 성질을 파악하게 된다. 즉, 시편이 일정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시편에 대한 인장시험이 진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험하고자 하는 인장시험에 따라 상온 인장시험장치와 고온 인장시험장치를 선택하여 시편의 인장력을 측정한다.
그러나, 고온 인장시험장치는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내열성 재질로 제조되어야 하기에 가격이 비싸며, 노를 고온 인장시험장치로부터 분리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시편의 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고온 인장시험장치와 상온 인장시험장치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장시험장치를 보여주는 예시도로, 인장시험장치(10)는 본체(1), 가이드바(2), 상부 지그(3), 하부 지그(4), 크로스헤드(5)로 이루어진다.
인장시험장치(10)는 시편(S)을 상부 지그(3)와 하부 지그(4)에 각각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 크로스헤드(5)가 가이드바(2)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며 시편(S)에 서서히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시편(S)의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시험장치(10)는 상부 지그(3), 하부 지그(4) 및 시편(S)의 정렬 상태가 일직선을 유지할 때 시편(S)의 정확한 인장 측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부 지그(3), 하부 지그(4) 및 시편(S)의 정렬 상태가 일직선이 아닐 경우, 시편(S)으로 전달되는 인장 하중은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지 못하여 시편(S)의 중간이 휘어지는 좌굴현상(buckling)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인장시험장치(10)에는 상부 지그(3), 하부 지그(4) 및 시편(S)의 일직선 정렬을 위한 별도의 정렬장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시편의 인장시험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온 상태의 시편 또는 상온 상태의 시편에 대해 인장 시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부 지그와 시편 및 하부 지그의 정렬이 이루어지는 인장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한 쌍을 이루며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시편을 상부로 인장(引張)하는 상부 인장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며, 상기 시편을 지지 고정하는 하부 인장부;를 포함하며, 상부 인장부에는 상부 냉각부가 구비되고, 하부 인장부에는 하부 냉각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인장부는,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승하강바; 상기 승하강바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인장 그립부; 상기 상부 인장 그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 냉각부; 상기 상부 냉각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볼 베어링이 구비된 제1 정렬부재와 상기 볼 베어링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정렬부재와 결합되는 제2 정렬부재를 갖는 정렬부; 상부 방열부가 구비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정렬부재에 형성된 제1 고정홈에 삽입 결합되는 상부 연장부; 및 상기 상부 연장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시편의 상부측을 고정하는 상부 고정 그립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인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는 하부 인장 그립부; 상기 하부 인장 그립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냉각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상기 하부 냉각부; 상기 하부 냉각부에 형성된 제2 고정홈에 삽입 결합되며 하부 방열부가 구비된 하부 연장부; 및 상기 하부 연장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편의 하부측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 그립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편을 가열하는 가열 하우징; 상기 가열 하우징을 안착 지지하는 안착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인장부와 하부 인장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장시험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시험장치는 상부 냉각부와 하부 냉각부가 구비되어 시편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부 인장 그립부, 하부 인장 그립부 등의 각 부품이 열에 의해 변형 및 이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정렬부는 시편에 일직선 상태 즉, 수직선상으로 힘이 전달되도록 스스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부 고정 그립부와 시편 및 하부 고정 그립부의 정렬이 맞지 않아 발생되는 굽힘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시험장치는 챔버(chamber) 또는 노(furnace) 형태의 가열 하우징이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온 상태의 시편 또는 고온 상태의 시편에 대한 인장시험이 가능하다.
즉, 시편에 대해 상온 인장시험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가열 하우징을 인장시험장치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인장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시편에 대해 고온 인장시험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가열 하우징은 시편을 시험하고자 하는 온도 범위로 가열한 상태에서 시편의 인장시험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 냉각부와 하부 냉각부는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부 인장 그립부, 하부 인장 그립부 등의 각 부품이 열에 의해 변형 또는 이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인장시험장치로 상온 인장시험과 고온 인장시험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시험장치에는 방열부가 구비되어 고온의 시편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열로부터 각 부품의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인장부와 하부 인장부는 각 부품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으로, 부품의 파손 및 불량시 사용자는 손쉽게 해당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인장시험장치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장시험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장시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장시험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장시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장시험장치(1000)는 베이스부(100), 지지대(200), 상부 인장부(300), 하부 인장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인장시험장치(10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대(200)는 일정 간격이 떨어진 상태로 한 쌍을 이루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지지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대(200)는 상부 인장부(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부 인장부(300)는 시편(S)의 상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시편(S)을 상부로 서서히 인장시키며 시편(S)의 인장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인장부(300)는 지지대(200)에 구비된 가이드바(2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하부 인장부(400)는 베이스부(100)에 지지되며, 시편(S)의 하부를 고정한 상태로 시편(S)의 인장력을 측정하게 된다. 즉, 시편(S)은 상부 인장부(300)와 하부 인장부(400)의 당김 작업을 통해 시편(S)의 인장력이 측정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부 인장부(300)의 상하 이동 및 상부 인장부(300)와 하부 인장부(400)의 인장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500)는 인장시험을 통해 측정된 시편(S)의 인장 시험 결과값을 디스플레이부(510)로 보여준다.
한편, 인장시험장치(1000)에는 가열 하우징(600)과 안착 지지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열 하우징(600)과 안착 지지부(미도시)는 인장시험장치(1000)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는 구성으로, 시편(S)의 고온 인장시험이 이루어질 경우, 인장시험장치(1000)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가열 하우징(600)은 챔버(chamber) 또는 노(furnace)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열 하우징(600)의 내부에는 발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시편(S)을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가열 하우징(600)의 가열 온도 범위는 제어부(5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가열 하우징(600)의 상측과 하측에는 안내홀(610)이 형성되어 상부 인장부(300)와 하부 인장부(400)에 인장력이 가해질 시 상부 연장부(350)와 하부 연장부(450)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부 인장부(300)로부터 시편(S)을 상측으로 인장시킬 경우, 안내홀(610)에 관통 삽입된 상부 연장부(350)는 안내홀(610)을 통해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 하우징(600)은 상부 방열부(351)와 하부 방열부(451) 사이에 구비되어 시편(S)을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가열 하우징(600)의 내부에는 시편(S)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 고정 그립부(360), 상부 고정 그립부(360)와 결합되는 상부 연장부(35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고, 시편(S)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 고정 그립부(460), 하부 고정 그립부(460)와 결합되는 하부 연장부(450)의 일부가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안착 지지부(미도시)는 가열 하우징(600)을 안착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안착 지지부(미도시)는 상부 방열부(351)와 하부 방열부(451) 사이에 가열 하우징(600)이 위치되도록 가열 하우징(600)을 안착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안착 지지부(미도시)는 지지대(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선택적인 회동을 통해 상부 방열부(351)와 하부 방열부(451) 사이에 가열 하우징(600)이 위치되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또는 안착 지지부(미도시)는 지지대(200)와는 개별적인 구성으로, 지게차와 같이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포크가 구비된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져 가열 하우징(600)을 안착시킬 수도 있는 등 안착 지지부(미도시)는 다양한 형태를 이루며, 가열 하우징(6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 하우징(60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장시험장치(1000)는 시편(S)의 상온 인장시험과 고온 인장시험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온 인장시험장치와 고온 인장시험장치를 각각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상부 인장부(300)는 승하강바(310), 상부 인장 그립부(320), 상부 냉각부(330), 정렬부(340), 상부 연장부(350), 상부 고정 그립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바(310)의 양단부는 한 쌍을 이루는 지지대(200)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승하강바(310)는 지지대(200)에 구비된 가이드바(2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부 인장 그립부(320)는 승하강바(3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부 인장 그립부(320)는 유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냉각부(330)에 구비된 제1 고정바(333)를 고정하게 된다.
상부 냉각부(330)는 상부 인장 그립부(32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부 인장 그립부(32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부 냉각부(330)는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시편(S)의 고온 인장시험이 이루어질 경우, 상부 인장 그립부(320), 정렬부(340) 등이 고온의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이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냉각부(330)는 내부의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상부 냉각수 공급부(331)와 상부 냉각부(330)의 내부 공간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부 냉각수 배출부(332)가 구비되어 시편(S)의 고온 인장시험시 각종 부품이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냉각부(330)는 상부 인장 그립부(320)와 결합되는 제1 고정바(333)와 정렬부(340)와 결합되는 제2 고정바(334)가 각각 구비되어 상부 인장 그립부(320)와 정렬부(340)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상부 인장 그립부(320)와 정렬부(340)의 냉각 효율을 높이게 된다.
정렬부(340)는 상부 냉각부(330)의 하부에 결합되며 볼 베어링(342)이 구비된 제1 정렬부재(341)와 상부 연장부(350)와 결합되는 제2 정렬부재(3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렬부재(341)의 일단은 상부 냉각부(330)의 하부에 구비된 제2 고정바(334)와 결합된다. 이때, 제1 정렬부재(341)와 제2 고정바(334)는 나사 결합되며, 제1 정렬부재(341)와 제2 고정바(334)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정렬부재(341)의 타단에는 볼 베어링(342)이 구비되어, 제2 정렬부재(345)는 볼 베어링(342)으로부터 자유롭게 회동되며, 시편(S)에 수직선상의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부 고정 그립부(360)와 시편(S) 및 하부 고정 그립부(460)의 수직 정렬이 맞지 않을 경우, 제2 정렬부재(345)는 볼 베어링(342)으로부터 회동되며 시편(S)에 수직선상의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들어, 정렬부(340)는 시편(S)의 인장시 휨이나 변형이 발생할 경우라도, 제2 정렬부재(345)는 제1 정렬부재(341)로부터 스스로 회동되며 시편(S)에 수직선상의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정렬부(340)는 회동을 통해 상부 고정 그립부(360)와 시편(S) 및 하부 고정 그립부(460)의 정렬을 스스로 맞춤으로써 시편(S)에 발생되는 굽힘 모멘트를 최소화하며 시편(S)에 정확한 인장력이 제공하게 된다.
제2 정렬부재(345)는 제1 정렬부재(341)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 정렬부재(345)의 상부에는 볼 베어링(342)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346)가 형성되어 제2 정렬부재(345)와 볼 베어링(342)은 결합부재(900)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재(900)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정렬부재(345)의 상부에는 결합부재(900)가 관통 삽입되는 결합홀(347)이 형성되어, 결합부재(900)는 결합홀(347)과 볼 베어링(342)에 관통 삽입되어 제1 정렬부재(341)와 제2 정렬부재(345)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결합홀(347)과 볼 베어링(342)에 관통 삽입된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재(900)의 단부에는 고정핀(901) 또는 너트가 결합되어 제1 정렬부재(341)와 제2 정렬부재(345)는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핀(901)은 스냅 스프링(snap spring)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정렬부재(345)의 하부에는 상부 연장부(35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홈(348)이 형성되어 제2 정렬부재(345)와 상부 연장부(350)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상부 연장부(350)의 일단부가 제1 고정홈(348)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연장부(350)의 일단부는 고정부재(910)와 결합되어 상부 연장부(350)와 제2 정렬부재(345)는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910)는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부재(910)는 제1 고정홈(348)에 안착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상부 연장부(350)에는 상부 방열부(351)가 구비된다. 상부 방열부(351)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부 연장부(350)로부터 전달된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 방열부(351)는 가열 하우징(600)의 내부에 구비된 발열부(미도시)가 시편(S)을 가열하는 경우, 가열 하우징(600)에 형성된 안내홀(610)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져 가열 하우징(600)의 내부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시편(S)을 가열하는 가열 하우징(600)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부 고정 그립부(360)는 상부 연장부(35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시편(S)의 상부측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고정 그립부(360)는 나사 결합 방식 또는 후크 결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시편(S)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부 인장부(300)의 각 부품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부품의 변형, 파손 및 불량 발생시 사용자는 해당 부품을 선택적으로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한편, 하부 인장부(400)는 상부 인장부(30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시편(S)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하부 인장부(400)는 상부 인장부(300)에 구비된 승하강바(310)와 정렬부(340)가 구비되지 않는다, 다만, 정렬부(340)의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부 인장부(400)는 하부 인장 그립부(420), 하부 냉각부(430), 하부 연장부(450) 및 하부 고정 그립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인장 그립부(420)는 베이스부(100)에 지지된다. 이러한 하부 인장 그립부(420)는 유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 냉각부(430)에 구비된 제3 고정바(433)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하부 냉각부(430)는 하부 인장 그립부(42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하부 인장 그립부(420)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 냉각부(430)는 상부 냉각부(330)와 같은 구성으로,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시편(S)의 고온 인장시험이 이루어질 경우, 하부 인장부(40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즉, 하부 냉각부(430)는 내부의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하부 하부 냉각수 공급부(431)와 하부 냉각부(430)의 내부 공간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 냉각수 배출부(432)가 구비되어 시편(S)의 고온 인장시험시 각종 장비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하부 냉각부(430)는 하부 인장 그립부(420)와 결합되는 제3 고정바(433)가 구비되어 하부 냉각부(430)와 하부 인장 그립부(420)의 접촉 면적으로 넓혀 하부 인장 그립부(420)의 냉각 효율을 높이게 된다.
하부 연장부(450)의 일단부는 하부 냉각부(430)에 형성된 제2 고정홈(434)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910)와 결합되어 하부 연장부(450)와 하부 냉각부(430)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910)는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부재(910)는 제2 고정홈(434)에 안착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 연장부(450)에는 하부 방열부(451)가 구비되며, 하부 방열부(451)는 상부 방열부(351)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하부 고정 그립부(460)는 하부 연장부(450)의 단부에 구비되며, 시편(S)의 하부측을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장시험장치(1000)는 가열 하우징(600)의 선택적인 탈착과 상부 냉각부(330)와 하부 냉각부(430)가 구비되어 하나의 인장시험장치(1000)로 시편의 상온 인장시험과 고온 인장시험을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시편(S)의 고온 인장시험이 이루어질 경우, 상부 냉각부(330)와 하부 냉각부(430)는 상부 인장부(300)와 하부 인장부(400)를 냉각시켜 고온의 시편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각 부품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장시험장치(1000)에 구비되는 정렬부(340)는 상부 고정 그립부(360)와 시편(S) 및 하부 고정 그립부(460)의 정렬이 스스로 이루어지도록 회동되어 시편(S)에 발생되는 굽힘 모멘트를 최소화하며 정확한 시편(S)의 인장력을 측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베이스부 200: 지지대
300: 상부 인장부 310: 승하강바
320: 상부 인장 그립부 330: 상부 냉각부
340: 정렬부 341: 제1 정렬부재
342: 볼 베어링 345: 제2 정렬부재
350: 상부 연장부 351: 상부 방열부
360: 상부 고정 그립부 400: 하부 인장부
420: 하부 인장 그립부 430: 하부 냉각부
450: 하부 연장부 451: 하부 방열부
460: 하부 고정 그립부 500: 제어부
600: 가열 하우징 1000: 인장시험장치

Claims (4)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한 쌍을 이루며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시편을 상부로 인장(引張)하는 상부 인장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며, 상기 시편을 지지 고정하는 하부 인장부;
    상기 시편을 가열하는 가열 하우징;
    상기 가열 하우징을 안착 지지하는 안착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인장부와 하부 인장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인장부에는 상부 냉각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인장부에는 하부 냉각부가 구비된 것인 인장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인장부는,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승하강바;
    상기 승하강바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인장 그립부;
    상기 상부 인장 그립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 냉각부;
    상기 상부 냉각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볼 베어링이 구비된 제1 정렬부재와 상기 볼 베어링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정렬부재와 결합되는 제2 정렬부재를 갖는 정렬부;
    상부 방열부가 구비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2 정렬부재에 형성된 제1 고정홈에 삽입 결합되는 상부 연장부; 및
    상기 상부 연장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시편의 상부측을 고정하는 상부 고정 그립부를 포함하는 인장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인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는 하부 인장 그립부;
    상기 하부 인장 그립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냉각수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상기 하부 냉각부;
    상기 하부 냉각부에 형성된 제2 고정홈에 삽입 결합되며 하부 방열부가 구비된 하부 연장부; 및
    상기 하부 연장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편의 하부측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 그립부를 포함하는 인장시험장치.
  4. 삭제
KR1020130163868A 2013-12-26 2013-12-26 인장시험장치 KR10151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868A KR101515227B1 (ko) 2013-12-26 2013-12-26 인장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868A KR101515227B1 (ko) 2013-12-26 2013-12-26 인장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227B1 true KR101515227B1 (ko) 2015-04-24

Family

ID=5305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868A KR101515227B1 (ko) 2013-12-26 2013-12-26 인장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2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0111A (zh) * 2019-08-02 2019-10-11 河南工程学院 一种拉伸试验件、拉伸试验装置及拉伸试验方法
CN110333184A (zh) * 2019-08-02 2019-10-15 河南工程学院 一种钢纤维混凝土粘结强度拉伸试验件及拉伸试验装置
KR102189489B1 (ko) * 2019-10-29 2020-12-11 서한산업(주)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시편의 이탈력 평가 시험용 지그 모듈
KR102198544B1 (ko) 2019-07-03 2021-01-05 (주)단디메카 휴대용 비닐 인장강도 시험장치
KR20210047589A (ko) * 2019-10-22 2021-04-3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KR102579777B1 (ko) * 2022-12-26 2023-09-18 에너진(주) 열교환기를 구비한 수소취성 시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992B2 (ja) * 1985-08-29 1995-04-1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高温・低温引張り試験機
KR20010084984A (ko) * 2001-06-30 2001-09-07 이용만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만능재료시험기
KR20080039087A (ko) * 2006-10-31 2008-05-07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피로시험기의 시편고정용 지그장치
JP7035992B2 (ja) * 2018-12-14 2022-03-1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光量調整方法、光量調整装置、及び投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992B2 (ja) * 1985-08-29 1995-04-1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高温・低温引張り試験機
KR20010084984A (ko) * 2001-06-30 2001-09-07 이용만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한 만능재료시험기
KR20080039087A (ko) * 2006-10-31 2008-05-07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피로시험기의 시편고정용 지그장치
JP7035992B2 (ja) * 2018-12-14 2022-03-1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光量調整方法、光量調整装置、及び投射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544B1 (ko) 2019-07-03 2021-01-05 (주)단디메카 휴대용 비닐 인장강도 시험장치
CN110320111A (zh) * 2019-08-02 2019-10-11 河南工程学院 一种拉伸试验件、拉伸试验装置及拉伸试验方法
CN110333184A (zh) * 2019-08-02 2019-10-15 河南工程学院 一种钢纤维混凝土粘结强度拉伸试验件及拉伸试验装置
CN110320111B (zh) * 2019-08-02 2021-12-21 河南工程学院 一种拉伸试验件、拉伸试验装置及拉伸试验方法
KR20210047589A (ko) * 2019-10-22 2021-04-30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KR102269205B1 (ko) 2019-10-22 2021-06-24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보철물의 유지력 평가를 위한 베어링구조를 갖는 만능재료시험기용 지그
KR102189489B1 (ko) * 2019-10-29 2020-12-11 서한산업(주)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시편의 이탈력 평가 시험용 지그 모듈
KR102579777B1 (ko) * 2022-12-26 2023-09-18 에너진(주) 열교환기를 구비한 수소취성 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227B1 (ko) 인장시험장치
US8528416B2 (en) Apparatus for testing tensile strength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 and unit for measuring elongation provided in the same
CN105651638A (zh) 一种热力耦合作用下材料疲劳试验装置
CN205643031U (zh) 一种热力耦合疲劳试验机
US8821014B2 (en) Temperature sensor and heat treating apparatus
CN106769422B (zh) 圆周分布式高通量持久蠕变试验机
KR20150066018A (ko)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JP7474330B2 (ja) 熱制御システムを有する両面プローブシステムとその関連する方法
JP3194701U (ja) 高温材料試験機
CN110672427B (zh) 一种板材单向拉伸高温力学性能试验系统及方法
CN216387330U (zh) 灯条测试治具
KR101370462B1 (ko) 반도체 부품 테스트 챔버
JP2014130898A (ja) 電子デバイス用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KR20100057118A (ko) 온도 가변형 프로브 스테이션
KR102164075B1 (ko) 온간 시험장치
CN103033347B (zh) 一种扶手试验装置及扶手强度测试方法
KR101533544B1 (ko) 인장 시험용 지그의 결합 및 해체 보조장치
JP2010133811A (ja) 断熱型カロリーメータ
CN111766163A (zh) 高温疲劳试验装置
JPH102847A (ja) 二連式高温引張試験機
CN220509975U (zh) 一种可精准控温的rta设备及rta反应机台
KR20110077789A (ko) 온도 조절 기능이 구비된 굽힘 특성 시험장치
JP2016105083A (ja) 材料試験装置
KR101682692B1 (ko) 균열측정장치 및 균열측정방법
CN218524333U (zh) 内窥镜的双工位测试维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