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029B1 - 참여형 양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참여형 양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029B1
KR102268029B1 KR1020190069031A KR20190069031A KR102268029B1 KR 102268029 B1 KR102268029 B1 KR 102268029B1 KR 1020190069031 A KR1020190069031 A KR 1020190069031A KR 20190069031 A KR20190069031 A KR 20190069031A KR 102268029 B1 KR102268029 B1 KR 102268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information
module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171A (ko
Inventor
류창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황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황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황토원
Priority to KR102019006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029B1/ko
Priority to PCT/KR2020/007379 priority patent/WO2020251224A1/ko
Priority to CN202080037002.1A priority patent/CN113891653B/zh
Publication of KR2020014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3Prevention or treatment of fish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여형 양어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전문가인 일반인인 사용자가 공간적 제약없이 실시간 제어를 통해 능동적으로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으며, 물고기의 양식 과정에 대해 상호 교류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양식에 참여하여 얻은 물고기를 가공한 식품의 구매가 가능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물고기 양식에 필요한 비용 절감 및 안정적인 판로 확보가 가능하여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참여형 양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참여형 양어 시스템{Fish farming system based on user's participation}
본 발명은 참여형 양어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전문가인 일반인인 사용자가 공간적 제약없이 실시간 제어를 통해 능동적으로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으며, 물고기의 양식 과정에 대해 상호 교류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양식에 참여하여 얻은 물고기를 가공한 식품의 구매가 가능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물고기 양식에 필요한 비용 절감 및 안정적인 판로 확보가 가능하여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참여형 양어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어업 분야에서도 이를 활용하여 물고기를 양식하고자 하는 시도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하기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어장에 각종 센서를 설치하고 센서에서 출력된 결과에 따라 양어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양어의 자동화를 도모하는 기술을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10-2002-0012662호(2002. 02. 20. 공개) "인터넷을 이용한 양어 방법 및 그 시스템"
하지만, 종래의 양어 시스템은 양어를 업으로 영위하는 양어업자에게 양어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서, 비전문가인 일반인이 실시간 제어를 통해 물고기 양식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물고기를 직접 기르고자 하는 현실 수요에 대응하여, 비전문가인 일반인이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실시간 제어를 통해 능동적으로 물고기의 양식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비전문가인 일반인인 사용자가 공간적 제약없이 실시간 제어를 통해 능동적으로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으며, 물고기의 양식 과정에 대해 상호 교류가 가능한 참여형 양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맞춤화된 양어 정보가 제공되어, 비전문가인 사용자도 원활하게 양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참여형 양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고기의 위탁이 가능하여, 일시적으로 물고기 양식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처가 가능하고, 여러 제약으로 인해 직접적 양식이 어려운 특이 어종에 대해서도 관상용으로 양식이 가능한 참여형 양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양식에 참여하여 얻은 물고기를 가공한 식품의 구매가 가능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물고기 양식에 필요한 비용 절감, 안정적인 판로 확보 등이 가능하여 양어업자의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참여형 양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병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양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와; 양어장에 설치되며, 물고기에 사료를 공급하고 물고기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도록 양식 환경을 조절하는 장치부와; 물고기 양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양식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부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물고기의 양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양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양식이 가능한 물고기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전송된 경우, 현재 사용자가 선택하여 양식이 가능한 물고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물고기 선택 정보가 출력된 경우 양어계약을 완료하는 양어계약부와, 상기 양어계약의 대상이 되는 물고기에 대한 물고기 양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양어정보부와, 상기 양어정보부에 의해 물고기 양식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양식 지시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양식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부를 작동시켜 물고기 양식을 수행하는 양어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양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어정보부는 상기 물고기에 제공되어야할 사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영양정보모듈과, 현재의 양식 환경이 물고기 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아닌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환경상태 조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환경정보모듈과, 양어장에 설치된 센서부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물고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의 질병 여부를 판단하고 질병이 있다고 판단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질병 치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상태정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양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양어정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물고기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다고 판단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이상 상태 해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피드백정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정보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확인하는 확인요청모듈과,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센싱 정보를 확인하여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상태판단모듈과, 상기 상태판단모듈이 상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센싱부의 물고기 상태에 대한 센싱 정보를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전송된 물고기의 이상 상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상 상태 해결 정보를 수득하는 해결정보수득모듈과, 상기 해결정보수득모듈이 이상 상태 해결 정보를 수득한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양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소유하는 물고기의 위탁을 요청하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이를 분석하여 양어장이 상기 물고기를 위탁받아 양식하는 것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가능하다고 판단시 위탁계약을 완료하는 위탁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물고기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CCTV에서 촬영 중인 물고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영상제공부와, 사용자가 양식에 참여함에 따라 사용자에 지급하여야한 보상을 산정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보상 정보를 전송하는 보상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양식한 물고기를 이용한 제품의 구매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구매를 요청한 제품을 사용자에 인도하였음을 알리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이를 DB서버에 저장하는 구매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양어수행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된 양식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부를 작동시켜 물고기 양식을 수행하는 수동작동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된 양식 지시 정보에 일정 기간 동안 자동 제어에 의해 물고기를 양식하라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양식 지시 정보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장치부를 작동시켜 물고기 양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양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상부는 상기 양어계약의 대상이 되는 물고기 양식에 사용된 비용을 산출하여 비용의 일정 부분을 보상으로 산정하는 비용상환모듈과,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물고기 양식 참여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 양식 참여도에 따라 사용자에 지급하여할 보상을 산정하는 참여평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참여평가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된 상기 양식 지시 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출력된 물고기 양식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물고기 양식 정보에 일치되는 양식 지시 정보의 횟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수동평가모듈과, 상기 물고기 양식 정보와 상관없이 능동적으로 양식에 참여한 정도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능동평가모듈과, 양식 종료후 센서부에서 출력된 물고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 생육상태가 기준 범위보다 좋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되어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양식 지시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이 있는지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생육기여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된 후 상기 피드백정보모듈이 이상 상태 해결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물고기 이상 상태 발견에 기여하였음을 인정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예방평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육기여모듈은 양식 종료후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물고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 생육상태가 기준 범위보다 좋은지 판단하는 생육상태모듈과, 상기 생육상태모듈이 물고기 생육상태가 기준 범위보다 좋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되어 상기 DB서버에 저장된 양식 지시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이 있는지 파악하는 지시분석모듈과, 상기 지시분석모듈이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물고기 센성정보를 이용하여 생육상태 향상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기여산정모듈과, 상기 기여산정모듈에 의해 보상이 산정된 경우,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에 해당하는 양식 지시 정보를 DB서버에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은 비전문가인 일반인인 사용자가 공간적 제약없이 실시간 제어를 통해 능동적으로 물고기를 양식할 수 있으며, 물고기의 양식 과정에 대해 상호 교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맞춤화된 양어 정보가 제공되어, 비전문가인 사용자도 원활하게 양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고기의 위탁이 가능하여, 일시적으로 물고기 양식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처가 가능하고, 여러 제약으로 인해 직접적 양식이 어려운 특이 어종에 대해서도 관상용으로 양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양식에 참여하여 얻은 물고기를 가공한 식품의 구매가 가능하여 식품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물고기 양식에 필요한 비용 절감, 안정적인 판로 확보 등이 가능하여 양어업자의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양어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양어계약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도 2의 위탁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2의 양어정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도 5의 상태정보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5의 피드백정보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도 2의 보상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8의 참여평가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도 9의 생육기여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참여형 양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양어 시스템의 블럭도이며,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양어계약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4는 도 2의 위탁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5는 도 2의 양어정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6은 도 5의 상태정보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7은 도 5의 피드백정보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8은 도 2의 보상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9는 도 8의 참여평가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생육기여모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참여형 양어 시스템을 도 1 내지 10을 참여하여 설명하면, 상기 참여형 양어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100), 관리자단말기(200), 센서부(300), 장치부(400), 관리서버(1), DB서버(2)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상기 참여형 양어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상기 관리서버(1)와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전자기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한 정보의 교환은, 상기 관리서버(1)에서 전송받아 설치된 정보처리앱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1)에 의해 관리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수행되게 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200)는 양어장을 운영하며 상기 양어장에서 수획된 물고기를 가공한 식품을 생산하는 업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 상기 관리서버(1)와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양어장에 설치되어 양식 중인 물고기의 상태, 양식 환경 등을 센싱하여 상기 관리서버(1)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센서부(300)는 스마트 양어장에 사용되는 종래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양식 중인 물고기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출력하는 CCTV(310), 양식 환경을 센싱하는 환경센서(320, 예컨대 양어장의 수질을 센싱하는 수질센서(pH센서, Do센서, Bod센서 등), 양어장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양어장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부(400)는 양어장에 설치되며 상기 관리서버(1)에 의해 제어되어, 물고기에 사료를 공급하고 물고기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도록 양식 환경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장치부(400)는 스마트 양어장에 사용되는 종래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장치(410, 예컨대 사료급이기 등이 사용될 수 있음), 물고기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장치(420, 예컨대 약물투입기 등이 사용될 수 있음), 양식 환경을 조절하는 환경조절장치(430, 예컨대 수처리시설, 급수펌프, 산소발생기, 히터, 냉각기 등이 사용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1)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 관리자단말기(200), 센서부(300) 및 장치부(400) 등과 정보를 교환하여, 물고기 양식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양식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부(400)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물고기의 양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송수신부(11), 양어계약부(12), 위탁부(13), 양어정보부(14), 양어수행부(15), 영상제공부(16), 보상부(17), 구매부(18), 제어부(19)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1)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 관리자단말기(200), 센서부(300) 및 장치부(400) 등과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양어계약부(12)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양식이 가능한 물고기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전송된 경우, 현재 사용자가 선택하여 양식이 가능한 물고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물고기 선택 정보가 출력된 경우 양어계약을 완료하고 그 정보를 DB서버(2)에서 저장하는 구성으로, 정보요청모듈(121), 정보제공모듈(122), 계약완료모듈(123), 전송및저장모듈(1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요청모듈(121)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양식이 가능한 물고기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전송되어 송수신부(11)에서 출력되었는지 확인하는 구성이다.
상기 정보제공모듈(122)은 양식이 가능한 물고기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DB서버(2)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사용자가 선택하여 양식이 가능한 물고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고기 정보는 물고기의 종류, 크기 및 나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양식이 가능한 물고기로 다양한 종류, 크기 및 나이를 가지는 물고기가 제시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에 맞는 최적의 물고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계약완료모듈(123)은 상기 정보제공모듈(122)에 의해 물고기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특정 물고기를 선택한 정보 및 및 양어계약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양어계약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양어계약을 완료한다. 상기 양어계약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 정보, 양식의 대상이 되는 물고기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및전송모듈(124)은 상기 계약완료모듈(123)이 양어계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양어계약에 대한 정보를 DB서버(2)에 저장하고, 사용자단말기(100) 및 관리자단말기(200)에 양어계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위탁부(13)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물고기의 위탁을 요청하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이를 분석하여 양어장이 상기 물고기를 위탁받아 양식하는 것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가능하다고 판단시 위탁계약을 완료하는 구성으로, 위탁요청모듈(131), 위탁판단모듈(132), 위탁계약모듈(133), 위탁개시모듈(13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위탁요청모듈(131)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가 소유하는 물고기의 위탁을 요청하는 신호(이하, '위탁요청신호'라 함)가 전송되어 상기 송수신부(11)에서 출력되었는지 확인하는 구성으로, 상기 위탁요청신호에는 물고기의 정보(물고기 종류, 양어시 공급되어야할 사료 정보, 사육 환경에 대한 정보(수온 등)), 위탁을 요청하는 기간 정보 등이 포함되게 된다.
상기 위탁판단모듈(132)은 위탁요청신호가 출력된 경우, 이를 분석하여 관리자가 영위하는 양어장에서 위탁요청된 물고기를 기를 수 있는지 판단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위탁을 요하는 시점에 위탁 대상이 되는 물고기를 기를 수 있는 양어장의 수조가 존재하는지, 상기 양어장이 상기 물고기의 사육 환경에 맞는 시설을 구비하고 있는지, 상기 양어장이 상기 물고기에게 제공되야할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위탁 가능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위탁계약모듈(133)은 상기 위탁판단모듈(133)이 사용자가 요청한 물고기의 위탁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위탁계약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DB서버(2)에 저장하고, 위탁계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 및 관리자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상기 위탁계약에 대한 정보에는 위탁 기간에 대한 정보, 물고기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위탁개시모듈(134)은 상기 위탁계약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위탁 대상이 되는 물고기를 상기 양어장에 제공하여 관리자단말기(200)로부터 위탁 대상이 되는 물고기가 양어장에 입수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전송된 경우, 상기 물고기에 대하여, 상기 양어정보부(14) 및 양어수행부(15)의 작동을 지시하게 된다. 본 발명은 물고기의 위탁이 가능하여, 외부 출장 등으로 일시적으로 물고기 양식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처가 가능하고, 여러 제약으로 인해 직접적 양식이 어려운 특이 어종(예컨대, 대형 어종 등)에 대해서도 관상용으로 양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양어정보부(14)는 상기 양어계약의 대상이 되는 물고기 및 상기 위탁계약의 대상이 되는 물고기에 대한 물고기 양식 정보를 주기적 또는 이벤트 발생 시 제공하는 구성으로, 영양정보모듈(141), 환경정보모듈(142), 상태정보모듈(143), 피드백정보모듈(14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영양정보모듈(141)은 상기 물고기에 제공되어야할 사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하는 구성으로, 사료에 대한 정보에는 사료의 종류(배합사료, 물벼룩, 크로렐라 등), 사료의 양, 사료의 제공 시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DB서버(2)에는 물고기의 성장 시기별로 공급되어야할 사료의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영양정보모듈(141)을 이를 확인하여 상기 사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환경정보모듈(142)은 현재의 양식 환경이 물고기 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아닌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환경상태 조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환경판단모듈(142a), 조절정보생성모듈(142b) 등을 포함한다.
상기 환경판단모듈(142a)은 상기 센서부(300)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양식 환경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 생육에 적합한 환경인지 판단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특정 물고기의 생육에 적합한 수온이 20 내지 25℃인데 상기 센서부(300)에서 출력된 양어장의 수온이 18℃인 경우 양식 환경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조절정보생성모듈(142b)은 상기 환경판단모듈(142a)이 양어장의 양식 환경이 물고기 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현재 양식 환경을 물고기 생육에 적합한 환경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하는 환경상태 조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환경판단모듈(142a)이 양어장의 수온이 고온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조절정보생성모듈(142b)는 냉각기를 작동시켜 온도를 특정 온도까지 하강시켜야 한다는 환경상태 조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상태정보모듈(143)은 상기 센서부(300)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물고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의 질병 여부를 판단하고 질병이 있다고 판단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질병 치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질병판단모듈(143a), 치료정보수득모듈(143b), 전송모듈(143c)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질병판단모듈(143a)은 상기 센서부(300)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물기의 상태를 분석하여 물고기의 질병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CCTV에서 출력된 물고기 영상에서 피부가 벗겨진 상처가 발견되는 경우 질병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상기 치료정보수득모듈(143b)은 상기 질병판단모듈(143a)이 상기 물고기가 질병에 걸렸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센성부(300)의 물고기 상태에 대한 센싱 정보를 관리자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200)에서 전송된 물고기의 질병 치료 방법에 대한 질병 치료 정보를 수득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송모듈(143c)는 상기 치료정보수득모듈(143b)이 질병 치료 정보를 수득한 경우 상기 질병 치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물고기의 질병이 피부병인 경우, 상기 질병 치료 정보에는 약물투입기를 작동시켜 100g의 특정 약물을 수조에 투입하여 치료가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정보모듈(144)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물고기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다고 판단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이상 상태 해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확인요청모듈(144a), 상태판단모듈(144b), 해결정보수득모듈(144c), 전송모듈(144d) 등을 포함한다.
상기 확인요청모듈(144a)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송수신부(11)에서 출력되었는지 확인한다. 예컨대, 물고기가 사료 섭취, 수면, 이동 등에서 정상적으로 행동하지 않는 경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상태판단모듈(144b)는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센서부(200)에서 출력되는 센싱 정보를 확인하여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CCTV 확인 결과 물고기가 사료가 제공되었음에도 섭취하지 않는 경우 물고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해결정보수득모듈(144c)은 상기 상태판단모듈(144b)이 상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센싱부(300)의 물고기 상태에 대한 센싱 정보를 관리자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200)에서 전송된 물고기의 이상 상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상 상태 해결 정보를 수득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송모듈(144d)은 상기 해결정보수득모듈(144c)이 이상 상태 해결 정보를 수득한 경우 상기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물고기가 사료의 섭취하지 않는 이상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이상 상태 해결 정보에는 사료급이기를 작동시켜 다른 종류의 사료(영양제 포함)를 제공함으로써 이상 상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자동적으로 사료를 공급하고 환경을 설정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하는 것이 아니라, 제공되어야 할 사료에 대한 정보, 환경상태 조절정보, 질병 치료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사료 공급, 환결 설정 및 질병 치료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양식을 수행하는 것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물고기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므로, 물고기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시 이의 확인을 요청하여, 즉 상호 교류를 통해 물고기 양식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어수행부(15)는 상기 양어정보부(14)에 의해 물고기 양식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양식 지시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양식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부(400)를 작동시켜 물고기 양식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지시수집모듈(151), 수동작동모듈(152), 자동작동모듈(153)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지시수집모듈(151)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물고기 양식에 관한 양식 지시 정보가 출력된 경우 이를 수집하여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동작동모듈(152)은 상기 지시수집모듈(151)에서 출력된 양식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부(400)를 작동시켜 물고기 양식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12시에 500g의 사료를 공급하고, 2시에 50g의 약물을 공급하라는 양식 지시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경우, 상기 수동작동모듈(152)은 12시에 사료급이기를 작동시켜 수조에 500g의 사료를 공급하고, 2시에 약물투입기를 작동시켜 수조에 50g의 약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자동작동모듈(153)은 상기 지시수집모듈(151)에서 출력된 지시 정보에 일정 기간 동안 자동 제어에 의해 물고기를 양식하라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지시 정보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장치부(400)를 작동시켜 물고기 양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사용자단말기(100)에 질병 치료 정보가 전송되었는데, 자동 제어를 수행하라는 지시 정보가 출력되거나 지시 정보 자체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동작동모듈(153)은 약물투입기를 작동시켜 질병 치료 정보에 따라 약물을 수조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영상제공부(16)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물고기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CCTV에서 촬영 중인 물고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구성이다. 상기 영상제공부(16)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언제든지 물고기 영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상부(17)는 사용자가 양식에 참여함에 따라 사용자에 지급하여야한 보상을 산정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보상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비용상환모듈(171), 참여평가모듈(172), 가상화폐모듈(173) 등을 포함한다.
상기 비용상환모듈(171)은 상기 양어계약의 대상이 되는 물고기 양식에 사용된 비용을 산출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전송한 후 금융사시스템(미도시)으로 부터 상기 비용이 입금되었다는 정보가 입력된 경우, 비용의 일정 부분을 보상으로 산정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물고기 양식에 사료비, 약품비, 전기세 등으로 100원이 소요되었는데 보상 산정 비율이 50%라 하면, 상기 비용상환모듈(171)은 100원을 지급의 요청하는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고, 사용자가 관리자의 계좌에 상기 비용을 입금하면, 상기 금융사시스템은 비용이 입금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비용상환모듈(171)은 100원의 50%인 50원을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으로 산정하게 된다.
상기 참여평가모듈(172)은 상기 DB서버(2)에 저장된 사용자의 물고기 양식 참여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 양식 참여도에 따라 사용자에 지급하여할 보상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수동평가모듈(172a), 능동평가모듈(172b), 생육기여모듈(172c), 예방평가모듈(172d)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된, 물고기 양식에 관한 양식 지시 정보 및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물고기 양식 참여 정보는 DB서버(2)에 저장됨으로, 상기 보상부(17)는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물고기 양식 참여도를 확인하여 보상을 산정하여 지급하므로, 적극적인 양식 참여를 유도하여 시스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동평가모듈(172a)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출력된 상기 양식 지시 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 출력된 물고기 양식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물고기 양식 정보에 일치되는 양식 지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물고기 양식 정보에 일치되는 양식 지시 정보가 많을수록 많은 보상을 산정하게 된다. 예컨대, 10g의 약물을 투입하여야 한다는 질병 치료 정보(물고기 양식 정보)가 전송되었는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10g의 약물 투입을 지시하는 양식 지시 정보가 출력된 경우, 양 정보는 일치된 것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능동평가모듈(172b)은 상기 물고기 양식 정보와 상관없이 능동적으로 양식에 참여한 정도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물고기 영상을 시청한 경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 경우 능동적으로 양식에 참여한 정도가 크가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생육기여모듈(172c)은 양식 종료후 상기 센서부(300)에서 출력된 물고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 생육상태가 기준 범위보다 좋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출력되어 상기 DB서버(2)에 저장된 양식 지시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이 있는지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구성으로, 생육상태모듈(1721), 지시분석모듈(1722), 기여산정모듈(1723), 저장모듈(1724) 등을 포함한다.
상기 생육상태모듈(1721)은 양식 종료후 상기 센서부(300)에서 출력된 물고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 생육상태가 기준 범위보다 좋은지 판단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물고기의 크기에 대한 기준 범위가 20 내지 25cm로 설정되어 있는데, 양식 종료 후 CCTV에서 출력된 물고기 영상을 통해 확인한 물고기의 크기가 30cm인 경우 물고기 생육상태가 기준 범위보다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범위는 물고기 양식 정보에 따라 양식을 수행하였을 때 통상적으로 물고기가 가질 수 있는 생육상태를 기준으로 정해지게 된다.
상기 지시분석모듈(1722)는 상기 생육상태모듈(1721)이 물고기 생육상태가 기준 범위보다 좋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출력되어 상기 DB서버(2)에 저장된 양식 지시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이 있는지 파악하는 구성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에서 전송된 물고기 양식 정보와 다른 방식으로 물고기를 양식하도록 하는 양식 지시 정보가 있는 경우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기여산정모듈(1723)은 상기 지시분석모듈(1722)이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센서부(300)에서 출력된 물고기 센성정보를 이용하여 생육상태 향상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한다. 예컨대, 물고기의 크기에 대한 기준 범위가 20 내지 25cm로 설정되고 측정된 물고기의 크기가 25cm보다 5cm가 클때마다 10원을 지급한하다고 설정되어 있는데, CCTV에서 출력된 물고기 영상을 통해 확인한 물고기의 크기가 35cm인 경우 상기 기여산정모듈(1723)은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으로 20원을 산정하게 된다.
상기 저장모듈(1724)는 상기 기여산정모듈(1723)에 의해 보상이 산정된 경우,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에 해당하는 양식 지시 정보ㅇ와, 산정된 보상에 정보를 DB서버(2)에 저장한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물고기 양식 정보에 일치되는 양식 지시 정보를 출력하나(이때, 양식 완료 후 물고기의 생육 상태는 일정 범위에 있게 됨), 일부 사용자는 자신만의 양식 방법에 의해 물고기를 양식하고자 하여 제시된 물고기 양식 정보와는 다른 양식 지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이때, 양식 완료 후 물고기의 생육 상태는 물고기 양식 정보를 따를 때를 기준하여 설정된 기준 범위보다 좋거나 나쁠 수 있음), 새로운 양식 방법에 의해 양식이 수행되어 물고기의 생육이 더 좋게 된 경우, 이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고 상기 새로운 양식 방법을 저장하여 이후 물고기 양식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방평가모듈(172d)은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된 후 상기 피드백정보모듈이 이상 상태 해결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출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물고기 이상 상태 발견에 기여하였음을 인정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이상 상태 발견 회수에 따라 일정액의 보상이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상화폐모듈(173)은 상기 비용상환모듈(171) 및 참여평가모듈(172)에서 산정된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보상에 따라 제품구매에 사용될 수 있는 가상화폐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상화폐는 관리자의 제품 및 관리자와 협약을 맺은 업체의 제품 구매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매부(18)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가 양식한 물고기를 이용한 제품(예컨대, 물고기 자체, 회, 매운탕 등)의 구매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관리자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가 구매를 요청한 제품을 사용자에 인도하였음을 알리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이를 DB서버(2)에 저장한다. 상기 제품의 구매시 상기 가상화폐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관리서버(1)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며, 추가적으로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되는 정보처리앱을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10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DB서버(2)는 본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설정정보, 본 시스템 운영에 따라 생성되는 생성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생성정보에 따라 설정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관리서버 2: DB서버 11: 송수신부
12: 양어계약부 13: 위탁부 14: 양어정보부
15: 양어수행부 16: 영상제공부 17: 보상부
18: 구매부 19: 제어부 121: 정보요청모듈
122: 정보제공모듈 123: 계약완료모듈 124: 전송및저장모듈
131: 위탁요청모듈 132: 위탁판단모듈 133: 위탁계약모듈
134: 위탁개시모듈 141: 영양정보모듈 142: 환경정보모듈
143: 상태정보모듈 144: 피드백정보모듈 142a: 환경판단모듈
142b: 조절정보생성모듈 143a: 질병판단모듈 143b: 치료정보수득모듈
143c: 전송모듈 144a: 확인요청모듈 144b: 상태판단모듈
144c: 해결정보수득모듈 144d: 전송모듈 151: 지시수집모듈
152: 수동작동모듈 153: 자동작동모듈 171: 비용상환모듈
172: 참여평가모듈 173: 가상화폐모듈 172a: 수동평가모듈
172b: 능동평가모듈 172c: 생육기여모듈 172d: 예방평가모듈
1721: 생육상태모듈 1722: 지시분석모듈 1723: 기여산정모듈
1724: 저장모듈

Claims (6)

  1. 사용자단말기와; 양어장에 설치되며, 물고기에 사료를 공급하고 물고기의 생육을 저해하지 않도록 양식 환경을 조절하는 장치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양식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부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물고기의 양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양식이 가능한 물고기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전송된 경우, 현재 사용자가 선택하여 양식이 가능한 물고기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물고기 선택 정보가 출력된 경우 양어계약을 완료하는 양어계약부와, 상기 양어계약의 대상이 되는 물고기의 양식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양어정보부와, 상기 양어정보부에 의해 물고기의 양식 방법에 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양식 지시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상기 양식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부를 작동시켜 물고기 양식을 수행하는 양어수행부와, 사용자가 양식에 참여함에 따라 사용자에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보상 정보를 전송하는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부는 상기 양어계약의 대상이 되는 물고기 양식에 사용된 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비용의 일정 부분을 보상으로 산정하는 비용상환모듈과, DB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물고기 양식 참여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 양식 참여도에 따라 사용자에 지급하여할 보상을 산정하는 참여평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참여평가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된 양식 지시 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출력된 물고기의 양식 방법에 대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물고기의 양식 방법에 대한 정보에 일치되는 양식 지시 정보의 횟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수동평가모듈과, 물고기의 양식 방법에 대한 정보와 상관없이 능동적으로 양식에 참여한 정도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능동평가모듈과, 양식 종료후 센서부에서 출력된 물고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 생육상태가 기준 범위보다 좋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되어 DB서버에 저장된 양식 지시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이 있는지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생육기여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된 후 관리서버가 이상 상태 해결 정보를 사용자단말기에 출력한 경우, 사용자가 물고기 이상 상태 발견에 기여하였음을 인정하여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예방평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생육기여모듈은 양식 종료후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물고기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 생육상태가 기준 범위보다 좋은지 판단하는 생육상태모듈과, 상기 생육상태모듈이 물고기 생육상태가 기준 범위보다 좋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되어 DB서버에 저장된 양식 지시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이 있는지 파악하는 지시분석모듈과, 상기 지시분석모듈이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물고기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생육상태 향상정도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지급하여야할 보상을 산정하는 기여산정모듈과, 상기 기여산정모듈에 의해 보상이 산정된 경우, 물고기의 생육상태를 향상시킨 특유의 양식 방식에 해당하는 양식 지시 정보를 DB서버에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양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어정보부는
    상기 물고기에 제공되어야할 사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영양정보모듈과, 현재의 양식 환경이 물고기 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아닌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환경상태 조절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환경정보모듈과, 양어장에 설치된 센서부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물고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물고기의 질병 여부를 판단하고 질병이 있다고 판단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질병 치료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상태정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양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어정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물고기의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다고 판단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이상 상태 해결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피드백정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피드백정보모듈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되었는지 확인하는 확인요청모듈과,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으니 이를 확인해 달라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센서부에서 출력되는 센싱 정보를 확인하여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는지 판단하는 상태판단모듈과, 상기 상태판단모듈이 상기 물고기가 이상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센서부의 물고기 상태에 대한 센싱 정보를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에서 전송된 물고기의 이상 상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상 상태 해결 정보를 수득하는 해결정보수득모듈과, 상기 해결정보수득모듈이 이상 상태 해결 정보를 수득한 경우 상기 이상 상태 해결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양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소유하는 물고기의 위탁을 요청하는 신호가 출력된 경우 이를 분석하여 양어장이 상기 물고기를 위탁받아 양식하는 것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가능하다고 판단시 위탁계약을 완료하는 위탁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물고기 영상을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CCTV에서 촬영 중인 물고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영상제공부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양식한 물고기를 이용한 제품의 구매를 요청하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구매 요청 정보를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구매를 요청한 제품을 사용자에 인도하였음을 알리는 정보가 출력된 경우 이를 DB서버에 저장하는 구매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양어수행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된 양식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부를 작동시켜 물고기 양식을 수행하는 수동작동모듈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된 양식 지시 정보에 일정 기간 동안 자동 제어에 의해 물고기를 양식하라는 정보가 포함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양식 지시 정보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장치부를 작동시켜 물고기 양식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여형 양어 시스템.
  6. 삭제
KR1020190069031A 2019-06-12 2019-06-12 참여형 양어 시스템 KR102268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31A KR102268029B1 (ko) 2019-06-12 2019-06-12 참여형 양어 시스템
PCT/KR2020/007379 WO2020251224A1 (ko) 2019-06-12 2020-06-08 참여형 양어 시스템
CN202080037002.1A CN113891653B (zh) 2019-06-12 2020-06-08 参与型水产养殖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31A KR102268029B1 (ko) 2019-06-12 2019-06-12 참여형 양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171A KR20200142171A (ko) 2020-12-22
KR102268029B1 true KR102268029B1 (ko) 2021-06-22

Family

ID=7378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031A KR102268029B1 (ko) 2019-06-12 2019-06-12 참여형 양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68029B1 (ko)
CN (1) CN113891653B (ko)
WO (1) WO2020251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3088A (zh) * 2020-12-31 2021-11-12 上海海洋大学 娱乐购物一体式智能化鱼类交易平台
CN115486389A (zh) * 2021-06-18 2022-12-20 艾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养殖系统
KR102486494B1 (ko) * 2022-03-31 2023-01-10 주식회사 해신 해삼 양식장 체험 메타버스 플랫폼
KR102625822B1 (ko) * 2022-10-06 2024-01-17 이데아아이 주식회사 메타버스에 연결될 수 있는 모듈형 관상어 교육키트를 활용한 동물매개 자기주도적 학습 교육방법 및 동물교감을 통한 심리치유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608B1 (ko) * 2016-11-15 2017-06-2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Ict를 활용하여 민물뱀장어의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양식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571A (ko) * 2000-04-07 2000-08-05 손석호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농장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0357250B1 (ko) * 2000-07-19 2002-10-18 이광래 인터넷을 통한 원격 양육 방법
JP2002315471A (ja) * 2001-04-20 2002-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飼育装置
JP2007189930A (ja) * 2006-01-18 2007-08-02 Sogo Keibi Hosho Co Ltd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KR20100057379A (ko) * 2008-11-21 2010-05-31 공경용 농축수산물 육성의 위탁 관리 시스템 및 그 위탁 관리 방법
KR101182182B1 (ko) * 2009-05-07 2012-09-12 (주)셈투유 게임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과 그 학습 방법
KR20140065814A (ko) * 2012-11-22 2014-05-30 서동준 퀘스트 및 보상 시스템을 이용한 가상 캐릭터 육성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5079460A1 (en) * 2013-11-28 2015-06-04 Gupta Lucky System for computing contribution and providing appropriate incentives
CN104570994A (zh) * 2014-08-08 2015-04-29 柯远珍 一种水产养殖自动监控方法
KR20160101727A (ko) * 2015-02-17 2016-08-26 주식회사 글로비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CN104914811B (zh) * 2015-04-13 2018-04-06 朱建强 种养网租系统
KR101598898B1 (ko) * 2015-06-30 2016-03-03 주식회사 글로비트 음향 및 영상분석을 통한 넙치 질병 예방 시스템
KR20170032152A (ko) * 2015-09-14 2017-03-22 (주)빌리언이십일 양어장의 급이 제어방법 및 그 장치
CN108920626B (zh) * 2018-06-29 2020-12-29 山东华夏维康农牧科技有限公司 一种云养殖方法及云养殖设备
CN109284834A (zh) * 2018-07-18 2019-01-29 嘉兴赛亿科农业科技有限公司 水产养殖运营方法和系统及用户终端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608B1 (ko) * 2016-11-15 2017-06-2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Ict를 활용하여 민물뱀장어의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양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91653A (zh) 2022-01-04
KR20200142171A (ko) 2020-12-22
WO2020251224A1 (ko) 2020-12-17
CN113891653B (zh)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8029B1 (ko) 참여형 양어 시스템
KR102435311B1 (ko) 맞춤형 급이조절이 가능한 양어시스템
Balci et al. Risk assessment in man and mouse
US10264765B2 (en) Pet monitoring and recommendation system
US73179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d operating a plurality of farm houses
EP2818864B1 (en) Remote assistance for aquarists
KR20200060112A (ko) 양어장 통합관리시스템
Bott et al. Research verification of production practices using intensive aeration at a hybrid catfish operation
Ali et al. Effects of incorporating environmental cost and risk aversion on economic values of pig breeding goal traits
KR20180085918A (ko)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곤충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etprom et al. Closing digital gap on RFID usage for better farm management
Olynk et al. Stochastic economic analysis of dairy cattle artificial insemination reproductive management programs
KR20140079656A (ko) 개선된 현실 연계 작물재배 게임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8380B1 (ko) 통합육성관리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415158B1 (ko) 양식어류의 질병 감시를 위한 스마트 지원시스템
CN108280747A (zh) 一种畜牧线上领养方法
KR20100025809A (ko) 맞춤형 e-농장 시스템
KR101201777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육성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6638A (ko) 가축에 대한 원격 사육을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00094486A (ko) 가상화폐 보상지원을 통한 가축질병 감시지원시스템
CN110969506A (zh) 养殖需求管理方法、装置及服务器
KR102117551B1 (ko) 앱을 이용한 실시간 닭정보 공유 시스템
KR20230123149A (ko) 수익형 농장 간접경영 장치
Hussain et al. Optimal harvest licensing when harvest success is uncertain
CN112819291A (zh) 基于网络平台救助动物的方法、装置、设备与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