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727A -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727A
KR20160101727A KR1020150023751A KR20150023751A KR20160101727A KR 20160101727 A KR20160101727 A KR 20160101727A KR 1020150023751 A KR1020150023751 A KR 1020150023751A KR 20150023751 A KR20150023751 A KR 20150023751A KR 20160101727 A KR20160101727 A KR 2016010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eeding
farm
feed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비트
Priority to KR1020150023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1727A/ko
Publication of KR2016010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Zo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상 양식장 내 설치되어 수집된 환경정보에 따라 무인 환경에서 산출된 어류의 상태, 환경변화에 따른 표준생상 DB 및 적정 급이량에 따라 압축건사료(EP)를 조절하여 자동으로 압축건사료(EP)를 공급하는 먹이 급이기; 먹이 급이기와 연동되어 양식장에서 제공되는 CCTV, 센서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거나, 먹이 급이기 구동을 위한 급이 시간, 급이량, 급이 횟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해양기상에 따른 응급상태 발생시 시설물의 안전상태 조건을 저장하여 먹이 급이기가 자동으로 압축건사료(EP)가 공급되도록 하는 관리서버;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양식장의 상태정보, 이상기온 정보, 해양기상 상태에 따라 양식장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거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먹이 급이 장치를 통해 제공된 사료 공급여부를 확인하거나, 먹이 급이기에서 제공된 실시간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시설물의 상태를 LED 표시 여부를 확인하는 관리자 단말; 및 먹이급이기 자동제어를 위한 어플(APP)을 구동하여 통신망을 통해 원거리에서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양식장의 상태정보, 이상기온 정보, 해양기상 상태에 따라 양식장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거나, 먹이 급이기에서 제공된 사료 공급여부, 구동장치의 동작여부,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원격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먹이급이기 스스로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사람이 없는 무인환경에서도 급이가 가능하여 어류의 상태, 환경변화에 따른 표준생상 DB 및 적정 급이량을 산출하여 급이량을 스스로 조절하여 사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An automatic controling system for feed supplier based on Internet of Things(IoT)}
본 발명은 먹이 급이 장치가 구비된 해상 가두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먹이급이기 스스로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사람이 없는 무인환경에서도 급이가 가능하여 어류의 상태, 환경변화에 따른 표준생상 DB 및 적정 급이량을 산출하여 급이량을 스스로 조절하여 사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식장과 관리서버에 구비된 기준정보를 통하여 사료분쇄기에 투입된 압축건사료(EP)를 분쇄하여 물펌프로 바닷물을 끌여들여 물과 함께 사료호스로 투입하여 급이량에 따라 밸브가 회전하여 양식장 내 각 급이 수조에 분쇄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양식장에 사료를 급이하는 방법은 사료급이를 위한 정박용 배 또는 별도로 제작된 급이용 부이(Buoy)를 이용하여 인력 또는 자동으로 표층에서 공급하는 것이나, 이러한 사료급이방법은 해상 기상조건에 따라 양식장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해상 양식장은 해상에 부유시키거나 수중형으로서 해저에 정박시키는 형태로 실시하고 있어 기상상태에 자유롭지 못하여 기상조건과 상관없이 언제나 양식어류에게 사료를 원격에서 자동급이할 수 있는 사료저장시설과 함께 사료공급시설이 필수적인 사항이다.
해상 가두리양식장에서 사용하는 사료는 EP(압축건사료, Extruded Pellet)와 MP(습식사료, Moist Pellet) 두 종류가 있는데 통상 EP는 치어상태일 경우 사용하고 성어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대부분 MP를 사용하고 있다. 대다수 양식장에서 MP사료를 사용하는 이유는 가격이 저렴하고 생장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MP사료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어족자원 고갈, 양식장 인근 해양오염 심각, 바다의 부영양화로 인한 질병 및 대량폐사 발생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 초래하고 있다.
또한, 종래 부유형 가두리의 경우 사료급이선이나 바지선에 사료공급시설을 구비하고 일시적으로 정박하여 에어-본(Air-Born) 형태로 공급하고 있어 기상조건에 따라서 접근성이 매우 제한적이며, 사료량을 과잉 공급할 경우에는 해상 양식장 주변의 해양오염문제를 초래하게 되고, 종래 수중형 가두리의 경우 별도의 정박시설을 이용하거나 급이를 위한 선박을 가두리 근처에 정박하여 워터-본(Water-Born) 형식으로 수중 가두리에 워터펌프를 이용하여 사료를 급이하고 있어 기상의 악조건에 따라서는 양식장 가두리에 접근성이 매우 제한적이다.
부가적으로 현재 양식어민들은 대부분 60세 이상의 노인들이 대부분이며 사료급이, 그물관리, 출하 등의 힘든 노동을 매일 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므로 양식어업의 지속성에 상당한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고, 젊은 세대는 3D 업종인 수산양식업에 종사하는 것을 피하고 있어서 자동급이기와 같은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는 설비를 도입이 필요하며, 직접 손으로 급이하는 경우 많은 인력이 소요되고 체계적인 급이가 불가능하여 고품질로 평준화된 어육을 생산하기 어렵고 양식 어류와 작업자의 많은 접촉으로 인해 양식 어류의 스트레스로 인한 성장속도 저하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기존의 타이머에 의해 급이되는 자동급이기는 작업자의 경험에 의한 급이이므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사료가 발생되거나 모자라는 경우가 발생될 있으며, 수산양식 특성상 매일 작업자가 양식 현장에 갈 수 밖에 없으며 이를 대체하기 위한 IoT기술 융합을 통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기술 도입 매우 시급하다.
[관련기술문헌]
1. 양어 양식용 사료 급이 장치(FODDER FEEDER FOR FISH-FARMING)(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07156호)
2. 외해 수중 가두리 양식장의 자동 급이장치 및 그 시스템(AUTOMATIC FEEDING APPARATUS AND SYSTEM FOR OFFSHORE SUBMERSIBLE MARINE AQUACULTURE)(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9581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먹이급이기 스스로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사람이 없는 무인환경에서도 급이가 가능하여 어류의 상태, 환경변화에 따른 표준생상 DB 및 적정 급이량을 산출하여 급이량을 스스로 조절하여 사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식장과 관리서버에 구비된 기준정보를 통하여 사료분쇄기에 투입된 압축건사료(EP)를 분쇄하여 물펌프로 바닷물을 끌여들여 물과 함께 사료호스로 투입하여 급이량에 따라 밸브가 회전하여 양식장 내 각 급이 수조에 분쇄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양식장과 관리서버에 구비된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지능형 자동 급이관리를 위하여 어종 및 생육 정보, 수질센서를 통해 성장 속도, 질병 및 패사정보를 피드백하여 사육 환경정보를 통해 어종별 급이패턴분석 데이터를 통해 양식장 어종의 사료크기, 적정 급이량 정보도출를 통해 생육환경 및 어종, 크기에 최적화된 급이가 가능한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은, 해상 양식장 내 설치되어 수집된 환경정보에 따라 무인 환경에서 산출된 어류의 상태, 환경변화에 따른 표준생상 DB 및 적정 급이량에 따라 압축건사료(EP)를 조절하여 자동으로 압축건사료(EP)를 공급하는 먹이 급이기; 먹이 급이기와 연동되어 양식장에서 제공되는 CCTV, 센서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거나, 먹이 급이기 구동을 위한 급이 시간, 급이량, 급이 횟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해양기상에 따른 응급상태 발생시 시설물의 안전상태 조건을 저장하여 먹이 급이기가 자동으로 압축건사료(EP)가 공급되도록 하는 관리서버;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양식장의 상태정보, 이상기온 정보, 해양기상 상태에 따라 양식장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거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먹이 급이 장치를 통해 제공된 사료 공급여부를 확인하거나, 먹이 급이기에서 제공된 실시간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시설물의 상태를 LED 표시 여부를 확인하는 관리자 단말; 및 먹이급이기 자동제어를 위한 어플(APP)을 구동하여 통신망을 통해 원거리에서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양식장의 상태정보, 이상기온 정보, 해양기상 상태에 따라 양식장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거나, 먹이 급이기에서 제공된 사료 공급여부, 구동장치의 동작여부,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원격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급이 장치가 구비된 해상 가두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먹이 급이기와 연동되어 양식장 내 설치된 CCTV, 센서의 작동을 통해 사료 분쇄기의 동작에 따른 먹이 급이기의 요청신호에 따라 사료 분사에 필요한 해양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먹이 급이기의 사료 분사용 모터를 구동하여 자바라 형태의 관로를 통해 해상 양식장 내 압축건사료(EP)의 설정량을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구동장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급이 장치가 구비된 해상 가두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먹이 급이기 내 어종 및 생육 상태, 이병/폐사 여부, 먹이 급이기의 구동에 따른 사료 공급 상태 여부 및 해상상태에 따른 양식장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상여부, 센서부의 동작에 따라 계측된 생육 환경의 수온과 용존 산소량, 해양 상태에 따른 먹이 급이기의 염분, 파도, 진동의 감지 정보, 양식장의 온도 및 수온의 환경 정보 센싱데이터 및 유실 감지 데이터의 센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먹이 급이기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양식장 내 먹이 급이기의 일측에 구성되어 어종 및 생육 상태, 이병 및 폐사 여부, 먹이 급이기의 구동에 따른 사료 공급 상태 및 그 여부를 촬상하거나, 해상상태에 따른 양식장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상하여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CCTV 구동부, 양식장 내 생육 환경 계측을 위해 용존 산소량 센서(DO senxor)를 통해 수온과 용존 산소량 확인하거나, 양식장내 설치한 주요 시설물에 대하여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자동으로 정보 수집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고 센싱 데이터의 수집된 정보를 분석, 저장하거나 해양상태에 따라 적용될 염분, 파도, 진동의 내구성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주전원과 보조전원으로 구성되어 먹이 급이기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에 대한 상태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데이터를 송출하여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전원에 대한 데이터를 조회가 가능한 전원공급부, 양식장 내 먹이 급이기의 시설물의 전압 및 전류의 값과 양식 어류의 급이에 투여되는 압축건사료(EP)량을 제어하거나, 양식의 온도 및 수온의 환경 정보의 센싱데이터 정보와 유실 감지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준값을 제어하거나, 원격에서 사용자 단말, 관리자 단말 또는 관리서버에서 해당 먹이 급이기의 운영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먹이 급이기 내 센서부의 동작에 따라 계측된 생육 환경의 수온과 용존 산소량을 표시하거나, 해양 상태에 따른 먹이 급이기의 염분, 파도, 진동의 감지 정보를 표시하거나, 먹이 급이기 구동에 필요한 전력공급에 따른 검출된 전력량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거나, 센싱부를 통해 양식장의 온도/수온의 환경 정보 센싱데이터 및 유실 감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LED 접속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먹이 급이기의 사료분사용 모터를 구동하여 자바라 형태의 관로를 통해 양식장 내 압축건사료(EP)의 적정량을 자동으로 분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급이 장치가 구비된 해상 가두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먹이 급이기로 어종 및 생육 정보 및 센서부에서 측정된 해상 센싱 정보를 기초로 사육 환경 정보에 따른 압축건사료(EP) 공급에 따른 정보를 송출하면 구동장치에 구성된 4 방향 사료 분사 모터가 구동되어 사료 저장 탱크 내 저장된 사료를 4 방향으로 공급하게 되고, 공급된 상태 정보가 수중 CCTV 녹화 처리기(NVR)을 통해 녹화되어 해당 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육상 건물인 관리서버로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은, 먹이급이기 스스로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사람이 없는 무인환경에서도 급이가 가능하여 어류의 상태, 환경변화에 따른 표준생상 DB 및 적정 급이량을 산출하여 급이량을 스스로 조절하여 사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은 양식장과 관리서버에 구비된 기준정보를 통하여 사료분쇄기에 투입된 압축건사료(EP)를 분쇄하여 물펌프로 바닷물을 끌여들여 물과 함께 사료호스로 투입하여 급이량에 따라 밸브가 회전하여 양식장 내 각 급이 수조에 분쇄된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은 양식장과 관리서버에 구비된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지능형 자동 급이관리를 위하여 어종 및 생육 정보, 수질센서를 통해 성장 속도, 질병 및 패사정보를 피드백하여 사육 환경정보를 통해 어종별 급이패턴분석 데이터를 통해 양식장 어종의 사료크기, 적정 급이량 정보도출를 통해 생육환경 및 어종, 크기에 최적화된 급이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은 양식장과 관리서버에 구비된 기준정보를 비교하여 촬상부, 센서부의 동작에 의해 문제발생시 원격지에서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지능형 급이관리를 위한 어종별 급이패턴분석 데이터를 통해 양식장에 대한 수온의 변화에 따른 먹이 섭취량 변화 데이터, 성장 크기에 따른 급이 사료의 크기 및 급이량 변화 데이터, 성장 크기별 적정 사육밀도, 표준 성장 속도 등의 원시 데이터 구축이 가능하여 어종별 관리 및 먹이 공급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은 태풍이나 높은 파도에도 언제나 양식어류에 적정량의 사료를 필요한 시간에 자동급이할 수 있어 효율적인 해상 양식을 구현할 수 있고, 영상촬영기를 이용하여 사료량을 측정한 후 원격에서 자동제어하므로 양식어류에 공급하고 잉여되는 사료량을 제어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은, 양식장의 센서부에 전송되는 수온, 사료량, 용존산소량 및 유실감지 정보를 센싱하여 임계치를 점검하고, 센서부의 주기에 따른 정보를 확인하여 CCTV 카메라 제어 및 먹이 급이 장치의 급이 시간, 급이량, 급이 횟수에 따라 각 수조별로 급이량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세부 구성도
도 3는 도 1의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먹이급이기 구동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먹이 급이기 동작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먹이 급이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급이기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먹이 급이기 구동을 위한 압축건사료(EP) 살포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먹이급이기 구동장치의 세부 상태를 도시한 LED 접속부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3는 도 1의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은 먹이 급이기(100), 구동장치(150), 관리서버(200), 통신망(300), 관리자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500)로 구성된다.
상기 먹이 급이기(100)는 해상 양식장 내 설치되어 수집된 환경정보에 따라 무인 환경에서 산출된 어류의 상태, 환경변화에 따른 표준생상 DB 및 적정 급이량에 따라 압축건사료(EP)를 조절하여 자동으로 급이를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장치(150)는 양식장 내 설치된 CCTV, 센서의 작동을 통해 사료 분쇄기의 동작에 따른 먹이 급이기의 요청신호에 따라 사료 분사에 필요한 해양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200)는 먹이 급이기(100)와 통신망(300)으로 연동되어 양식장에서 제공되는 CCTV, 센서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거나, 먹이 급이기치 구동을 위한 급이 시간, 급이량, 급이 횟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해양기상에 따른 응급상태 발생시 시설물의 안전상태 조건을 저장하여 먹이 급이기(100)가 자동으로 압축건사료(EP)가 공급되도록 하고, 먹이 급이기(100) 및 구동장치(150)의 동작여부, 양식장의 안전상태를 확인하여 이상기온, 해양기상 상태 정보에 따라 이상 여부를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통신망(300)은 상기 먹이 급이기(100), 관리서버(300), 관리자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500)과 각각 연동하여 양식장의 자동으로 먹이 급이를 위한 통신망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관리자 단말(400)은 상기 통신망(300)과 연동하여 관리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양식장의 상태정보, 이상기온 정보, 해양기상 상태에 따라 양식장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거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먹이 급이 장치를 통해 제공된 사료 공급여부를 확인하거나, 먹이 급이기에서 제공된 실시간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시설물의 상태를 LED 표시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500)은 먹이급이기 자동제어를 위한 어플(APP)을 구동하여 상기 통신망(300)을 통해 원거리에서 관리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양식장의 상태정보, 이상기온 정보, 해양기상 상태에 따라 양식장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거나, 먹이 급이기(100)에서 제공된 사료 공급여부, 구동장치(150)의 동작여부,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통신망(30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300)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신망(3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300)은 해상 먹이 급이기(100), 관리서버(200), 관리자 단말(400), 사용자 단말(5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먹이 급이기(100)의 상태는 첨부된 도 7과 같이 나타내며, 그 구성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먹이급이기 구동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급이기 구동장치(150)는 크게 제어부(151), CCTV 구동부(152), 센서부(153), 전원공급부(154), 설정부(155), LED 접속부(156) 및 구동부(1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먹이급이기 구동장치(15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어부(151)는 상기 먹이 급이기(100) 내 어종 및 생육 상태, 이병/폐사 여부, 먹이 급이기의 구동에 따른 사료 공급 상태 여부 및 해상상태에 따른 양식장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상여부, 센서부(153)의 동작에 따라 계측된 생육 환경의 수온과 용존 산소량, 해양 상태에 따른 먹이 급이기(100)의 염분, 파도, 진동의 감지 정보, 양식장의 온도/수온의 환경 정보 센싱데이터 및 유실 감지 데이터의 센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먹이 급이기(10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CCTV 구동부(152)는 양식장 내 먹이 급이기(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어종 및 생육 상태, 이병/폐사 여부, 먹이 급이기의 구동에 따른 사료 공급 상태 및 그 여부를 촬상하거나, 해상상태에 따른 양식장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상하여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센서부(153)는 양식장 내 생육 환경 계측을 위해 용존 산소량 센서(DO senxor)를 통해 수온과 용존 산소량 확인하거나, 양식장내 설치한 주요 시설물에 대하여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자동으로 정보 수집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고 센싱 데이터의 수집된 정보를 분석, 저장하거나 해양상태에 따라 적용될 염분, 파도, 진동의 내구성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54)는 먹이 급이기(100)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에 대한 상태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데이터를 송출하여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전원에 대한 데이터를 조회가 가능하도록 하며, 주전원과 보조전원을 제어한다.
상기 설정부(155)는 양식장 내 먹이 급이기(100)의 시설물의 전압 및 전류의 값과 양식 어류의 급이에 투여되는 압축건사료(EP)량을 제어하거나, 양식의 온도/수온의 환경 정보의 센싱데이터 정보와 유실 감지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준값을 제어하거나, 원격에서 사용자 단말(500), 관리자 단말(400) 또는 관리서버(200)에서 해당 먹이 급이기(100)의 운영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상태를 설정한다.
상기 LED 접속부(156)는 상기 제어부(151)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먹이 급이기(100) 내 센서부(153)의 동작에 따라 계측된 생육 환경의 수온과 용존 산소량을 표시하거나, 해양 상태에 따른 먹이 급이기(100)의 염분, 파도, 진동의 감지 정보를 표시하거나, 먹이 급이기(100) 구동에 필요한 전력공급에 따른 검출된 전력량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거나, 센싱부(155)를 통해 양식장의 온도/수온의 환경 정보 센싱데이터 및 유실 감지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기 구동부(157)는 상기 제어부(151)의 제어신호에 따라 먹이 급이기(100)의 사료분사용 모터(도면부호 미도시)를 구동하여 자바라 형태의 관로를 통해 양식장 내 압축건사료(EP)의 적정량을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양식장 내 먹이 급이기(100)의 구동장치(150) 동작을 통해 압축건사료(EP)를 자동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양식장 내 설치된 CCTV, 센서의 작동상태, 먹이 급이기(100)의 동작에 따른 동작 이상여부, 예측 불가능한 해양기상에 따른 양식장 시설의 유실 상태정보의 원격 설정 및 상태확인, 시설물 유실확인과 시설물 진단하여 응급상태를 실시간 LED 접속부(157)에 표시되도록 하여 관리자 단말(400) 또는 전용 어플(APP)을 구동한 사용자 단말(500)에서 원격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먹이 급이기(100)를 통해 압축건사료(EP) 급이를 위한 살포기 상태는 첨부된 도 8과 같이 나타내며, 그 구성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하여 첨부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먹이 급이기 동작 상태를 통해 그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통신망(300)을 통해 양식장 내 일측에 구성된 먹이 급이기(100)에서 해상으로 먹이 급이 필요한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즉, 상기 먹이 급이기(100)로 어종 및 생육 정보 및 센서부(153)에서 측정된 해상 센싱 정보를 기초로 사육 환경 정보에 따른 압축건사료(EP) 공급에 따른 정보를 송출하면 구동장치(150)에 구성된 4 방향 사료 분사 모터가 구동되어 사료 저장 탱크(159) 내 저장된 사료를 4 방향으로 공급하게 되고, 공급된 상태 정보가 수중 CCTV 녹화 처리기(NVR)을 통해 녹화되어 해당 정보가 통신망(300)을 통해 육상 건물인 관리서버(200)로 전송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따른 먹이 급이기의 세부 구성을 참조하면 먹이 급이기(100)의 구동장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151)에서 먹이 급이기(100)의 자동 먹이 공급을 위한 압축건사료(EP) 급이 신호가 송출되면 구동부(157)의 전송신호에 따라 자바로 형태의 관로를 통해 사료 보관 케이스(도면 부호 미도시)로 전송되고 사료 분사 모터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으로 압축건사료(EP)가 자동으로 해상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압축건사료(EP)의 크기, 적정 급이량 정보는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되게 된다.
상기의 구성 및 동작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먹이급이기 구동장치의 세부 상태는 첨부된 도 9와 같이 LED 접속부와 같이 도시되는데 이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은 상기 CCTV 촬상부에서 촬상된 시스템 내의 어종 및 생육 정보에 따라 먹이 급이기의 구동에 따른 사료 공급여부 및 해상상태에 따른 양식장의 상태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 관리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센서부에서 수행한 양식장 내 생육 환경 계측을 위해 용존 산소량 센서(DO senxor)를 통해 수온과 용존 산소량의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정상 작동확인하여 정보 수집,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여 센싱 데이터의 정보를 분석, 저장하거나 해양상태에 따라 적용될 염분, 파도, 진동의 내구성 여부를 감지하여 관리서에 저장된 기준치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의 관리자에게 경보 발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먹이 급이기 150 : 구동장치
151 : 제어부 152 : CCTV 구동부
153 : 센서부 154 : 전원 공급부
155 : 설정부 156 : LED 접속부
157 : 구동부 158 : 모터
200 : 관리서버 300 : 통신망
400 : 관리자 단말 500 : 사용자 단말

Claims (4)

  1. 해상 양식장 내 설치되어 수집된 환경정보에 따라 무인 환경에서 산출된 어류의 상태, 환경변화에 따른 표준생상 DB 및 적정 급이량에 따라 압축건사료(EP)를 조절하여 자동으로 압축건사료(EP)를 공급하는 먹이 급이기(100);
    먹이 급이기(100)와 연동되어 양식장에서 제공되는 CCTV, 센서의 상태정보를 저장하거나, 먹이 급이기 구동을 위한 급이 시간, 급이량, 급이 횟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해양기상에 따른 응급상태 발생시 시설물의 안전상태 조건을 저장하여 먹이 급이기(100)가 자동으로 압축건사료(EP)가 공급되도록 하는 관리서버(200);
    관리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양식장의 상태정보, 이상기온 정보, 해양기상 상태에 따라 양식장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거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의 먹이 급이 장치를 통해 제공된 사료 공급여부를 확인하거나, 먹이 급이기에서 제공된 실시간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시설물의 상태를 LED 표시 여부를 확인하는 관리자 단말(400); 및
    먹이급이기 자동제어를 위한 어플(APP)을 구동하여 통신망(300)을 통해 원거리에서 관리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양식장의 상태정보, 이상기온 정보, 해양기상 상태에 따라 양식장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거나, 먹이 급이기(100)에서 제공된 사료 공급여부, 구동장치의 동작여부,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원격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급이기(100)와 연동되어 양식장 내 설치된 CCTV, 센서의 작동을 통해 사료 분쇄기의 동작에 따른 먹이 급이기의 요청신호에 따라 사료 분사에 필요한 해양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먹이 급이기(100)의 사료 분사용 모터를 구동하여 자바라 형태의 관로를 통해 해상 양식장 내 압축건사료(EP)의 설정량을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구동장치(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급이기는
    상기 먹이 급이기(100) 내 어종 및 생육 상태, 이병/폐사 여부, 먹이 급이기의 구동에 따른 사료 공급 상태 여부 및 해상상태에 따른 양식장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상여부, 센서부의 동작에 따라 계측된 생육 환경의 수온과 용존 산소량, 해양 상태에 따른 먹이 급이기(100)의 염분, 파도, 진동의 감지 정보, 양식장의 온도 및 수온의 환경 정보 센싱데이터 및 유실 감지 데이터의 센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먹이 급이기(100)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1),
    양식장 내 먹이 급이기(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어종 및 생육 상태, 이병 및 폐사 여부, 먹이 급이기의 구동에 따른 사료 공급 상태 및 그 여부를 촬상하거나, 해상상태에 따른 양식장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상하여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CCTV 구동부(152),
    양식장 내 생육 환경 계측을 위해 용존 산소량 센서(DO senxor)를 통해 수온과 용존 산소량 확인하거나, 양식장내 설치한 주요 시설물에 대하여 정상 작동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자동으로 정보 수집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고 센싱 데이터의 수집된 정보를 분석, 저장하거나 해양상태에 따라 적용될 염분, 파도, 진동의 내구성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153),
    주전원과 보조전원으로 구성되어 먹이 급이기(100)에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에 대한 상태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데이터를 송출하여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전원에 대한 데이터를 조회가 가능한 전원공급부(154),
    양식장 내 먹이 급이기(100)의 시설물의 전압 및 전류의 값과 양식 어류의 급이에 투여되는 압축건사료(EP)량을 제어하거나, 양식의 온도/수온의 환경 정보의 센싱데이터 정보와 유실 감지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기준값을 제어하거나, 원격에서 사용자 단말(500), 관리자 단말(400) 또는 관리서버(200)에서 해당 먹이 급이기(100)의 운영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상태를 설정하는 설정부(155),
    상기 제어부(151)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먹이 급이기(100) 내 센서부(153)의 동작에 따라 계측된 생육 환경의 수온과 용존 산소량을 표시하거나, 해양 상태에 따른 먹이 급이기(100)의 염분, 파도, 진동의 감지 정보를 표시하거나, 먹이 급이기(100) 구동에 필요한 전력공급에 따른 검출된 전력량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거나, 센싱부(155)를 통해 양식장의 온도/수온의 환경 정보 센싱데이터 및 유실 감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LED 접속부(156), 및
    상기 제어부(151)의 제어신호에 따라 먹이 급이기(100)의 사료분사용 모터를 구동하여 자바라 형태의 관로를 통해 양식장 내 압축건사료(EP)의 적정량을 자동으로 분사하는 구동부(15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급이기(100)로 어종 및 생육 정보 및 센서부(153)에서 측정된 해상 센싱 정보를 기초로 사육 환경 정보에 따른 압축건사료(EP) 공급에 따른 정보를 송출하면 구동장치에 구성된 4 방향 사료 분사 모터가 구동되어 사료 저장 탱크 내 저장된 사료를 4 방향으로 공급하게 되고, 공급된 상태 정보가 수중 CCTV 녹화 처리기(NVR)을 통해 녹화되어 해당 정보가 통신망(300)을 통해 육상 건물인 관리서버(200)로 전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KR1020150023751A 2015-02-17 2015-02-17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KR20160101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751A KR20160101727A (ko) 2015-02-17 2015-02-17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751A KR20160101727A (ko) 2015-02-17 2015-02-17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727A true KR20160101727A (ko) 2016-08-26

Family

ID=5688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751A KR20160101727A (ko) 2015-02-17 2015-02-17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1727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0731A (zh) * 2017-04-05 2017-05-31 河南工程学院 一种物联网应用系统
CN107885173A (zh) * 2017-11-06 2018-04-06 信阳农林学院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渔业养殖精准投饵方法
KR20180129336A (ko) *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오텍시스템 가두리망 먹이 공급시스템
CN110488732A (zh) * 2019-09-24 2019-11-22 深圳市东荣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水产物联网环控系统
KR20200094476A (ko) 2019-01-30 2020-08-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구조물 기반의 가두리 양식장을 위한 하이브리드 발전형 자동먹이공급방법
WO2020251224A1 (ko) * 2019-06-12 2020-12-17 주식회사 황토원 참여형 양어 시스템
KR102316269B1 (ko) * 2020-11-24 2021-10-22 주식회사 엔바이로젠 사료 급이 장치
KR102342756B1 (ko) * 2020-12-30 2021-12-23 강원도 IoT 센서 기반의 곤충 사육 방법
KR20220010844A (ko) *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황토원 맞춤형 급이조절이 가능한 양어시스템
KR20220089395A (ko) * 2020-12-21 2022-06-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복합센서를 이용한 해상 양식장의 최적 사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547875B1 (ko) * 2022-10-21 2023-06-27 주식회사 비트리 인공지능에 의한 천장형 수조관리 모바일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료공급 방법
CN116491438A (zh) * 2023-06-30 2023-07-28 成都肇元科技有限公司 哺乳母猪智能饲喂器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90731A (zh) * 2017-04-05 2017-05-31 河南工程学院 一种物联网应用系统
KR20180129336A (ko) *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오텍시스템 가두리망 먹이 공급시스템
CN107885173A (zh) * 2017-11-06 2018-04-06 信阳农林学院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渔业养殖精准投饵方法
KR20200094476A (ko) 2019-01-30 2020-08-0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구조물 기반의 가두리 양식장을 위한 하이브리드 발전형 자동먹이공급방법
WO2020251224A1 (ko) * 2019-06-12 2020-12-17 주식회사 황토원 참여형 양어 시스템
CN110488732A (zh) * 2019-09-24 2019-11-22 深圳市东荣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水产物联网环控系统
KR20220010844A (ko) * 2020-07-20 2022-01-27 주식회사 황토원 맞춤형 급이조절이 가능한 양어시스템
KR102316269B1 (ko) * 2020-11-24 2021-10-22 주식회사 엔바이로젠 사료 급이 장치
KR20220089395A (ko) * 2020-12-21 2022-06-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복합센서를 이용한 해상 양식장의 최적 사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342756B1 (ko) * 2020-12-30 2021-12-23 강원도 IoT 센서 기반의 곤충 사육 방법
KR102342757B1 (ko) * 2020-12-30 2021-12-23 강원도 곤충 생육 환경 데이터 기반의 곤충 사육 자동화 시스템, 장치 및 그 방법
KR102547875B1 (ko) * 2022-10-21 2023-06-27 주식회사 비트리 인공지능에 의한 천장형 수조관리 모바일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료공급 방법
CN116491438A (zh) * 2023-06-30 2023-07-28 成都肇元科技有限公司 哺乳母猪智能饲喂器
CN116491438B (zh) * 2023-06-30 2023-09-22 成都肇元科技有限公司 哺乳母猪智能饲喂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1727A (ko) IoT 기반의 먹이급이기 자동제어 시스템
KR20150042364A (ko) 먹이 급이 장치가 구비된 해상 가두리 관리 시스템
CN107229289B (zh) 一种无人机放牧管理系统
KR101598898B1 (ko) 음향 및 영상분석을 통한 넙치 질병 예방 시스템
CN104914903B (zh) 一种智能化网箱养殖系统及使用方法
CN203492583U (zh) 一种预防南美白对虾养殖水体富营养化的视频监控装置
KR101449626B1 (ko) 가두리 양식장 원격제어 관리시스템
KR20060029661A (ko) 바다목장 음향 급이장치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3290061U (zh) 网箱养殖水下监测系统
CN107242176A (zh) 一种网箱养殖系统
CN10582426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畜牧养殖系统
KR20190096509A (ko) 가두리 양식장 관리시스템
US20200305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food intake of livestock animals
TW201715959A (zh) 水產養殖動物之餵食控制裝置
CN210270158U (zh) 水下鱼群监测设备及养殖设备
CN105052805A (zh) 一种深海养殖的自动投饵系统
CN208156457U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畜禽设施养殖智能监控系统
WO2017095019A1 (ko) 해상가두리용 무세척 센서 구동 관리시스템
KR102182073B1 (ko) 선박형 해상 드론을 포함하는 드론 스테이션 시스템
CN207020541U (zh) 一种无人机放牧管理系统
CN109574728A (zh) 有机废弃物发酵槽的信息采集方法与翻抛机智能化系统
CN210694134U (zh) 有缆水下采螺装置
CN206851728U (zh) 一种基于大数据水禽养殖精准智能投食系统
Hartung et al. Chickenboy: A farmer assistance system for better animal welfare, health and farm productivity
CN207304782U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和无线射频的水禽行为识别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