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900B1 -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900B1
KR102267900B1 KR1020190117393A KR20190117393A KR102267900B1 KR 102267900 B1 KR102267900 B1 KR 102267900B1 KR 1020190117393 A KR1020190117393 A KR 1020190117393A KR 20190117393 A KR20190117393 A KR 20190117393A KR 102267900 B1 KR102267900 B1 KR 102267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ductive structure
metal salt
tread
pneumatic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5946A (ko
Inventor
김성태
최석주
이지완
김정헌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7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900B1/ko
Priority to US17/030,041 priority patent/US20210086568A1/en
Priority to JP2020159525A priority patent/JP7013538B2/ja
Priority to CN202011018475.5A priority patent/CN112622526A/zh
Priority to EP20198104.0A priority patent/EP3798021B1/en
Publication of KR20210035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8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8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 B60C19/084Electric-charge-dissipating arrangements using conductive carc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02Non-inflatable or solid tyres made from ropes or br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of helical or flat coil form
    • B60C7/18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of helical or flat coil form disposed radially relative to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6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removing electrostatic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90Providing or changing
    • B60B2900/921Condu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7/0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 B60C7/10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 B60C7/14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 B60C7/146Non-inflatable or solid tyr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creasing resiliency using springs extending substantially radially, e.g. like spok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54Electroplating of non-metallic surfaces
    • C25D5/56Electroplating of non-metallic surfaces of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02Static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금속염이 도금된 통전성구조부를 결합함으로써, 비공기입 타이어의 차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통전성구조부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는 차축과 연결되고 삽입홈이 형성되는 림부; 타이어의 외측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 상기 림부와 상기 트레드부 사이에 형성되고, 아치형의 상부아치체와 하부아치체를 구비하며, 지면으로부터 트레드부로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는 스포크부; 상기 트레드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포크부의 하중 지지 및 스트레스 분산을 수행하는 구조보강부; 림부의 외측면부터 트레드부의 내측면의 사이에 형성되고, 타이어가 금속염이 도금된 통전성구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NON-PNEUMATIC TIRE HAVING FIBER COATED BY METAL SALT}
본 발명은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현 시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이어들은 구조에 따라 래디얼 타이어, 바이어스 타이어, 그리고 솔리드 타이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승용차 및 특수목적을 제외한 자동차에는 대부분 래디얼 타이어 즉, 공기압 (또는 공기입) 타이어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압 타이어는 구조가 복잡한데다 제조공정수가 8단계 등으로 많으며 또한 이에 따른 유해물질 배출량이 무시되지 못할 정도일 뿐더러 공기압 타이어의 성능발휘 및 안전성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공기압을 수시로 점검해야 하는 관리의 불편함과 주행 중 외부물질에 의한 찔림과 충격으로 타이어가 파손될 수 있는 안전성의 문제가 항상 내재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비공기입 타이어는, 이러한 공기압 타이어와 달리, 소재와 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 더러 에너지 사용량 및 유해물질 발생량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정과 구조로 이루어진 타이어로 공기압의 부족 등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기압타이어에서 발생되는 스탠딩 웨이브 (standing wave) 형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전저항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종래기술의 비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스포크부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정전기 방출에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 및 정지 시 축적된 정전기로 인해 도어 핸들을 잡을 시 충격을 받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 7284582호에서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코드를 포함하는 공기입식 타이어에 대해 언급하며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정전기를 지면에 방출시키는 방안을 소개하고 있다. 허나, 타이어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한 응력에 대해 취약하며 파손 시 교체의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17-017109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170177686호에서는, 공기입 타이어상 카카스 반제품 시트상에 금속염이 도금된 전도성 섬유 혹은 금속염이 도금된 전도성 섬유와 일반 섬유의 혼방사를 위치시킴으로써 비드부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트레드부까지 방출시키는 방안으로 소개하고 있다. 허나, 타이어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한 응력에 대해 취약하며 파손 시 교체의 어려움이 있다.
국제 공개특허 제 2017-086993호에서는, 비공기입 타이어상 림부 외측면부터 트레드부 내측면까지 평균 저향 4*10^5Ω를 가지는 고분자 및 도전성 탄소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정전기 방전 소자를 스포크 내부 혹은 외부에 중심축선에 가깝게 위치하여 차량에서 발생 가능한 정전기의 지면으로의 방출 방법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허나, 타이어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한 응력에 대해 취약하며 파손 시 교체의 어려움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 72845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17-0171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170177686호 국제 공개특허 제 2017-08699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로 형성되는 통전성구조부를 삽입함으로써, 주행 및 정지 시 축적된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도어 핸들을 잡을 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시 발생하는 통전성구조부의 압축 인장 응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축과 연결되고 삽입홈이 형성되는 림부; 타이어의 외측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 상기 림부와 상기 트레드부 사이에 형성되고, 아치형의 상부아치체와 하부아치체를 구비하며, 지면으로부터 트레드부로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는 스포크부; 상기 트레드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포크부의 하중 지지 및 스트레스 분산을 수행하는 구조보강부; 림부의 외측면부터 트레드부의 내측면의 사이에 형성되고, 타이어가 금속염이 도금된 통전성구조부를 구비함으로써, 차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지면까지 방전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부는 엘라스토머 혹은 고무 소재 중 선택되는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림부는, 상기 통전성구조부와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상기 통전성구조부는 차축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전성섬유체, 및 상기 통전성섬유체의 표면에 코팅되는 피복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전성섬유체는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중 선택되는 하나의 소재에 금속염을 전기 도금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전성섬유체는 상기 피복체와의 결합을 높이기 위해 면과 혼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전성구조부는, 상기 하부아치체와 상기 상부아치체에 결합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전성구조부는, 상기 통전성구조부는, 상기 스포크부가 변형됐을 시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비공기입 타이어에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통전성구조부를 결합함으로써, 주행 및 정지 시 차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성구조부와 림 부의 결합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성구조부의 확대도(좌측)와 통전성구조부의 단면사시도(우측)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공기입 타이어 내 통전성구조부의 적용 유무와 통전성 구조부의 구성에 따른 고속 내구 및 방전 성능을 나타낸 실험 데이터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전체의 정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림부(100)와 통전성구조부(500)의 접합부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전성구조부(500)의 확대도와 통전성구조부(500)의 단면사시도이다.
도1, 도2, 도3, 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축과 연결되고 삽입부(600)가 형성되는 림부(100), 타이어의 외측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300), 림부(100)와 트레드부(300) 사이에 형성되고, 아치형의 상부아치체(210)와 하부아치체(220)를 구비하며, 지면으로부터 트레드부(300)로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는 스포크부(200), 트레드부(3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포크부(200)의 하중 지지 및 스트레스 분산을 수행하는 구조보강부(400), 림부(100)의 외측면부터 트레드부(300)의 내측면의 사이에 형성되고, 차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지면까지 방전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통전성구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림부(100)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축과 결합될 수 있고, 통전성구조부(500)와 결합하기 위해 삽입부(600)를 구비할 수 있고 차축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트레드부(300)는 스포크부(200)의 외측면을 원주 방향따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300)는 지면과 접촉하여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스포크부(200)는 아치형의 상부아치체(210)와 하부아치체(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아치체(210)는 트레드부(300)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아치체(220)는 림부(100)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부아치체(210)와 하부아치체(220)는 서로 대응 해당되는 상부아치체(210)와 하부아치체(220)와 교번적으로 연결되어 트레드부(300)와 스포크부(200)를 연결한다. 스포크부(200)는 엘라스토머 혹은 고무 소재 중 선택되는 하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스포크부(200)는 지면으로부터 트레드부(300)로 전달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통전성구조부(500)는 통전성섬유체(520)를 중심으로 코팅되어 형성되는 피복체(51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전성구조부(500)는 1내지5밀리미터(mm)의 직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지그재그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통전성구조부(500)의 지그재그의 형상은, 주행 시, 지면으로부터 받는 하중으로 인해 스포크부(200)의 형태가 변화할 때, 림부(100)의 외측면부터 트레드부(300)의 내측면까지 결합된 통전성구조부(500)가 림부(100)의 외측면 또는 트레드부(300)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시 발생하는 압축 인장에 대한 통전성구조부(500)의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통전성구조부(500)의 상단은 트레드부(300)의 내측과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원판형의 형상의 접착부(700)가 형성되어 있고 접착부(700)와 트레드부의 내측면은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통전성구조부(500)의 하단은 림부(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부(600)와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원통형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통전성구조부(500)는 림부(100)의 외측면부터 트레드부(300)의 내측면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통전성구조부(500)의 하단은 삽입부(600)에 삽입되어 림부(100)와 결합될 수 있고, 통전성구조부(500)의 상단은 트레드부(30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통전성구조부(500)는 하부아치체(220)와 상부아치체(210)의 면을 따라 결합됨과 동시에, 림부(100)의 외측면과 트레드부(30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전성섬유체(520)는 일반 석유계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에 금속염을 전기 도금하여 얻은 10수('s) 내지 100수('s)인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통전성섬유체(520)가 10수('s) 미만일 시, 피복체(510)와의 결합력이 감소해 피복체(510)와의 박리가 쉽게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통진성섬유체(520)가 100수('s) 초과 시, 방전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통전성섬유체(520)의 직경을 조절하며, 이에 따라 통전성구조부(500)의 방전 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통전성섬유체(520)의 직경이 클수록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에, 통전성섬유체(520)의 직경이 클수록 통전성구조부(500)의 방전 성능이 증가할 수 있다.
통전성섬유체(520)는 피복체(51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면과 혼방될 수 있다. 이 때, 통전성구조부는 통전성섬유체(520)와 혼합되는 면을 포함하고, 통전성구조부에 통전성섬유체(520)는 2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되고, 면은 80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통전성섬유체(520)의 혼방률이 20% 미만일 시, 방전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통전성섬유체(520)의 혼방률이 80 초과일 시, 통전성섬유체(520)와 피복체(510)와의 결합력이 저하돼 박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통전성섬유체(520)의 금속염의 소재에 따라, 통전성구조부(500)의 방전 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을 구비할수록 통전성구조부(500)의 방전 성능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통전성섬유체(520)의 금속염도금사와 면의 혼방률을 조절하며, 이에 따라 통전성구조부(500)의 방전 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금속염도금사의 혼방률이 증가할수록 통전성섬유체(520)를 구성하는 도체의 비율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전류량이 증가하므로 방전 성능이 증가한다. 따라서 금속염도금사의 혼방률이 증가할수록 통전성구조부(500)의 방전 성능이 증가할 수 있다.
도5은 비공기입 타이어 내 통전성구조부(500)의 결합 유무와 통전성섬유체(520)의 소재에 따른 방전 성능 테스트에 대한 표이다.
[비교 예 1]
통전성구조부(500)를 구비하지 않은 비공기입 타이어로 실시하였다.
[실시 예 1]
통전성섬유체(520)는 황산구리염이 도금된 PU섬유에 중량 기준으로 면이 2 : 8의 비율로 혼방된 20수('s)의 섬유로 형성되었다.
[실시 예 2]
통전성섬유체(520)는 황산구리염이 도금된 PU섬유에 중량 기준으로 면이 4 : 6의 비율로 혼방된 20수('s)의 섬유로 형성되었다.
[실시 예 3]
통전성섬유체는 은이 도금된 PU섬유에 중량 기준으로 면이 6 : 4로 혼방된 30수('s)의 섬유로 형성되었다.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속 내구 실험에서, [비교 예 1], [실시 예1], [실시 예2] 및 [실시 예3]이 모두 100분동안 기계적 파손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방전 성능 실험에서, [비교 예 1]은 1000메가옴(MΩ), [실시 예 1]은 200 메가옴(MΩ), [실시 예 2]는 80 메가옴(MΩ) 그리고 [실시 예 3]은 20 메가옴(MΩ)이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측정된 저항값이 작을수록 흐르는 전류의 양은 커지므로, 측정된 저항값이 작을수록 방전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방전 성능은 [실시 예 3]> [실시 예 2]> [실시 예 1]> [비교 예 1]의 순서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림부
200 : 스포크부
210 : 상부아치체
220 : 하부아치체
300 : 트레드부
400 : 구조보강부
410 : 제1코드지체
420 : 제2코드지체
430 : 중심체
500 : 통전성구조부
510 : 피복체
520 : 통전성섬유체
600 : 삽입부
700 : 접착부

Claims (9)

  1. 차축과 연결되는 림부;
    타이어의 외측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
    상기 림부와 상기 트레드부 사이에 형성되고, 아치형의 상부아치체와 하부아치체를 구비하며, 지면으로부터 트레드부로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는 스포크부;
    상기 트레드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포크부의 하중 지지 및 스트레스 분산을 수행하는 구조보강부;
    상기 림부의 외측면부터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면의 사이에 형성되고, 차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지면까지 방전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차축에서 발생한 정전기를 지면으로 방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전성섬유체, 및 상기 통전성섬유체의 표면에 코팅되는 피복체를 구비하는 통전성구조부; 및
    상기 통전성구조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원판형의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성구조부가 상기 하부아치체와 상기 상부아치체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타이어의 주행 시 지면으로부터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스포크부의 형태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통전성구조부가 상기 림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통전성구조부의 응력이 최소화되며,
    상기 피복체가 상기 하부아치체와 상기 상부아치체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통전성섬유체를 지지하여 고속으로 주행하는 타이어에서의 상기 통전성구조부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상기 통전성섬유체는 비전도성 실에 금속염을 전기 도금한 금속염도금사로 형성되며,
    상기 통전성섬유체가 면과 혼방되어 상기 통전성섬유체와 상기 피복체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상기 통전성섬유체와 상기 피복체의 결합력 감소로 인한 상기 통전성섬유체와 상기 피복체의 박리 및 상기 통전성구조부의 방전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전성섬유체는 10 내지 100수의 굵기로 형성되고, 상기 통전성섬유체와 상기 면의 혼방률은 20 내지 80%이며,
    상기 통전성섬유체의 직경 또는 상기 통전성섬유체와 상기 면의 혼방률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통전성섬유체에 포함되는 도체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통전성구조부의 저항 값을 20 내지 200메가옴(MΩ)으로 조절하여 상기 통전성구조부의 방전 효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부는 엘라스토머 혹은 고무 소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림부는, 상기 통전성구조부와 결합을 가능하도록 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전성섬유체는,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중 선택되는 하나의 소재에 금속염을 전기 도금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전성구조부는, 트레드부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상단이 원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8. 삭제
  9. 삭제
KR1020190117393A 2019-09-24 2019-09-24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KR102267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393A KR102267900B1 (ko) 2019-09-24 2019-09-24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US17/030,041 US20210086568A1 (en) 2019-09-24 2020-09-23 Non-pneumatic tire including fiber plated using metal salt
JP2020159525A JP7013538B2 (ja) 2019-09-24 2020-09-24 金属塩によりコーティングされた繊維を含む非空気入りタイヤ
CN202011018475.5A CN112622526A (zh) 2019-09-24 2020-09-24 包括镀敷有金属盐的纤维的非充气轮胎
EP20198104.0A EP3798021B1 (en) 2019-09-24 2020-09-24 Non-pneumatic tire including fiber plated using metal sa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393A KR102267900B1 (ko) 2019-09-24 2019-09-24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946A KR20210035946A (ko) 2021-04-02
KR102267900B1 true KR102267900B1 (ko) 2021-06-24

Family

ID=7265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393A KR102267900B1 (ko) 2019-09-24 2019-09-24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086568A1 (ko)
EP (1) EP3798021B1 (ko)
JP (1) JP7013538B2 (ko)
KR (1) KR102267900B1 (ko)
CN (1) CN11262252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49100A (ja) * 2022-09-28 2024-04-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エアレスタイ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993A1 (en) * 2015-11-20 2017-05-26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Electric static discharge element for non-pneumatic tire
JP2019104424A (ja) * 2017-12-13 2019-06-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4923B2 (ja) * 1997-05-12 2006-01-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トレッド用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
US7284582B2 (en) 2003-10-23 2007-10-2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cord extending between a bead portion and a tread portion of the tire
JP2008214579A (ja) * 2007-03-07 2008-09-18 Sumitomo Rubber Ind Ltd サイドウォール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サイドウォールを有するタイヤ
DE102010037328A1 (de) * 2010-09-06 2012-03-08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luftreifen
KR101339821B1 (ko) * 2011-11-04 2013-12-1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KR101411103B1 (ko) * 2013-11-06 2014-06-2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공기입 타이어
JP6378625B2 (ja) 2014-12-17 2018-08-2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非空気圧タイヤ
JP6582581B2 (ja) * 2015-06-15 2019-10-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非空気式タイヤ
KR101794409B1 (ko) 2015-08-05 2017-11-06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인스턴트 메시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감정 및 활동을 수집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7116825A1 (en) 2015-12-29 2017-07-06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Composite layer tire
US20170341469A1 (en) 2016-05-30 2017-11-30 Il ho CHOI Non-pneumatic tire
JP6701997B2 (ja) 2016-06-10 2020-05-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非空気式タイヤ
WO2019005125A1 (en) * 2017-06-30 2019-01-03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EDGE PROTECTION FOR A NON-PNEUMATIC WHEEL
EP3501847B1 (en) * 2017-12-22 2020-11-11 Hankook Tire Co., Ltd. Cord reinforced rubberlayer for a tir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CN111479710B (zh) * 2017-12-22 2022-05-17 米其林集团总公司 包含导电帘线的轮胎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993A1 (en) * 2015-11-20 2017-05-26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Electric static discharge element for non-pneumatic tire
JP2019104424A (ja) * 2017-12-13 2019-06-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86568A1 (en) 2021-03-25
CN112622526A (zh) 2021-04-09
KR20210035946A (ko) 2021-04-02
EP3798021B1 (en) 2023-03-15
JP7013538B2 (ja) 2022-01-31
EP3798021A1 (en) 2021-03-31
JP2021049977A (ja)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3855B1 (en) Pneumatic tire
EP2567833B1 (en) Pneumatic tire with conductive cords
US11148379B2 (en) Assembly intended for a tire and including woven or knitted fabric(s) including pre-adhered wire elements
US20210268834A1 (en) Static discharge element for non-pneumatic tire
JP2013528525A (ja) 空気排出スレッドを有する空気入り車両タイヤおよび空気排出スレッド用導電性コーティングを製造する方法
CN108290464B (zh) 车辆充气轮胎
US20200331308A1 (en) Pneumatic tire
KR102267900B1 (ko) 금속염이 도금된 섬유를 포함하는 비공기입 타이어
US10414208B2 (en) Rolling assembly
JP2013193577A (ja) 空気入りタイヤ
EP3501847A1 (en) Cord reinforced rubberlayer for a tir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JP201520552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512725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200298632A1 (en) Pneumatic tire
CN115803207A (zh) 用于车辆车轮的轮胎
US11999203B2 (en) Pneumatic vehicle tire
KR20210065724A (ko) 단일 필라멘트 벨트층을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
KR102326574B1 (ko) 정전기 방출 성능이 개선된 타이어
CN214328280U (zh) 一种具有强破断力和强耐疲劳性的工程钢帘线
CN114746255B (zh) 包括适应性支撑结构的组件
DE102010037574A1 (de) Fahrzeugluftreifen
KR101999002B1 (ko) 시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1999020B1 (ko)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