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490B1 - 낚시찌용 발광체 - Google Patents

낚시찌용 발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490B1
KR102267490B1 KR1020190068504A KR20190068504A KR102267490B1 KR 102267490 B1 KR102267490 B1 KR 102267490B1 KR 1020190068504 A KR1020190068504 A KR 1020190068504A KR 20190068504 A KR20190068504 A KR 20190068504A KR 102267490 B1 KR102267490 B1 KR 102267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ocket
support tube
batter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679A (ko
Inventor
김지혜
Original Assignee
김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혜 filed Critical 김지혜
Priority to KR102019006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49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관(10); 중심축상에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지지관(10)에 삽입되는 소켓(20); 제1, 2단자(31, 35)가 구비되는 단자체(30); 엘이디소자부(41), 엘일디소자부(41)의 하부 일측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1, 2단자(31, 35) 각각의 일단부위와 접하는 제1, 2리드선(43, 45)이 구비되는 발광체(40); 상측 내부공간에 엘이디소자부(41)가 수용되고 개구된 하측부위가 지지관(10)의 상측부위 외면에 결합되는 확산체(50); 일정길이를 가지는 관구조로 이루어지되 상측부위 내면은 지지관(10)의 하측부위 외면에 밀착 결합되고 하측부위는 지지관(10)의 하단부위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는 탄성재질의 밀봉체(60); 및 상측부위는 지지관(10)의 하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소켓(20)의 하단부위와 밀착되고 하측부위는 밀봉체(60)의 하단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돌출되는 전지몸체(71), 전지몸체(71)의 상단부위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삽입공(21)에 삽입되는 제2단자(35)의 타측부위와 접하는 양극핀(73), 전지몸체(71)의 외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관통공(12) 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제1단자(31)의 타측부위와 접하는 음극홈(75)이 구비되는 건전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낚시찌용 발광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찌용 발광체{Luminous body for fishing float}
본 발명은 낚시찌용 발광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작이 간편하여 생산단가 및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도 장시간 일정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담보할 수 있는 낚시찌용 발광체에 관한 것이다.
낚시찌는 물고기가 물속에서 낚시를 물면 물 밖에 위치한 사람이 그 입질 여부를 곧바로 알아차릴 수 있도록 낚싯줄에 매달아 물 위에 뜨게 하는 것으로,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낚시찌가 제안되고 있다.
한편, 주간과 달리 태양광이 없는 야간에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낚시찌의 유동을 통해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파악하기가 곤란하다. 때문에, 건전지를 이용하여 발광하는 기구체를 낚시찌에 매달아 어두운 야간에도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이 도입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건전지를 이용한 발광체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전지(50)가 내장된 연결체(70)의 하단부위를 낚시찌의 상단부위와 연결한 상태에서, 단자체(20-1, 30-1)가 매설된 소켓(10)의 상측부위에는 엘이디소자부(40)를 위치시키고 그 하측부위를 연결체(70)의 상측부위를 통해 결합하는 것이다.
즉, 전지(50)의 상측부위를 소켓(10) 내부에 삽입하여 그 단부에 마련되는 양극핀(51)을 양극단자(30-1)와 연결하고, 음극단자(20-1)의 단부 부위가 전지(50)의 상측 외면에 마련되는 음극홈과 연결시켜 엘이디소자부(40)를 발광시키는 구조이다. 그런데, 전지의 상측부위를 소켓에 삽입하는 이러한 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켓은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되는데, 사용되는 소켓의 직경이 대개 1cm 미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지가 삽입되는 홈을 소켓의 정확한 위치에 형성시킬 수 있는 금형을 설계하는 것이 쉽지 않다. 게다가, 소켓을 연결체와 결합시키기 위해서 소켓의 외면 및 연결체의 내면 각각에는 나사산과 같은 결합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가뜩이나 크기가 작은 소켓의 외면(및 연결체의 내면)에 나사산과 같은 결합부를 형성시킬 수 있는 금형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다. 또한, 소켓(및 연결체)이 일정시간 내구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일정두께 이상을 가지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를 금형 설계에 반영하는 것 역시 쉽지 않아 제품에 대한 사출성형 과정에서 불량품 비율이 증대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61001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서도 장시간 일정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담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산단가 및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낚시찌용 발광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 일측부위에 관통공(12)이 형성되는 지지관(10); 중심축상에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지지관(10)에 삽입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소켓(20); 일단부위는 소켓(20)의 상부 일측부위에 노출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지지관(10)의 관통공(12) 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제1단자(31), 일단부위는 소켓(20)의 상부 타측부위에 노출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소켓(20)의 삽입공(11)에 삽입되는 제2단자(35)가 구비되는 단자체(30); 엘이디소자부(41), 엘일디소자부(41)의 하부 일측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1단자(31)의 일단부위와 접하는 제1리드선(43), 엘일디소자부(41)의 하부 타측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2단자(35)의 일단부위와 접하는 제2리드선(45)이 구비되는 발광체(40); 상측 내부공간에 엘이디소자부(41)가 수용되고 개구된 하측부위가 지지관(10)의 상측부위 외면에 결합되는 확산체(50); 일정길이를 가지는 관구조로 이루어지되 상측부위 내면은 지지관(10)의 하측부위 외면에 밀착 결합되고 하측부위는 지지관(10)의 하단부위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는 탄성재질의 밀봉체(60); 및 상측부위는 지지관(10)의 하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소켓(20)의 하단부위와 밀착되고 하측부위는 밀봉체(60)의 하단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돌출되는 전지몸체(71), 전지몸체(71)의 상단부위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삽입공(21)에 삽입되는 제2단자(35)의 타측부위와 접하는 양극핀(73), 전지몸체(71)의 외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관통공(12) 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제1단자(31)의 타측부위와 접하는 음극홈(75)이 구비되는 건전지(70);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체(30)의 제1단자(31)는 소켓(20)의 상부 일측부위에 밀착되는 제1절곡단(32) 및 지지관(10)의 관통공(12) 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제1연장단(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체(30)의 제2단자(35)는 소켓(20)의 상부 타측부위에 밀착되는 제2절곡단(36) 및 소켓(20)의 삽입공(21)에 삽입되는 제2연장단(3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20)의 외면에는 상기 제1단자(31)의 제1연장단(33)이 밀착되는 안치홈(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35)의 제2연장단(37)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2연장단(37) 각각의 상부 외면에는 소켓(20)의 삽입공(21) 좌우 내면과 접하는 밀착단(371)이 형성되고, 제2연장단(37) 각각의 하부에는 밀착단(371)과 단차진 상태로 연장되되 상호 대향하는 내면 사이 간격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가동단(373)이 형성되며; 상기 양극핀(73)의 상측부위는 상기 좌우 한쌍의 가동단(373) 사이에 강제 삽입되어 접점이 연결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산체(50)의 상측 부위에는 상기 엘이디소자부(41)의 상측부위가 일정 길이로 노출되는 개구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소켓에 단순한 삽입공을 형성시킨 다음 단자의 단부를 삽입공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건전지의 핀이 단자의 단부 사이에 강제 삽입되면, 단자의 단부에 생성되는 복원력에 의해 단자와 건전지 상호 간의 점점을 유지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소켓 제작을 위한 금형 설계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설계된 금형을 이용한 생산과정에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발광체가 장시간 안정적인 접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건전지를 수납할 수 있는 별도 하우징을 마련하는 대신, 탄성재질의 밀봉체를 이용하여 지지관 및 건전지의 연결부위를 완전히 밀폐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생산단가를 현저히 감소시키면서도 발광체에 대한 장시간 안정적인 작동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용 발광체의 개략적인 결합 관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용 발광체에 있어 발광체, 단자체, 소켓 상호 간의 개략적인 결합 관계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용 발광체의 일례에 있어 개략적인 일측 단면 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용 발광체의 일례에 있어 개략적인 타측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용 발광체의 다른 예에 있어 개략적인 일측 단면 구성도.
도 5는 종래 낚시찌용 발광체의 개략적인 결합 관계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용 발광체의 개략적인 결합 관계도를 보여주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용 발광체에 있어 발광체, 단자체, 소켓 상호 간의 개략적인 결합 관계도를 보여주고,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찌용 발광체의 일례에 있어 개략적인 일측 단면 및 타측 단면 구성도를 보여준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지지관(10), 소켓(20), 단자체(30), 발광체(40), 확산체(50), 밀봉체(60), 건전지(70)를 포함하는 낚시찌용 발광체를 제안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지지관(10)은 본 발명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하부가 개구된 관 구조로 이루어지며 하부 일측부위에는 관통공(12)이 형성된다. 관통공(12)에는 단자체(30)에 있어 제1단자(31)의 타측부위에 형성되는 제1연장단(33)의 접촉단(34)이 위치한다. 지지관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부호 11은 걸림단이다.
소켓(20)은 단자체(30), 발광체(40), 건전지(70) 상호 간의 접점을 연결하고 지지하는 부분으로, 중심축상에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지지관(10)에 삽입된다. 삽입공(21)의 좌우 폭은 후술할 단자체(30)에 있어 제2단자(35)에 형성되는 제2연장단(37)의 작동을 담보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한다.
이때, 소켓(20)의 외면에는 안치홈(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치홈(23)은 제1단자(31)의 제1연장단(33)이 밀착되는 부분이다. 소켓(2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적인 사출성형 방식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소켓에 단순한 구조의 삽입공을 형성시켜 단자체, 건전지 상호 간의 접점 연결을 도모하고, 이러한 소켓은 단순 구조의 지지관을 통해 보호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켓의 제작을 위한 금형 설계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제작된 금형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과정에서의 불량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단자체(30)는 발광체(40)와 건전지(70) 상호 간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제1, 2단자(31, 35)로 이루어진다. 제1단자(31)는 그 일단부위가 소켓(20)의 상부 일측부위를 통해 노출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지지관(10)의 관통공(12) 부위를 통해 노출된다. 제2단자(35)는 그 일단부위가 소켓(20)의 상부 타측부위를 통해 노출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소켓(20)의 삽입공(21)에 삽입된다.
이때, 제1단자(31)는, 소켓(20)의 상부 일측부위에 밀착되는 제1절곡단(32)과, 지지관(10)의 관통공(12) 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제1연장단(33)으로 이루어지며, 제1연장단(33) 단부에는 접촉단(34)이 형성된다. 접촉단(34)은 후술할 건전지(70)의 음극홈(75)과 접점을 이루는 부분으로, 도면과 같이 하방부위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자(35)는 소켓(20)의 상부 타측부위에 밀착되는 제2절곡단(36)과, 소켓(20)의 삽입공(21)에 삽입되는 제2연장단(37)으로 이루어지며, 제2연장단(37)은 소켓(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안치홈(23)을 따라 안치된다. 도면부호 321, 361 각각은 발광체(40)의 제1, 2리드선(43, 45)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홀이다.
또한, 이때 제2단자(35)의 제2연장단(37)은 상호 간에 대향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되 각각에 밀착단(371) 및 가동단(373)이 형성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밀착단(371)은 가동단(373)의 작동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제2연장단(37) 각각의 상부 외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2연장단(37) 각각이 소켓(20)의 삽입공(21)에 삽입되면, 삽입공(21)의 좌우 내면 각각과 접한다.
가동단(373)은 건전지(70)의 양극핀(73)과의 접촉에 따라 좌우로 일정 간격 가동하는 부분으로, 제2연장단(37) 각각의 하부를 이루며 밀착단(371)과 단차진 상태로 연장되며, 도 2에서 t로 표시되어 있는 가동단(373) 내면 사이 간격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은 후술한다.
발광체(40)는 광을 생성하는 부분으로, 엘이디소자부(41) 및 제, 2리드선(43, 4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리드선(43)은 엘일디소자부(41)의 하부 일측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1단자(31)의 일단부위와 접하며, 제2리드선(45)은 엘이디소자부(41)의 하부 타측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2단자(35)의 일단부위와 접한다.
확산체(50)는 발광체(40)에서 생성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부분이다. 확산체(50)의 상측 내부에는 엘이디소자부(41)가 수용되고, 개구된 하측부위는 걸림단(11)을 경계로 지지관(10)의 상측부위 외면에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은 확산체(50)의 상측 부위에 개구부(51)가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개구부(51)는 도 4와 같이, 엘이디소자부(41)의 상측부위가 일정 길이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기능하다. 엘이디소자부(41)가 개구부(5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엘이디소자부(41)에 생성되는 광 중에서 상당부분이 외부로 직접 조사될 수 있어 더 멀리로 광을 전파시킬 수 있다.
밀봉체(60)는 지지관(10)을 보호함과 동시에 지지관(10)과 건전지(70) 사이 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구조로 이루어져 그 상측부위 내면은 지지관(10)의 하측부위 외면에 밀착 결합되고, 그 하측부위는 지지관(10)의 하단부위에서 일정길이 돌출된다. 밀봉체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전지(70)는 발광체(40)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전지몸체(71), 양극핀(73), 음극홈(75)이 구비된다. 전지몸체(71)는 그 상측부위가 지지관(10)의 하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소켓(20)의 하단부위와 밀착되고, 그 하측부위는 밀봉체(60)의 하단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돌출된다.
양극핀(73)은 전지몸체(71)의 상단부위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소켓(20)의 삽입공(21)에 삽입되는 제2단자(35)의 타측부위에 마련되는 가동단(373)과 접점이 연결된다. 음극홈(75)은 전지몸체(71)의 외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며, 도 3b와 같이 관통공(12) 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제1단자(31)의 타측부위에 형성되는 접촉단(34)과 접점이 연결된다.
여기에서, 양극핀(73)과 제2단자(35) 상호 간의 접점 연결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3a와 같이, 전지몸체(71)가 지지관(10)의 하측부위를 통해 삽입되면, 전지몸체(71)의 상단부위에 마련되는 양극핀(73)은 소켓(20)의 삽입공(21)에 삽입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가동단(373) 사이로 진입하면서 삽입된다.
제2단자(35)에 있어 밀착단(371) 외면 각각은 소켓(20)의 삽입공(21) 좌우 내면에 밀착되어 있고, 밀착단(371)과 단차진 상태로 연장되는 가동단(373)의 내면 사이 간격 t는 상측 부위가 하측 부위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전지(70)의 양극핀(73)이 가동단(373) 사이로 진입하면, 가동단(373) 사이 간격은 화살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벌어진다.
건전지(70)의 양극핀(73)이 소켓(20)의 삽입공(21) 내부로 완전 삽입되면, 양극핀(73)의 진입에 따라 각 밀착단(371)을 기점으로 좌우로 일정간격만큼 벌어진 각 가동단(373)에는 복원력이 작용하고, 이 복원력에 의해 양극핀(73)과 가동단(373)은 견고하게 밀착된다. 즉, 양극핀(73)과 제2단자(35) 상호 간의 접점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건전지(70)가 지지관(10) 하측 부위를 통해 소켓(20)에 삽입되면, 지지관(10)에 있어 걸림단(11) 하측부위는 밀봉체(60)에 의해 감싸지고, 건전지(70)의 하측부위는 밀봉체(60)의 하단부위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은 이처럼 건전지(70)의 하측부위를 밀봉체(60) 하단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노출시키고, 노출된 건전지(70)의 하측부위가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연결튜브(3)에 매개되어 낚시찌(1)와 직접 연결되는 구성을 제안한다.
종래 발광체를 낚시찌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5와 같이 건전지가 수납되는 별도의 방수수단으로써의 하우징을 마련하여 낚시찌와 연결하였는데, 본 발명은 밀봉체를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지지관 및 건전지의 연결부위를 밀폐하여 외부와 완전히 단절시킴으로써 별도의 방수수단을 마련하지 않더라도 발광체의 장시간 안정적인 작동을 담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낚시찌 3 : 연결튜브
10 : 지지관 20 : 소켓
30 : 단자체 40 : 발광체
50 : 확산체 60 : 밀봉체
70 : 건전지

Claims (4)

  1. 하부 일측부위에 관통공(12)이 형성되는 지지관(10);
    중심축상에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지지관(10)에 삽입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소켓(20);
    일단부위는 소켓(20)의 상부 일측부위에 노출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지지관(10)의 관통공(12) 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제1단자(31), 일단부위는 소켓(20)의 상부 타측부위에 노출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소켓(20)의 삽입공(11)에 삽입되는 제2단자(35)가 구비되는 단자체(30);
    엘이디소자부(41), 엘일디소자부(41)의 하부 일측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1단자(31)의 일단부위와 접하는 제1리드선(43), 엘일디소자부(41)의 하부 타측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제2단자(35)의 일단부위와 접하는 제2리드선(45)이 구비되는 발광체(40);
    상측 내부공간에 엘이디소자부(41)가 수용되고 개구된 하측부위가 지지관(10)의 상측부위 외면에 결합되는 확산체(50);
    일정길이를 가지는 관구조로 이루어지되 상측부위 내면은 지지관(10)의 하측부위 외면에 밀착 결합되고 하측부위는 지지관(10)의 하단부위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는 탄성재질의 밀봉체(60); 및
    상측부위는 지지관(10)의 하측부위를 통해 삽입되어 소켓(20)의 하단부위와 밀착되고 하측부위는 밀봉체(60)의 하단부위를 통해 일정길이 돌출되는 전지몸체(71), 전지몸체(71)의 상단부위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삽입공(21)에 삽입되는 제2단자(35)의 타측부위와 접하는 양극핀(73), 전지몸체(71)의 외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관통공(12) 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제1단자(31)의 타측부위와 접하는 음극홈(75)이 구비되는 건전지(70);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체(30)의 제1단자(31)는 소켓(20)의 상부 일측부위에 밀착되는 제1절곡단(32) 및 지지관(10)의 관통공(12) 부위를 통해 노출되는 제1연장단(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체(30)의 제2단자(35)는 소켓(20)의 상부 타측부위에 밀착되는 제2절곡단(36) 및 소켓(20)의 삽입공(21)에 삽입되는 제2연장단(3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20)의 외면에는 상기 제1단자(31)의 제1연장단(33)이 밀착되는 안치홈(2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35)의 제2연장단(37)은 상호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제2연장단(37) 각각의 상부 외면에는 소켓(20)의 삽입공(21) 좌우 내면과 접하는 밀착단(371)이 형성되고, 제2연장단(37) 각각의 하부에는 밀착단(371)과 단차진 상태로 연장되되 상호 대향하는 내면 사이 간격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가동단(373)이 형성되며; 상기 양극핀(73)의 상측부위는 상기 좌우 한쌍의 가동단(373) 사이에 강제 삽입되어 접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용 발광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체(50)의 상측 부위에는 상기 엘이디소자부(41)의 상측부위가 일정 길이로 노출되는 개구부(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용 발광체.
  3. 삭제
  4. 삭제
KR1020190068504A 2019-06-11 2019-06-11 낚시찌용 발광체 KR102267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504A KR102267490B1 (ko) 2019-06-11 2019-06-11 낚시찌용 발광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504A KR102267490B1 (ko) 2019-06-11 2019-06-11 낚시찌용 발광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679A KR20200141679A (ko) 2020-12-21
KR102267490B1 true KR102267490B1 (ko) 2021-06-18

Family

ID=7409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504A KR102267490B1 (ko) 2019-06-11 2019-06-11 낚시찌용 발광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078B1 (ko) * 2021-06-18 2024-04-03 신진형 낚시용 스마트 케미 라이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449Y1 (ko) * 2002-03-16 2002-06-24 위정민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낚시찌
KR200439140Y1 (ko) * 2006-11-02 2008-03-21 정소근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KR101379774B1 (ko) * 2013-04-25 2014-03-31 김지혜 발광 낚시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406Y1 (ko) * 2010-03-30 2012-09-11 정말영 전자식 케미라이트의 커버
KR20170061001A (ko) 2015-11-25 2017-06-02 박종민 전자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449Y1 (ko) * 2002-03-16 2002-06-24 위정민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낚시찌
KR200439140Y1 (ko) * 2006-11-02 2008-03-21 정소근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KR101379774B1 (ko) * 2013-04-25 2014-03-31 김지혜 발광 낚시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679A (ko)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7490B1 (ko) 낚시찌용 발광체
US4680682A (en) Waterproof flashlight
US2490669A (en) Illuminated bobber
KR101934565B1 (ko) 어신 감지용 전자찌
KR20090001670U (ko)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US5195266A (en) Fish lure
KR200484959Y1 (ko) 발광형 인조미끼
KR102057414B1 (ko) 광의 확산 기능이 강화된 낚시찌용 발광체
ATE8088T1 (de) Koaxiale buchsensteckverbindung.
KR200357361Y1 (ko) 낚시찌의 발광장치
KR200462688Y1 (ko) 전자찌의 발광부재
KR20190066079A (ko) 집어등과 낚시방법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JP4928255B2 (ja) Ledソケット
CN109357202B (zh) 一种户外灯带
CN204227351U (zh) 养殖农场专用防水汽灯座
US2093663A (en) Socket for small electric bulbs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JPH09224537A (ja) 電気浮子、電気浮子用発光装置及び電気浮子の発光方法
KR20120002552U (ko) 낚시용 전자찌
KR200348728Y1 (ko) 야간 민물 낚시용 발광장치
KR200401398Y1 (ko) 장방형 단면 형상의 핀단자를 구비한 전자찌용 전지
US20080310188A1 (en) Light-Bulb Conductive Device
JP2013037830A5 (ko)
KR200207766Y1 (ko) 수밀구조를 갖는 전자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