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435B1 - 조직 고정용 용기 - Google Patents

조직 고정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435B1
KR102267435B1 KR1020190059126A KR20190059126A KR102267435B1 KR 102267435 B1 KR102267435 B1 KR 102267435B1 KR 1020190059126 A KR1020190059126 A KR 1020190059126A KR 20190059126 A KR20190059126 A KR 20190059126A KR 102267435 B1 KR102267435 B1 KR 102267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ontainer
present
sealing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628A (ko
Inventor
최석현
황성욱
유영훈
김보라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의)삼성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삼성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삼성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9005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435B1/ko
Priority to KR1020200163316A priority patent/KR102527629B1/ko
Publication of KR2020013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14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with filters, sieves or membr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고정액을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실링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부가 형성되고, 조직이 수용되는 조직수용부; 및 상기 조직수용부를 가압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조직 고정용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직 고정용 용기{Container for tissue adhesivenes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직 고정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tissue)은 질병의 진단, 치료, 연구 및 신약 개발 등에 있어서 중요한 자원으로서, 질병의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조직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작업이 요구되는데, 대부분이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을 용기에 담아 관찰 및 분석을 위한 검사장비가 있는 곳으로 운반된다.
이 때 용기에 수용되는 조직은 용기 내에서 보관 처리되며, 조직의 검사를 위해 단시간 이동할 수도 있고, 때로는 장거리 이동이 불가피한 경우도 발생하게 되며, 현재 병의원, 각종 연구기관 또는 의료기관에서 조직의 보관 및 운반에 사용 중인 용기는 단순히 조직의 저장 공간을 갖는 원통형 몸체의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조직 보존을 위한 용기는 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조직을 몸체 내에 넣고 이 조직의 상태를 보전하기 위해 고정액을 투입하게 되며, 이때 고정이란 조직 또는 세포가 죽거나 세포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조직 또는 세포를 채취할 당시의 상태로 유지하여 조직이나 세포의 구조를 관찰, 분석, 표본 제작 등에 적합한 상태로 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정을 위한 고정액은 조직 내에 침투하여 조직을 고정시켜 조직이 더 이상 분해되지 않고 채취상태로 유지되게 보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포르말린(formalin), 구체적으로 10% neutral buffered formalin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 고정액이 담긴 몸체에 조직을 넣을 때 뚜껑을 열면 유해 물질인 포르말린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노출되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압 배기 장치, 후드(hood) 장치, 개인 보호구 등의 추가 장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1396호(2012.09.04. 등록, 발명의 명칭: 검체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직 고정용 용기의 높이를 단축시켜 보관 공간을 최소화하고, 조직수용부가 실링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단하여 조직이 고정액에 안정적으로 잠기도록 하는 조직 고정용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고정액을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실링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부가 형성되고, 조직이 수용되는 조직수용부; 및 상기 조직수용부를 상기 실링부 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는, 조직 고정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본체부와 중심축을 공유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직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와 길이 방향 중심축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직수용부는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걸침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침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소정 영역에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며, 상기 조직수용부가 가압함에 따라 파단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는, 포르말린 용액 등 고정액이 본체부에 수용됨으로 인하여 무게중심이 하측에 위치하고, 상측에 무게중심이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부가 본체부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본체부에 수용되는 고정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에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영역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조직수용부가 실링부를 가압 시 가압력을 향상시키고,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직수용본체가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횡단면의 면적이 일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실링부에 대한 가압력을 향상시켜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링부를 파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압부의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조직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1)는 본체부(100), 실링부(200), 조직수용부(300), 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뒤에 설명할 캡부(400)와 함께 조직 고정용 용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도 1 기준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조직(T)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액(F), 구체적으로 포르말린 용액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뒤에 설명할 실링부(200)와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본체부(1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실링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실링부(2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됨으로 인하여 본체부(100)의 일측(도 1 기준 상측)을 커버하고, 본체부(100)에 수용되는 고정액(F)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뒤에 설명할 캡부(400)가 본체부(100)와 길이 방향 중심축(C)을 공유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각 기둥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10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캡부(400)의 내주면을 따라 나사홈부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본체부(100)와 캡부(4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홈부가 형성될 수 있고, 본체부(10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캡부(400)의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와 캡부(400)가 회전 결합됨으로 인하여, 캡부(400)가 본체부(100) 상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도 1 기준)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캡부(400)가 본체부(10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캡부(400)가 본체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직수용부(300)를 가압하며, 조직수용부(300)가 실링부(200)를 파단하며, 포르말린 용액 등 고정액(F)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200)는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부(100)의 수용되는 고정액(F)이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200)는 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단부가 본체부(1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실링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고정액(F)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뒤에 설명할 조직수용부(300)에 의해 용이하게 파단되기 위하여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200)는 소정 영역에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며, 조직수용부(300)가 가압함에 따라 파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200)에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영역이 '+'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조직수용부(300), 구체적으로 가압부(330)의 하단부가 실링부(200)에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영역을 가압하며 용이하게 파단될 수 있도록 한다. 조직수용부(300)는 실링부(200)를 파단하며, 하측 방향(도 1 기준)으로 이동되고 조직수용부(300)는 본체부(100)에서 고정액(F)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직수용부(300)가 본체부(100)에서 고정액(F)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가 고정액(F)에 노출되지 않고도, 캡부(400)와 본체부(100)의 결합 시 본체부(100)의 내측에서 조직수용부(300)에 수용되는 조직(T)이 고정액(F)에 잠길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수용부(300)는 본체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부(311)가 형성되며 조직(T)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수용부(300)는 조직수용본체(310), 가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직수용본체(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부(311)가 형성되는 것으로 홀부(311)를 통해 고정액(F)이 조직(T)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조직(T)이 고정액(F)에 잠기도록 한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부(311)는 조직수용본체(310)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홀부(311)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100)에 수용되는 포르말린 용액 등 고정액(F)이 조직수용본체(3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직(T)으로 유동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수용부(300), 구체적으로 조직수용본체(310)는 상측(도 1 기준)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걸침부(3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직수용본체(310)에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걸침부(315)는 본체부(100)의 상측(도 3 기준) 단부에 결쳐질 수 있도록 조직수용본체(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직수용부(300), 구체적으로 조직수용본체(310)와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C)을 일치시킬 수 있고, 가압부(330)가 조직수용본체(310) 및 본체부(100)와 중심을 공유하고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가 형성되는 실링부(200)를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수용본체(310)는 길이 방향 중심축(C)을 기준으로 횡단면의 면적이 상측에서 하측(도 3 기준)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직수용부(300), 구체적으로 가압부(330)가 실링부(200)를 파단하고 조직수용본체(310)가 실링부(200)의 파단 영역을 통과하며 고정액(F)을 수용하는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30)는 조직(T)이 배치되는 것으로, 본체부(100)를 마주보는 조직수용본체(310)의 일단부(도 3 기준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압부(330)의 상측(도 3 기준)은 편평하게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조직(T)이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30)는 본체부(100) 측(도 3 기준 하측)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 중심축(C) 기준 횡단면의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가압부(330)의 하단부(도 5 기준)가 실링부(200)의 중앙부를 파단하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압부(330)의 외측면이 실링부(200)를 관통하며 본체부(100)에서 고정액(F)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400)는 조직수용부(300)를 가압하며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부(100)와 길이 방향 중심축(C)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400)는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 방향 중심축(C)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되며 본체부(10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 도 3, 도 5를 참조하면, 캡부(400)가 본체부(100) 상에서 상측에서 하측 방향(도 1 기준)으로 이동됨에 따라 본체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직수용부(300)를 가압하며, 조직수용부(300)가 실링부(200)를 가압, 파단하여 고정액(F)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40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내측면 둘레를 따라 나사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나사홈부는 본체부(10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캡부(4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본체부(10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캡부(400)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나사홈부가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부(400)는, 본체부(100)의 저면부를 마주보는 내면에서 본체부(100) 측 방향(도 3 기준 하측)을 향하여 돌출부(4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410)는 본체부(100)와 결합되는 캡부(400)의 내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캡부(400)의 내측면과 돌출부(4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본체부(100)의 외측면이 삽입되고, 본체부(100)와 캡부(400)의 결합 시 높이를 단축시키며 조직 고정용 용기(1)의 높이를 감소시켜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돌출부(410)가 내부에 배치되는 조직수용부(300), 구체적으로 조직수용본체(310)를 가압하며, 가압부(330)가 실링부(200)를 파단시키며, 고정액(F)이 수용되는 본체부(100)의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1)는 본체부(100), 실링부(200), 조직수용부(300), 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조직(T)을 조직수용부(300), 구체적으로 가압부(330)의 상면(도 1 기준)에 배치한다.
도 1, 도 3을 참조하면, 조직수용부(300)는 조직수용본체(310), 가압부(330)를 포함할 수 있고, 조직수용본체(310)의 상측(도 1 기준) 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걸침부(3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직수용본체(310), 구체적으로 걸침부(315)가 본체부(100)의 상측 단부(도 1 기준)에 안착될 수 있고, 조직수용부(300)가 실링부(200)를 파단하기 전에 본체부(100) 상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조직수용부(300)의 길이 방향 중심축(C)을 기준 횡단면의 면적이 상측에서 하측(도 1 기준)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면서, 가압부(330)의 하단부 중심이 실링부(200)에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영역, 구체적으로 중심부를 향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침부(315)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캡부(400), 구체적으로 돌출부(410)가 조직수용본체(310)를 가압하기 전에는 본체부(100)에 안정적으로 걸쳐져 있다가, 돌출부(410)가 조직수용본체(310)를 가압하면, 본체부(100)의 내측면을 따라 조직수용부(300)가 이동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캡부(400)를 파지하여 본체부(100)에 결합시키고, 캡부(400) 및 본체부(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C)을 기준으로 캡부(400)를 본체부(100)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킨다. 캡부(400)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본체부(100) 상에서 캡부(400)가 상하 방향(도 1 기준)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체부(100)에 캡부(400)를 회전 결합 시켜 캡부(400), 구체적으로 내부에서 본체부(100)의 저면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410)로 조직수용부(300), 구체적으로 조직수용본체(310)를 가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직수용부(300), 구체적으로 조직수용부(300)의 하단부(도 5 기준)에 결합되는 가압부(330)가 실링부(200)에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영역을 가압하며 파단하고, 고정액(F)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조직수용본체(3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부(311)를 통해 본체부(100)에 수용되는 고정액(F)이 유동되고, 가압부(330) 상에 배치되는 조직(T)이 고정액(F)에 잠기게 되며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직수용부(300), 구체적으로 조직수용본체(310)와 가압부(330)는 길이 방향 중심축(C)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길이 방향 중심축(C) 기준 횡단면의 면적이 감소되고, 이로 인하여 하단부에 실링부(200)에 대한 가압력을 증가시켜 신속하고 정확하게 실링부(200)를 파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1)는 포르말린 용액 등 고정액(F)이 하측(도 1 기준)에 배치되는 본체부(100)에 수용됨으로 인하여 무게중심이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종래 상측에 고정액(F)이 수용되어 무게중심이 상측에 위치하는 것에 비하여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1), 구체적으로 조직수용부(300)는 조직 검사용 카세트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 카세트에 고정액(F)에 의해 고정된 조직(T)을 포셉 등의 장비를 통해 옮길 필요가 없이 조직수용부(300)를 카세트에 결합시킴으로 인하여 고정된 조직(T)이 장비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캡부(400)와 본체부(100)가 결합 시 내부에서 조직수용부(300)가, 본체부(100)에 수용되는 고정액(F)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되는 실링부(200)를 파단하여 조직(T)을 고정액(F)에 잠기게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조직 고정 작업 시 포르말린 용액 등 고정액(F)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조직 고정용 용기 C: 중심축
F: 고정액 T: 조직
100: 본체부 200: 실링부
300: 조직수용부 310: 조직수용본체
311: 홀부 315: 걸침부
330: 가압부 400: 캡부
410: 돌출부

Claims (8)

  1.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고정액을 수용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실링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부가 형성되고, 조직이 수용되는 조직수용부; 및
    상기 조직수용부를 상기 실링부 측으로 가압하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캡부는 본체부의 저면부를 마주보는 내면에서 본체부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조직 고정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본체부와 중심축을 공유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직 고정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수용부는 상기 본체부와 길이 방향 중심축을 공유하는, 조직 고정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수용부는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걸침부가 돌출 형성되는, 조직 고정용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침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조직 고정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막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직 고정용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조직 고정용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소정 영역에서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며, 상기 조직수용부가 가압함에 따라 파단되는, 조직 고정용 용기.
KR1020190059126A 2019-05-20 2019-05-20 조직 고정용 용기 KR102267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126A KR102267435B1 (ko) 2019-05-20 2019-05-20 조직 고정용 용기
KR1020200163316A KR102527629B1 (ko) 2019-05-20 2020-11-27 조직 고정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126A KR102267435B1 (ko) 2019-05-20 2019-05-20 조직 고정용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316A Division KR102527629B1 (ko) 2019-05-20 2020-11-27 조직 고정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628A KR20200133628A (ko) 2020-11-30
KR102267435B1 true KR102267435B1 (ko) 2021-06-21

Family

ID=73641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126A KR102267435B1 (ko) 2019-05-20 2019-05-20 조직 고정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4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703A (ja) * 1996-05-13 2000-08-22 ステリ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自給式生物学的指示器
US20170265847A1 (en) * 2016-03-21 2017-09-21 Kaltek S.R.L. Containment device for biological samples
KR101823438B1 (ko) 2016-11-29 2018-01-30 (주)메디포유 고정액의 충전 및 외부노출방지 구조를 갖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1527B2 (en) * 2016-05-05 2021-07-27 Meccanica G.M. S.R.L. Container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703A (ja) * 1996-05-13 2000-08-22 ステリ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自給式生物学的指示器
US20170265847A1 (en) * 2016-03-21 2017-09-21 Kaltek S.R.L. Containment device for biological samples
KR101823438B1 (ko) 2016-11-29 2018-01-30 (주)메디포유 고정액의 충전 및 외부노출방지 구조를 갖는 조직검체 운반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628A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9090B2 (ja) 組織サンプル容器及び方法
JP7104026B2 (ja) 血液サンプルを取得するための装置
KR101744232B1 (ko) 조직 보관 용기
US20220015674A1 (en) Blood Sample Management Using Open Cell Foam
EP3328286B1 (en) Disposable container of 30 or 90 ml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human tissue samples or organs to be subjected to histological examination
KR101624962B1 (ko) 조직검체 운반용기
US20090105614A1 (en) Analyte collection chip
EP25516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ion concentrations in a fluid sample
EP15134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xtraction and monitoring of a biological fluid
EP3744308B1 (en) Sperm collecting container
JP2016518926A (ja) 血液採取搬送装置
JPWO2017154240A1 (ja) 質量分析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生体試料の分析方法
KR102380025B1 (ko) 인체 조직의 안전 보존 용기
CN101171330A (zh) 用于生物样品提取、收集和传输的装置
KR20200011802A (ko) 파손 가능한 밀폐막을 구비한 생체조직 보관용기
CN106794461A (zh) 用于测试液体样本的装置
KR102527629B1 (ko) 조직 고정용 용기
KR102267435B1 (ko) 조직 고정용 용기
US11576596B2 (en) Hand-held applicator
JP4869928B2 (ja) コンテナ用の閉鎖装置
KR102267434B1 (ko) 조직 고정용 용기
KR102527628B1 (ko) 조직 고정용 용기
KR20230075387A (ko) 검체 용기
KR200489217Y1 (ko) 조직검체 용기
US20110230737A1 (en) Device and method for early diagnosis and prognosis of healing progressions, in particular for bone inju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