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628B1 - 조직 고정용 용기 - Google Patents

조직 고정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628B1
KR102527628B1 KR1020200163315A KR20200163315A KR102527628B1 KR 102527628 B1 KR102527628 B1 KR 102527628B1 KR 1020200163315 A KR1020200163315 A KR 1020200163315A KR 20200163315 A KR20200163315 A KR 20200163315A KR 102527628 B1 KR102527628 B1 KR 102527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ative
accommodating
hole
tissu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870A (ko
Inventor
최석현
황성욱
Original Assignee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5912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67434B1/ko
Application filed by (의) 삼성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20016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6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96Casings for storing test sa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가 중공이며, 조직을 수용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통하며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고정액이 수용되는 고정액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액수용부는 상기 연결부와 길이 방향 중심축을 공유하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액수용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와 일측에서 연통되며 상기 고정액이 상기 본체부로 유동가능한, 조직 고정용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직 고정용 용기{Container for tissue adhesivenes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직 고정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tissue)은 질병의 진단, 치료, 연구 및 신약 개발 등에 있어서 중요한 자원으로서, 질병의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그리고 이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조직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작업이 요구되는데, 대부분이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을 용기에 담아 관찰 및 분석을 위한 검사장비가 있는 곳으로 운반된다.
이 때 용기에 수용되는 조직은 용기 내에서 보관 처리되며, 조직의 검사를 위해 단시간 이동할 수도 있고, 때로는 장거리 이동이 불가피한 경우도 발생하게 되며, 현재 병의원, 각종 연구기관 또는 의료기관에서 조직의 보관 및 운반에 사용 중인 용기는 단순히 조직의 저장 공간을 갖는 원통형 몸체의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조직 보존을 위한 용기는 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조직을 몸체 내에 넣고 이 조직의 상태를 보전하기 위해 고정액을 투입하게 되며, 이때 고정이란 조직 또는 세포가 죽거나 세포의 형태가 변하지 않도록 조직 또는 세포를 채취할 당시의 상태로 유지하여 조직이나 세포의 구조를 관찰, 분석, 표본 제작 등에 적합한 상태로 두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정을 위한 고정액은 조직 내에 침투하여 조직을 고정시켜 조직이 더 이상 분해되지 않고 채취상태로 유지되게 보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포르말린(formalin), 구체적으로 10% neutral buffered formalin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 고정액이 담긴 몸체에 조직을 넣을 때 뚜껑을 열면 유해 물질인 포르말린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노출되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압 배기 장치, 후드(hood) 장치, 개인 보호구 등의 추가 장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한, 용기가 넘어지거나 뒤집혔을 때 처음에 포르말린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포르말린과 조직이 역류되어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1396호(2012.09.04. 등록, 발명의 명칭: 검체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직 고정 작업 시 유해물질인 포르말린 용액 등의 고정액이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보관 시 조직 및 고정액이 조정 고직 작업 전 고정액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역류 및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직 고정용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가 중공이며, 조직을 수용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통하며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고정액이 수용되는 고정액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액수용부는 상기 연결부와 길이 방향 중심축을 공유하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액수용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와 일측에서 연통되며 상기 고정액이 상기 본체부로 유동가능한, 조직 고정용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액수용부와 마주보는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는 소정 경로를 따라 제1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액수용부에는 상기 제1홀부와 연통되도록 소정 경로를 따라 제2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액수용부는, 상기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액이 수용되는 고정액수용본체; 및 상기 고정액수용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며 결합되고, 상기 제2홀부가 형성되는, 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액수용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홀부와 연통되는 제3홀부가 형성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연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는 고정액수용부가 연결부와 중심축을 공유하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인하여 고정액수용부가 연결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됨에 따라 일측에서 연통되며 고정액을 조직 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 연결부 및 고정액수용부가 결합된 상태의 조직 고정용 용기의 내부에서만 고정액이 유동됨으로 인하여 조직 고정 작업 시 사용자에게 유해물질인 포르말린 용액 등 고정액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액수용부가 연결부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고정액의 유동 경로가 개폐됨으로 인하여 조직 고정 작업 후 조직 고정용 용기의 보관 시 넘어지거나 뒤집혔을 때 조직 및 고정액이 조적 고정 작업 전 고정액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역류 및 분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에서 고정액이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에서 조직이 고정액에 잠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에서 고정액이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에서 조직이 고정액에 잠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1)는 본체부(100), 연결부(200), 고정액수용부(300), 실링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조직 고정용 용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도 2 기준 상측)이 개구되며, 내부가 중공이며 조직(T)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10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뒤에 설명할 연결부(200)와 상대 회전되며 결합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뒤에 설명할 연결부(2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나사홈부의 형상에 대응되며, 이로 인하여 본체부(100)와 연결부(2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부(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나사홈부가 형성되고, 본체부(10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연결부(20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는 본체부(100)에 연통하며 결합되는 것으로, 중심축(C)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2,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200)는 본체부(100)의 일측(도 2 기준 상측)을 커버하며 결합되고, 뒤에 설명할 고정액수용부(300)와 마주보는 일면(도 3 기준 상면)에는 소정 경로를 따라 제1홀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에 형성되는 제1홀부(210)는 뒤에 설명할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밸브부(350)에 형성되는 제2홀부(352), 실링부(400)에 형성되는 제3홀부(410)와 연통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액수용부(300)가 연결부(200) 상에서 상대 회전되어 제1홀부(210), 제2홀부(352) 및 제3홀부(410)가 중첩되게 배치되면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고정액수용본체(310)에 수용되는 포르말린 용액 등의 고정액(F)이 제2홀부(352), 제3홀부(410), 제1홀부(210)를 순서대로 통과하며 본체부(100)에 수용되는 조직(T)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정액(F)이라 함은 포르말린 용액 등 조직(T) 내에 침투하여 조직(T)을 고정시켜 조직(T)이 더 이상 분해되지 않고 채취상태로 유지되게 보전하는 역할을 하는 용액을 의미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는 실링부(400),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밸브부(350)와 중심축(C)을 공유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밸브부(350)의 밸브샤프트(355)가 실링부(400)와 연결부(200)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부(도면부호 미설정)를 관통하며, 상기 중심축(C)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홀부(210), 제2홀부(352), 제3홀부(410)가 연통되거나, 연통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액수용본체(310)의 내부와 본체부(100)의 내부 사이에서 고정액(F)의 유동 경로를 개폐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의 상측에는 실링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400)는 연결부(200)와 밸브부(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링부(400)에는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 소정 경로를 따라 제3홀부(410)가 형성되며, 제3홀부(410)는 제1홀부(2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3홀부(410)가 형성되지 않는 실링부(400)의 영역에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밸브본체(351)에 형성되는 제3홀부(410)가 위치(도 4 참조)하는 경우에는 고정액수용본체(310)의 외측으로 고정액(F)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액수용본체(310)의 '외측'이라 함은 조직 고정 작업 전 고정액(F)이 제2홀부(352)를 통과하여 조직(T)이 수용되는 본체부(100) 측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링부(400)에 형성되는 제3홀부(410)로 인하여, 연결부(200)에 대하여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밸브부(350)가 회전되며, 밸브부(350)에 형성되는 제2홀부(352)와 연통되며, 고정액수용본체(310)에 수용되는 고정액(F)이 제2홀부(352), 제3홀부(410), 제1홀부(210)를 거쳐 조직(T)이 수용되는 본체부(100)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액수용부(300)는 연결부(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이며 포르말린 용액 등 조직(T)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액(F)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정액수용부(300)는 고정액수용본체(310), 밸브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액수용본체(31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부(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액(F)이 수용될 수 있다. 밸브부(350)는 고정액수용본체(310)의 내측에 배치되며 결합되는 것으로, 제2홀부(352)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부(350)는 고정액수용본체(310)와 일체로서 결합되어 연결부(200)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연결부(200)에 대하여 고정액수용부(300)가 상대 회전됨에 따라 제2홀부(352)가, 제1홀부(210) 및 제3홀부(410)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액수용부(300)는 연결부(200)에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350)는 밸브본체(351), 밸브샤프트(355)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본체(351)는 제2홀부(352)가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액수용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 밸브본체(351)는 고정액수용본체(310)의 내측면을 따라 결합되며 고정액수용본체(310)와 일체를 이루며 연결부(20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샤프트(355)는 밸브본체(351)의 중심에서 연결부(200)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연결부(200)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밸브샤프트(355)는 실링부(400)를 관통하며 연결부(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링부(400)와 연결부(200)의 중심에 형성되는 홀부를 관통하며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밸브샤프트(355)의 하단부(도 4 기준)에는 실링부(400) 및 연결부(200)의 중심에 각각 형성되는 홀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걸림부(도면 미도시)가 밸브샤프트(355)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연결부(200)에 결합되는 밸브샤프트(355)가 상측(도 4 기준)으로 이동되며, 연결부(200)와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밸브부(350)가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400)는 고정액수용부(300)와 연결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3홀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홀부(410)는 제1홀부(210)와 연통되도록 실링부(40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소정 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링부(400)에서 제3홀부(410)가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제1홀부(210)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액수용부(300)의 연결부(200)에 대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상대 회전으로 인하여 고정액수용부(300), 밸브부(350)에 형성되는 제2홀부(352)가 제1홀부(210) 및 제3홀부(41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고정액수용본체(310)에 수용되는 고정액(F)이 밸브부(350), 구체적으로 밸브본체(351)에 형성되는 제2홀부(352), 실링부(400)에 형성되는 제3홀부(410), 연결부(200)에 형성되는 제1홀부(210)를 통과하며 조직(T)이 수용되는 본체부(100)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제1홀부(210), 제2홀부(352), 제3홀부(410)가 연통되지 않는, 조직 고정 전의 상태에서는 제3홀부(410)가 형성되지 않는 실링부(400)의 영역이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밸브본체(351)에 형성되는 제2홀부(352)를 커버하며, 고정액수용본체(310)에 수용되는 고정액(F)이 제2홀부(352)를 통하여 고정액수용부(30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액수용본체(310)에 수용되는 고정액(F)이 조직(T)을 수용하는 본체부(100)로 유동되어 조직(T)이 고정액(F)에 잠기며 조직 고정이 진행된다.
고정액수용본체(310)에 수용되는 고정액(F)이 조직(T) 측으로 모두 유동되면, 다시 고정액수용부(300)를 연결부(200)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켜 밸브본체(351)에서 제2홀부(352)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 제1홀부(210) 및 제3홀부(410)를 커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1)가 보관 과정에서 넘어지거나 뒤집어지는 경우, 조직(T)과 고정액(F)이 제1홀부(210), 제3홀부(410)를 통과하여 고정액수용본체(310)로 역류 및 분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400)는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 등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탄성 변형되며 연결부(200)와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밸브본체(351)에 밀착될 수 있으며, 조직 고정 작업 전 고정액수용본체(310)에서 제2홀부(352)를 통해 고정액(F)이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1)는 본체부(100), 연결부(200), 고정액수용부(300), 실링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액수용부(300)는 연결부(200)와 결합되고, 연결부(200)는 본체부(1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조직(T)을 본체부(100)의 내부에 배치하고, 고정액(F)이 수용되는 고정액수용부(3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200)를 본체부(100)에 나사 결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액수용부(300)와 결합되는 연결부(2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된 상태이고, 밸브부(350), 구체적으로 밸브본체(351)에 형성되는 제2홀부(352)가 연결부(200)에 형성되는 제1홀부(210), 연결부(200)와 결합되는 실링부(400)에 형성되는 제3홀부(410)와 연통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로 인하여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고정액수용본체(310)에 수용되는 고정액(F)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실링부(400)가 연결부(200)와 고정액수용부(300) 사이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포르말린 용액 등 유해물질인 고정액(F)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부(200)를 파지하고, 고정액수용부(300)를 연결부(200)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킬 수 있고, 고정액수용본체(310)와 밸브부(350)가 일체로 연결부(200) 및 실링부(400)의 상측(도 4 기준)에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350)는 밸브본체(351), 밸브샤프트(3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밸브샤프트(355)가 연결부(200)와 실링부(4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홀부를 관통하며 결합됨으로 인하여 연결부(200) 및 실링부(400) 상에서 밸브본체(351), 구체적으로 밸브본체(351)에 형성되는 제2홀부(352)의 이동 경로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밸브부(350), 구체적으로 밸브본체(351)에 형성되는 제2홀부(352)와 실링부(400)에 형성되는 제3홀부(410), 연결부(200)에 형성되는 제1홀부(210)가 연통되며, 고정액수용본체(310)에 수용되는 고정액(F)이 조직(T)이 수용되는 본체부(100) 측으로 유동된다.
이로 인하여 본체부(100)에 수용되는 조직(T)이 고정액(F)에 잠기며 조직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다시 연결부(200)를 파지하고, 고정액수용부(300)를 도 5에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홀부(352)가 제1홀부(210) 및 제2홀부(352)와 연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밸브부(350), 구체적으로 밸브본체(351)에서 제2홀부(352)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 서로 연통되는 연결부(200)의 제1홀부(210), 실링부(400)의 제3홀부(410)를 커버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하측(도 6 기준)에 배치되는 본체부(100)에 수용되는 조직(T), 고정액(F)이 제2홀부(352)를 통과하여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고정액수용본체(310)로 역류 및 분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1)는 고정액(F)이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고정액수용본체(310)에 수용됨으로 인하여 조직(T)을 고정액(F)에 잠기도록 하는 조직 고정 작업 시 유해물질인 포르말린 용액 등의 고정액(F)이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고정용 용기(1)를 보관 중 조직 고정용 용기(1)가 넘어지거나 뒤집혔을 때 본체부(100)에 수용되는 고정액(F)과 조직(T)이 본래 고정액(F)이 수용되었던 고정액수용부(300), 구체적으로 고정액수용본체(310)로 역류하여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조직 고정용 용기 C: 중심축
F: 고정액 T: 조직
100: 본체부 200: 연결부
210: 제1홀부 300: 고정액수용부
310: 고정액수용본체 350: 밸브부
351: 밸브본체 352: 제2홀부
355: 밸브샤프트 400: 실링부
410: 제3홀부

Claims (4)

  1. 내부가 중공이며, 조직을 수용가능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연통하며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고정액이 수용되는 고정액수용부; 및
    상기 고정액수용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액수용부와 상기 실링부는 각각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경로를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 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액수용부는 상기 연결부와 길이 방향 중심축을 공유하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액수용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정액수용부의 홀부와 상기 실링부의 홀부는 중첩되어 연통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액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로 유동가능한, 조직 고정용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액수용부와 마주보는 상기 연결부의 일면에는 상기 연결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경로를 따라 제1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액수용부에는 상기 제1홀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액수용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경로를 따라 제2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액수용부는,
    상기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액이 수용되는 고정액수용본체; 및
    상기 고정액수용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며 결합되고, 상기 제2홀부가 형성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조직 고정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조직 고정용 용기.
KR1020200163315A 2019-05-20 2020-11-27 조직 고정용 용기 KR102527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315A KR102527628B1 (ko) 2019-05-20 2020-11-27 조직 고정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125A KR102267434B1 (ko) 2019-05-20 2019-05-20 조직 고정용 용기
KR1020200163315A KR102527628B1 (ko) 2019-05-20 2020-11-27 조직 고정용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125A Division KR102267434B1 (ko) 2019-05-20 2019-05-20 조직 고정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870A KR20200136870A (ko) 2020-12-08
KR102527628B1 true KR102527628B1 (ko) 2023-05-03

Family

ID=8638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315A KR102527628B1 (ko) 2019-05-20 2020-11-27 조직 고정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301B1 (ko) * 2022-08-25 2023-03-14 김종옥 조직 보존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1300A (ja) 2001-10-12 2009-02-12 Becton Dickinson & Co 生体試料を輸送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170028B1 (ko) 2011-12-20 2012-08-01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KR101744232B1 (ko) 2016-11-22 2017-06-20 이은혜 조직 보관 용기
KR101880052B1 (ko)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755B2 (en) * 2011-08-26 2016-05-03 Devicor Medical Products, Inc. Biopsy device tissue sample holder with bulk chamber and pathology chamber
KR101624962B1 (ko) * 2014-07-25 2016-05-27 (주)메디포유 조직검체 운반용기
KR200487272Y1 (ko) * 2016-03-21 2018-10-04 진영석 조직 용기
KR102223879B1 (ko) * 2018-08-19 2021-03-05 주식회사 알엠생명과학 생체조직 보관용기
KR102199428B1 (ko) * 2018-10-25 2021-01-06 (의)삼성의료재단 검체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1300A (ja) 2001-10-12 2009-02-12 Becton Dickinson & Co 生体試料を輸送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170028B1 (ko) 2011-12-20 2012-08-01 (주) 레보메드 혈액 분리 장치
KR101744232B1 (ko) 2016-11-22 2017-06-20 이은혜 조직 보관 용기
KR101880052B1 (ko)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870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72330A1 (en) Container for specimen
CN106604780B (zh) 生物流体微样本管理装置
ES2837748T3 (es) Sistema de múltiples cámaras de contención de tejido para diagnóstico molecular e histológico
KR102527628B1 (ko) 조직 고정용 용기
KR101744232B1 (ko) 조직 보관 용기
JP2018505005A (ja) 複合液体バッグシステムホルダ
BRPI0818068B1 (pt) Recipiente para tecido com deslocamento de fluido para diagnóstico molecular e histológico
BRPI0818614B1 (pt) Sistema e método para armazenar uma amostra biológica
CN110446481B (zh) 用于对容纳在容器中的液体进行取样的装置、相关联的容器及该容器的用途
KR102267434B1 (ko) 조직 고정용 용기
JP2005031079A (ja) 使い捨てカセット
ES2812759T3 (es) Dispositivo de cierre para acoplar recipientes
KR102527629B1 (ko) 조직 고정용 용기
KR100873915B1 (ko) 혈액 분석 장치용 용액 용기
KR101821020B1 (ko) 일체형 타액채취기
US20070023430A1 (en)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US10052499B2 (en) Radiopharmaceutical distribution device
JP6591065B2 (ja) フィルター注射器
US20140356953A1 (en) Dispensing unit for dispensing preservation fluid into a tissue sample container
KR101934186B1 (ko) 시료 보관 및 이송이 가능한 시료 컵
JP2010527444A (ja) 液体中の検体の濃度を測定するためのプラグを持つ検査チップ、検査チップのための筺体、およびプラグのためのソケット
JP7269851B2 (ja) 廃液収容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廃液貯留器並びに廃液吸引システム
KR20200133628A (ko) 조직 고정용 용기
AU2020398076A1 (en) Container for biologic samples and method for their preservation
CN220343382U (zh) 一种用于处理生物样品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