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379B1 - 농식품 미량성분 비접촉식 휴대용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농식품 미량성분 비접촉식 휴대용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379B1
KR102267379B1 KR1020200017736A KR20200017736A KR102267379B1 KR 102267379 B1 KR102267379 B1 KR 102267379B1 KR 1020200017736 A KR1020200017736 A KR 1020200017736A KR 20200017736 A KR20200017736 A KR 20200017736A KR 102267379 B1 KR102267379 B1 KR 102267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asurement object
light source
laser
las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379B9 (ko
Inventor
양길모
Original Assignee
밸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밸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밸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379B1/ko
Priority to PCT/KR2020/009626 priority patent/WO202116218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379B1/ko
Publication of KR10226737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37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5Raman scat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 G01J3/0208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using focussing or collimating elements, e.g. lenses or mirrors; performing aberration cor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 G01J3/0216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using light concentrators or collectors or conden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4Raman spectrometry; Scattering spectrometry ; Fluorescence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라만분광법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량성분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식품 미량성분 비접촉식 휴대용 측정 장치{Portable Apparatus for Detecting Very Small Amount of Ingredient of Agricultural Food}
본 발명은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비접촉식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라만분광법을 이용하여 식품 등 액상의 측정 대상물에 포함되어 있는 나트륨 등의 미량성분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물질에 대한 성분과 특성 탐색을 위하여 레이저를 이용한 라만 분광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격이 높고 복잡한 레이저 신호증폭 기술은 일상생활에 응용될 수 있는 정도의 장치에 적용하기 부담스럽고, 휴대용 장치에 적용하기도 어렵다.
또한, 라만분광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빔을 유도하여 측정대상물에 조사해야 하는데, 종래 레이저 빔을 유도하는 반사 프리즘은 모두 포커싱 렌즈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측정 대상물로 향하는 레이저 빔이 반드시 포커싱 렌즈를 경유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라만분광법의 특성상 레이저 광원의 광량이 클 수록 좋으나, 휴대용 기기에 적용시 엠디레이저 또는 야그레이저 등은 그 크기로 인해 적용이 불가능하고, 그 크기가 작은 레이저 다이오드는 광량이 작아 측정대상물의 미세량 측정에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아울러, 레이저 다이오드 적용시 측정대상물이 과일 또는 엽채류 등의 고상인 경우 접촉식으로 측정할 경우 광량이 작더라도 측정의 정확도를 일정부분 유지할 수 있으나, 탕류, 스프류 등의 액상 식품의 경우 접촉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액상 식품의 경우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휴대용 기기가 필요한 실정이지만,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더불어 비접촉식의 적용에 따른 정확한 측정위치설정에 대한 수단이 없어, 사용자의 목측(目測)에 의존해야 하고 이 경우 측정시 마다 그 거리가 정확치 않아 측정 정확도 및 측정 신뢰도의 한계로 인해 실용화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4510호(20190308)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203235호(2008090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가의 복잡한 레이저 신호 증폭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도, 라만분광법을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량성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액상 식품의 미량성분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라만효과를 최대화시키기 위한 측정장치 사용시 사용자가 측정대상물과의 최적 측정거리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되,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을 통하지 않고 필수 구성을 통해 구현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측정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측정거리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는, 측정 대상물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측정 대상물로부터 산란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 수신부; 상기 광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를 광 출입 슬롯을 통해 입력받아 스펙트럼을 획득하는 분광부; 상기 분광부를 통해 획득된 스펙트럼으로부터 라만 신호를 검출하는 CCD 검출부; 및 상기 CCD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라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측정 대상물의 성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성분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 수신부는 상기 측정 대상물로부터 산란된 광신호를 집광하는 제1 렌즈부와, 상기 제1 렌즈부를 통해 집광된 광신호를 상기 분광부의 광 출입 슬릿으로 집속시키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상기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의 광 출력 위치는 제1 렌즈부의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레이저 빔이 서로 교차하는 접점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측정 대상물과의 최적의 측정거리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광 출력 위치에 배치되는 레이저 광원부는 상기 레이저 빔이 측정 대상물을 향해 경유하는 최종 요소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렌즈부에서 집광된 광신호의 일부를 분리하는 빔 스플리터; 및 상기 빔 스플리터를 통해 분리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성분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를 복수개 이용하고, 이를 레이저 광이 서로 교차하여 하나의 점을 형성하도록 위치시키며, 빛의 증폭을 위한 편광 렌즈의 배열을 단순화하였다.
이에 따라, 액상 식품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광량의 확보가 가능해졌고, 아울러, 사용자가 최적의 측정거리를 레이저빔의 교차점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측정 정확도 및 측정 신뢰도가 담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각도조절을 통해 레이저 빔이 교차하는 교차점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측정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최적의 측정거리를 메뉴얼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본적인 짠맛 측정 이외에도 농식품에 잔류하고 있는 잔류 농약, 중금속, 식중독균, 식품첨가물, 항생물질, 환경호르몬 검출 등 다른 요소의 검출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
도 2는 반사 프리즘에 관한 예,
도 3은 레이저 광원부와 반사 프리즘의 배치에 관한 다른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의 외관에 관한 예,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의 동작에 관한 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레이저 광원부(110), 하나 이상의 반사 프리즘(120), 반사 프리즘에 대응하는 광 수신부(130), 분광부(140), CCD 검출부(150), 제어부(1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이저 광원부(110)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특정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며, 파장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이저 광원부(110)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빔은 반사 프리즘(120)을 통해 광 출력 위치로 안내된다.
여기서, 광 출력 위치란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100)가 측정 대상물(31)을 향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위치를 말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빔이 반사 프리즘(120)을 통해 광출력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사 프리즘을 생략하고 레이저 광원부(110)가 광출력 위치에서 측정 대상물에 직접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상기 광 출력 위치에 배치되는 레이저 광원부는 상기 레이저 빔이 측정대상물을 향해 경유하는 최종 요소로서 구성되게 된다.
아울러, 따로 언급하지 않는 한 반사 프리즘을 생략하는 경우 레이저 광원부가 광 출력 위치에 배치되고 이는 반사 프리즘을 대체하게 된다.
반사 프리즘(120)은 레이저 빔을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반사 프리즘(120)의 구체적인 예를 보인 것으로서, 단면이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프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 프리즘(120)은 레이저 광원부(110)와 광 출력 위치에 따라 반드시 하나 이상이 배치된다.
이때, 레이저 광원부(110)로 부터 반사 프리즘(120)을 통해 측정 대상물(31)로 출력되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 광원의 방향, 즉 광출력 위치는 이들이 서로 교차하는 접점(광원이 서로 만나는 하나의 점)을 이루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접점을 측정 대상물(31)과의 최적의 측정거리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측정 대상물과의 최적의 거리를 시작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측정 대상물과의 거리가 가깝거나 먼 경우 상기 접점이 생성되지 않고 레이저 광원이 두개가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즉각적으로 최적의 측정거리가 아님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측정 대상물의 물성에 따라 측정기리를 달리할 경우 사용자는 반사 프리즘(120) 또는 레이저 광원부(110)의 각도를 조절하여 복수의 레이저 빔이 한 점에서 만나는 접점의 거리를 달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측정 대상물의 물성에 따른 최적의 거리를 측정 대상물별로 미리 메뉴화하여 제공하므로서 사용자의 편의 및 측정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두 개의 반사 프리즘(120-1, 120-2)이 포함되는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4개, 8개를 사용함으로써 광원의 강도를 높이고, 접점을 생성시키면서 측정 대상물(31)에 레이저 광원부(110)의 광원이 반사 프리즘을 생략한 채 측정 대상물에 직접적으로 조사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측정 대상물(31)과 광 수신부(130)의 제 1렌즈부(131) 사이에는 물론 제 2렌즈부(132) 사이에는 그 어떤 방해요소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레이저 빔을 최종적으로 측정 대상물(31)에 조사하게 되는 반사 프리즘(120)과 측정 대상물(31)의 사이에는 레이저 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렌즈 요소가 배치되지 않는다. 물론, 반사 프리즘(120)을 생략할 경우 레이저 빔 사이에는 레이저 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렌즈 요소가 배치되지 않는다.
광 수신부(130)는 측정 대상물(31)로부터 산란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측정 대상물(31)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면, 레이저 빔이 특정 분자의 매질을 통과할 때 빛이 산란되며, 산란된 빛은 광 수신부(130)를 통해 수신된다.
광 수신부(130)는 측정 대상물(31)로부터 산란된 광을 효율적으로 수집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광 수신부(130)는 측정 대상물(31)로부터 산란된 광신호를 집광하는 제1 렌즈부(131, Focusing Lens)와, 제1 렌즈부(131)를 통해 집광된 광신호를 분광부(140)의 광 출입 슬릿(141)으로 집속시키는 제2 렌즈부(132, Collection Len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렌즈부(132)는 반파장판(132-1, Half-Wave Plate)과 오목렌즈(132-2) 및 볼록 렌즈(1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레이저 빔을 최종적으로 측정 대상물(31)에 조사하는 반사 프리즘(120)은 제1 렌즈부(131)의 영역을 벗어난 장소에 위치하면서 접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반사 프리즘(120-1)을 이와 같이 배치하면, 레이저 광원부(110)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이 측정 대상물(31)까지 도달하는 전체 경로에 걸쳐 레이저 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종래에는 레이저 빔을 최종적으로 측정 대상물(31)에 조사하는 반사 프리즘이 제1 렌즈부(131)와 제2 렌즈부(132)의 사이에 배치되었으므로, 레이저 빔이 적어도 제1 렌즈부(131)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분광부(140)는 광 수신부(130)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를 광 출입 슬롯(141)을 통해 입력받아 스펙트럼을 획득한다.
그리고,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로 이루어지는 CCD 검출부(150)는 획득된 스펙트럼으로부터 라만 신호를 검출한다.
즉, CCD는 빛의 강도를 고감도(high sensitivity)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CCD 검출부(150)는 라만 산란광의 파장별로 빛의 강도를 검출한다.
제어부(160)는 CCD 검출부(150)를 통해 검출된 라만 신호를 분석하여 측정 대상물(31)의 짠맛을 측정하고, 측정된 짠맛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17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가 측정하는 정보에는 정성 분석 결과와 정량 분석 결과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60)가 짠맛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어부(160)는 나트륨(Na)의 함량을 분석하여 짠맛을 수치화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170)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미량성분의 일례로서 짠맛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짠맛 이외에 농식품에 잔류하고 있는 잔류 농약, 중금속, 식중독균, 식품첨가물, 항생물질, 환경호르몬 검출 등 다른 요소의 검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측정 대상물(3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100)는 제1 렌즈부(31)에서 집광된 광신호의 일부를 분리하는 빔 스플리터(180), 및 빔 스플리터(180)를 통해 분리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3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1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 측정부(190)가 빔 스플리터(180)를 통해 분리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31)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온도 측정부(190)는 빔 스플리터(180)를 통해 분리된 광신호를 수집하는 제3 렌즈부(191), 제3 렌즈부(191)를 통해 수집된 광신호를 검출하는 광 검출부(192), 광 검출부(192)에서 검출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측정대상물(31)의 온도를 산출하는 온도 연산부(1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빔 스플리터(180)는 하나의 광선을 나누어 각각 다른 방향으로 보내거나 2개의 광선을 합쳐 다른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제3 렌즈부(191)를 통해 수집되는 광신호는 빔 스플리터(180)에서 반사된 것으로서, 측정 대상물(31)에서 산란된 광신호는 빔 스플리터(180)를 통해 제2 렌즈부(132)와 제3 렌즈부(191)로 각각 진행된다.
제3 렌즈부(191)는 빔 스플리터가 반사시킨 광신호를 집광하여 모아주며, 광 검출부(192)는 제3 렌즈부(191)를 통해 집광된 광신호로부터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온도 연산부(193)는 광 검출부(192)에서 검출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31)의 온도를 연산한다.
온도 연산부(193)가 광 검출부(192)에서 검출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31)의 온도를 연산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등록특허 10-1093576호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레이저 광원부(110)가 2개의 특정한 파장의 레이저 빔을 각각 발진하도록 제어하고, 각 레이저 빔에 대하여 광 검출부(192)에서 검출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31)의 온도를 연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도 측정부(190)가 포함되는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측정된 짠맛을 온도 측정부(190)를 통해 파악된 온도를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짠맛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라만분광법을 이용한 분석 결과는 측정 대상물(31)의 온도에 따라 편차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측정 대상물의 온도에 따른 편차를 보정하면, 측정대상물(31)의 짠맛을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온도 측정부(190)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디스플레이 화면(17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온도 정보를 알려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의 외부케이스(100-1)에 관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170)에는 짠맛의 정도를 눈금으로 표시하는 부분, 라만 분석 결과와 온도를 수치로 보여 주는 부분, 동작 스위치(100-2) 등이 나타나 있고, 일단에는 레이저 빔(100-5)이 출력되는 부분(100-3)과, 측정 대상물에서 산란된 광신호를 입력받는 부분(100-6)이 구비되어 있다.
도 5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일 뿐이며,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100)의 외관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100)는 짠맛을 측정하는 기본 기능 이외에도 측정 대상물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측정 대상 성분(예: 농식품에 포함되어 있는 미량 성분)을 검출하는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가 둘 이상의 측정 대상 성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부(16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부(163)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짠맛 측정 기능 이외에도, 농식품의 잔류 농약, 중금속, 식중독균, 식품첨가물, 항생물질, 환경호르몬, 미량 유해물질 등 사용자가 검출하고자 하는 측정 대상 성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선택부(163)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디스플레이 화면(170)에 선택 가능한 측정 대상 성분들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검출하고자 하는 하나의 측정 대상 성분을 터치 방식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선택부(163)를 통해 어느 측정 대상 성분이 선택된 경우에는, 짠맛을 측정하는 대신, 측정 대상물에 함유된 그 측정 대상 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7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부(163)를 통해 특정 중금속을 선택하였다면, 제어부(160)는 라만 신호를 분석하여 농식품에 함유된 그 중금속의 함량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17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100)의 주요 동작 과정을 요약한 것이다.
사용자가 동작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측정이 시작되면(S710), 측정 대상물에 레이저 빔을 조사한다(S720)
레이저 빔은 측정 대상물에서 산란되어 파장이 변화되고, 에너지 준위가 변하며, 에너지 준위의 변화에 따른 스펙트럼이 분석된다(S730)
또한, 측정 대상물(31)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에 따라 보정표(165)를 참조하여 분석 결과를 보정할 수 있다(S740) 여기서 보정표(165)란 온도에 따른 편차를 기록한 표이다.
분석 결과는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70)을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S75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0: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
110: 레이저 광원부 120, 120-1, 120-2: 반사 프리즘
130: 광 수신부 131: 제1 렌즈부
132: 제2 렌즈부 140: 분광부
141: 광 출입 슬롯 150: CCD 검출부
160: 제어부 163: 선택부
170: 디스플레이 화면 180: 빔 스플리터
190: 온도 측정부 191: 제3 렌즈부
192: 광 검출부 193: 온도 연산부

Claims (3)

  1. 측정 대상물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
    측정 대상물로부터 산란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 수신부;
    상기 광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광신호를 광 출입 슬롯을 통해 입력받아 스펙트럼을 획득하는 분광부;
    상기 분광부를 통해 획득된 스펙트럼으로부터 라만 신호를 검출하는 CCD 검출부; 및
    상기 CCD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라만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측정 대상물의 성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성분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광 수신부는 상기 측정 대상물로부터 산란된 광신호를 집광하는 제1 렌즈부와, 상기 제1 렌즈부를 통해 집광된 광신호를 상기 분광부의 광 출입 슬릿으로 집속시키는 제2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의 광 출력 위치는 제1 렌즈부의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레이저 빔이 서로 교차하는 접점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측정 대상물과의 최적의 측정거리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광 출력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는 상기 레이저 빔이 측정대상물을 향해 경유하는 최종 요소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레이저 광원부는 레이저 광원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접점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에서 집광된 광신호의 일부를 분리하는 빔 스플리터; 및
    상기 빔 스플리터를 통해 분리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성분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
KR1020200017736A 2020-02-13 2020-02-13 농식품 미량성분 비접촉식 휴대용 측정 장치 KR10226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736A KR102267379B1 (ko) 2020-02-13 2020-02-13 농식품 미량성분 비접촉식 휴대용 측정 장치
PCT/KR2020/009626 WO2021162185A1 (ko) 2020-02-13 2020-07-22 농식품 미량성분 비접촉식 휴대용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736A KR102267379B1 (ko) 2020-02-13 2020-02-13 농식품 미량성분 비접촉식 휴대용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379B1 true KR102267379B1 (ko) 2021-06-22
KR102267379B9 KR102267379B9 (ko) 2023-02-23

Family

ID=7660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736A KR102267379B1 (ko) 2020-02-13 2020-02-13 농식품 미량성분 비접촉식 휴대용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7379B1 (ko)
WO (1) WO202116218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235A (ja) 2007-02-21 2008-09-04 Newer Tech Kk 顕微レーザーラマン分光方法および分光装置
KR20100027313A (ko) * 2008-09-02 2010-03-11 주식회사 지원하이텍 광량 측정을 이용한 식품 당도 측정장치
US20140022532A1 (en) * 2012-07-17 2014-01-23 Donald W. Sackett Dual Source Analyzer with Single Detector
US20140204376A1 (en) * 2013-01-21 2014-07-24 Sciaps, Inc. Automated Multiple Location Sampling Analysis System
US20180143073A1 (en) * 2015-02-05 2018-05-24 Verifood, Ltd. Spectrometry system applications
KR20190024510A (ko) 2017-08-30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분광기용 집광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라만 분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9020B1 (en) * 2011-12-16 2014-04-15 Bwt Property, Inc. Handheld Raman spectrome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3235A (ja) 2007-02-21 2008-09-04 Newer Tech Kk 顕微レーザーラマン分光方法および分光装置
KR20100027313A (ko) * 2008-09-02 2010-03-11 주식회사 지원하이텍 광량 측정을 이용한 식품 당도 측정장치
US20140022532A1 (en) * 2012-07-17 2014-01-23 Donald W. Sackett Dual Source Analyzer with Single Detector
US20140204376A1 (en) * 2013-01-21 2014-07-24 Sciaps, Inc. Automated Multiple Location Sampling Analysis System
US20180143073A1 (en) * 2015-02-05 2018-05-24 Verifood, Ltd. Spectrometry system applications
KR20190024510A (ko) 2017-08-30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분광기용 집광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라만 분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2185A1 (ko) 2021-08-19
KR102267379B9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3748B2 (en) Autofocus mechanism for spectroscopic system
KR102021874B1 (ko) 분광 분석기
US7903252B2 (en) Noise cancellation in fourier transform spectrophotometry
US5202570A (en) Gas detection device
US9869585B2 (en) Dual spectrometer
US7349094B2 (en) Laser radar apparatus having multiple output wavelengths
JP5870497B2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CN104483104B (zh) 一种光电探测器光谱响应分析系统
US4061427A (en) Laser extensometer
US20090257064A1 (en) Optical Absorption Spectrometer and Method for Measuring Concentration of a Substance
KR101078135B1 (ko) 광원 스펙트럼 분석용 분광기의 전 영역 교정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정보 획득 방법
RU2396546C2 (ru) Спектрофотометр
US20050213089A1 (en) Spectral imaging device with tunable light source
CN1838911B (zh) 使用波长路由器从电磁波谱中测量分析物
CN112823279A (zh) 显微分光装置、以及显微分光方法
CN113108696A (zh) 一种光源波长扫描光谱共焦传感器
CN114729882A (zh) 分光分析装置以及分光分析方法
KR102267379B1 (ko) 농식품 미량성분 비접촉식 휴대용 측정 장치
JP2008157809A (ja) レーザ出力制御装置および光学測定ユニット
EP0822394A2 (en) Optical measuring device with wavelength-selective light source
KR102088163B1 (ko) 라만분광법을 이용한 휴대용 농식품 미량성분 측정 장치
US11016023B1 (en) Far-infrared spectroscopic device and far-infrared spectroscopic method
KR102373676B1 (ko) 테라헤르츠 센서 및 그 측정 방법
EP3162283B1 (en) Blood measuring apparatus using spectroscope
JP2006300808A (ja) ラマン分光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