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355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355B1
KR102267355B1 KR1020180172904A KR20180172904A KR102267355B1 KR 102267355 B1 KR102267355 B1 KR 102267355B1 KR 1020180172904 A KR1020180172904 A KR 1020180172904A KR 20180172904 A KR20180172904 A KR 20180172904A KR 102267355 B1 KR102267355 B1 KR 102267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erature
air conditioner
driving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369A (ko
Inventor
박동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3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60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 H02P29/62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or of the drive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prior to normal operation, e.g. pre-heating or pre-coo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동 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압축기 또는 팬에 구비되는 모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예열하도록 구성되어, 예열모드에 따라 발열부를 동작시켜 상기 구동부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저온 상황에서 저하된 소자의 특성을 예열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고 정상화할 수 있고 기동 시 안정화를 위한 시간이 단축되어 빠른 기동이 가능하며, 발열부가 다층 기판에 패턴으로 형성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 상황에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압축기 또는 팬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그에 따라 모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 및 팬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적용되고 있다.
모터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컨버터 및 인버터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을 정류하고 일정의 직류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와 커패시터는 온도에 따라 그 소자의 특성이 가변하는 특징이 있다. 스위칭 소자의 경우 온도가 감소할수록 내압이 감소하고, 커패시터의 경우 저온에서, 설정 용량보다 작은 용량을 갖게 된다.
그에 따라 저온 상태에서 공기조화기가 동작하는 경우 스위칭 소자의 내압이 하강하고 커패시터가 작은 용량으로 동작함에 따라, 원하는 전류 및 전압을 생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자 특성의 가변으로 안정적인 출력전압을 생성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공기조화기는 기동 시, 일정 시간을 안정화시간으로 설정하고, 안전화가 완료되면 실질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저온 상황에서는 안정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소자가 실장되는 기판은, 단순 수동 조사만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10043219,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40096167와 같이 안테나를 패턴화하는 경우가 있으나 그 용도가 한정적이다. 또한, 소자의 특성을 개선하는 기능은 포함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저온에서의 소자의 기능 저하를 해소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으며, 극저온의 환경에서는 공기조화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저온 상황에서 기동 시 예열을 통해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모터의 구동을 위한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예열부;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실외온도에 따라 기준온도 이하의 저온 상태에서 예열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예열부가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발열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상기 구동부로 전달되어 예열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부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모터를 기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예열부는, 상기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발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 오프되어 상기 발열부로의 전압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구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구동부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부는 다층기판에 실장되는 금속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원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메인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예열이 완료되면 메인스위치를 동작시켜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저온상태로 판단하여 예열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발열부로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발열부로부터 열이 발생하는 단계; 상기 발열부의 열이 구동부로 전달되어, 상기 구동부의 온도가 상승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의 온도가 소정온도까지 상승하면 예열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예열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모터가 기동하여 압축기가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기동 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모터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예열하여, 구동부가 정상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열을 통해 저하된 소자의 특성을 정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동 시 안전화를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 구동을 위한, 컨버터 및 인버터의 스위칭 소자에 대한 내압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커패시터의 온도 변화에 따른 특성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기의 내부에 추가 공간 없이도 다층 기판을 통해 예열부를 형성할 수 있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밀착 설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층 기판에 패턴을 형상화하여 발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의 패턴 설계만으로 예열에 필요한 열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부의 영역에 대해 예열하고, 온도에 따라 온오프 하여 용이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의 실외기의 모터 구동을 위한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온도에 따른 특성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예열부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도 4의 예열부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 6 은 기판에 배치되는 예열부가 도시된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제어부 및 그 외 각 부의 구성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31), 실내기(31)에 연결되는 실외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31)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도면에서는, 스탠드형 실내기(31)를 예시한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1)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21)는 원격제어기(미도시) 또는 실내기(31)의 요구(demand)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실외기(21)는, 연결된 실내기(310)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한다.
실내기(31)는, 실외기(21)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이때, 실외기(21) 및 실내기(31)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는 원격제어기(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리모컨(미도시)은 실내기(31)에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실외기는 온도센서, 압력센서, 전류/전압센서 등의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실내기(31)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한다.
실내측 열교환기(108)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의 실외기(21) 내의 압축기(102)는, 압축기 모터(250)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실내팬 또는 실외팬은 연결된 모터가, 모터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2 는 도 1의 실외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외기(21)는, 압축기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전원부(201)의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 변환하여, 모터에 변환된 전력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구동부는, 전력변환장치라고도 할 수 있다.
구동부는, 압축기 또는 팬에 구비되는 모터(250)에 삼상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인버터(220)와,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230)와, 인버터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210), 컨버터(210)를 제어하는 컨버터 제어부(215), 컨버터(210)와 인버터 사이의 DC링크단(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는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입력전류검출부(D), 인버터의 출력전류를 검출하는 출력전류 검출부(E)를 포함하고, 입력전압을 검출하는 입력전압 검출부(A), 인버터로 입력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DC전압 검출부(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실외기의 압축기뿐 아니라, 실외팬 및 실내기(31)의 실내팬에 구비되는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컨버터(210)는,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컨버터(210)는, 정류부(미도시)와 부스트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부스트 컨버터는, 정류부와 인버터(220) 사이에, 서로 직렬 접속되는 리액터(미도시)와 다이오드(미도시), 리액터와 다이오드 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미도시)를 구비한다. 부스트 컨버터는 스위칭 소자의 온에 의해, 리액터에 에너지가 저장되다가, 스위칭 소자의 오프에 의해, 리액터에 저장된 에너지가 다이오드를 거쳐, 출력될 수 있다.
컨버터(210)는 부스트 컨버터 외의 다른 형태의 컨버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컨버터 제어부(215)는, 컨버터(210) 내부의 스위칭 소자의 턴 온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소자의 턴 온 타이밍을 위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oc)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버터 제어부(215)는, 입력 전압 검출부(A)와 입력 전류 검출부(B)로부터 각각, 입력 전압(Vs)과, 입력 전류(Is)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전압 검출부(A)는, 전원부(201)의 입력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입력 전압(Vs)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류부의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 전압 검출부(A)는, 전압 검출을 위해, 저항 소자, OP 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된 입력 전압(Vs)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oc)의 생성을 위해, 컨버터 제어부(215)에 인가될 수 있다.
입력 전류 검출부(D)는, 전원부(201)의 입력 교류 전원으로부터의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부의 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 전류 검출부(D)는, 전류 검출을 위해, 전류센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된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oc)의 생성을 위해, 컨버터 제어부(215)에 인가될 수 있다.
DC전압검출부(B)는 dc 단 커패시터(C)의 맥동하는 전압(Vdc)을 검출한다. 전원 검출을 위해, 저항 소자, OP AM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된 dc 단 커패시터(C)의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230)에 인가될 수 있으며, dc 단 커패시터(C)(C11)의 직류 전압(Vdc)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검출되는 dc 전압은, 컨버터 제어부(215)에 인가되어, 컨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oc)가 생성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인버터(2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을 소정 주파수의 삼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250)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버터(22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미도시) 및 하암 스위칭 소자(미도시)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스위칭 소자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230)는, 인버터(2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220)에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는 펄스폭 변조 방식(PWM)의 스위칭 제어신호로서, 모터(250)에 흐르는 출력 전류(io) 및 dc단 커패시터 양단인 dc 단 전압(Vdc)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의 출력 전류(io)는, 출력전류 검출부(E)로부터 검출될 수 있으며, dc 단 전압(Vdc)은 DC전압검출부(B)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220)와 모터(25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모터(25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각 상의 출력 전류(ia,ib,ic)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인버터(220)와 모터(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230)는, 축변환부(미도시), 속도 연산부(미도시), 전류 지령 생성부(미도시), 전압 지령 생성부(미도시), 축변환부(미도시),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인버터 제어부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온도에 따른 특성변화가 도시된 도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운전설정 또는 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실외기는 운전모드에 따라 절환밸브(110)가 동작하여, 냉매의 유로가 변경되고, 그에 따라 난방모드 또는 냉방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는 구동부를 제어하여 압축기가 동작하도록 하고, 실외기팬을 동작시킨다. 압축기에 의해 냉매와 냉매배관을 따라 유동하여 실내기로 공급되고,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 함으로써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이때, 실외기는 초기 구동 시, 구동부, 특히 컨버터(210)와 인버터(220)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함에 따라, 주변 온도에 따라 소자 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난다.
일예로 기존온도를 상온의 섭씨 25도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주변환경에 따라 기준온도는 변경될 수 있다.
기준온도인 섭씨 25도씨를 기준으로, 그 미만의 온도는 저온, 그 이상의 온도는 고온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버터 및 인버터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는, 기준온도에서 내압이 제 1 전압(V1)을 나타낸다.
기준온도 미만의 저온에서는 스위칭 소자의 내압이 제 1 전압 이하로 감소하게 되고, 기존온도 이상의 고온에서는 내압이 제 1 전압보다 상승하게 된다.
스위칭 소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600V 내압의 스위칭 반도체를 주로 사용하는데, 저온에서 내압이 감소한다.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뿐 아니라, 커패시터의 용량 특성 또한 온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다.
구동부에는 복수의 커패시터가 포함되는데, 온도가 변경되는 커패시터의 용량이 가변한다.
기준온도일 때 커패시터의 용량이 제 1 값(F1)일 때, 저온에서는 그 값이 감소하고, 고온에서는 그 값이 상승하게 된다.
즉 스위칭 소자의 내압과 커패시터의 용량이 온도에 따라 변경된다. 구동부는 기준온도 미만의 저온 상태에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극저온의 상태에서 스위칭 소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 컨버터 및 인버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실외기 기동 시, 특히 압축기 또는 팬을 기동하는 경우,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저온상태에서는 온도를 상승시켜, 구동부를 예열한 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공기조화기는, 기동 시, 저온에서의 내압과 커패시턴스의 감소로 인하여 구동부의 동작 효율이 감소됨에 따라, 기동 시 구동부를 예열하는 예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구동부는 컨버터 및 인버터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열이 발생하므로, 구동부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이 되면 예열부는 동작을 정지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는 초기 기동에만 예열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예열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예열부는 발열부(300)와 스위치(350), 그리고 온도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발열부(300)는 모터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가 설치되는 영역(A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동부와 발열부는 각각 기판의 상이한 레이어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가 기판의 제 1 레이어(L1)에 설치되는 경우, 발열부는 그 하단의 제 2 레이어(L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열부의 열은 구동부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상이한 레이어에 설치됨에 따라 기판을 통해서 전달된다.
발열부는 전류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하는 저항성분으로 구성된다. 발열부는 저항성분의 크기에 따라 발열량이 설정될 수 있다. 즉 발열부는 요구되는 발열량에 따라 폭과 길이가 결정된다.
발열부는 구동부의 영역(A1)에 고르게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형성하며 제 2 레이어에 설치될 수 있다. 발열부는 일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는 구동부, 특히 구동부가 설치되는 영역(A1)의 온도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예열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스위치로 제어신호(SN1)를 인가한다.
제어부는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예열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구동부의 온도에 따라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예열부가 동작을 정지하도록 한다.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SW2)(350)가 동작하면, 발열부에 일정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예열부의 스위치가 동작하여 발열부로 약 15V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발열부는 금속패턴(동박패턴)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발열부의 열은 구동부가 실장된 제 1 레이어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구동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부의 각 소자는 온도에 따라 내압 또는 커패시턴스가 가변됨에 따라. 제어부는 구동부의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발열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온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를 기준으로 스위치로 제어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발열부를 온오프 제어한다.
제어부는 감지되는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발열부를 동작정지하도록 하고, 구동부, 즉 컨버터와 인버터가 동작하도록 제어신호(SN2)를 인가한다.
컨버터와 인버터는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 한 후에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그에 따라 컨버터와 인버터는 온도로 인한 손실 없이 높은 효율도 동작할 수 있다.
도 5 는 도 4의 발열부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부는 구동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항성분(R)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구동부로 전달한다.
소자가 실장되는 기판(PCB)은 도전성 물질로 각 소자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판에는 소자가 실장되는 위치와, 각 소자를 연결하는 금속패턴이 실장 될 수 있다. 금속패턴은 동박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소자를 연결하는 금속패턴은, 비저항성인 것이 바람직하나, 폭과 길이에 따라 저항성분을 갖게 된다. 금속패턴의 단면적이 S이고 길이가 L일 때, 저항 R은 길이를 면적으로 나눈값에 상수를 곱한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동박패턴은 저항은 아니지만 길이와 폭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저항값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때 동박패턴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길수록 높은 저항성분을 갖게 된다. 그에 따라 동박패턴(금속패턴)이 일정 영역에 집중되는 경우, 전류인가 시 열을 발생할 수 있다.
발열부(300)는 기판에 실장되는 금속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패턴은 중앙의 한 지점으로부터 연결되어 일정간격으로 두고 지름이 증가하는 나선형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패턴의 형상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패턴은 일정 간격을 갖는 지그재그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패턴의 형상이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패턴은 일정한 두께와 간격을 갖도록 구성된다.
발열부는, 도전성 소재로 가늘고 길게, 소정 형상의 패턴으로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는, 금속패턴이 기판에 실장되거나 또는 인쇄될 수 있다.
기판은 복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초정밀 패턴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발열부는 소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패턴은 일 예일 뿐, 지그재그 패턴은 물론, 원형의 패턴 또한 가능하다.
발열부(300)는 구동부의 영역(A1)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제 2 영역(B1)에 실장된다.
발열부의 일단이 스위치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접지된다. 접지는 제 2 레이어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 2 레이어의 하부의 제 3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은 기판에 배치되는 예열부가 도시된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부는 다층 기판의 어느 한 레이어에 설치된다. 기판이 3 레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기판의 구성은 변경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유전층은 생략함을 명시한다.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의 각 소자(301)가 기판의 제 1 레이어(L1) 중 제 1 영역(A1)에 실장 될 수 있다. 제 1 영역에는 컨버터와 인버터, 그리고 DC링크단의 스위칭소자, 다이오드, 리액터, 커패시터가 복수로 실장된다.
예열부, 발열부는 구동부가 실장되는 제1 레이어(L1)의 하부에 위치한 제 2 레이어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패턴은 일 예일 뿐, 지그재그 패턴은 물론, 원형의 패턴 또한 가능하다.
발열부(300)는 구동부의 영역(A1)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제 2 레이어(L1)의 제 2 영역(B1)에 형성된다.
온도감지부는, 제 1 레이어의 제 1 영역의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제 2 영역(B1)에 설치되어,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온도감지부의 설치위치에 따라 상이한 기준으로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는 제 1 레이어(L1) 또는 제 2 레이어(L2) 중 어느 한 층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는 위치될 수 있다.
예열부의 일단이 스위치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접지된다. 접지는 제 2 레이어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 2 레이어의 하부의 제 3 레이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지(303, 304) 또는 기준전압은 제 3 레이어(L3)에 설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2 레이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접지와 기준전압이 각각 상이한 레이어에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예열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전원부(201)에는 노이즈필터(271)(272)가 연결되어, 노이즈필터에 의해 일정 크기 미만, 일정크기를 초과하는 과전류를 필터링 할 수 있다.
동작전원은 리액터 및 컨버터(210), DC링크단, 인버터(220)를 거쳐 모터(250)로 공급된다.
전원부(201)의 입력단에는 메인스위치(207)가 구비된다. 메인스위치는 제어부(240)에 의해 동작하며, 구동부, 즉 컨버터, DC링크단 및 인버터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한다. 메인스위치(207)는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스위치(SW1)(SW2)가 포함된다.
제어부(240)는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예열모드를 설정하고, 예열이 완료되면 메인스위치(207)를 동작시켜, 전원이 컨버터 및 인버터로 공급되도록 한다.
정전압장치(SMPS)(200)는 전원단에 노이즈필터를 통해 연결되고, 구동부 및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복수 레벨의 정전압을 생성한다.
정전압장치(SMPS)는 전원부(201)에 연결됨에 따라 메인스위치(207)의 동작에 관계없이 정전압을 생성하여 제어부로 공급한다.
제어부(240)는 정전압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하고,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예열모드를 설정하여 예열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예열이 완료되면, 컨버터 및 인버터가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는 메인스위치를 동작(턴온)시켜 전원이 구동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제어부는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실외온도에 대응하여 예열모드를 설정하고, 예열부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의 온도에 대응하여 예열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원이 구동부로 공급됨과 동시에, 컨버터 및 인버터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컨버터 제어부 및 인버터 제어부는 제어부에 포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별도의 구성으로 컨버터와 인버터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예열모드를 설정하며, 예열모드가 설정되면, 스위치(350)를 동작시킨다. 제어부는 실외온도를 기준으로 예열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실내온도 또는 예열부의 온도감지부의 온도를 바탕으로 예열모드를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치(350)가 턴온 되면, 정전압장치(200)로부터 생성된 일정 크기의 전압이 발열부(300)로 인가된다.
발열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패턴으로 형성되어, 각각 저항(R11, R12, R13)으로서 동작한다. 금속패턴은 동박패턴일 수 있다.
발열부는 제 2 영역의 면적에 대응하여 하나의 금속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열부(300)는 컨버터, DC링크단, 그리고 인버터의 위치에 제 1 내지 제 3 금속패턴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 직렬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열부(300)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열을 발생한다. 발생된 열은 기판을 통해 컨버터, DC링크단, 인버터로 열이 전달되어 스위칭소자 및 커패시터가 예열된다.
제어부는 온도감지부(280)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를 바탕으로 스위치(350)를 오프시킨다. 제어부는 감지되는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예열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에 따라 발열부는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제어부는 예열이 완료됨에 따라 구동부가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의 컨버터제어부는 컨버터의 스위칭소자로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인버터 제어부는 인버터의 스위칭소자에 대한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인버터로부터 출력된 전류/전압은 모터(250)로 공급되고, 모터가 동작함에 따라 압축기 또는 모터가 동작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전원이 입력되면(S410), 정전압장치가 일정 크기의 전압을 생성하여 제어부로 인가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가 동작을 시작한다(S420). 제어부(240)는 각 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실내기의 제어부는 입력부(미도시) 또는 리모컨으로부터의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운전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제어신호를 실외기로 전송한다.
실외기의 제어부(240)는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설정된 운전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실외기는 제어기로부터 실외기로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에 구비되는 복수의 온도센서는 온도를 감지한다(S430).
제어부(240)는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실외온도(T)를 설정온도와 비교한다(S440).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이면, 제어부는 예열모드를 설정한다(S460).
제어부는 스위치(350)로 제어신호(SN1)를 인가하고, 스위치(350)가 턴온 되면, 발열부(300)로 전압이 인가된다. 전압은 약 15V이다.
발열부는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자체 저항성분에 의해 열을 발생한다.
발열부는 다층기판 중 컨버터, DC링크단, 인버터의 하부 레이어에 설치됨에 따라, 발열부로부터 발생된 열은 기판을 통해 상부의 컨버터, DC링크단, 인버터로 전달된다.
컨버터 및 인버터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는 저온으로 인하여 감소한 내압이 발열부의 열에 의해 상승한다. 또한, DC링크단의 커패시터는 저온으로 인하여 저하된 용량이 다시 증가하게 된다. 그외 커패시터 또한, 온도에 의해 저하된 용량이 다시 증가하게 된다.
온도감지부(280)는 발열부(300) 또는 구동부, 즉 컨버터, DC링크단, 인버터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온도감지부는 감지되는 온도를 제어부로 입력한다.
제어부(240)는 온도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발열부 또는 구동부의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예열모드를 해제한다.
제어부(240)는 스위치(350)를 오프하여 예열부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스위치가 오프됨에 따라, 발열부로의 전압이 차단된다. 발열부의 온도는 하강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240)는 구동부의 온도가 기준온도에 도달하면, 구동부가 동작하도록 기동을 위한 제어신호(SN2)를 인가한다.
제어부(240)는 차단회로로 신호를 인기하고, 전원부(201)의 전원이 컨버터, DC링크단, 인버터로를 통해 변환되어, 모터로 공급된다. 그에 따라 모터가 동작을 시작하여 압축기 또는 팬이 동작하여, 실외기로부터 실내기로 냉매가 공급된다.
실내기는 공급되는 냉매를 열교환하여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주변 환경에 따라, 예열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예열을 통해 제품 내의 소자의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빠르게 압축기 및 팬을 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21: 실외기 31: 실내기
102: 압축기 102b: 압축기 모터
105: 실외기팬 108: 실내기팬
207: 메인스위치
210: 컨버터 220: 인버터
240: 제어부
250: 모터 280: 온도감지부
300: 발열부 350: 스위치

Claims (20)

  1.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모터의 구동을 위한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된 열을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는 예열부;
    상기 구동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실외온도를 확인하고,
    상기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발열부에서 상기 열이 발생하도록 상기 예열부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모터가 구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 오프되어 상기 발열부로의 전압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메인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메인스위치가 동작(온)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발열부 또는 상기 구동부의 어느 일측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구동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구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구동부의 면적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다층기판에 실장되는 금속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폭과 길이에 따라 저항성분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다층기판 중,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는 제1 레이어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레이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구동부의 면적에 대응하는 하나의 금속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구동부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 또는 커패시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호 연결된 복수의 금속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접지되어, 상기 스위치가 동작(온)하면, 일정크기의 전압이 인가되어 발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컨버터, DC링크단, 인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이 개시되는 경우,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통해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실외온도가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모터의 구동을 위한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부에 열이 전달되도록, 발열부가 상기 열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상기 구동부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열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발열부에 연결되는 스위치가 동작(온)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발열부로 일정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9. 삭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는,
    전원과 상기 구동부 사이에 연결되는 메인스위치를 동작시켜, 상기 전원이 상기 구동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80172904A 2018-12-28 2018-12-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67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04A KR102267355B1 (ko) 2018-12-28 2018-12-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904A KR102267355B1 (ko) 2018-12-28 2018-12-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369A KR20200082369A (ko) 2020-07-08
KR102267355B1 true KR102267355B1 (ko) 2021-06-18

Family

ID=7160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904A KR102267355B1 (ko) 2018-12-28 2018-12-28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8725B (zh) * 2021-01-22 2022-02-11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压缩机的控制装置、方法和空调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7745B2 (ja) * 2000-03-30 2006-03-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予熱電力の制御方法及び予熱発生機構
KR20110067079A (ko) * 2009-12-13 2011-06-21 김상국 칡과 헛개나무,오가피나무,엄나무를 달인 물을 함유한 누룽지 제조법
US8665214B2 (en) * 2010-12-29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Extending battery lif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용발명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067079호(2011.03.31.) 1부.*
인용발명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86183호(2001.10.12.) 1부.*
인용발명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099220호(2013.05.2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369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4409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101759906B1 (ko) 압축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0861283B1 (ko)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WO2007086648A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6735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70444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2009188159A (ja) 電力変換装置
JP2015087076A (ja) 空気調和機
KR101878674B1 (ko) 실외기 팬 제어장치, 실외기 팬 제어장치의 역회전 판단 방법 및 시동 방법
JP5423576B2 (ja) 空気調和機
JP6333685B2 (ja) 圧縮機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圧縮機の制御方法
KR101591884B1 (ko) 전동기 제어 장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JP6152667B2 (ja) 空気調和装置
JPH11211253A (ja) 分離型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6837311B2 (ja) ヒートポンプ装置
KR2020004684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20005529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6732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7198344B2 (ja) 直流電源装置、モータ駆動装置、空気調和装置、冷蔵庫および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JP3465684B2 (ja) 加熱調理器
KR102080516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30064435A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KR100358765B1 (ko)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실외팬제어방법
KR20200046848A (ko) 모터 구동장치 및 공기조화기
KR20190018910A (ko) 전력 변환 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