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261B1 -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261B1
KR102267261B1 KR1020170022639A KR20170022639A KR102267261B1 KR 102267261 B1 KR102267261 B1 KR 102267261B1 KR 1020170022639 A KR1020170022639 A KR 1020170022639A KR 20170022639 A KR20170022639 A KR 20170022639A KR 102267261 B1 KR102267261 B1 KR 102267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switch
terminal
transmitt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217A (ko
Inventor
박재성
이만호
김정호
김종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2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3Management of data rate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캔 컨트롤러와, 캔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캔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캔 트랜시버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때,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고,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의 필터링 없이 바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에 따라, 데이터 신호의 송신 시에만 데이터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송신 및 수신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ATHOD FOR CAN PERFORMING CAN COMMUNICATION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은, 차량 통신 프로토콜로서,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제어기들간의 통신 방식이다.
최근 차기 프로토콜로 제안된 CAN-FD(CAN with Flexible Data-Rate) 통신 방식은, 기존의 CAN 통신 방식을 유지하면서도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을 향상시킨 프로토콜이다.
하지만, CAN-FD(CAN with Flexible Data-Rate) 통신 방식은, 고속에서 신호 무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의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transceiver)는, 데이터 신호 송신단과 데이터 신호 수신단이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CAN 통신 선로와 연결될 수 있는데, 데이터 신호의 송신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CAN 통신 선로에 커패시턴스를 연결하였다.
하지만, CAN 통신 선로에 연결되는 커패시턴스는, 데이터 신호의 수신단의 임피던스 저하로 인하여 데이터 신호의 수신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데이터 신호의 송신 및 수신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캔 통신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에 따라, 데이터 신호의 송신 시에만 데이터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송신 및 수신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캔 통신 장치는,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캔 컨트롤러와, 캔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캔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캔 트랜시버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때,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고,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의 필터링 없이 바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탠 통신 방법은, 데이터 신호의 통신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데이터 신호의 통신 모드가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모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데이터 신호의 통신 모드가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모드이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와, 노이즈가 제거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은,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에 따라, 데이터 신호의 송신 시에만 데이터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송신 및 수신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신호 송신 시에, 주변부 반사에 의하여 생성되는 링잉(ringing) 현상을 사전에 차단하여 아이 다이어그램(eye-diagram)의 마진(margin)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캔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캔 트랜시버를 상세히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캔 트랜시버의 데이터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캔 트랜시버가 적용된 캔 통신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캔 트랜시버의 적용 유무에 따른 데이터 전송 효율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캔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캔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캔 통신 장치(1000)는, 캔 컨트롤러(CAN controller)(100)와 캔 트랜시버(CAN transceiver)(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캔 컨트롤러(100)는,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 캔 트랜시버(200)는, 캔 컨트롤러(100)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캔 트랜시버(200)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때,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고,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의 필터링 없이 바로 수신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데이터 신호 수신 시, 데이터 신호의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 신호 송신 시에만 데이터 신호의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면 수신 및 송신 성능이 함께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캔 트랜시버(200)는, 도 2와 같이, 송신부(210), 수신부(220), 그리고 필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210)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송신부(210)는, 캔 컨트롤러(100)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캔 버스 라인에 통해, 외부의 다른 캔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20)는, 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수신부(220)는, 외부의 다른 캔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캔 버스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캔 컨트롤러(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필터부(230)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필터부(230)는, 송신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여 데이터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 필터부(230)는, 송신부(210)가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모드이면, 온(on)되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수신부(220)가 데이터 신호의 수신 모드이면, 오프(off)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230)는, 데이터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일 수 있다.
일 예로, 필터부(230)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필터부(230)는, 송신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와, 송신부(210)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와,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1,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패시터는, 일단이 제1 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커패시터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패시터는, 일단이 제2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스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어, 제1 커패시터와 제2 커패시터 사이의 연결선에는, 그라운드(ground)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스위치는, 송신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스위치는, 송신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시에 온(on)되거나 또는 동시에 오프(off)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치는, 베이스단이 송신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제1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이고, 제2 스위치는, 베이스단이 송신부(210)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컬렉터단이 제2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캔 트랜시버(200)는, 송신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스위칭하는 송신 스위치와, 송신부(2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의 수신을 스위칭하는 수신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송신 스위치는, 베이스단이 송신부(210)의 출력단과 제1 스위치의 베이스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제1 스위치의 컬렉터단에 연결되며, 컬렉터단이 전원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스위치는, 베이스단이 송신부(210)의 입력단과 제1 스위치의 베이스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고, 컬렉터단이 제2 스위치의 이미터단에 연결되며, 이미터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캔 트랜시버(200)는, 입력단이 송신 스위치의 이미터단과 제1 스위치의 컬렉터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캔 버스 라인에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와, 입력단이 캔 버스 라인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수신 스위치의 컬렉터단과 제2 스위치의 이미터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캔 트랜시버(200)의 수신부(220)는, 비교기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비교기는, 제1 다이오드의 출력단과 캔 버스 라인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입력단과, 제2 다이오드의 입력단과 캔 버스 라인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입력단과, 수신부(220)에 연결되는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캔 트랜시버를 상세히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 트랜시버(200)는, 송신부(210), 수신부(220), 그리고 필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210)는, 캔 컨트롤러(100)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캔 버스 라인에 통해, 외부의 다른 캔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20)는, 외부의 다른 캔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캔 버스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캔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필터부(230)는, 송신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여 데이터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230)는, 데이터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필터부(230)는, 송신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232)와, 송신부(210)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233)와, 제1 스위치(231)와 제2 스위치(233)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1, 제2 커패시터(234, 2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패시터(234)는, 일단이 제1 스위치(23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커패시터(23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패시터(235)는, 일단이 제1 커패시터(234)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스위치(23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어, 제1 커패시터(234)와 제2 커패시터(235) 사이의 연결선에는, 그라운드(ground)(236)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스위치(232, 233)는, 송신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시에 온(on)되거나 또는 동시에 오프(off)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위치(232)는, 베이스단이 송신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제1 커패시터(234)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이어, 제2 스위치(233)는, 베이스단이 송신부(210)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컬렉터단이 제2 커패시터(235)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캔 트랜시버(200)는, 송신 스위치(212)와 수신 스위치(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스위치(212)는, 송신부(2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스위칭하고, 수신 스위치(214)는, 송신부(21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의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 스위치(212)는, 베이스단이 송신부(210)의 출력단과 제1 스위치(232)의 베이스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제1 스위치(232)의 컬렉터단에 연결되며, 컬렉터단이 전원(Vcc)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그리고, 수신 스위치(214)는, 베이스단이 송신부(210)의 입력단과 제2 스위치(214)의 베이스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고, 컬렉터단이 제2 스위치(214)의 이미터단에 연결되며, 이미터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캔 트랜시버(200)는, 제1 다이오드(216)와 제2 다이오드(21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다이오드(216)는, 입력단이 송신 스위치(212)의 이미터단과 제1 스위치(232)의 컬렉터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캔 버스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다이오드(218)는, 입력단이 캔 버스 라인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수신 스위치의 컬렉터단과 제2 스위치의 이미터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캔 트랜시버(200)의 수신부(220)는, 비교기(222)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기(222)는, 제1 다이오드(216)의 출력단과 캔 버스 라인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입력단과, 제2 다이오드(218)의 입력단과 캔 버스 라인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입력단과, 수신부(220)에 연결되는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캔 트랜시버(200)는,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때,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고,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의 필터링 없이 바로 수신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데이터 신호 수신 시, 데이터 신호의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 신호 송신 시에만 데이터 신호의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면 수신 및 송신 성능이 함께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 및 도 5는 캔 트랜시버의 데이터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 트랜시버는, 데이터 신호의 통신 모드가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모드이면, 송신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송신 스위치(212)와 송신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수신 스위치(214)를 온(on)시키고, 동시에 필터부의 제1, 제2 스위치(232, 233)를 온(on)시킨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는, 제1 스위치(232) 및 제1 캐패시터(234)에 의해, 고주파 노이즈가 필터링되고, 고주파 노이즈가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는, 송신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송신 스위치(212)와 제1 다이오드를 거쳐 외부 캔 버스 라인으로 전송되며, 회귀되는 데이터 신호는, 제2 스위치(233) 및 제2 캐패시터(235)에 의해, 고주파 노이즈가 필터링되고, 고주파 노이즈가 필터링된 데이터 신호는, 외부 캔 버스 라인에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 및 송신부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수신 스위치(214)를 거쳐 그라운드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는, 필터부의 스위치들이 온되어 캐패시턴스와의 연결되므로, 고주파 노이즈가 제거되어 송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캔 트랜시버는, 데이터 신호의 통신 모드가 데이터 신호의 수신 모드이면, 송신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송신 스위치(212)와 송신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수신 스위치(214)를 오프(off)시키고, 동시에 필터부의 제1, 제2 스위치(232, 233)를 오프(off)시킨다.
따라서, 데이터 신호는, 필터부의 스위치들이 오프되어 캐패시턴스와의 연결이 해제되므로, 입력 임피던스가 낮아져서 수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캔 트랜시버가 적용된 캔 통신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캔 트랜시버의 적용 유무에 따른 데이터 전송 효율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N-FD 버스(bus)를 모델하여 24개의 노드(node)에 트랜시버를 구성한 다음, 가장 워스트 케이스(worst case)를 보기 위해 반사가 가장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9번 노드에서, Tx 동작을 수행하고, 나머지 노드에서 Rx 동작을 수행하도록 회로를 구성하였다.
도 7은 도 6의 캔 트랜시버를 적용하지 않은 회로에서, 각 노드별로 데이터 전송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6의 캔 트랜시버를 적용한 회로에서, 각 노드별로 데이터 전송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9번 노드에서의 데이터 전송률과 나머지 노드에서의 데이터 수신률이 기존에 비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속화되는 차량 통신에서, 신호 무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최대 1Mbps 이하로만 사용되었던 캔 통신의 상위 프로토콜인 CAN-FD에서, 버스 전체의 구조 변경 없이도, 트랜시버 내부의 저역 통과 여파기 스위치 동작이 추가된 회로가 구현된 칩을 통하여, 최소 2Mbps 이상에서 신호 무결성을 확보하여 차량 내 빠르고 정확한 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의 구성에서 CAN-FD 스펙(spec)인 0.7±0.2의 아이(eye) 마스크 구성 시, 모든 Rx 단에서, 최소 약 80% 이상의 마진(margin) 확보가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캔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 트랜시버는, 데이터 신호의 통신 모드를 수신한다.(S10)
이어, 캔 트랜시버는, 데이터 신호의 통신 모드가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모드인지를 확인한다.(S20)
다음, 캔 트랜시버는, 데이터 신호의 통신 모드가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모드이면,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한다.(S30)
이어, 캔 트랜시버는, 노이즈가 제거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40)
또한, 캔 트랜시버는, 데이터 신호의 통신 모드가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모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데이터 신호의 통신 모드가 데이터 신호의 수신 모드이면, 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 없이 바로 수신할 수 있다.(S50)
다음, 캔 트랜시버는,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 종료 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하고(S60),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 종료 요청이 수신되면, 모든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에 따라, 데이터 신호의 송신 시에만 데이터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송신 및 수신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신호 송신 시에, 주변부 반사에 의하여 생성되는 링잉(ringing) 현상을 사전에 차단하여 아이 다이어그램(eye-diagram)의 마진(margin)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캔 컨트롤러
200: 캔 트랜시버
210: 송신부
220: 수신부
230: 필터부

Claims (18)

  1.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캔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캔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캔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캔 트랜시버는,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수신하고자 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때,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때, 수신하고자 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필터링 없이 바로 수신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송신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송신부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사이에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1,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송신부가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 모드이면, 온(on)되어 송신하고자 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데이터 신호의 수신 모드이면, 오프(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데이터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로우 패스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는, 일단이 상기 제1 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패시터는, 일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스위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와 제2 커패시터 사이의 연결선에 연결되는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스위치는, 상기 송신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스위치는, 상기 송신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시에 온(on)되거나 또는 동시에 오프(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베이스단이 상기 송신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2 스위치는, 베이스단이 상기 송신부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컬렉터단이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의 송신을 스위칭하는 송신 스위치; 및
    상기 송신부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의 수신을 스위칭하는 수신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차량의 캔 통신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위치는, 베이스단이 상기 송신부의 출력단과 상기 제1 스위치의 베이스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고, 이미터단이 상기 제1 스위치의 컬렉터단에 연결되며, 컬렉터단이 전원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수신 스위치는, 베이스단이 상기 송신부의 입력단과 상기 제2 스위치의 베이스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고, 컬렉터단이 상기 제2 스위치의 이미터단에 연결되며, 이미터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입력단이 상기 송신 스위치의 이미터단과 상기 제1 스위치의 컬렉터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캔 버스 라인에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
    입력단이 상기 캔 버스 라인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수신 스위치의 컬렉터단과 상기 제2 스위치의 이미터단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비교기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교기는,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출력단과 상기 캔 버스 라인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입력단;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입력단과 상기 캔 버스 라인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입력단; 그리고,
    상기 수신부에 연결되는 출력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캔 통신 장치.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022639A 2017-02-21 2017-02-21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267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639A KR102267261B1 (ko) 2017-02-21 2017-02-21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639A KR102267261B1 (ko) 2017-02-21 2017-02-21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17A KR20180096217A (ko) 2018-08-29
KR102267261B1 true KR102267261B1 (ko) 2021-06-22

Family

ID=63434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639A KR102267261B1 (ko) 2017-02-21 2017-02-21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743A (ko)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만도 조향 제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40B1 (ko) * 2013-10-02 2014-12-24 강수원 통과대역 변조를 이용한 고속 캔 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034A (ko) * 2012-04-05 2013-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속 캔 통신용 버스 장치
KR20170007508A (ko) * 2017-01-09 2017-01-18 유정수 자동차 주변회로 역전류 제어를 통한 급발진 및 오동작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240B1 (ko) * 2013-10-02 2014-12-24 강수원 통과대역 변조를 이용한 고속 캔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217A (ko)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3220B2 (en) Isolation circuits for digital communications and methods to provide isolation for digital communications
US922373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driver mode for a shared bus
CN109426196B (zh) 控制器局域网(can)装置和用于操作can装置的方法
CN107018053B (zh) 控制器局域网(can)装置以及用于控制can业务的方法
EP2972927B1 (en) Data bus inversion (dbi) encoding based on the speed of operation
US2018008578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ltrasonic lens cleaner using configurable filter banks
JP4767025B2 (ja) 分岐コネクタ
US11515943B2 (en) Optical communications apparatus, optical line termination, and optical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KR102542277B1 (ko) 보드, 광 모듈, olt 및 정보 처리 방법
JP2011010244A (ja) 情報検出装置及び方法
JP2007509529A (ja) 電力線通信システム内の動的ヌルを補正する方法
JP7263563B2 (ja) 復号化回路およびチップ
KR102267261B1 (ko) 차량의 캔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180091126A1 (en) Integrated circuit with multiplexed pin and pin multiplexing method
KR20220154681A (ko) 고주파 송신 라인들을 위한 종단
WO2012065494A1 (zh) 一种实现串口隔离的方法和串口隔离电路
CN111835569A (zh) 一种光口速率及模式的自适应方法、系统及存储介质
WO2015042854A1 (zh) 一种调整发送功率的方法和装置
JPWO2008078819A1 (ja) 光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リモート装置、光通信方法及び光通信プログラム
US8391420B1 (en) Low frequency communication signal state detection
JP6530557B2 (ja) 車載処理装置及び車載システム
EP29810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me gateway port configuration
CN108924025B (zh) 携能现场总线模块及其系统
CN116232794A (zh) 485通讯电路和通讯系统
US20220414041A1 (en) High bit rate communication interface with common mode voltage adjus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