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195B1 -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195B1
KR102267195B1 KR1020200168440A KR20200168440A KR102267195B1 KR 102267195 B1 KR102267195 B1 KR 102267195B1 KR 1020200168440 A KR1020200168440 A KR 1020200168440A KR 20200168440 A KR20200168440 A KR 20200168440A KR 102267195 B1 KR102267195 B1 KR 102267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group
present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환
김기선
송세라
Original Assignee
(주) 신아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아비티 filed Critical (주) 신아비티
Priority to KR102020016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6Bacteri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로, 토양에서 분리한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수탁번호: KCTC 14229BP)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여,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항염 및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항염 및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Skin improveme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active substance isolated from the strain culture}
본 발명은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장벽기능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장벽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 (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또한,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 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부분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다양한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어 있다. 피부 보습제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성분과 필수지방산 및 지질복합체 등 각질층에서의 수분보유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피부에 대한 위해 요인이 점점 증가되고 있고, 식생활 양상의 변화로 각질층의 생성, 탈락 속도가 늦어지며, 각질형성세포의 기능 저하로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각질층이 정상적인 피부 장벽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피부 장벽 기능의 와해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질환들은 기존의 통상적인 수분보유기능을 갖는 보습제 만으로도 증상 완화는 기대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유는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개발이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합성 화합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낮은 기호도로 인해, 최근 천연물 소재로 하는 제품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KR 10-2020-0002008 A1
본 발명의 목적은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양에서 분리한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수탁번호: KCTC 14229BP)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여,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항염 및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우수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항염 및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31535262-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20131535262-pat00002
여기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3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케닐기 및 아릴기는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수산화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이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112020131535262-pat00003
여기서,
R3 내지 R7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수산화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내지 R7 중 적어도 2 이상은 수산화기이다.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항염 및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은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 개선용 조성물로, 토양에서 분리한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수탁번호: KCTC 14229BP)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여,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항염 및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항염 및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발효 배양액의 분획물에 대한 보습 효능 평가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발효 배양액의 분획물에 대한 보습 효능 평가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발효 배양액의 분획물에 대한 가려움증 억제 효능 평가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발효 배양액의 분획물에 대한 염증 억제 효능 평가 결과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 및 FA의 피부 장벽 강화 및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 및 FA의 사이토카인 저해능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C 및 FA의 Hs68 섬유아세포를 사용한 세포 이동 분석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시디음 코씨네움 균주 발효 배양액의 EtOAc 분획물에 대한 TLC 분석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시디음 코씨네움 균주 발효 배양액의 EtOAc 분획물의 정제 과정의 크로마토그램 결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시디음 코씨네움 균주 발효 배양액의 EtOAc 분획물의 TLC 분석 결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시디음 코씨네움 균주 발효 배양액의 EtOAc 분획물의 정제 과정의 크로마토그램 결과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시디음 코씨네움 균주 발효 배양액의 EtOAc 분획물의 정제 과정의 크로마토그램 결과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시디음 코씨네움 균주 발효 배양액의 EtOAc 분획물의 정제 과정의 크로마토그램 결과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 성분의 1H-NMR 분석 결과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 성분의 12C-NMR 분석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피부 장벽 강화"란 피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수분과 영양 손실을 막아주는 피부 장벽의 기능이 증진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부 보습"이란 피부 수분을 유지하거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부 세포 재생"이란 피부의 일부분이 소실되었을 경우 그 부분을 보충하거나 피부 세포의 증식을 증진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부 활력 증가"란 피부의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이 증가하여 피부의 생기 또는 활력을 증가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산화"란 산화를 억제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작용에 의해 피부 노화가 예방, 개선, 또는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염증"이란"염증 억제 또는 개선"과 혼용될 수 있으며, 면역 반응이 완화되어 NO 생성이 억제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아토피"란 "아토피 억제, 개선 또는 완화"과 혼용될 수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의 증상인 가려움증(소양증), 피부건조증, 습진 등을 억제, 개선 또는 완화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상태의 완화 또는 치료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은 곰팡이의 일종으로서,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식물 샘플을 감자한천배지에 접종하여 배양된 콜로니를 순수 분리 배양하는 방법에 의해 분리된 균주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미황색 집락을 형성하며 생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감자한천배지에서 생장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후시디움 코씨네움(Fusidium coccineum) 균주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미용 개선은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피부 세포 재생, 피부 활력 증가,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 아토피일 수 있다.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배양액은 줄기세포 배양액에 비해 피부 장벽 강화 효과, 피부 보습 효과, 피부 세포 재생 효과, 피부 활력 증가 효과,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또는 항아토피 효과가 우수하므로, 상기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피부 세포 재생, 피부 활력 증가, 항산화, 항염증, 또는 항아토피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균주는 후시디움 코씨네움(Fusidium coccineum SA-1FC)(수탁번호: 수탁번호: KCTC 14229B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배양액은 균주를 배양하여 얻은 균체 배양액에서 균체를 제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수탁번호: KCTC 14229BP)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 배양액의 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수탁번호: KCTC 14229BP)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 배양액의 물 추출물로부터 분획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수탁번호: KCTC 14229BP)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 배양액의 물 추출물로부터 분획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분리 정제되며, 상기 분리 정제된 제1 활성물질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GC/MS)에 의해, 13.38 min에서 피크를 가지며, 상기 분리 정제된 제2 활성물질은 14.59min에서 피크를 나타낸다.
상기 분석에 의해 상기 제1 활성물질 및 제2 활성물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31535262-pat00004
여기서,
R1은 수소, 중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30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및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활성물질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20131535262-pat00005
상기 제2 활성물질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112020131535262-pat00006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수탁번호: KCTC 14229BP)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 배양액의 물 추출물로부터 분획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분리 정제되며, 상기 분리 정제된 제3 활성물질은 12C-NMR 스펙트럼 상에서 166.0 내지 166.5에서 제1 피크, 121.0 내지 121.5에서 제2 피크 및 91.0 내지 91.5에서 제3 피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분석에 의한 제3 활성 물질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0131535262-pat00007
여기서,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3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케닐기 및 아릴기는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수산화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활성 물질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0131535262-pat00008
여기서,
R3 내지 R7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수산화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내지 R7 중 적어도 2 이상은 수산화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R4, R5 및 R6은 수산화기이고, 나머지 R3 및 R7은 수소이다.
상기 배양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0.1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3 중량%, 0.1 중량% 내지 2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활성물질들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HAS3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히알루론산을 생성하는 효소인 HAS3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켜, 피부 수화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활성물질들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IL-1α의 억제능이 우수하며, 구체적으로 IL-4/Poly(I:C)의 처리에 의해 IL-1α을 포함한 사이토카인의 유의하게 증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하면, IL-1α을 포함한 사이토카인의 억제 효과가 나타나게 되며, TSLP와 같은 가려움증 관련 케모카인의 억제 효과도 나타날 수 있어, 항염증 및 항 가려움증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활성물질들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구체적으로 Hs68 세포에서 세포 이동에 의해 피부 재생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라그린 및 HAS3 발현 증가능을 나타내며, IL-4/poly(I:C)-유발 케모카인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억제능을 나타내고, 섬유아세포(Fibroblast) 및 Hs 68세포에서의 세포 이동에 의해 치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물질들을 유효한 양, 또는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양은 개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질환 내지 상태의 중증도, 개체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개체의 추출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투여 기간, 상기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다른 조성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생리 내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형태인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장 제품, 화장수, 크림, 로션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클렌징액, 수렴액 및 보습액으로 희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들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 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면역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한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항염 및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는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가공식품에는 예를 들어, 과자,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 국수 등을 포함한다. 과자는 비스킷, 파이, 케익, 빵, 캔디, 젤리, 껌, 시리얼등을 포함한다. 음료는 음용수, 탄산음료, 기능성 이온음료, 기능성이온 음료, 주스(예를 들어, 사과, 배, 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 주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주류는 청주, 위스키, 소주, 맥주, 양주, 과실주 등을 포함한다. 발효식품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포함한다. 통조림은 수산물 통조림 (예들 들어, 참치, 고등어, 꽁치, 소라 통조림 등), 축산물 통조림(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통조림 등), 농산물 통조림(옥수수, 복숭아, 파일애플 통조림 등)을 포함한다. 우유가공식품은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을 포함한다. 육류가공식품은 돈까스, 비프까스, 치킨까스, 소세지. 탕수육, 너겟류, 너비아니 등을 포함한다. 밀봉포장생면 등의 국수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조성물은 레토르트식품, 스프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1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 발효 배양액(FC)의 제조
0.05 내지 1%(v/v)의 전분, 1 내지 4%(v/v)의 포도당을 포함할 수 있게 만든 30ml의 발효용 배지에 -80℃에서 30% Glycerin Sol.에 보존하던 균을 첨가하여 180 내지 260rpm으로 종균 배양을 실시하였고, 상기 발효용 배지와 동일한 조성을 가진 배지 300mL에 후시디움 코씨네움의 종균 배양액을 배지의 1.0(v/v)%인 3 mL를 접종하고 24 내지 32℃의 배양온도에서 60 내지 180시간 동안 150 내지 240rpm으로 배양하여 후시디움 코씨네움의 발효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수득한 발효물을 수용성 부분만을 취한 후, 이를 제균하는 과정을 거친다. 수용성 성분만을 취하기 위하여 원심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기 원심분리는 2℃ 내지 10℃의 온도에서 15 내지 25분간 4,000 내지는 15,000rp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에서 20분간 8,000rpm으로 원심분리 하여 수용성 부분을 취했다. 제균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제균 과정에 따라 수행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발효물을 PES재질의 0.22㎛의 Pore Size를 갖는 Membrane Filter를 이용하여 제균하였다.
제조예 2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 발효 배양액의 분획물 및 활성성분(FA)의 분리 정제
상기 제조예 1의 발효 배양액은 45℃에서 45℃에서 감압농축하고, 이 농축물을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로 분배 추출하였으며, 물층은 다시 n-부탄올(butanol)로 분배 추출하였다.
각 층을 감압농축하여 EtOAc(4.5g), n-BuOH(19g) 및 H2O(630g) 분획을 얻었다. EtOAc분획에 대하여 실리카 겔 컬럼(silica gel column, φ5×22㎝)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n-헥산 - EtOAc = 10 : 1 → 5 : 1 → 3 : 1→ 1 : 1 → CHCl3 : MeOH = 10 : 1 → 7 : 1 → 5 : 1 → 3 : 1 → 2 : 1 → 1 : 1)를 실시하여 19개의 분획물 (HGE-1~HGE-19)을 얻었다. 이 중에서 HGE-12(57 mg)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c.c. (n-hexane - EtOAc = 10 : 1 → 7 : 1 → 5 : 1 → 3 : 1 → 2 : 1 → 1 : 1, φ 3 ×15㎝)를 실시하여, 8개의 분획물 (HGE12-1~HGE12-8)을 얻었다. TLC를 확인해 본 결과 HGE12-4(49mg)번 소분획을 분리 정제하였다. HGE12-4(49mg)번 소분획을 Sephdex LH-20 c.c. :MeOH: H2O = 3 : 1, φ2.5×14㎝)로 정제하여 HGE12-4-2 (화합물1, 10 mg)을 분리 하였다.
실험방법
세포 배양
불멸화된 피부각질형성세포(immortalized human keratinocytes, HaCaT) 및 인간 섬유아세포(Hs68)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미국 버지니아 주 매너 서스)으로부터 입수하여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Hyclone Laboratories, Inc., 미국 유타주 로간)에서 배양하였다. 37℃, 5% CO2 조건에서 1% 항생제-항진균제 용액 및 10 % 태아 소 혈청으로 보충하였다. HaCaT 및 Hs68 세포를 80 % 합류까지 유지한 다음, 다양한 농도의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1, 10%), 발효 배양액의 분획물 및 분리 정제된 활성성분(1, 10ppm)으로 처리하고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간 RT-PCR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TRIzol 시약을 사용하여 HaCaT 세포로부터 총 RNA를 분리하였다 (TaKaRa, Shiga, Japan). cDNA는 역전사 프리믹스(Elpis-biotech, Daejeon, Korea)를 사용하여 1μg의 전체 RNA로부터 다음 반응 조건 하에서 45℃에서 45분 및 95 ℃에서 5분 조건에서 합성하였다.
유전자 발현 신호를 실시간 PCR로 정량하고, 데이터를 StepOne PlusTM 시스템 소프트웨어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 혼합된 ROX(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와 SYBR Green PCR Master Mix를 사용하여 실시간 PCR 증폭 반응을 수행하였다. 다음의 프라이머 쌍 (Bioneer, 대전, 한국)을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ABI 7300에서 수행된 반응에 사용하였다:
β- 액틴
정방향: 5'-GGC CAT CTC TTG CTC GAA GT-3'
역방향: 5' -GAC ACC TTC AAC ACC CCA GC-3'
필라 그린
정방향: 5'-AGT GCA CTC AGG GGG CTC ACA-3'
역방향: 5'-CCG GCT TGG CCG TAA TGT GT-3 '
HAS3
정방향: 5'-CTT AAG GGT TGC TTG CTT GC-3'
역방향: 5'-GTT CGT GGG AGA TGA AGG AA-3'
IL-1β
정방향: 5'-GTC ATT CGC TCC CAC ATT CT- 3'
역방향: 5'-ACT TCT TGC CCC CTT TGA AT-3'
TSLP
정방향: 5'-GCT ATC TGG TGC CCA GGC TAT-3'
역방향: 5'-CGA CGC CAC AAT CCT TGT AAT-3'
실시간 PCR을 Applied Biosystems 7300 실시간 PCR 시스템 (Applied Biosystems, Waltham, MA,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응 조건은 50℃에서 2분 및 95℃에서 10분, 이후 95℃에서 10초 및 60℃에서 1분을 1 사이클로 40회 반복하였으며, β- 액틴의 발현을 내부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세포 이동 분석
세포 이동은 개별 세포의 실제 이동으로 정의하였다. 상대 상처 합류 (RWC)는 Hs68 세포 이동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세포 중간에 WoundMaker ™로 상처를 만들었다. 살아있는 Hs68 세포 이미지는 IncuCyte ZOOM 시스템 (Essen BioScience, Ann Arbor, MI)에 의해 포착하였다. 또한 IncuCyte ZOOM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시점에서 상처 부위의 공간 세포 합류점에 대한 상처 부위의 공간 세포 밀도의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모든 실험은 적어도 3회 반복하고, 각 실험을 3회 수행하였다. 결과는 평균 ± 표준 편차 (SD)로 표시하였다. 통계 분석은 T-검정으로 수행하였다. *p <0.05 및 **p <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예 1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 발효 배양액의 분획물에 대한 피부 강화 효과
발효 배양액의 분획물에 대한 피부 강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분핵 용매를 n-헥산, H20, 에틸아세테이트(EtOAc) 및 n-부탄올(n-BuOH)를 사용하여 각각의 분획물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질 세포 분화 마커의 mRNA 수준을 조사하여 FC 및 FA가 각질 세포막(cornified envelope, CE)을 형성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1과 같이 분획 용매에 따라, HAS의 mRNA 발현 정도에 차이가 나타남이 확인되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즉,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보습 효능이 가장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도 2는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수분통로단백질인 aquaporin 3 (AQP3) 효능 확인을 진행한 것으로, n-BuOH에서 발현 정도가 거의 없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3 및 도 4은 가려움증 및 염증 억제 평가를 진행한 것으로, 염증 및 피부 장벽 파괴를 위한 유도제로서 IL-4 및 Poly(I:C)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도 3과 같다.
구체적으로, 가려움증 관련 케모카인, 예컨대 TSLP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물 분획물에서 우수한 효과가 나타났으나, 특히 물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4의 염증 억제 효과에서는 물 분획물에 비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우수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4종의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하고, 상기 분획물에 대한 효능 확인을 진행한 결과,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 발효 배양액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피부 장벽 강화 및 피부 보습 효과
각질 세포 분화 마커의 mRNA 수준을 조사하여 FC 및 FA가 각질 세포막(cornified envelope, CE)을 형성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종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피부 보습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필라그린은 프로필라그린의 단백질 분해에 의해 생성되고 카스파제 14에 의해 분해되어 NMF 생성을 초래한다.
도 5과 같이, 필라그린의 mRNA 수준은 FC 및 분리정제된 활성성분의 처리에 의해 상승하였다. 비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10%의 FC 및 10 ppm의 FA로 처리함으로써 약 8 배 및 2 배 증가하였다(p <0.05).
또한, FC 및 FA의 처리는 히알루론산을 생성하는 효소인 HAS3의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피부 질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CA)를 비교예로 사용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평가했을 때, FC의 재생 및 진정 효과는 CA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상기 실험 결과는 HAS3의 발현 변화를 통한 표피 히알루로난(epidermal hyaluronan) 합성이 표피 분화와 상관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FC 및 FA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실험예 3
사이토카인 저해능에 대한 효과
염증 및 피부 장벽 파괴를 위한 유도제로서 IL-4 및 Poly(I:C)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도 6과 같다.
구체적으로, IL-1α를 포함한 사이토카인은 IL-4 및 Poly(I:C) 혼합물의 처리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FC 및 FA의 처리 후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또한 가려움증 관련 케모카인, 예컨대 TSLP는 FC 및 FA에 의해 억제되었다.
따라서, FC 및 FA는 항 염증 및 항 가려움증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FC 및 FA가 건강한 피부 장벽의 형성에 기여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실험예 4
상처 치유 대한 효과
본 발명의 FC 및 FA의 상처 치유 효과는 Hs68 섬유아세포를 사용한 세포 이동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는 도 7와 같고, 본 발명의 FC 및 FA는 Hs68 세포에서 세포 이동에 의해 피부 재생 능력을 나타냈다.
실험예 5
벤조피렌에 대한 저항활성 평가
일반적으로 공해물질과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는 피부의 각질세포를 사용하여 공해물질에 의한 세포 손상정도를 측정하고, FC 및 FA를 처리하고, 피부 세포 손상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사람 각질 세포 HaCaT를 1×10⁴cells/ml 농도로 96-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배양시킨 후, 벤조피렌(2.5 ㎍/mL)과 FC(10ppm) 또는 FA(10ppm)를 각각 처리하고, 21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 후 5mg/mL 농도의 MTT solution을 넣고 3시간 배양한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DMSO)를 150㎕씩 각 well에 넣어주고 10분간 shaking 하고 570nm(reference 655nm) 조건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Control FC
(10ppm)
FA
(10ppm)
Blank Negative
Benzo[a]pyrene
(2.5 ㎍/mL)
- + + +
1st 100 68.37 100.45 78.43
2nd 100 66.99 90.91 80.02
3rd 100 51.16 75.79 60.82
Mean 100 62.17 89.05 73.06
SD 0 9.56 12.44 10.64
생존율 개선(%) 26.9 10.9
생존율 개선은 샘플(농도별) 처리군과 샘플 미처리군(Negative)의 차이값으로 계산되었다. 상기 실험 결과 본 발명의 FC 및 FA는 벤조피렌에 대한 안티폴루션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질산암모늄에 대한 저항활성 평가
상기 실험예 6에서 벤조피렌 대신, 질산암모늄(500 ㎍/mL)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Control FC
(10ppm)
FA
(10ppm)
Blank Negative
질산암모늄
(500 ㎍/mL)
- + + +
1st 100 70.77 84.05 79.55
2nd 100 70.57 82.30 79.77
3rd 100 58.86 79.03 71.93
Mean 100 66.74 81.79 77.04
SD 0 6.82 2.54 4.46
생존율 개선(%) 15.1 10.4
생존율 개선은 샘플(농도별) 처리군과 샘플 미처리군(Negative)의 차이값으로 계산되었다. 상기 실험 결과 본 발명의 FC 및 FA는 질산암모늄에 대한 안티폴루션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Fusidium coccineum SA-1FC) 발효 배양액의 분획물로부터 분리 정제된 활성성분의 분석
제조한 각 분획에 대한 항염증 활성평가 결과, 후시디움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활성물질의 분리 정제를 진행하였다.
후시디움 배양액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하여 1차적으로 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였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리카겔에 코팅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켜 분말로 제조하였다. 이후, 실리카겔에 코팅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A) 시료를 컬럼에 로딩하였다.
용출 용매는 Hex:EA=10:1로 채우고 서서히 용리액을 용출시키면서 Hex:EA=10:1→7:1→5:1→3:1→1:1, 연속적으로 CHCl3:MeOH=10:1→7:1→5:1→3:1→1:1→MeOH washing의 순서로 연속하여 시료를 분취하여 유사한 패턴의 시료들 끼리 모아서 EA Fr-1 내지 12번까지 총 12개의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각 분획물의 성분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TLC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도 1과 같다.
항염증 활성평가에서 가장 높은 분획인 Fr- 4 및 12번에 대한 활성물질의 분리정제를 진행하였다.
후시디움 EtOAc 분획물 중 fr-4의 분리 정제
실험조건 1.
기기명: YMC Forte/R Prep MPLC
컬럼: YMC silica cartridge 25㎛, 40g
이동상: Hex:EA=90:10
유속: 2mL/min
상기 실험에 의한 크로마토그램 결과는 도 2와 같다.
같은 조건으로 연속적으로 시료를 주입하여 13분대에 나타나는 major peak를 중심으로 5개의 소분획을 연속적으로 분취하고 농축하여 TLC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이후 추가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실험조건 2.
기기명: YMC Forte/R Prep MPLC
컬럼: YMC silica cartridge 25㎛, 40g
이동상: Hex:EA=90:10
유속: 10mL/min
상기 실험에 의한 크로마토그램 결과는 도 4와 같다.
같은 조건으로 연속적으로 분취를 수행하였으며, 후시디움 EtOAc 분획물 중 Fr-4번 분획에 대하여 정제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ODS Prep MPLC를 통해서 Major peak를 연속 분취한 다음 농축(SHE-4-1)하였다.
SHE-4-1에 대하여 NMR 측정 결과 지방산 계열로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지방산의 경우 NMR분석으로는 정확한 규명이 어렵기 때문에 GC/MS 분석 이후 library 검색을 통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정확한 구조규명을 위하여 GC/MS 측정하였으며, library분석 결과, S(SHE-4-1 fr.)시료의 chromatogram에서 13.38 min과 14.59 min에서 peak를 확인하여고, 상기 피크에 해당되는 활성 성분은 하기 화학식 4 및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4]
Figure 112020131535262-pat00009
[화학식 5]
Figure 112020131535262-pat00010
후시디움 EtOAc 분획물 중 fr-12의 분리 정제
실험조건 1.
기기명: YMC Forte/R Prep MPLC
컬럼: YMC silica cartridge 25㎛, 40g
이동상: Hex:EA=60:40
유속: 30mL/min
상기 실험에 의한 크로마토그램 결과는 도 5와 같다. 동일한 조건으로 연속적으로 시료를 주입하여 Fr-12의 소분획물 6개를 수득하였다. 상기 5개의 소분획을 연속적으로 계속 분취하였다(도 6).
실험조건 2.
기기명: YMC Forte/R Prep MPLC
컬럼: YMC Triart ODS 5C18 column
이동상: MeOH:H2O=60:40 (0.1% FA)
유속: 10mL/min
10분경에 나타나는 major peak 분취물을 연속적으로 수득하여 농축하였다. 후시디움 EA Fr-12 분획으로부터 분리한 성분은 TLC 상에서 단일 spot을 확인하여 순수하게 분리정제 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Prep MPLC를 이용하여 순수하게 분리 정제된 화합물(SHE-12-4)에 대하여 구조 동정을 위하여 NMR 분석을 진행하였다.
SHE-12-4에 대하여 NMR 측정 결과 1H-NMR 스펙트럼에서 2개의 aromatic methines(chemicalshift, coupling pattern, J in Hz, proton number; δH8.31, br. s, H-2; δH8.18, br.s, H-6)의 피크를 확인하여, 1,2,3,5- tetra substituted benzenering moiety를 확인하였다.
또한, 1개의 hemiacetal (δH5.97, d, 7.2, H-1′), 4개의 oxygenated methines (δH4.74, dd, 7.2, 7.2, H-2′; δH4.46, m, H-5′; δH4.32, dd, 7.2, 7.2, H-4′; δH3.66, overlapped, H-3′), 1개의 oxygenated methylene (δH3.88, dd, 12.0, 2.4, H-6′a/ 3.74, overlapped, H-6′b)의 피크를 확인하여, 당 한분자를 확인 하였다.
12C-NMR 스펙트럼에서 13개의 carbon signal들이 확인 되었고, 저자장 영역에서 1개의 ester (δC166.4,C-7), 3개의 oxygenated olefin quaternaries (δC153.6, C-3; δC 153.6, C-5; δC142.2, C-4), 1개의 olefin quaternary (δC121.2,C-1), 2개의 olefin methines (δC103.9, C-2;δC102.8, C-6)피크를 확인하여, benzene ring의 aglycon을 확인하였다. 또한, 1개의 hemiacetal (δC91.4,C-1′)과 5개의 sugar moiety (δC79.5, C-3′; δC 78.2, C-5′; δC 74.0, C-2′; δC 72.7, C-4′, C-6′) 피크를 확인하였다.
상기 분리 정제 결과, 활성물질이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6]
Figure 112020131535262-pat00011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들은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것인
    피부 개선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1028622311-pat00012

    [화학식 2]
    Figure 112021028622311-pat00013

    여기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3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10의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치환된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케닐기 및 아릴기는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수산화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인
    피부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피부 개선용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20131535262-pat00014

    여기서,
    R3 내지 R7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중수소, 할로겐기, 수산화기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3 내지 R7 중 적어도 2 이상은 수산화기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강화, 피부 보습, 항염 및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우수한
    피부 개선용 조성물.
  5. 제1항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따른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168440A 2020-12-04 2020-12-04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67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40A KR102267195B1 (ko) 2020-12-04 2020-12-04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440A KR102267195B1 (ko) 2020-12-04 2020-12-04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195B1 true KR102267195B1 (ko) 2021-06-22

Family

ID=7660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440A KR102267195B1 (ko) 2020-12-04 2020-12-04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274A1 (ko) * 2022-05-16 2023-11-23 코스맥스 주식회사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세포의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2441A (ja) * 1991-10-21 1993-05-07 Kanebo Ltd 皮膚化粧料
KR19990033613A (ko) * 1997-10-25 1999-05-15 박원훈 베타그루코갈린 화합물의 항산화제로서의 용도 및 그의 분리·정제 방법
US20080095866A1 (en) * 2004-09-14 2008-04-24 Ajinomoto Omnichem S.A.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orylated Polyphenols
KR20180124424A (ko) * 2017-05-11 2018-11-21 코스맥스 주식회사 신규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및 그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200002008A (ko)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스트렙토코쿠스 살리바리우스 sbk4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2441A (ja) * 1991-10-21 1993-05-07 Kanebo Ltd 皮膚化粧料
KR19990033613A (ko) * 1997-10-25 1999-05-15 박원훈 베타그루코갈린 화합물의 항산화제로서의 용도 및 그의 분리·정제 방법
US20080095866A1 (en) * 2004-09-14 2008-04-24 Ajinomoto Omnichem S.A.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orylated Polyphenols
KR20180124424A (ko) * 2017-05-11 2018-11-21 코스맥스 주식회사 신규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및 그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200002008A (ko) 2018-06-28 2020-01-07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스트렙토코쿠스 살리바리우스 sbk4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논문1 *
비특허문헌: 논문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274A1 (ko) * 2022-05-16 2023-11-23 코스맥스 주식회사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세포의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243B1 (ko) 낙석등 및 목단피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21856B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931944B2 (ja) パンドラチン誘導体またはこれを含有するケンフェリアパンドラタ抽出物の新規な用途
KR20180102431A (ko) 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7195B1 (ko)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분리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24426A (ko) 아마란스 또는 곡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15166340A (ja) フィラグリン遺伝子およびカスパーゼ−14遺伝子の発現促進剤ならびに幹細胞因子の産生抑制剤
KR20150041968A (ko)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의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2111283A (ja) 新規コラーゲン再利用促進作用剤
KR102235635B1 (ko) 토양에서 분리한 후시디움 코씨네움 균주 및 그 균주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098594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60475A (ko)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KR20110128689A (ko) 신규 진세노사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10041710A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억제용 약학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056415A (ko) 식용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5133A (ko) 유동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디테르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74305B1 (ko) 파시플로라 라우리폴리아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112980A (ko) 크레이스토카릭스 오페르쿠라투스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7907B1 (ko) 무산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개선용 조성물
US20220080017A1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psoriasis symptoms containing extract of thalictrum squarrosum steph
KR20190033871A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512643B1 (ko) 바이오황 함유 여액 분획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