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035B1 -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035B1
KR102267035B1 KR1020190175429A KR20190175429A KR102267035B1 KR 102267035 B1 KR102267035 B1 KR 102267035B1 KR 1020190175429 A KR1020190175429 A KR 1020190175429A KR 20190175429 A KR20190175429 A KR 20190175429A KR 102267035 B1 KR102267035 B1 KR 10226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ound
vehicle
sound data
frequency band
low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정우성
조현엽
Original Assignee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102019017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G06K9/0036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이 개시된다.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은,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하고,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차량의 제 1 스피커로 출력하는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및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받아 위상 변환하고, 위상 변환된 가상 사운드 데이터중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키고,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고,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조정하여 차량의 제 2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VIRTUAL SOUND GENERATING SYSTEM AND VIRTUAL SOUND GENERATING METHOD}
개시된 발명은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원음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고 운전자에 대해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 연료전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등 전기 구동방식으로 운행되는 차량은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보다 저속 주행시 차량 소음이 적다.
차량 주변의 객체(예를 들어, 다른 차량, 보행자, 장애인, 사이클리스트 등)는 이러한 차량의 접근을 깨닫기 어려워 차량과 객체간의 사고 위험이 존재할 수 있었다.
기존에는 이러한 차량의 저소음으로 인한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Acoustic Vehicle Alerting System; AVAS)와, 가상 엔진음 발생장치(Virtual Engine Sound System ; VESS) 등과 같은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상태와 관련된 가상 사운드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차량 주변의 객체에게 차량의 존재를 알렸다.
그러나, 종래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은 차량 주변의 객체와 운전자 모두에게 원음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므로, 차량 주변의 객체에게는 필요하지만 운전자에게는 불필요한 소음이었다.
이상의 이유로,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원음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고 운전자에 대해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은,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하고, 상기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제 1 스피커로 출력하는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및 상기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받아 위상 변환하고, 상기 위상 변환된 가상 사운드 데이터중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키고,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고,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조정하여 상기 차량의 제 2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위상 변환하는 위상 변환기;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키는 로우 패스 필터;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 상기 저장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위상 지연기; 및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조정하여 상기 차량의 제 2 스피커로 출력하는 앰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 변환기는, 상기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180도 위상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앰프는,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증폭 또는 증감하여 상기 차량의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및 상기 제어부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 또는 A2B(Automotive Audio Bus)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는, 카메라의 전방 영상 데이터 및/또는 레이더의 측방 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은,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에 의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하고, 상기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제 1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스피커에 의하여 상기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원음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및 제어부가 서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받아 위상 변환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위상 변환된 가상 사운드 데이터중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저장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조정하여 상기 차량의 제 2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스피커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대해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 가상음을 발생하는 것은, 카메라의 전방 영상 데이터 및/또는 레이더의 측방 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및 상기 제어부가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 또는 A2B(Automotive Audio Bus) 통신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위상 변환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의 위상 변환기에 의하여,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180도 위상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의 로우 패스 필터에 의하여,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의 버퍼에 의하여,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의 위상 지연기에 의하여, 상기 저장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제 2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은, 상기 앰프에 의하여,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증폭 또는 증감하여 상기 차량의 제 2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원음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고 운전자에 대해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에 포함된 카메라와 레이더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에 포함된 전원 공급부와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및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제 2 MCU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제 2 스피커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킬 때의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의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을 일 예로 도시한다.
도 8은 가상 사운드를 발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엔진(10)과, 변속기(20)와, 제동 장치(30)와, 조향 장치(40)를 포함한다. 엔진(10)은 실린더와 피스톤을 포함하고, 차량(1)이 주행하기 위한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변속기(20)는 복수의 기어들을 포함하고, 엔진(10)에 의하여 생성된 동력을 차륜까지 전달할 수 있다. 제동 장치(30)는 차륜과의 마찰을 통하여 차량(1)을 감속시키거나 차량(1)을 정지시킬 수 있다. 조향 장치(40)는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차량(1)은 복수의 전장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은 엔진 관리 시스템(Engine Management System, EMS)(11)과, 변속기 제어 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 TCU)(21)과, 전자식 제동 제어 모듈(Electronic Brake Control Module)(31)과, 전자식 조향 장치(Electronic Power Steering, EPS) (41)와, 바디 컨트롤 모듈(Body Control Module, BCM)(51)과, 운전자 보조 시스템(Driver Assistance System, DAS)(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엔진 관리 시스템(11)은 가속 페달을 통한 운전자의 가속 의지 또는 차량 통신 시스템(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엔진(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관리 시스템(11)은 엔진(10)의 토크를 제어할 수 있다.
변속기 제어 유닛(21)은 변속 레버를 통한 운전자의 변속 명령 및/또는 차량(1)의 주행 속도에 응답하여 변속기(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기 제어 유닛(21)은 엔진(10)으로부터 차륜까지의 변속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전자식 제동 제어 모듈(31)은 제동 페달을 통한 운전자의 제동 의지 및/또는 차륜들의 슬립(slip)에 응답하여 제동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식 제동 제어 모듈(31)은 차량(1)의 제동 시에 감지되는 차륜의 슬립에 응답하여 차륜의 제동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Anti-lock Braking Systems, ABS). 전자식 제동 제어 모듈(31)은 차량(1)의 조향 시에 감지되는 오버스티어링(oversteering) 및/또는 언더스티어링(understeering)에 응답하여 차륜의 제동을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 또한, 전자식 제동 제어 모듈(31)은 차량(1)의 구동 시에 감지되는 차륜의 슬립에 응답하여 차륜을 일시적으로 제동할 수 있다(Traction Control System, TCS). 제동 시스템은 전자식 제동 제어 모듈(31)과 제동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식 조향 장치(41)는 스티어링 휠을 통한 운전자의 조향 의지에 응답하여 운전자가 쉽게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향 장치(40)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식 조향 장치(41)는 저속 주행 또는 주차 시에는 조향력을 감소시키고 고속 주행 시에는 조향력을 증가시키도록 조향 장치(40)의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조향 시스템은 전자식 조향 장치(41)와 조향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컨트롤 모듈(51)은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거나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전장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컨트롤 모듈(51)은 헤드 램프, 와이퍼, 클러스터, 다기능 스위치 및 방향 지시 램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60)은 운전자가 차량(1)을 조작(구동, 제동, 조향, 경적)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보조 시스템(60)은 차량(1) 주변의 환경(예를 들어, 다른 차량, 보행자, 사이클리스트(cyclist), 차선, 도로 표지판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환경에 응답하여 차량(1)의 구동 및/또는 제동 및/또는 조향 및/또는 경적을 제어할 수 있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60)은 운전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보조 시스템(60)은 차선 이탈 경고(Lane Departure Warning, LDW)와, 차선 유지 보조(Lane Keeping Assist, LKA)와, 상향등 보조(High Beam Assist, HBA)와, 자동 긴급 제동(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과, 교통 표지판 인식(Traffic Sign Recognition, TSR)과,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mart Cruise Control, SCC)과, 고속접근 경보 시스템(Lane Change Assist, LCA)과, 후측방 경보 시스템(Blind Spot Detection, BSD)과, 후측방 충돌 경고 시스템(Blind Spot Collision Warning, BCW)등을 제공할 수 있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60)은 차량(1) 주변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과, 차량(1) 주변의 객체 데이터를 획득하는 레이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와 제어기(Electronic Control Unit, ECU)를 포함하며, 차량(1)의 전방을 촬영하고 다른 차량, 보행자, 사이클리스트, 차선, 도로 표지판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레이더 모듈은 레이더와 제어를 포함하고, 차량(1) 주변의 객체(예를 들어, 다른 차량, 보행자, 사이클리스트 등)의 상대 위치, 상대 속도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60)은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차량(1) 주변을 스캔하며 객체를 감지하는 라이다 센서를 포함하는 라이다(lida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100)은 충돌 예상되는 차량(1)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100)은 운전자 보조 시스템(60)의 카메라 및/또는 레이더 및/또는 라이다에 기초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1)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Acoustic Vehicle Alerting System ; AVAS)에 의하여 인공 가상음을 발생할 수 있다.
제 1 스피커(70) 및 제 2 스피커(80)는 가상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피커(70)는 충돌 예상되는 차량(1) 주변의 객체에 대해 가상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스피커(80)는 차량(1)의 내부에 대해 가상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의 전자 부품들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 부품들은 이더넷(Ethernet), 모스트(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플렉스레이(Flexray), 캔(CAN, Controller Area Network), 린(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캔에프디(CAN-FD, CAN with Flexible Data rate), BroadR-Reach, HDBaseT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보조 시스템(60)은 엔진 관리 시스템(11), 전자식 제동 제어 모듈(31), 전자식 조향 장치(41)에 각각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구동 제어 신호, 제동 신호, 조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100)은 제 1 스피커(70) 및 제 2 스피커(80)에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가상 사운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에 포함된 카메라와 레이더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100)은 카메라(110)와, 레이더(120)와,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와, 제어부(140)와, 앰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차량(1)의 전방을 향하는 시야(field of view)(110a)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0)는 차량(1)의 프론트 윈드 쉴드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차량(1)의 전방을 촬영하고, 차량(1)의 전방에 있는 전방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방 영상 데이터는 전방 객체에 관한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복수의 렌즈들 및 전방 영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영상 센서는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들이 2차원 매트릭스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0)는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 도 1 참조)를 통하여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와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전방 영상 데이터를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레이더(120)는 전방 레이더(121)와 복수의 코너 레이더들(122 내지 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레이더(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전방을 향하는 전방의 감지 시야(field of sensing)(121a)를 가질 수 있다. 전방 레이더(121)는 예를 들어, 차량(1)의 그릴(grille) 또는 범퍼(bumper)에 설치될 수 있다.
전방 레이더(121)는 차량(1)의 전방을 향하여 송신 전파를 방사하는 송신 안테나(또는 송신 안테나 어레이)와, 전방 객체에 반사된 반사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또는 수신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레이더(121)는 송신 안테나에 의한 송신된 송신 전파와 수신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 반사 전파로부터 전방 감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방 감지 데이터는 차량(1)의 전방에 있는 전방 객체에 관한 거리 정보 및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레이더(121)는 송신 전파와 반사 전파 사이의 위상 차이(또는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전방 객체까지의 상대 거리를 산출하고, 송신 전파와 반사 전파 사이의 주파수 차이에 기초하여 전방 객체의 상대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전방 레이더(121)는 비-영상 센서인 레이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는 전방 객체까지의 상대 거리와 상대 속도를 산출하여 전방 감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방 레이더(121)는 예를 들어,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 도 1 참조)를 통하여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와 연결될 수 있다. 전방 레이더(121)는 전방 감지 데이터를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코너 레이더들(122 내지 125)은 차량(1)의 전방 우측에 설치되는 제1 코너 레이더(122)와, 차량(1)의 전방 좌측에 설치되는 제2 코너 레이더(123)와, 차량(1)의 후방 우측에 설치되는 제3 코너 레이더(124)와, 차량(1)의 후방 좌측에 설치되는 제4 코너 레이더(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너 레이더(122)는 차량(1)의 전방 우측을 향하는 측방의 감지 시야(122a)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1)의 전방 범퍼의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코너 레이더(123)는 차량(1)의 전방 좌측을 향하는 측방의 감지 시야(123a)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1)의 전방 범퍼의 좌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코너 레이더(124)는 차량(1)의 후방 우측을 향하는 측방의 감지 시야(124a)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1)의 후방 범퍼의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4 코너 레이더(125)는 차량(1)의 후방 좌측을 향하는 측방의 감지 시야(125a)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1)의 후방 범퍼의 좌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코너 레이더들(122 내지 125)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코너 레이더들(122 내지 125)은 각각의 제1 코너 감지 데이터와 제2 코너 감지 데이터와 제3 코너 감지 데이터와 제4 코너 감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코너 감지 데이터는 차량(1) 전방 우측에 위치하는 측방 객체에 관한 거리 정보 및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너 감지 데이터는 차량(1) 전방 좌측에 위치하는 측방 객체의 거리 정보 및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코너 감지 데이터는 차량(1) 후방 우측 및 차량(1) 후방 좌측에 위치하는 후방 객체의 거리 정보 및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코너 레이더들(122 내지 125)은 비-영상 센서인 레이더 센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는 측방 객체까지의 상대 거리와 상대 속도를 산출하여 제1, 제2, 제3, 제4 측방 감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코너 레이더들(122 내지 125)은, 예를 들어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를 통하여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2, 제3 및 제4 코너 레이더들(122 내지 125)은 각각의 제1, 제2, 제3, 제4 측방 감지 데이터를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는 충돌 예상되는 차량(1)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는 카메라(110)의 전방 영상 데이터 및/또는 레이더(120)의 측방 감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1)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는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차량(1)의 제 1 스피커(7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가상음은 가상 엔진음, 가상 시동음, 각종 가상 경고음, 충전음, 충전 완료음등 차량 운행이나 편의와 관련된 각종 가상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에 포함된 전원 공급부와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및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100)은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와 제어부(140) 및 전원 공급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는 제 1 MCU(Micro Control Unit)(131)과, 제 1 앰프(132)와, 트랜시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133)는 이그니션 키(IGN)의 온(ON) 동작 신호를 수신받고,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NT)의 캔 버스(CAN BUS)를 통하여 카메라(110, 도 1 참조)의 전방 영상 데이터 및/또는 레이더(120, 도 1 참조)의 측방 감지 데이터와 차량 주행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주행 정보는 차량 속도일 수 있다.
제 1 MCU(131)는 트랜시버(133)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전압을 수신받을 수 있다. 제 1 MCU(131)는 트랜시버(133)와 통신할 수 있다. 제 1 MCU(131)는 카메라(110, 도 1 참조)의 전방 영상 데이터 및/또는 레이더(120, 도 1 참조)의 측방 감지 데이터와 차량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1) 주변의 객체(예를 들어, 다른 차량, 보행자, 장애인, 사이클리스트 등)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할 수 있다.
제 1 앰프(132)는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차량(1)의 제 1 스피커(70)로 출력할 수 있다. 제 1 앰프(132)는 디지털 D급 증폭기로써, 제 1 MCU(131)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가상 사운드를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컨버터를 이용하여 PWM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PWM 신호를 스위칭 출력스테이지(switching outputstage)를 이용하여 증폭시킬 수 있다. 제 1 스피커(70, 도 8 참조)는 차량(1, 도 8 참조)의 전면부 중앙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스피커(70, 도 8 참조)는 1개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스피커(70, 도 8 참조)의 개수는 차량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1 스피커(70, 도 8 참조)는 충돌 예상되는 차량(1, 도 8 참조) 주변의 객체(예를 들어, 다른 차량, 보행자, 장애인, 사이클리스트 등)에 대해 원음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MCU(131)와 제 1 앰프(132)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버스와 I2S(Integrated Interchip Sound) 버스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 2 MCU(141)와 제 2 앰프(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MCU(141)는 트랜시버(133)로부터 출력되는 동작 전압을 수신받을 수 있다. 제 2 MCU(141)는 제 1 MCU(131)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MCU(141) 및 제 1 MCU(131)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 또는 A2B(Automotive Audio Bus)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MCU(141)는 SPI 통신 또는 A2B 통신을 수행하여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제 1 MCU(131)로부터 빠르게 수신받을 수 있다. 제 2 MCU(141)는 제 1 MCU(131)와 다른 고속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제 2 MCU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MCU(141)는 위상 변환기(141a)와, 로우 패스 필터(141b)와, 버퍼(141c)와, 위상 지연기(141d)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 변환기(141a)는 제 1 MCU(131)로부터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받아 위상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변환기(141a)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180도 위상 변환할 수 있다.
로우 패스 필터(141b)는 위상 변환된 가상 사운드 데이터중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로우 패스 필터(141b)는 차량(1, 도 8 참조)의 내부 흡음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차단시키고,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킬 수 있다.
버퍼(141c)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위상 지연기(141d)는 저장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 2 앰프(142)는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조정하여 차량(1)의 제 2 스피커(8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앰프(142)는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증폭 또는 증감하여 차량(1)의 제 2 스피커(80)로 출력할 수 있다. 제 2 앰프(142)는 디지털 D급 증폭기로써, 제 2 MCU(141)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가상 사운드를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컨버터를 이용하여 PWM 신호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PWM 신호를 스위칭 출력스테이지(switching outputstage)를 이용하여 증폭시킬 수 있다. 제 2 스피커(80, 도 8 참조)는 차량(1, 도 8 참조)의 헤드 레스트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 스피커(80, 도 8 참조)는 1개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 스피커(80, 도 8 참조)의 개수는 차량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2 스피커(80, 도 8 참조)는 차량(1, 도 8 참조)의 내부에 대해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MCU(141)와 제 2 앰프(142)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버스와 I2S(Integrated Interchip Sound) 버스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50)는 과전압 보호 회로(151)와 앰프 구동 회로(152)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전압 보호 회로(151)는 배터리 전압(BAT)의 과전압을 보호할 있다. 앰프 구동 회로(152)는 과전압 보호 회로(151)를 통하여 수신된 배터리 전압(BAT)을 제 1 앰프(132) 및 제 2 앰프(142)에 공급할 수 있다. 앰프 구동 회로(152)는 배터리 전압(BAT)의 레벨을 조절하여 제 1 앰프(131) 및 제 2 앰프(14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압을 제 1 앰프(131) 및 제 2 앰프(142)에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제 2 스피커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킬 때의 지연 시간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a는 제 1 MCU(131)로부터 출력되는 원음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가 제 1 앰프(132)를 거쳐 제 1 스피커(70)로 전달될 때 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Tc는 제 1 스피커(70)로부터 출력되는 원음의 가상 사운드가 운전자의 귀(D)로 전달될 때 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Tb는 제 1 MCU(131)로부터 출력되는 원음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제 2 MCU(141)가 수신받아 위상 변환기(141a)와 로우 패스 필터(141b) 및 버퍼(141c)와 위상 지연기(141d) 및 제 2 앰프(142)를 거쳐 제 2 스피커(80)로 전달될 때 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Td는 제 2 스피커(80)로부터 출력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S)가 운전자의 귀(D)로 전달될 때 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Ta와 Tc 및 Tb와 Td는 하기와 같은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Ta + Tc = Tb + Td
Tb = Ta + Tc - Td
즉,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의 고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제거하도록, 제 2 스피커(80)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킬 때의 지연 시간(Tb)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 2 스피커(80)에서 운전자까지의 거리(운전자의 귀(D)로 전달될 때 까지의 시간, Td)가 짧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스피커(80, 도 8 참조)의 위치는 운전자까지의 거리가 짧은 헤드 레스트 위치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의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을 일 예로 도시한다. 도 8은 가상 사운드를 발생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 도 4 참조)은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 도 4 참조)에 의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한다(710). 제 1 MCU(131, 도 4 참조)는 카메라(110, 도 1 참조)의 전방 영상 데이터 및/또는 레이더(120, 도 1 참조)의 측방 감지 데이터와 차량 주행 정보에 기초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1, 도 4 참조) 주변의 객체(예를 들어, 다른 차량, 보행자, 장애인, 사이클리스트 등)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할 수 있다.
차량(1, 도 4 참조)은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 도 4 참조)에 의하여,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차량(1, 도 4 참조)의 제 1 스피커(70, 도 4 참조)로 출력한다(711). 제 1 앰프(132, 도 4 참조)는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증폭하여 차량(1, 도 4 참조)의 제 1 스피커(70, 도 4 참조)로 출력할 수 있다. 제 1 MCU(131, 도 4 참조)와 제 1 앰프(132, 도 4 참조)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버스와 I2S(Integrated Interchip Sound) 버스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차량(1, 도 8 참조)은 제 1 스피커(70, 도 8 참조)에 의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1, 도 8 참조) 주변의 객체(예를 들어, 다른 차량, 보행자, 장애인, 사이클리스트 등, P, 도 8 참조)에 대해 원음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한다(712). 제 1 스피커(70, 도 8 참조)는 고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1, 도 4 참조)은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 도 4 참조) 및 제어부(140, 도 4 참조)가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720). 제 2 MCU(141, 도 4 참조)는 제 1 MCU(131, 도 4 참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MCU(141, 도 4 참조) 및 제 1 MCU(131, 도 4 참조)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 또는 A2B(Automotive Audio Bus)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1, 도 4 참조)은 제어부(140, 도 4 참조)에 의하여,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받아 위상 변환한다(730). 위상 변환기(141a, 도 5 참조)는 제 1 MCU(131, 도 5 참조)로부터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받아 위상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 변환기(141a, 도 5 참조)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180도 위상 변환할 수 있다.
차량(1, 도 4 참조)은 제어부(140, 도 4 참조)에 의하여, 위상 변환된 가상 사운드 데이터중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킨다(740). 로우 패스 필터(141b, 도 5 참조)는 위상 변환된 가상 사운드 데이터중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로우 패스 필터(141b, 도 5 참조)는 차량(1, 도 8 참조)의 내부 흡음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차단시키고,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차량(1, 도 4 참조)은 제어부(140, 도 4 참조)에 의하여,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한다(750). 버퍼(141c, 도 5 참조)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차량(1, 도 4 참조)은 제어부(140, 도 4 참조)에 의하여, 버퍼(141c, 도 5 참조)에 저장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한다(760). 위상 지연기(141d, 도 5 참조)는 버퍼(141c, 도 5 참조)에 저장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차량(1, 도 4 참조)은 제어부(140, 도 4 참조)에 의하여,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조정하여 차량(1, 도 4 참조)의 제 2 스피커(80, 도 4 참조)로 출력한다(770). 제 2 앰프(142, 도 4 참조)는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조정하여 차량(1, 도 4 참조)의 제 2 스피커(80, 도 4 참조)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앰프(142, 도 4 참조)는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증폭 또는 증감하여 차량(1, 도 4 참조)의 제 2 스피커(80, 도 4 참조)로 출력할 수 있다. 제 2 MCU(141, 도 4 참조)와 제 2 앰프(142, 도 4 참조)는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버스와 I2S(Integrated Interchip Sound) 버스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차량(1, 도 8 참조)은 제 2 스피커(80, 도 8 참조)에 의하여, 차량(1, 도 8 참조)의 내부에 대해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S, 도 8 참조)를 출력한다(780). 제 2 스피커(80, 도 8 참조)의 위치는 운전자까지의 거리가 짧은 헤드 레스트 위치일 수 있다. 제 2 스피커(80, 도 8 참조)의 위치는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130)의 고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제거하도록, 제 2 스피커(80)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시킬 때의 지연 시간(Tb, 도 6 참조)을 확보하기 위한 위치일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70: 제 1 스피커
80: 제 2 스피커 100: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110: 카메라 120: 레이더
130: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131: 제 1 MCU
132: 제 1 앰프 133: 트랜시버
140: 제어부 141: 제 2 MCU
141a: 위상 변환기 141b: 로우 패스 필터
141c: 버퍼 141d: 위상 지연기
142: 제 2 앰프 150: 전원 공급부

Claims (14)

  1.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하고, 상기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제 1 스피커로 출력하는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및
    상기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받아 위상 변환하고, 상기 위상 변환된 가상 사운드 데이터중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키고,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고,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조정하여 상기 차량의 제 2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위상 변환하는 위상 변환기;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키는 로우 패스 필터;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
    상기 저장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위상 지연기; 및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조정하여 상기 차량의 제 2 스피커로 출력하는 앰프를 포함하는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변환기는, 상기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180도 위상 변환하는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는,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증폭 또는 증감하여 상기 차량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및 상기 제어부는,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 또는 A2B(Automotive Audio Bus) 통신을 수행하는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는, 카메라의 전방 영상 데이터와 레이더의 측방 감지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하는 것인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7.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에 의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하고,
    상기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차량의 제 1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스피커에 의하여, 상기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원음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고,
    상기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및 제어부가 서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인공 가상음에 해당하는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수신받아 위상 변환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위상 변환된 가상 사운드 데이터중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저장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조정하여 상기 차량의 제 2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스피커에 의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에 대해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가상음을 발생하는 것은, 카메라의 전방 영상 데이터와 레이더의 측방 감지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충돌 예상되는 차량 주변의 객체에 대해 인공 가상음을 발생하는 것인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인공 가상음 발생 장치 및 상기 제어부가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통신 또는 A2B(Automotive Audio Bus) 통신을 수행하는 것인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위상 변환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의 위상 변환기에 의하여,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180도 위상 변환하는 것인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의 로우 패스 필터에 의하여,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통과하는 것인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의 버퍼에 의하여, 상기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인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은, 상기 제어부의 위상 지연기에 의하여, 상기 저장된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인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 2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은, 앰프에 의하여, 상기 지연 시간으로 출력하는 저주파 대역의 가상 사운드 데이터를 이미 정해진 목표 레벨로 증폭 또는 증감하여 상기 차량의 제 2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인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KR1020190175429A 2019-12-26 2019-12-26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KR102267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429A KR102267035B1 (ko) 2019-12-26 2019-12-26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429A KR102267035B1 (ko) 2019-12-26 2019-12-26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035B1 true KR102267035B1 (ko) 2021-06-21

Family

ID=7660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429A KR102267035B1 (ko) 2019-12-26 2019-12-26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0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5073B2 (ja) * 1994-05-18 2005-03-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気車両の警報音装置および電気車両
KR101735837B1 (ko) * 2010-12-16 2017-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음향 시스템
KR101759455B1 (ko) * 2013-09-27 2017-07-18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접근 통보 장치
WO2017125990A1 (ja) * 2016-01-22 2017-07-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近接報知装置
KR101805615B1 (ko) * 2016-06-17 2017-12-06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그 발생 방법
KR20190002984A (ko) * 2017-06-30 2019-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자동차용 보행자 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5073B2 (ja) * 1994-05-18 2005-03-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電気車両の警報音装置および電気車両
KR101735837B1 (ko) * 2010-12-16 2017-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음향 시스템
KR101759455B1 (ko) * 2013-09-27 2017-07-18 안덴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접근 통보 장치
WO2017125990A1 (ja) * 2016-01-22 2017-07-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近接報知装置
KR101805615B1 (ko) * 2016-06-17 2017-12-06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그 발생 방법
KR20190002984A (ko) * 2017-06-30 2019-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자동차용 보행자 경보 시스템 및 경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2983A1 (en) Brake assistance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brake assistance method for vehicle
US20200255008A1 (en) Lane keeping assistan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690481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18373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05183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US11840223B2 (en) Driver assista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10343148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00353904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10920618A (zh) 车辆的控制系统以及车辆的控制方法
US11634120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US20220289176A1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11890939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KR20210084713A (ko)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운전자 보조 방법
KR102572785B1 (ko) 운전자 보조 시스템
KR102267035B1 (ko) 가상 사운드 발생 시스템 및 가상 사운드 발생 방법
KR20210127285A (ko) 스마트 순항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242485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3643586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CN115871655A (zh) 车辆及其控制方法
US11780427B2 (en) Apparatus for assisting driving and method thereof
KR20240007810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US20230249707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driver assistance method
KR20190079334A (ko) 후방 추돌 사고를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30294673A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230162166A (ko)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