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484B1 -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484B1
KR102266484B1 KR1020200120284A KR20200120284A KR102266484B1 KR 102266484 B1 KR102266484 B1 KR 102266484B1 KR 1020200120284 A KR1020200120284 A KR 1020200120284A KR 20200120284 A KR20200120284 A KR 20200120284A KR 102266484 B1 KR102266484 B1 KR 102266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information
terminal
student
instr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클래스에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클래스에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클래스에듀아이
Priority to KR102020012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강사 단말로부터 강의 정보에 대한 제1 강의 소견서를 수신하는 단계, 학생 단말로부터 강의 정보에 대한 질의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강의 정보, 제1 강의 소견서 및 질의 답변을 매니저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매니저 단말로부터, 강의 정보,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을 기초로 생성된 제2 강의 소견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매니저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학부모 단말에 강의 정보 및 제2 강의 소견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F ONLINE LECTURING AND LEARNING MANAGEMENT SERVICE}
본 개시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체계적이면서 유연하게 온라인 강의 및 학습을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확산으로 인해 오프라인 방식의 교육에서 벗어나, 근래 인터넷을 이용하여 학습이 가능한 온라인 방식의 교육이 보급되었다. 이러한 온라인 방식의 교육은, 보통 강사가 오프라인 상에서 강의하는 모습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학생이 접속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업로드해 놓으면, 학생들이 본인에게 적절한 온라인 강의를 선택하여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게끔 구성된다.
현재, 학생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대부분의 온라인 강의는 학생과 강사 간의 의견 교환없이 학생에게만 일방적으로 제공되고 있는바, 강의의 질이 낮아지고 학생이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면서 궁금한 사항을 질의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하는 운영자는 학생과 강사가 상호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게시판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학생이 강사에게, 또는 강사가 학생에게 직접적으로 본인의 의견을 전달하게 되므로, 의견 전달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상대의 감정을 상하게 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된다.
그리고, 학생과 강사 간의 의견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진 온라인 강의 서비스라 하더라도 학부모가 배제되어 있으므로, 학부모는 본인의 자녀가 온라인 강의를 통해 어느 정도의 교육을 받고 있는지, 어떠한 수업 태도를 가지는지, 온라인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해하는 사항이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8270(2011.06.01.)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실시예들은, 학생과 강사 간에 의견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학부모에게 학습 상태를 피드백할 수 있어, 체계적이면서 유연하게 온라인 강의 및 학습을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 사이에 공유되는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 입력 정보 및 화면 공유 정보를 포함하는 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강사 단말로부터 강의 정보에 대한 제1 강의 소견서를 수신하는 단계, 학생 단말로부터 강의 정보에 대한 질의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강의 정보, 제1 강의 소견서 및 질의 답변을 매니저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매니저 단말로부터, 강의 정보,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을 기초로 생성된 제2 강의 소견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매니저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학부모 단말에 강의 정보 및 제2 강의 소견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사 단말로부터 강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학생 단말로부터 학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강사 정보 및 학생 정보를 기초로,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로부터 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온라인 강의가 가능한 가상 강의실을 생성하여, 매칭된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가상 강의실에 접속한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로부터 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강의 정보를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강의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사 단말 또는 학생 단말로부터 강의 스케줄 변경 정보 또는 상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강의 스케줄 변경 정보 또는 상담 정보를 강사 단말, 학생 단말, 매니저 단말 및 학부모 단말 중 하나 이상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니저 단말은, 강사 단말을 이용하는 강사 정보, 학생 단말을 이용하는 학생 정보, 강의 정보,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 및 제2 강의 소견서에 대해 접근 가능하며, 학생 단말은, 강사 정보, 학생 정보 및 강의 정보에 대해서만 접근 가능하며, 강사 단말은, 강의 정보 및 학생 정보 중 온라인 강의에 연관된 정보에 대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강의 소견서는, 수업날짜 정보, 교재 정보, 학생의 지난 과제 이행 여부, 학생에게 부여한 과제,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 및 수업태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니저 단말에 의해, 제1 강의 소견서 및 강의 정보에 기초하여 학생의 수업 태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매니저 단말에 의해,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 강의 정보 및 판단된 수업 태도에 기초하여 제2 강의 소견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된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 입력 정보 및 화면 공유 정보를 포함하는 강의 정보를 생성하여, 강사 단말, 학생 단말 및 매니저 단말 사이에 공유하는 강의 관리부 및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강의 정보에 대한 제1 강의 소견서,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된 강의 정보에 대한 질의 답변, 매니저 단말로부터 수신되며,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 및 강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제2 강의 소견서를 저장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하는 소견서 관리부를 포함하며, 소견서 관리부는, 매니저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학부모 단말에 강의 정보 및 제2 강의 소견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강사로부터 전달받은 제1 강의 소견서와 학생으로부터 전달받은 질의 답변을 종합하여 제3자의 입장에서 매니저가 제2 강의 소견서를 작성하는바, 보다 객관적이고 유연하게 학생과 강사 간에 의견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강의에 대한 정보나 제2 강의 소견서를 학부모가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학부모는 본인의 자녀가 수강하는 온라인 강의 정보, 강의 태도, 질의 답변 사항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및 저장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학생을 관리하는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학생의 출석 내역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학생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상담 내역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학습 진행 상황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교사를 관리하는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급여 내역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정보 처리 시스템(100), 저장 시스템(110), 네트워크(120),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을 포함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에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는,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의 각각에 설치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매니저, 강사, 학생, 학부모일 수 있다.
저장 시스템(110)은 정보 처리 시스템(100)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시스템(110)은 정보 처리 시스템(100)이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 검색, 관리할 수 있다.
강사와 학생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하는 매니저가 소지하는 매니저 단말(130), 강사가 소지하는 강사 단말(140), 학생이 소지하는 학생 단말(150), 학생의 학부모가 소지하는 학부모 단말(160)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0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과 정보 처리 시스템(1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1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서 매니저 단말(130)은 PC 단말로, 강사 단말(140)과 학생 단말(150)은 태블릿 단말로, 학부모 단말(160)은 휴대폰 단말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및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은,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4개의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이 네트워크(1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0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이 네트워크(1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0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 사이에 공유되는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 입력 정보 및 화면 공유 정보를 포함하는 강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및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강사 단말(140)로부터 강의 정보에 대한 제1 강의 소견서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학생 단말(150)로부터 강의 정보에 대한 질의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강사 단말(140)로부터 수신한 제1 강의 소견서와, 학생 단말(150)로부터 수신한 질의 답변을 매니저 단말(130)로 전송하고, 매니저 단말(130)로부터 강의 정보,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을 기초로 생성된 제2 강의 소견서를 수신할 수 있으며, 매니저 단말(13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학부모 단말(160)에 강의 정보 및 제2 강의 소견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00) 및 저장 시스템(1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강사 학생 매칭부(210), 강의 관리부(220), 소견서 관리부(230), DB 검색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시스템(110)은 학생 정보(270)와, 강사 정보(290)를 저장할 수 있다.
강사 학생 매칭부(210)는, 강사 단말(140)로부터 수신한 강사 정보 및 학생 단말(150)로부터 수신한 학생 정보를 기초로, 강사 단말(140)과 학생 단말(150)을 매칭한다. 여기서의 강사 정보는, 강사 이름, 강사 나이, 강사 성별, 강사 학력, 강사 이력, 강의 과목, 교육 가능한 학생의 학년, 강의 스케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학생 정보는, 학생 이름, 학생 나이, 학생 성별, 학생 성향, 수강하고자 하는 과목, 목표하는 학교, 선호하는 강사 성별, 강사에게 요청되는 최소 학력, 수강 가능한 스케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강사 단말(140)로부터 수신한 강사 정보 및 학생 단말(150)로부터 수신한 학생 정보는,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되며, 학생 정보(270)와 강사 정보(290)로 분류되어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사 학생 매칭부(210)는, 상술된 강사 정보 및 학생 정보를 활용하여, 각기 요청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강사 및 학생을 선별하고, 부합하는 조건의 개수가 가장 많은 강사와 학생을 매칭시킬 수 있다.
강의 관리부(220)는, 온라인 강의가 가능한 가상 강의실을 생성하여, 강사 학생 매칭부(210)에 의해 매칭된 강사와 학생이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강사 단말(140)과 학생 단말(150)에 가상 강의실을 제공하고, 가상 강의실에 접속한 강사 단말(140)과 학생 단말(150)로부터 강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의 강의 정보는 촬영된 강사/학생의 영상 및 음성과 같은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면서 펜마우스 등을 통해 입력된 문자 등과 같은 입력 정보, 및 강사와 학생 간 상호 공유된 문서, 동영상, 웹페이지 등과 같은 화면 공유 정보 등을 포함하며,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 입력정보 및 화면 공유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강의 정보는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됨에 있어, 학생 정보(270) 및 강사 정보(290) 내에 각각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 학생 정보(270) 및 강사 정보(290)와 별개로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강의 관리부(220)는,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된 강의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된 온라인 강의의 진행차수를 파악하여, 다음으로 진행할 차수에 해당되는 온라인 강의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강의 관리부(220)는, 강사 단말(140)과 학생 단말(150)로부터 수신한 강의 정보를 기초로,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및 매니저 단말(130) 사이에 공유할 강의 정보를 생성한다. 공유할 강의 정보는,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 입력 정보 및 화면 공유 정보를 포함하며, 강의 관리부(220)는 이를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및 매니저 단말(130) 사이에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소견서 관리부(230)는, 강사 단말(140)로부터 수신한 제1 강의 소견서, 학생 단말(150)로부터 수신한 질의 답변, 매니저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제2 강의 소견서를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 및 관리한다. 제1 강의 소견서는 강의 정보에 대한 강사의 의견으로, 수업날짜 정보, 교재 정보, 학생의 지난 과제 이행 여부, 학생에게 부여한 과제, 상기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 및 수업태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질의 답변은 강의 정보에 대한 학생의 질문사항이나,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면서 강사가 질의한 사항에 대한 답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강의 소견서는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 및 강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강의 소견서는, 매니저 단말(130)에 의해 제1 강의 소견서 및 강의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어 매니저가 작성한 학생의 수업태도를 비롯하여,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 강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2 강의 소견서에는, 온라인 강의에 참여한 강사와 학생이 아닌, 제3자의 입장에 있는 매니저에 의해 종합적이면서도 객관적인 의견이 게재된다. 소견서 관리부(230)는 매니저 단말(13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학부모 단말(160)에 강의 정보 및 제2 강의 소견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한다. 따라서, 학부모는 본인의 자녀가 수강하는 온라인 강의 정보, 강의 태도, 질의 답변 사항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DB 검색부(240)는,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된 학생 정보(270), 강사 정보(290)를 비롯하여,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 제2 강의 소견서 등을 조회할 수 있다. 여기서의 학생 정보(270)는, 수업 스케줄, 출석 내역, 학생 정보, 학습 진행 상황, 멘토 계획서, 상담 소견서, 장비 현황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강사 정보(290)는, 강의 스케줄, 강의 내역, 시급 현황, 장비 현황, 급여 내역, SMS 내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강사 단말(140) 또는 학생 단말(150)로부터 강의 스케줄 변경 정보 또는 상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강의 스케줄 변경 정보 또는 상담 정보를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매니저 단말(130) 및 학부모 단말(160) 중 하나 이상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단말(150)로부터 강의 스케줄 변경을 수신받은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강사 단말(140), 매니저 단말(130), 학부모 단말(160)에 전송하여, 강사, 매니저, 학부모가 변경된 학생이 변경한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학생이 임의로 스케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원활한 강의 스케줄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이 접근할 수 있는 정보에 대한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니저 단말(130)은, 강사 단말(140)을 이용하는 강사 정보, 학생 단말(150)을 이용하는 학생 정보, 강의 정보,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 및 제2 강의 소견서에 대해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강사 단말(140)은 강의 정보 및 학생 정보 중 온라인 강의에 연관된 정보에 대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학생 단말(150)은 강사 정보, 학생 정보 및 강의 정보에 대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강사에게는 강의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만이 제공되고, 학생에는 강의를 수강하는데 필요한 정보만이 제공되며, 강사와 학생 사이에서 조율하는 역할을 하는 매니저는 강사와 학생 모두에게 필요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및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의 태블릿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은, 원활한 온라인 강의와, 해당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카메라, 펜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 스피커,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강사 단말(140)은 메모리(312), 프로세서(314), 통신 모듈(3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학생 단말(150)은 메모리(332), 프로세서(334), 통신 모듈(3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은, 각각의 통신 모듈(316, 3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2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 340)는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 각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를 통해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12, 3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2, 3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강사 단말(140) 또는 학생 단말(15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2, 3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2, 3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316, 336)을 통해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1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 3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2, 332) 또는 통신 모듈(316, 336)에 의해 프로세서(314, 3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 334)는 메모리(312, 3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6, 336)은 네트워크(120)를 통해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강사 단말(140) 및/또는 학생 단말(150)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강사 단말(14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강의 스케줄 변경 정보 등)는 통신 모듈(31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20)를 통해 학생 단말(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학생 단말(150)의 프로세서(3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336)과 네트워크(120)를 거쳐 강사 단말(140)의 통신 모듈(316)을 통해 강사 단말(140)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사 단말(140)은 학생 단말(150)로부터 통신 모듈(316)을 통해, 상담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는 입출력 장치(320, 34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장치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사 단말(14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학생 단말(150)이나 다른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화면이나 정보 등이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장치(320, 340)가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320, 34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사 단말(140)의 프로세서(314)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해당 프로그램과 연관된 프로그램 코드가 강사 단말(140)의 메모리(31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동안에, 강사 단말(140)의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장치(320)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수신하거나 통신 모듈(316)을 통해 학생 단말(150)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3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16)을 통해 학생 단말(15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동안에,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메모리(31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120)를 통해 학생 단말(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4)는 입력 장치를 통해 온라인 강의 중 강사가 필기한 내용에 대한 정보 등을 네트워크(120) 및 통신 모듈(316)을 통해 학생 단말(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생 단말(150)의 프로세서(334)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해당 프로그램과 연관된 프로그램 코드가 학생 단말(150)의 메모리(3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동안에, 학생 단말(150)의 프로세서(334)는 입출력 장치(340)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통해 수신하거나 통신 모듈(336)을 통해 강사 단말(140)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33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36)을 통해 강사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동안에, 프로세서(33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38)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메모리(33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36) 및 네트워크(120)를 통해 강사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34)는 입력 장치를 통해 숙제 문서 파일 등을 네트워크(120) 및 통신 모듈(336)을 통해 강사 단말(14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처리 시스템(100)은, 매니저 단말(130)이 강사 정보, 학생 정보, 강의 정보,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 제2 강의 소견서 등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매니저 단말(130)로 매니저 관리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학생을 관리하는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학생의 출석 내역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학생 정보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상담 내역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학습 진행 상황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학생을 관리하는 메인 화면은,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된 학생 정보를 다양한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는 제1 영역(410)과, 학생에 대한 여러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420)과, 학생 정보 중 수업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제3 영역(4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410)은, 학생명, 아이디, 학부모 이름, 학교, 전화번호, 학년, 수업 상태, 수강 과목, 담당 매니저, 상담자 등의 조건을 통해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된 학생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420)은, 학생 관리, 학생 검색, 교사(강사) 관리, 직원 관리, 고객지원상담, 환경 설정, 마이페이지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관리 메뉴(421)를 선택시, 학생 신상정보, 학생 수강 과목 등을 기록 및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검색 메뉴(422)를 선택시, 매니저의 반복적인 일반 업무 내용들을 기록 및 확인할 수 있으며, 일반 업무의 예로 해당 일자의 학생 수업 스케줄, 강사의 제1 강의 소견서 작성 여부, 제2 강의 소견서 작성 및 발송, 수업 종료 대기자의 재등록, 관리통화 내역 및 누락회원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사 관리 메뉴(423)를 선택시, 강사 정보 및 강사 관리 내역, 강사의 강의 스케줄, 해당 강사에게 배정된 학생, 제1 강의 소견서 작성 내용, 급여 내역 등을 기록 및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페이지 메뉴(424) 선택시, 매니저의 업무일지, 보고, 지시 전달, 매출 내역 등을 기록 및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430)은, 수강 내역, 수업 스케줄, 출석 내역, 학생 정보, 스케줄 변경, 상담 내역, 관리 통화, SMS 내역, 장비 현황, 학습 진행 상황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강 내역 메뉴(431)를 선택시, 제1 영역(410)에서 조회하여 검색된 학생의 수강 내역을 기록 및 확인할 수 있다. 수강 내역은, 강의 신청일, 수업 시작일, 수업 종료일, 수강 개월/횟수, 잔여 횟수, 교과 과정, 수업 일시, 연강 일시, 교사 정보, 강의 상태 정보, 처리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업 스케줄 메뉴(432)를 선택시, 해당 학생의 전 과목의 수업 스케줄을 기록 및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석 내역 메뉴(510)를 선택시, 학생의 출석 상태를 기록 및 확인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강의 재생 버튼(512)을 통해, 해당 일자에 진행한 강의를 재생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출석 내역 메뉴(510)를 선택시, 강사가 해당 학생에 대하여 작성한 제1 강의 소견서를 확인할 수 있다. 매니저는 추후 해당 제1 강의 소견서를 비롯한 강의 정보, 질의 답변을 기초로 제2 강의 소견서를 작성하여, 학부모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 정보 메뉴(610)를 선택시, 매니저가 학생 및 학부모와의 상담을 통해 수집한 학생 관련 정보를 기록 및 확인할 수 있으며, 학생 관련 정보는, 성적, 교과서/취약 파트, 진학 목표, 보유하고 있는 문제집, 원하는 강사 성향 및 스타일, 원하는 수업방향 및 진도, 학생 성향, 학부모 성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학생 관련 정보는 강사와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 변경 메뉴(620)를 선택시, 매니저가 학생 또는 강사와 통화나 문자로 변경한 스케줄 변경 내역들을 기록할 수 있으며, 변경된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 내역 메뉴(710)를 선택시, 매니저가 학생 및 학부모와 수행한 초기 상담 내역 및 강사 배정 내역을 기록 및 확인할 수 있으며, 학생의 PC 사양 등 원활한 수업 진행에 필요한 정보도 기록 및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통화 메뉴(720)를 선택시, 매니저에 의해 수행된 학생, 학부모 및 강사와 통화한 내용을 요약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해당 내용은 다른 매니저와 공유가능하여, 담당 매니저가 아니어도 상담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S 내역 메뉴(730)를 선택시, 고객인 학부모, 학생에게 발송한 SMS 내역을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 현황 메뉴(810)를 선택시, 학생의 강의 장비 설치나, 학생의 강의 장비에 대한 정상 작동 확인 등의 기술 지원 필요 여부, 장비 숙달 여부 등을 기록 및 확인할 수 있다. 학습 진행 상황 메뉴(820)를 선택시, 강사가 작성한 교재 및 진도, 학생 특징 및 상세 문제점, 수업진행 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추후 매니저가 학생 또는 학부모와의 상담시 활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교사(강사)를 관리하는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급여 내역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저 관리 화면에서 교사(강사)를 관리하는 메인 화면은,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된 강사 정보를 다양한 조건으로 검색할 수 있는 제1 영역(910)과, 강사에 대한 여러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영역(920)과, 강사 정보 중 수업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제3 영역(9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910)은, 교사명, 출신학교, 전공, 전화번호, 시급, 교사구분, 과목, 출신고교, 강의 가능 학년, 수학구분(예를 들어, 문과 및 이과 등), 재직구분 등의 조건을 통해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된 강사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920)은, 학생 관리, 학생 검색, 교사(강사) 관리, 직원 관리, 고객지원상담, 환경 설정, 마이페이지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사 관리 메뉴(940)를 선택시, 강사 이름, 근무시간, 근무요일, 과목, 근무상태, 출신학교, 학과, 가능 학년 등을 기록 및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영역(930)은, 교사(강사) 정보, 강의 스케줄, 강의 내역, 상담 내역, 시급 현황, 장비 현황, 급여 내역, SMS 내역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급 현황 메뉴(1010)를 선택시, 강사가 작성한 제1 강의 소견서 내용과, 급여 합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급여 내역 메뉴(1020)를 선택시, 여러 매니저들의 급여 내역을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100), 저장 시스템(110), 네트워크(120), 매니저 단말(130),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학부모 단말(160)을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 사이에 공유되는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 입력 정보 및 화면 공유 정보를 포함하는 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 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강사 단말(140)로부터 강의 정보에 대한 제1 강의 소견서를 수신하고, 학생 단말(150)로부터 강의 정보에 대한 질의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강의 정보, 제1 강의 소견서 및 질의 답변을 매니저 단말(130)에 전송하고, 매니저 단말(130)로부터, 강의 정보,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을 기초로 생성된 제2 강의 소견서를 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매니저 단말(13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학부모 단말(160)에 강의 정보 및 제2 강의 소견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강사 단말(140)로부터 강사 정보를 수신하고, 학생 단말(150)로부터 학생 정보를 수신하며, 강사 정보 및 학생 정보를 기초로,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을 매칭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강의가 가능한 가상 강의실을 생성하여, 매칭된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에게 제공한 후, 가상 강의실에 접속한 강사 단말(140) 및 학생 단말(150)로부터 강의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강의 정보를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저장 시스템(110)에 저장된 강의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강사 단말(140) 또는 학생 단말(150)로부터 강의 스케줄 변경 정보 또는 상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강의 스케줄 변경 정보 또는 상담 정보를 강사 단말(140), 학생 단말(150), 매니저 단말(130) 및 학부모 단말(160) 중 하나 이상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매니저 단말(130)에 의해, 제1 강의 소견서 및 강의 정보에 기초하여 학생의 수업태도를 판단하고, 매니저 단말(130)에 의해, 제1 강의 소견서, 질의 답변, 강의 정보 및 판단된 수업 태도에 기초하여 제2 강의 소견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된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인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디스크(disk)와 디스크(disc)는,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들(disks)은 보통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반면 디스크들(discs)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위의 조합들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ASIC은 유저 단말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유저 단말에서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정보 처리 시스템 110: 저장 시스템
120: 네트워크 130: 매니저 단말
140: 강사 단말 150: 학생 단말
160: 학부모 단말 210: 강사 학생 매칭부
220: 강의 관리부 230: 소견서 관리부
240: DB 검색부 270: 학생 정보
290: 강사 정보 312, 332: 메모리
314, 334: 프로세서 316, 336: 통신모듈
318, 338: 입출력 인터페이스 320, 340: 입출력 장치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강사 단말 및 학생 단말 사이에 공유되는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 입력 정보 및 화면 공유 정보를 포함하는 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 정보에 대한 제1 강의 소견서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강의 소견서는, 수업날짜 정보, 교재 정보, 학생의 지난 과제 이행 여부, 학생에게 부여한 과제, 상기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 및 수업태도 정보를 포함함 -;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 정보에 대한 질의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강의 정보, 상기 제1 강의 소견서 및 상기 질의 답변을 매니저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매니저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강의 소견서 및 상기 강의 정보에 기초하여 학생의 수업 태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매니저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강의 소견서, 상기 질의 답변, 상기 강의 정보 및 상기 판단된 수업 태도에 기초하여 제2 강의 소견서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제2 강의 소견서는, 상기 매니저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강의 소견서 및 상기 강의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어 작성된 학생의 수업태도 정보를 포함함 -;
    상기 매니저 단말로부터, 상기 강의 정보, 상기 제1 강의 소견서, 상기 질의 답변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제2 강의 소견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매니저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학부모 단말에 상기 강의 정보 및 상기 제2 강의 소견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강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학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강사 정보 및 상기 학생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사 단말 및 상기 학생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단말 및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강의가 가능한 가상 강의실을 생성하여, 매칭된 상기 강사 단말 및 상기 학생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가상 강의실에 접속한 상기 강사 단말 및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강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강의 정보를 저장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강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단말 또는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강의 스케줄 변경 정보 또는 상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강의 스케줄 변경 정보 또는 상담 정보를 상기 강사 단말, 상기 학생 단말, 상기 매니저 단말 및 상기 학부모 단말 중 하나 이상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 단말은, 상기 강사 단말을 이용하는 강사 정보, 상기 학생 단말을 이용하는 학생 정보, 상기 강의 정보, 상기 제1 강의 소견서, 상기 질의 답변, 및 상기 제2 강의 소견서에 대해 접근 가능하며,
    상기 학생 단말은, 상기 강사 정보, 상기 학생 정보 및 상기 강의 정보에 대해서만 접근 가능하며,
    상기 강사 단말은, 상기 강의 정보 및 상기 학생 정보 중 상기 온라인 강의에 연관된 정보에 대해서만 접근이 가능한,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온라인 강의의 동영상, 입력 정보 및 화면 공유 정보를 포함하는 강의 정보를 생성하여, 강사 단말, 학생 단말 및 매니저 단말 사이에 공유하는 강의 관리부; 및
    상기 강사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강의 정보에 대한 제1 강의 소견서,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강의 정보에 대한 질의 답변, 상기 매니저 단말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제1 강의 소견서, 상기 질의 답변 및 상기 강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제2 강의 소견서를 저장 시스템에 저장 및 관리하는 소견서 관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강의 소견서는, 수업날짜 정보, 교재 정보, 학생의 지난 과제 이행 여부, 학생에게 부여한 과제, 상기 온라인 강의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 및 수업태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강의 소견서는, 상기 매니저 단말에 의해 상기 제1 강의 소견서 및 상기 강의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되어 작성된 학생의 수업태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소견서 관리부는, 상기 매니저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학부모 단말에 상기 강의 정보 및 상기 제2 강의 소견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200120284A 2020-09-18 2020-09-18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66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284A KR102266484B1 (ko) 2020-09-18 2020-09-18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284A KR102266484B1 (ko) 2020-09-18 2020-09-18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484B1 true KR102266484B1 (ko) 2021-06-17

Family

ID=7660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284A KR102266484B1 (ko) 2020-09-18 2020-09-18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4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774B1 (ko) * 2022-09-02 2023-05-26 (주) 아하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에 따라 능동적으로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KR102603508B1 (ko) * 2023-05-12 2023-11-17 (주) 아하 전력 효율성이 향상된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505A (ko) * 2008-06-04 2009-12-09 주식회사 타임스코어 쌍방향 맞춤형 온라인 교육 오픈 마켓 플레이스 운영시스템
KR20100078289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엑센코리아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58270A (ko) 2009-11-26 2011-06-01 신윤범 인터넷 강의를 보완한 온라인 교육 관리 시스템
KR20160020820A (ko) * 2014-08-14 2016-02-24 김용섭 자기 주도 학습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2169A (ko) * 2018-10-23 2019-06-05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실시간 양방향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69656A (ko) * 2017-12-08 2019-06-20 원태경 인공지능강사를 이용한 교육기관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505A (ko) * 2008-06-04 2009-12-09 주식회사 타임스코어 쌍방향 맞춤형 온라인 교육 오픈 마켓 플레이스 운영시스템
KR20100078289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엑센코리아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58270A (ko) 2009-11-26 2011-06-01 신윤범 인터넷 강의를 보완한 온라인 교육 관리 시스템
KR20160020820A (ko) * 2014-08-14 2016-02-24 김용섭 자기 주도 학습 관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9656A (ko) * 2017-12-08 2019-06-20 원태경 인공지능강사를 이용한 교육기관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2169A (ko) * 2018-10-23 2019-06-05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실시간 양방향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774B1 (ko) * 2022-09-02 2023-05-26 (주) 아하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에 따라 능동적으로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KR102603508B1 (ko) * 2023-05-12 2023-11-17 (주) 아하 전력 효율성이 향상된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an A review of research on mobile 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Fouh et al. Design and architecture of an interactive eTextbook–The OpenDSA system
Newhouse STEM the boredom: Engage students in the Australian curriculum using ICT with problem-based learning and assessment
US86447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learning materials presented offline
US20070111185A1 (en) Delta versioning for learning objects
Grady Leading the technology-powered school
KR20100042636A (ko) 적응적 교수 및 학습을 위한 시스템
US20110159472A1 (en) Delivery methods for remote learning system courses
KR102266484B1 (ko) 온라인 강의 및 학습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inogeev et al. Convergent approach to synthesis of the information learning environment for higher education
TWI598855B (zh) 線上教學暨行動學習系統
US10984669B2 (en) Generating a virtual instructing platform for replicating and sharing teaching styles
Gregson et al. Exploring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m-learning within an international distance education programme
Marron et al. Initial teacher educators’ integrating iPads into their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l Murshidi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mobile learning that university students encounter in the UAE
Masneri et al. cleAR: an interoperable architecture for multi-user AR-based school curricula
KR102330948B1 (ko) 학사 관리 서버 및 콘텐츠 지원 서버의 연계 기능을 활용한 학사 정보 관리 시스템
Aziz et al. An online education toolbox
Laohajaratsang The effects of tablet-based learning 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at Chiang Mai University
US20150248840A1 (en) Equipment-based educational methods and systems
Merriman et al. Next generation learning architecture
Božić The use of digital tools and AI in education
Linskens Mobile device use and teaching pedagogy in a middle school language arts classroom: Field-based research
Shrestha et al. Evaluation of a hands-on approach to learning mobile and embedded programming
Brown Pedagogy and the new literacies in higher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