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026B1 -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 Google Patents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026B1
KR102266026B1 KR1020200187325A KR20200187325A KR102266026B1 KR 102266026 B1 KR102266026 B1 KR 102266026B1 KR 1020200187325 A KR1020200187325 A KR 1020200187325A KR 20200187325 A KR20200187325 A KR 20200187325A KR 102266026 B1 KR102266026 B1 KR 102266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frame part
coupled
pai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박태열
Original Assignee
(주)매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일 filed Critical (주)매일
Priority to KR102020018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026B1/ko
Priority to PCT/KR2021/016709 priority patent/WO20221457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2Devices for uncapping honeycombs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 프레임부의 승강 동작으로 소비장을 파지하고, 탄성 회복력으로 소비장을 탈거하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진동체의 중량으로 인한 피로도를 구조 변화로 감쇄하여 탈봉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DEVICE FOR REMOVING BEES WITH IMPROVED WORK EFFICIENCY}
본 발명은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 프레임부의 승강 동작으로 소비장을 파지하고, 탄성 회복력으로 소비장을 탈거하여 탈봉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진동체의 중량으로 인한 피로도를 구조 변화로 감쇄하여 탈봉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양봉(Beekeeping)은 꿀, 로열젤리, 프로폴리스, 봉독액 등을 얻기 위해 벌을 키우는 일을 말한다. 벌을 키우기 위해서는 알을 낳고 꿀을 저장할 수 있는 벌통을 포함하여 여러 자재나 도구가 사용된다. 양봉 자재는 벌의 생태나 습성, 사양의 방식, 생산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다. 전통적인 방식인 한봉에 대비하여 양봉의 경우, 관리가 쉽고 이동채밀이 가능하며, 채밀주기의 단축이 가능하고, 벌통이나 벌기구도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대량 사육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채밀작업을 위해서는 벌을 소비장으로부터 떼어내는 탈봉 작업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탈봉 방식은 브러쉬나 훈연기를 통해 벌을 1차적으로 털어내고, 작업자가 소비장을 하나씩 흔들어 2차로 마무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탈봉 방식은 가장 원시적인 방법으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으며 단위 시간 당 탈봉의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전통적인 탈봉 방식에서 개선된 방식으로, 브러쉬가 결합된 기계 장치가 개발되었다. 브러쉬가 형성된 기계 장치에 소비장을 관통시켜 탈봉하는 방식이다. 작업자가 별도로 힘을 들일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브러쉬 또는 꿀에 의해 벌의 날개가 찢어지거나 젖어 벌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9605호
본 발명은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 프레임부의 승강 동작으로 소비장을 파지하고, 탄성 회복력으로 소비장을 탈거하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진동체의 중량으로 인한 피로도를 구조 변화로 감쇄하여 탈봉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는, 진동체가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부;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집게부; 상기 제1 집게부를 기준으로 틸팅하는 한 쌍의 제2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제2 집게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케이블부; 및 상기 한 쌍의 케이블부가 결합되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 프레임부를 파지하여 승강 시, 상기 한 쌍의 제2 집게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집게부와 가까워지도록 틸팅되어 소비장을 파지하되, 상기 진동체가 발생시키는 진동에 의해 상기 소비장의 탈봉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는 상기 제1 집게부에서 상기 제2 집게부와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 프레임부의 승강 시 수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 프레임부를 놓으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 회복력으로 인해,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가 멀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는 상기 핸들 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상부 프레임부; 상기 한 쌍의 제1 집게부와 연결되는 측면 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측면 프레임부와 동시에 결합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부의 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단부보다 수직 방향으로 높게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상기 댐퍼부는 스프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상기 댐퍼부는 고무 댐퍼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는 상기 핸들 프레임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핸들 케이스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상기 한 쌍의 케이블부는 상호 교차되어 상기 핸들 프레임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부의 승강 동작으로 소비장을 파지하고, 탄성 회복력으로 소비장을 탈거하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진동체의 중량으로 인한 피로도를 구조 변화로 감쇄하여 탈봉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봉 탈봉기를 도 1과는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부 프레임부, 측면 프레임부 및 댐퍼부가 연결되는 부근을 확대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내부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구체화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봉 탈봉기를 도 1과는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내부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구체화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외관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는 바디 케이스부(10), 배터리 케이스부(20), 핸들 케이스부(30), 모터 케이스부(40), 전원 스위치부(50) 및 진동조절휠부(60)를 포함한다.
바디 케이스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케이스부(20)는 바디 케이스부(10)의 후면에 결합되며, 배터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핸들 케이스부(30)는 후술할 핸들 프레임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핸들 케이스부(30)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탈봉 작업 과정에서 미끄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터 케이스부(40)는 후술할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스위치부(50)는 후술할 진동체의 전원을 on/off 하는 역할로,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일 예로 바디 케이스부(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동조절휠부(60)는 후술할 진동체의 진동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로, 전원 스위치부(50)와 마찬가지로 조작 편의성을 위해 일 예로 바디 케이스부(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치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조절휠부(60)는 사용자가 진동조절휠부(60)를 잡고 돌리는 방식으로 진동체의 진동 세기를 조절하는 방식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는 하부 프레임부(100), 제1 집게부(200), 제2 집게부(300), 케이블부(400), 핸들 프레임부(500), 상부 프레임부(600), 측면 프레임부(700), 댐퍼부(800), 바디 프레임부(900) 및 배터리 수용부(1000)를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부(100)의 하부에는 진동체(M)가 결합된다. 진동체(M)는 일 예로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편심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프레임부(10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패널 형상으로, 양 측부에 한 쌍의 제1 집게부(200)가 결합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부(100)의 상부에는 케이블부(400)가 위치될 수 있다.
제1 집게부(2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하부 프레임부(1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제1 집게부(200)는 제1 집게부 본체(210) 및 제1 집게부 돌출부(220)를 구비한다.
제1 집게부 본체(210)는 하부 프레임부(100)의 측부에서 연장 형성 또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부(S)가 관통축과 함께 일 지점에 결합된다. 제1 집게부 본체(210)의 단부에는 제1 집게부 돌출부(220)가 연장 형성되며, 제1 집게부 돌출부(220)와 제2 집게부(300) 사이에 소비장(1)이 위치되어 소비장(1)을 파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집게부 돌출부(220)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소비장(1)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탈봉 과정에서의 소비장(1)의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후술할 제2 집게부(300)와는 달리, 제1 집게부(200)는 고정되어 있으며, 제2 집게부(300)의 틸팅에 따라 제1 집게부(200)와 제2 집게부(300)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제2 집게부(3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제1 집게부(200)에 각각 결합된다. 제2 집게부(300)는 제1 집게부(200)와 관통축에 동시에 관통되도록 결합되며, 제1 집게부(200)를 중심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틸팅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제2 집게부(300)가 틸팅되어 제1 집게부(200)와 멀어지는 경우에는 소비장(1)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로부터 탈거되며, 제2 집게부(300)가 역으로 틸팅되어 제1 집게부(200)와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소비장(1)이 제1 집게부(200)와 제2 집게부(300) 사이에서 파지된다.
이때, 제1 집게부(200)와 마찬가지로, 제2 집게부(300)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소비장(1)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탈봉 과정에서의 소비장(1)의 이탈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탄성부(S)는 제1 집게부(200)와 제2 집게부(300)에 동시에 결합된다. 제1 집게부(200)와 제2 집게부(300)가 멀어진 상태가 이완된 상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핸들 프레임부(500)의 승강으로 제2 집게부(300)가 제1 집게부(200)와 가까워지는 경우, 탄성부(S)는 수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소비장(1)을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로부터 탈거하고자 할 때, 핸들 프레임부(500)를 놓게 되면, 탄성부(S)의 탄성 회복력만으로 소비장(1)을 탈거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증대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즉, 탄성회복력으로 인해 제1 집게부(200)와 제2 집게부(300)가 멀어지게 되므로, 작업자는 별도의 동작 없이 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른 효과로 후술할 핸들 프레임부(500) 또한 하강하여 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S)는 일 예로 토션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부(400)는 일단이 제2 집게부(3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단이 후술할 핸들 프레임부(50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핸들 프레임부(500)의 승강 동작이 제2 집게부(300)에 전달되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때, 케이블부(400)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케이블부(400)는 한 쌍의 제2 집게부(300)에 각각 결합된다. 단일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한 쌍의 제1 집게부(200)와 제2 집게부(300)간의 파지 압력이 상이하게 분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장(1)이 균형있게 파지되지 못하여 탈봉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케이블부(400)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이 한 쌍의 제2 집게부(300)에 결합되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케이블부(400)는 상호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쌍의 제2 집게부(300) 중 일측에 위치된 어느 하나에 결합된 케이블부(400)는 핸들 프레임부(500)의 타측에 결합되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파지 압력의 균형이 더욱 효율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한 쌍의 케이블부(400)는 각각 한 쌍의 관통핀(411, 421)에 결합되며, 관통핀의 하우징은 바디 프레임부(900)에 고정되어 지지되되, 관통핀(411, 421)이 상부 핸들 프레임부(510)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핸들 프레임부(500)는 한 쌍의 케이블부(400)와 결합되며, 사용자가 핸들 프레임부(500)를 파지하여 승강을 통해 제2 집게부(300)의 틸팅을 조절할 수 있다.
핸들 프레임부(5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핸들 프레임부(510) 및 제1 핸들 프레임부(510)의 양측에서 꺾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핸들 프레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핸들 프레임부(520)는 후술할 제3 바디 프레임부(930)에 형성된 홈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핸들 프레임부(500)가 수직 방향으로만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방향을 유도하여 핸들 프레임부(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핸들 프레임부(510)에는 핸들 케이스부(30)가 결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파지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프레임부(600)는 후술할 측면 프레임부(700)와 댐퍼부(800)를 통해 연결되며, 측면 프레임부(700)는 제1 집게부(200)와 연결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탈봉기의 부품 간의 상부와 하부를 잇는 역할을 한다.
상부 프레임부(6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상부 프레임부(610), 제1 상부 프레임부(610)의 양측에서 꺾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상부 프레임부(620) 및 제2 상부 프레임부(620)에서 꺾여 길이 방향으로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상부 프레임부(630)를 포함한다.
제1 상부 프레임부(610)와 제2 상부 프레임부(620)가 형성하는 공간에 핸들 프레임부(500)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파지 동작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3 상부 프레임부(630)는 댐퍼부(800)를 통해 측면 프레임부(700)와 연결된다. 이는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측면 프레임부(70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제1 집게부(200)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측면 프레임부(710) 및 제1 측면 프레임부(710)에서 꺾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측면 프레임부(720)를 포함한다.
제2 측면 프레임부(720)의 하부에는 댐퍼부(800)가 결합된다. 댐퍼부(800)는 일 예로 스프링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고무 댐퍼일 수 있다. 반드시 어느 하나의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댐퍼부(800)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공지된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제2 측면 프레임부(720)의 하부에 댐퍼부(800)가 위치되고, 댐퍼부(800)의 하부에 제3 상부 프레임부(630)가 위치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5는 상부 프레임부(600), 측면 프레임부(700) 및 댐퍼부(800)가 연결되는 부근을 확대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상부 프레임부(600)의 하부에 댐퍼부(800) 및 측면 프레임부(70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닌, 본 발명과 같이 제2 측면 프레임부(720), 댐퍼부(800) 및 제3 상부 프레임부(630) 순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위치된다면, 댐퍼부(8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부(7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체(M)와 결합되고, 진동체(M)는 일반적으로 다른 부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부(600)의 하부에 댐퍼부(800) 및 측면 프레임부(700)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면, 댐퍼부(800)가 진동체(M)의 중량을 중력과 함께 그대로 수용하게 되어 댐퍼부(800)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와 같이 제2 측면 프레임부(720), 댐퍼부(800) 및 제3 상부 프레임부(630) 순으로 수직 방향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위치되어 진동체(M)의 중량을 상부 프레임부(600)가 일부 감쇄하는 구조가 형성되므로 댐퍼부(800)에 가해지는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탈봉기의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바디 프레임부(900)는 상부 프레임부(600)와 결합된다. 바디 프레임부(9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바디 프레임부(910), 제1 바디 프레임부(910)의 양측에서 꺾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바디 프레임부(920) 및 한 쌍의 제2 바디 프레임부(920)에서 꺾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바디 프레임부(930)를 포함한다.
제3 바디 프레임부(930)는 제3 상부 프레임부(63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3 바디 프레임부(930)는 한 쌍의 케이블부(400)와 연통되는 관통핀(411, 412)이 관통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제2 핸들 프레임부(520)의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방향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 수용부(1000)는 상부 프레임부(600)의 후방에 위치되며, 진동체(M)의 작동을 위한 배터리를 복수 개 수용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배터리 수용부(1000)의 위치를 표현하였으나, 반드시 해당 위치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하부 프레임부,
200 : 제1 집게부,
300 : 제2 집게부,
400 : 케이블부,
500 : 핸들 프레임부,
600 : 상부 프레임부,
700 : 측면 프레임부,
800 : 댐퍼부,
900 : 바디 프레임부,
1000 : 배터리 수용부.

Claims (7)

  1. 진동체가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부;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집게부;
    상기 제1 집게부를 기준으로 틸팅하는 한 쌍의 제2 집게부;
    상기 한 쌍의 제2 집게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케이블부; 및
    상기 한 쌍의 케이블부가 결합되는 핸들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 프레임부를 파지하여 승강 시, 상기 한 쌍의 제2 집게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집게부와 가까워지도록 틸팅되어 소비장을 파지하되, 상기 진동체가 발생시키는 진동에 의해 상기 소비장의 탈봉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집게부에서 상기 제2 집게부와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 프레임부의 승강 시 수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 프레임부를 놓으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 회복력으로 인해, 상기 제1 집게부와 상기 제2 집게부가 멀어지고,
    상기 핸들 프레임부를 수용하는 상부 프레임부;
    상기 한 쌍의 제1 집게부와 연결되되, 상기 진동체와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측면 프레임부와 동시에 결합되되, 상기 진동체의 진동을 흡수하는 댐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부의 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단부보다 수직 방향으로 높게 위치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부는,
    상기 댐퍼부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제3 상부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부는,
    상기 제1 집게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측면 프레임부의 일단에서 꺾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댐퍼부의 상부에 맞닿아 결합되는 제2 측면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프레임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댐퍼부 및 상기 제3 상부 프레임부 순으로 위치되어 상기 댐퍼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되는 것인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스프링인 것인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는 고무 댐퍼인 것인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프레임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핸들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케이블부는 상호 교차되어 상기 핸들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것인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KR1020200187325A 2020-12-30 2020-12-30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KR102266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325A KR102266026B1 (ko) 2020-12-30 2020-12-30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PCT/KR2021/016709 WO2022145717A1 (ko) 2020-12-30 2021-11-16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325A KR102266026B1 (ko) 2020-12-30 2020-12-30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026B1 true KR102266026B1 (ko) 2021-06-17

Family

ID=7660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325A KR102266026B1 (ko) 2020-12-30 2020-12-30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6026B1 (ko)
WO (1) WO202214571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8726A (zh) * 2021-12-31 2022-03-22 安徽功茗坊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人工抖动辅助分离幼虫的取浆设备
WO2022145717A1 (ko) * 2020-12-30 2022-07-07 (주)매일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KR20240002527A (ko) 2022-06-29 2024-01-05 정혁 자동 벌집 인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739A (ko) * 2012-10-11 2014-04-21 장재욱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KR101699605B1 (ko) 2015-02-17 2017-02-03 장재욱 자동 소비 탈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42B1 (ko) * 2012-06-29 2014-06-25 장재욱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KR101658715B1 (ko) * 2014-12-24 2016-09-22 장재욱 양봉용 소비 집게
KR200481444Y1 (ko) * 2015-02-11 2016-10-04 주식회사 현대에이엠 벌통에서 소비판을 인출하기 위한 집게
KR20180056457A (ko) * 2016-11-18 2018-05-29 평화양봉영농조합법인 탈봉기
KR102266026B1 (ko) * 2020-12-30 2021-06-17 (주)매일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739A (ko) * 2012-10-11 2014-04-21 장재욱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KR101699605B1 (ko) 2015-02-17 2017-02-03 장재욱 자동 소비 탈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717A1 (ko) * 2020-12-30 2022-07-07 (주)매일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CN114208726A (zh) * 2021-12-31 2022-03-22 安徽功茗坊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人工抖动辅助分离幼虫的取浆设备
KR20240002527A (ko) 2022-06-29 2024-01-05 정혁 자동 벌집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45717A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026B1 (ko) 작업 효율이 향상된 진동 탈봉기
AU2018398314B2 (en) Rideable electric mower
JP2014014340A (ja) きのこの収穫装置
BR112016015749B1 (pt) Dispositivo de corte para desgalhar uma árvore viva
US20100012338A1 (en) Bush Cutter
JP2015216893A (ja) きのこの収穫装置
KR20140046739A (ko) 양봉용 자동 탈봉장치
ITFI20070165A1 (it) "pinza vibrante a forza di serraggio regolabile, per la raccolta di frutti"
CN206641246U (zh) 一种控鱼器
KR102468529B1 (ko) 탈봉기
JP2016036278A (ja) 鱗茎野菜収穫機
JP7276764B2 (ja) 莢付き作物収穫機
JP2011010619A (ja) 軟弱野菜収穫機
CN207284759U (zh) 一种方便取放蜂箱的养蜂车
CN111070217B (zh) 一种基于无人机搭载机械臂的采茶装置
RU235945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осковой мисочки для вывода пчелиной матки и шаблон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348714Y1 (ko) 계상 벌통 리프트
KR101137233B1 (ko) 핀셋을 갖는 렌즈 케이스
JP6619219B2 (ja) トウモロコシ収穫機
CN212278917U (zh) 一种芒果种植用采收器
JP5266971B2 (ja) 野菜収穫機
JP7104597B2 (ja) 電気掃除機
CN218278272U (zh) 一种便携式鸡蛋拾取装置
CN212087067U (zh) 一种便于使用的农作物采收用运输车
CN218587832U (zh) 一种树木移植保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