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320B1 -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 Google Patents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320B1
KR102265320B1 KR1020190030898A KR20190030898A KR102265320B1 KR 102265320 B1 KR102265320 B1 KR 102265320B1 KR 1020190030898 A KR1020190030898 A KR 1020190030898A KR 20190030898 A KR20190030898 A KR 20190030898A KR 102265320 B1 KR102265320 B1 KR 102265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value
blocking unit
power
overvoltage
overvoltag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343A (ko
Inventor
윤건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320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4Snubb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에 접속되고,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 값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1 과전압 차단부,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2 과전압 차단부 및 제2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제1 과전압 차단부는, 입력 전원의 전압 값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제1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 소정 전압 값의 전원을 출력하고, 제2 과전압 차단부는,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이, 소정 전압 값 보다 큰 제2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적어도 일부가 접지단으로 흐르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지와 같은 높은 전압 값을 가지는 과전압의 유입으로부터 회로 소자들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압 값이 다소 작으나, 회로 소자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전압의 유입으로부터 회로 소자들을 보호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전압 유입으로부터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관한 것이다.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다. 또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소정 공간에서 사용되는 공기조화기, 세탁기, 냉장고 등 홈 어플라이언스들은 각각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고유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와 같은 전자 기기는, 외부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정류하고, 정류된 직류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한편, 전자 기기의 정격 전압보다 높은 과전압이 외부 교류 전원으로부터 유입되는 경우, 전자 기기의 소자들이나 시스템의 손상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기기들에 과전압 보호회로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과전압 보호회로는, 바리스터(variable resistor; varistor) 등을 구비하고, 일정 전압 값 이상의 서지(surge)와 같은 과전압이 유입되는 경우 동작하여, 과전압을 차단 및 안전한 레벨의 전압으로 제한(clamping)함으로써 회로 및 전자 기기를 보호한다.
그러나 과전압 보호회로의 동작 기준이 되는 전압 값이 낮은 경우, 서지와 같은 과전압의 유입 시, 회로 소자들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과전압 보호회로의 동작 기준이 되는 전압 값이 높은 경우, 기존의 과전압 보호회로만으로는, 과전압 보호회로의 동작 기준이 되는 전압 값보다는 다소 낮으나, 회로 소자들의 손상을 충분히 야기할 수 있는 전압의 유입으로부터 회로 소자들의 손상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전압 값 구간에 해당하는 과전압의 유입으로부터 회로 소자 및 전자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소정 전압 값 이상의 과전압이 유입되는 경우 동작하는 제1 과전압 차단부와, 소정 전압 값보다는 작으나, 회로 소자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전압 값 이상의 전압이 유입되는 경우 동작하는 제2 과전압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는, 상용 교류 전원에 접속되고,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 값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1 과전압 차단부,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2 과전압 차단부 및 제2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제1 과전압 차단부는, 입력 전원의 전압 값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제1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 소정 전압 값의 전원을 출력하고, 제2 과전압 차단부는,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이, 소정 전압 값 보다 큰 제2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적어도 일부가 접지단으로 흐르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상용 교류 전원에 접속되고,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 값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1 과전압 차단부,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2 과전압 차단부 및 제2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제1 과전압 차단부는, 입력 전원의 전압 값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입력 전원의 전압 값보다 작은 소정 전압 값의 전원을 출력하고, 제2 과전압 차단부는,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이, 소정 전압 값 보다 큰 제2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적어도 일부가 접지단으로 흐르도록 동작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지와 같은 높은 전압 값을 가지는 과전압의 유입으로부터 회로 소자들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압 값이 다소 작으나, 회로 소자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전압의 유입으로부터 회로 소자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의 내구성이 증가되고,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너버(snubber) 회로를 통해, 전자파 장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어, 전자파 적합성(EMC)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잡하고 고비용의 회로 소자가 아닌, 저항, 커패시터, 다이오드 등 비교적 간단한 회로 소자를 사용하므로, 그 구현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유입에 따른, 제1 과전압 차단부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유입에 따른, 제2 과전압 차단부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예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예인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200)는, 제1 과전압 차단부(210), 필터부(220), 제2 과전압 차단부(230) 및/또는 정류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과전압 차단부(210)는,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Vs)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과전압 차단부(210)는, 예를 들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할 수 있는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과전압 차단부 (210)는, 예를 들면, 제1 기준 전류 값 이상의 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소자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전압 값 또는 제1 기준 전류 값은, 예를 들면, 전력변환장치(200)에 구비된 소자들의 정격 전류, 정격 전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과전압 차단부(210)는, 예를 들면, TVS 다이오드(Transient-voltage-suppression diode), 바리스터(varis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과전압 차단부(210)는,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Vs)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 값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과전압 차단부(210)는, 상용 교류 전원(Vs)으로부터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 이상의 과전압이 유입되는 경우, 과전압을 클램핑(clamping)시켜, 제1 과전압 차단부(210)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이 일정 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필터부(220)는, 예를 들면, 교류 전원과 함께 들어오는 잡음(noise)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부(220)는, 예를 들면, 제1 과전압 차단부(210)의 출력단에 접속될 수 있다.
필터부(220)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부(220)는, 예를 들면, 커패시터 소자, 저항 소자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필터부(220)는 상기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고,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필터링 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과전압 차단부(230)는, 예를 들면, 제1 과전압 차단부(210)의 출력단 또는 필터부(220)의 출력단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과전압 차단부(230)는, 예를 들면, 제2 기준 전압 값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할 수 있는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과전압 차단부 (230)는, 예를 들면, 제2 기준 전압 값 이상의 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소자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전압 값 또는 제2 기준 전류 값은, 예를 들면, 전력변환장치에 구비된 소자들의 정격 전류, 정격 전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기준 전압 값 및 제2 기준 전류 값은, 예를 들면, 제1 기준 전압 값 및 제1 기준 전류 값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과전압 차단부(230)는, 예를 들면, TVS 다이오드, 바리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과전압 차단부(230)는, 예를 들면, 제1 과전압 차단부(21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 값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과전압 차단부(230)는,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 이상의 과전압이 유입되는 경우, 과전압을 클램핑시켜, 제2 과전압 차단부(230)의 출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이 일정 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과전압 차단부(230)에서의 항복 전압의 전압 값은, 예를 들면, 제1 과전압 차단부(210)에서의 항복 전압의 전압 값 보다 작을 수 있다.
정류부(240)는, 예를 들면, 입력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정류부(240)는, 예를 들면,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Vs)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용 교류 전원(Vs)이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정류부(240)는, 예를 들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Half-Bridge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부(240)는,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Vs)이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 예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과전압 차단부(210)는,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Vs)에 접속되는 복수의 바리스터(211a, 21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바리스터(211a) 및 제2 바리스터(211b)는, 예를 들면, 제한형(limiting type)의 순간 과전압(surge) 보호 회로 소자로서, 전압에 대한 전류의 특성이 비선형으로 나타나는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리스터(211a) 또는 제2 바리스터(211b)는, 양단 전압이 소정 전압 값 이상이면,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저감되며 많은 전류를 흘려 양단 전압을 일정 전압 값 이하로 클램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Vs)의 전압 값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제1 바리스터(211a) 및 제2 바리스터(211b)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1 및 제2 바리스터(211a, 211b)의 노멀 전압(normal voltage)은, 전원이 불안정한 지역의 특성, 회로 소자들의 정격 전류, 정격 전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바리스터(211a, 211b)의 노멀 전압(normal voltage)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바리스터(211a) 및 제2 바리스터(211b)는, 예를 들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리스터(211a)의 일단 및 제2 바리스터(211b)의 일단은 상용 교류 전원(Vs)에 각각 접속될 수 있고, 제1 바리스터(211a)의 타단 및 제2 바리스터(211b)의 타단은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과전압 차단부(210)는, 예를 들면, 서지 흡수기(surge absorber)(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지 흡수기(212)는, 예를 들면, 제1 바리스터(211a)의 타단과 제2 바리스터(211b)의 타단이 접속된 노드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과전압 차단부(210)는, 예를 들면, 스너버 회로(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너버 회로(213)는, 예를 들면, 서지 흡수기(212)에 접속될 수 있다. 스너버 회로(213)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부(220)는, 예를 들면, 제1 과전압 차단부(21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복수의 인덕터 소자(L1, L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부(220)는 상기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고,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필터링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과전압 차단부(230)는, 예를 들면, 필터부(22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231a, 23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231a) 및 제2 스위칭 소자(231b)는, 예를 들면, 전압에 대한 전류의 특성이 비선형으로 나타나는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위칭 소자(231a) 및 제2 스위칭 소자(231b)는, 양단 전압이 소정 전압 값 이상이면,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저감되며 많은 전류를 흘려 양단 전압을 일정 전압 값 이하로 클램핑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231a) 및 제2 스위칭 소자(231b)는, 예를 들면, TVS 다이오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부(2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이 제2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제1 스위칭 소자(231a) 및 제2 스위칭 소자(231b)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231a, 231b)의 항복 전압은, 전원이 불안정한 지역의 특성, 회로 소자들의 정격 전류, 정격 전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231a, 231b)의 항복 전압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2 과전압 차단부(230)는, 예를 들면, 접지단에 접속되는 일방향 도통 소자(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방향 도통 소자(232)는, 예를 들면, 애노드(anode)가 제1 스위칭 소자(231a) 및 제2 스위칭 소자(231b)가 서로 접속된 노드에 접속되고, 캐소드(cathode)가 접지단에 접속되는 다이오드일 수 있다.
일방향 도통 소자(232)는, 예를 들면, 접지단으로부터 유입되는 잡음(noise)를 차단할 수 있다.
제2 과전압 차단부(230)는, 예를 들면, 스너버 회로(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너버 회로(233)는, 예를 들면, 제1 스위칭 소자(231a), 제2 스위칭 소자(231b) 및/또는 일방향 도통 소자(232)에 접속될 수 있다. 스너버 회로(233)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유입에 따른, 제1 과전압 차단부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준 전압 값(예: 600 V) 이상의 전압(예: 650 V)이 제1 과전압 차단부(210)로 입력되는 경우, 제1 과전압 차단부(210)에 구비된 제1 바리스터(211a) 및 제2 바리스터(211b)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한편, 상용 교류 전원(Vs)으로부터 제1 기준 전압 값(예: 600 V) 이상의 전압(예: 650 V)이 제1 과전압 차단부(210)로 입력되는 경우, 제1 과전압 차단부(210)는, 소정 전압 값(예: 540 V)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과전압 차단부(23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231a, 231b)는, 제1 과전압 차단부(210)로부터 제2 기준 전압 값(예: 550V) 이상의 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1 과전압 차단부(210)로부터 소정 전압 값(예: 540 V)의 전원이 출력되는 경우, 제1 과전압 차단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제2 과전압 차단부(21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231a, 231b)를 통해 흐르지 않고, 정류부(240)로 흐를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유입에 따른, 제2 과전압 차단부의 동작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기준 전압 값(예: 600 V) 미만의 전압(예: 595 V)이 제1 과전압 차단부(210)로 입력되는 경우, 상용 교류 전원(Vs)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제1 과전압 차단부(210)에 구비된 제1 바리스터(211a) 및 제2 바리스터(211b)를 통해 흐르지 않고, 필터부(220)로 흐를 수 있고, 제1 과전압 차단부(210)에 입력된 전압(예: 595 V)이 제1 과전압 차단부(21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과전압 차단부(210)로부터 제2 기준 전압 값(예: 550V) 이상의 전압이 출력되는 경우, 제2 과전압 차단부(23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231a, 231b)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과전압 차단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231a, 231b)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용 교류 전원(Vs)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예: 595 V)이, 제1 과전압 차단부(210)의 동작의 기준이 되는 제1 기준 전압 값(예: 600 V)보다는 작으나, 회로 소자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과전압인 경우, 해당 과전압이 제1 과전압 차단부(210)에서 차단되지 못하더라도, 제2 과전압 차단부(230)를 통해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지와 같은 높은 전압 값을 가지는 과전압의 유입으로부터 회로 소자들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압 값이 다소 작으나, 회로 소자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전압의 유입으로부터 회로 소자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 예인 공기조화기의 구성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기(31), 실내기(31)에 연결되는 실외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도면에서는, 스탠드형 실내기(31)를 예시한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31) 및 실외기(21)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1)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원격제어기(미도시) 또는 실내기(31)의 요구(demand)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되는 실내기(31)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실외기(21)는, 연결된 실내기(31)로 압축된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외기(21)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외기(21) 및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실외기 및 실내기는 원격제어기(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격제어기(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다.
리모컨(미도시)는, 예를 들면, 실내기(31)에 연결되어, 실내기(31)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달하고, 실내기(31)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은 실내기(3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 예인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5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크게 실내기(31)와 실외기(21)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21)는, 예를 들면,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b)와, 압축기(102b)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측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 열교환기(108)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예를 들면,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예를 들면,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외기(21) 및/또는 실내기(31)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력변환장치(200)를 구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00: 전력변환장치
210: 제1 과전압 차단부
220: 필터부
230: 제2 과전압 차단부
240: 정류부
Vs: 상용 교류 전원

Claims (10)

  1. 상용 교류 전원에 접속되고, 상기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 값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1 과전압 차단부;
    상기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2 과전압 차단부; 및
    상기 제2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과전압 차단부는,
    상기 입력 전원의 전압 값이 제1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기준 전압 값보다 작은 소정 전압 값의 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제2 과전압 차단부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상기 정류부의 출력단 중 다른 하나에 일단이 접속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타단에 타단이 접속되는 제2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타단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타단이 접속된 노드에 애노드가 접속되고, 접지단에 캐소드가 접속되는,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이, 상기 소정 전압 값 보다 큰 제2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지단으로 흐르도록,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전압 차단부와 상기 제2 과전압 차단부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에 포함된 잡음(noise)를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1 과전압 차단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전압 값이 상기 제2 기준 전압 값 이상인 경우, 턴-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는, TVS 다이오드(transient-voltage-suppression diode) 및 바리스터(varisto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전압 차단부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타단 및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타단이 접속된 노드와, 상기 다이오드 소자 사이에 접속되는 스너버(snubber)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너버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저항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전압 차단부는,
    상기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원의 전압 값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리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전압 차단부는,
    서로 직렬 연결되는 제1 바리스터 및 제2 바리스터;
    상기 제1 바리스터와 상기 제2 바리스터가 접속되는 노드에 일단이 연결되는 서지 흡수기(surge absorber); 및
    상기 서지 흡수기의 타단에 연결되는 스너버(snubber)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변환장치.
  10.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전력변환장치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0190030898A 2019-03-19 2019-03-19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265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98A KR102265320B1 (ko) 2019-03-19 2019-03-19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98A KR102265320B1 (ko) 2019-03-19 2019-03-19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43A KR20200111343A (ko) 2020-09-29
KR102265320B1 true KR102265320B1 (ko) 2021-06-14

Family

ID=7266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898A KR102265320B1 (ko) 2019-03-19 2019-03-19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3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9350A (ja) * 2010-10-06 2013-10-17 アルストム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送電網の過渡過電圧からesp電源を保護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7011888A (ja) * 2015-06-23 2017-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CN207251465U (zh) 2017-10-16 2018-04-17 重庆吉力芸峰实业(集团)有限公司 逆变器及其电压尖峰吸收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3491A1 (en) * 2007-06-07 200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ed-mode power supply quasi-resonant converter, switch control circuit controlling switching operations of switched-mode power supply quasi-resonant converter, and input signal processing circuit connected to control integrated circuit of switch control circu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39350A (ja) * 2010-10-06 2013-10-17 アルストム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送電網の過渡過電圧からesp電源を保護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7011888A (ja) * 2015-06-23 2017-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CN207251465U (zh) 2017-10-16 2018-04-17 重庆吉力芸峰实业(集团)有限公司 逆变器及其电压尖峰吸收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43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9180B2 (en) Motor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US10411619B2 (en) Motor controller, drive circuit, and methods for combined electric motor control
KR20060085937A (ko) 모터 구동용 인버터 제어 장치
KR102543891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1979452B1 (ko) Emi 노이즈 저감을 위한 액티브 노이즈 필터
KR102034658B1 (ko) Emi 노이즈 저감을 위한 액티브 노이즈 필터
KR102265320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WO2019003834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KR102206470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114308B1 (ko) 공기조화기
KR102135085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201561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6538418B2 (ja) 電源回路及びそ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
KR102145893B1 (ko) 모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2206469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1895486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099130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200058825A (ko) 공기조화기
KR20190096725A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178489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190108000A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110536B1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201291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260614B1 (ko) 공기조화기
KR100480110B1 (ko) 멀티에어컨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