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185B1 -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 - Google Patents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185B1
KR102265185B1 KR1020190114679A KR20190114679A KR102265185B1 KR 102265185 B1 KR102265185 B1 KR 102265185B1 KR 1020190114679 A KR1020190114679 A KR 1020190114679A KR 20190114679 A KR20190114679 A KR 20190114679A KR 102265185 B1 KR102265185 B1 KR 102265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lower ring
completed
electrolyte leak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221A (ko
Inventor
최석모
이응래
방성필
Original Assignee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1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61Hollow metallic terminals, e.g. terminal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조 공정을 이용하여 배터리 단자의 외형을 완성하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와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를 배터리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하기 위하여 전조가공돌기부(110)를 일정 간격 다수 측면에 구성하고 있는 전조가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를 가공하는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를 거치게 되면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보다 길게 되며, 이동 방향을 다수 바꾸게 됨으로써,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보다 길게 되며, 이동 방향을 다수 바꾸게 됨으로써,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Manufacturing method of automotive battery terminal with electrolyte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조 공정을 이용하여 배터리 단자의 외형을 완성하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와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를 배터리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하기 위하여 전조가공돌기부(110)를 일정 간격 다수 측면에 구성하고 있는 전조가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를 가공하는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를 거치게 되면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보다 길게 되며, 이동 방향을 다수 바꾸게 됨으로써,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를 보호하는 커버는 배터리의 단자에 연결되는 케이블에 구비되는 외부 단자와 배터리 단자를 보호하도록 덮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배터리 단자와 이에 결합되는 외부 단자가 외부의 요인으로 인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신체에 접촉하게 되어 감전이 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의 커버는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를 각각 덮어 상호 쇼트되는 것도 방지한다.
그러나, 배터리 단자에 외부 단자가 연결되고 고정너트로 고정하여 기계적 결합되는 과정 중에 고정너트가 누락되거나 불완전하게 체결되는 경우에 배터리 단자커버로 배터리 단자를 차폐하면 외부에서는 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터리 단자를 포함하고 있는 납축전지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동용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납축전지) 단자의 재질은 납으로 구성되고 단자 하부의 외부는 플라스틱 수지로 덥히고 하부의 내부는 공기와 전해액에 접촉된다.
배터리 충전 중 가스가 발생되며 가스 및 전해액은 단자와 플라스틱 수지사이의 계면으로 누출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제조회사에서는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단자하부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단자하부에 특수 코팅액을 도포하여 계면으로 누액 차단을 하고 있으나, 이를 위하여 별도의 누액 방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적으로 소요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조 원가 및 제조 시간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단자에 전해액 누출방지 구조가 채택된 새로운 기술이 채택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의 개발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16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86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701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보다 길게 되며, 이동 방향을 다수 바꾸게 됨으로써, 누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은,
주조 공정을 이용하여 배터리 단자의 외형을 완성하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와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를 배터리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하기 위하여 전조가공돌기부(110)를 일정 간격 다수 측면에 구성하고 있는 전조가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를 가공하는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는,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보다 길게 되며, 이동 방향을 다수 바꾸게 됨으로써,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의 주조 공정을 통해 완성된 배터리 단자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의 주조 공정을 통해 완성된 배터리 단자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의 주조 공정을 통해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은,
주조 공정을 이용하여 배터리 단자의 외형을 완성하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와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를 배터리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하기 위하여 전조가공돌기부(110)를 일정 간격 다수 측면에 구성하고 있는 전조가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200)의 하부링형상부(210)를 가공하는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200)는,
원통 형상의 접촉단자부(230);와
상기 접촉단자부의 하측에 수평하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돌출부(220);와
상기 수평돌출부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링 형태의 하부링형상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는,
좌측이 우측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외측상승경사부(211);와
상기 제1외측상승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좌측이 우측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외측하강경사부(212);와
상기 제1외측하강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라운드지게 형성된 하측라운드부(213);와
상기 하측라운드부의 상측 끝부분과 연이어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좌측보다 우측이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방향상승경사부(214);와
상기 내측방향상승경사부의 우측 끝부분과 연이어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우측보다 좌측이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외측방향상승경사부(215);와
상기 외측방향상승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측라운드부(216);와
상기 상측라운드부의 상측 끝부분과 연이어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좌측이 우측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2외측하강경사부(217);와
상기 제2외측하강경사부의 우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좌측이 우측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2외측상승경사부(218);를 포함하는 하부링길이증가수단을 일정 간격 다수 형성함으로써, 누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보다 길게 되며, 이동 방향을 다수 바꾸게 됨으로써, 누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은,
주조 공정을 이용하여 배터리 단자의 외형을 완성하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와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를 배터리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하기 위하여 전조가공돌기부(110)를 일정 간격 다수 측면에 구성하고 있는 전조가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를 가공하는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은 2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주조 공정과 전조 가공 공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의 주조 공정을 통해 완성된 배터리 단자 단면도이다.
상기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는 주조 공정을 거쳐 도 2와 같은 배터리 단자를 완성하게 된다.
즉, 상기 배터리 단자(200)는,
원통 형상의 접촉단자부(230);와
상기 접촉단자부의 하측에 수평하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돌출부(220);와
상기 수평돌출부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링 형태의 하부링형상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배터리 단자(200)의 상측은 원통 형상의 접촉단자부(230)를 형성하게 되며, 접촉단자부의 하측에 수평하게 돌출되게 수평돌출부(22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돌출부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링 형태의 하부링형상부(210)가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의 주조 공정을 통해 완성된 배터리 단자 단면도이다.
이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조가공돌기부(110)를 일정 간격 다수 측면에 구성하고 있는 전조가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를 배터리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전조가공돌기부(110)를 일정 간격 다수 측면에 구성하고 있는 전조가공장치(100)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구성하고, 이를 동력수단에 의해 동작시켜 하나는 상측 방향으로 다른 하나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터리 단자를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200)의 하부링형상부(210)를 가공하여 도 4와 같은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의 주조 공정을 통해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는,
좌측이 우측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외측상승경사부(211);와
상기 제1외측상승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좌측이 우측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외측하강경사부(212);와
상기 제1외측하강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라운드지게 형성된 하측라운드부(213);와
상기 하측라운드부의 상측 끝부분과 연이어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좌측보다 우측이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방향상승경사부(214);와
상기 내측방향상승경사부의 우측 끝부분과 연이어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우측보다 좌측이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외측방향상승경사부(215);와
상기 외측방향상승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측라운드부(216);와
상기 상측라운드부의 상측 끝부분과 연이어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좌측이 우측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2외측하강경사부(217);와
상기 제2외측하강경사부의 우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좌측이 우측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2외측상승경사부(218);를 포함하는 하부링길이증가수단을 일정 간격 다수 형성함으로써, 누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1외측상승경사부(211)가 좌측이 우측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게 되며, 상기 제1외측상승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제1외측하강경사부(212)가 형성되되, 좌측이 우측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외측하강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하측라운드부(213)가 형성되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측라운드부의 상측 끝부분과 연이어 내측방향으로 내측방향상승경사부(214)가 형성되되, 좌측보다 우측이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측방향상승경사부의 우측 끝부분과 연이어 외측방향으로 외측방향상승경사부(215)가 형성되되, 우측보다 좌측이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방향상승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상측라운드부(216)가 형성되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측라운드부의 상측 끝부분과 연이어 내측방향으로 제2외측하강경사부(217)가 형성되되, 좌측이 우측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외측하강경사부의 우측 끝부분과 연이어 제2외측상승경사부(218)를 형성하게 되는데, 좌측이 우측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1외측상승경사부(211) 내지 제2외측상승경사부(218)를 포함하는 하부링길이증가수단을 일정 간격 다수 형성함으로써, 누액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3개의 하부링길이증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보다 길게 되며, 이동 방향을 다수 바꾸게 됨으로써, 누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와 같은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보다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가 길게 형성되게 되면서 동시에 이동 방향을 여러번 바꾸게 되어 전해액이 누출될 경우에 그 이동 경로가 복잡하게 되어 누액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보다 길게 되며, 이동 방향을 다수 바꾸게 됨으로써,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전조가공장치
200 : 배터리 단자

Claims (5)

  1.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에 있어서,
    주조 공정을 이용하여 배터리 단자의 외형을 완성하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와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를 배터리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하기 위하여 전조가공돌기부(110)를 일정 간격 다수 측면에 구성하고 있는 전조가공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200)의 하부링형상부(210)를 가공하는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를 포함하되,
    상기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200)는,
    원통 형상의 접촉단자부(230);와
    상기 접촉단자부의 하측에 수평하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돌출부(220);와
    상기 수평돌출부의 하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링 형태의 하부링형상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는,
    좌측이 우측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외측상승경사부(211);와
    상기 제1외측상승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좌측이 우측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외측하강경사부(212);와
    상기 제1외측하강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라운드지게 형성된 하측라운드부(213);와
    상기 하측라운드부의 상측 끝부분과 연이어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좌측보다 우측이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방향상승경사부(214);와
    상기 내측방향상승경사부의 우측 끝부분과 연이어 외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우측보다 좌측이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외측방향상승경사부(215);와
    상기 외측방향상승경사부의 좌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측라운드부(216);와
    상기 상측라운드부의 상측 끝부분과 연이어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되, 좌측이 우측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2외측하강경사부(217);와
    상기 제2외측하강경사부의 우측 끝부분과 연이어 형성되되, 좌측이 우측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2외측상승경사부(218);를 포함하는 하부링길이증가수단을 일정 간격 다수 형성함으로써, 누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해액누출방지구조형성단계(S2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에 형성된 전해액 누액방지구조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는,
    배터리단자외형완성단계(S100)에서 완성된 배터리 단자의 하부링형상부(210)에 의한 누액 이동 경로보다 길게 되며, 이동 방향을 다수 바꾸게 됨으로써, 누액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4679A 2019-09-18 2019-09-18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 KR102265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679A KR102265185B1 (ko) 2019-09-18 2019-09-18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679A KR102265185B1 (ko) 2019-09-18 2019-09-18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21A KR20210033221A (ko) 2021-03-26
KR102265185B1 true KR102265185B1 (ko) 2021-06-15

Family

ID=75259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679A KR102265185B1 (ko) 2019-09-18 2019-09-18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9895A3 (en) 2021-03-15 2022-10-05 SK On Co., Ltd. Cath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7045B2 (ja) * 2010-03-30 2014-07-09 古河電池株式会社 ブッシングの製造方法、及び、ブッシングの鋳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8631B1 (ko) 2004-06-23 2006-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커버
GB2420300B (en) * 2004-11-17 2007-01-10 Accuma Plastic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terminal for a lead-acid type accumulator and a terminal manufactured therewith
KR100961668B1 (ko) 2008-05-16 2010-06-09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의 배터리 단자 보호용 캡
KR101327013B1 (ko) 2012-08-06 2013-11-13 세방전지(주) 자동차용 배터리의 일체형 단자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7045B2 (ja) * 2010-03-30 2014-07-09 古河電池株式会社 ブッシングの製造方法、及び、ブッシングの鋳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221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4603B2 (en) Power source connection system
KR102265185B1 (ko) 전해액 누출방지구조를 구성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단자
US7229304B2 (en) Connector for pyrotechnic applications
US10014622B2 (en) Connector
JP5933368B2 (ja) コネクタ
US9912132B2 (en) Shielded conduction path
US10153465B2 (en) Top cap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KR20130016248A (ko) 재충전식 배터리용 커넥팅 폴 및 재충전식 배터리 하우징
US10348002B2 (en) Wiring member having molded part
US9462730B2 (en) Shield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10140479A1 (en) Anti-electrolytic corrosion bearing
KR102423717B1 (ko) 파이로테크닉 스퀴브 및 파이로테크닉 스퀴브 제조 방법
US9257781B2 (en) Tight-sealing embodiment of a plug
CN105281157A (zh) 电源线组件
JP6897620B2 (ja) ワイヤハーネス
CN107925044B (zh) 电池连接单元及包括该电池连接单元的电池组
US10431356B2 (en) Molded part-equipped electrical cable and molded part-equipped electrical cable manufacturing method
US20070202730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fitting structure
JP6973245B2 (ja) ワイヤハーネス
CN106079235A (zh) 用于制造电开关设备的方法和有增强气密性的电开关设备
JP5664156B2 (ja) 端子用のキャップ
JP2020025416A (ja) ケーブルの止水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219498193U (zh) 一种防误碰端子保护罩及端子安装结构
US20230402726A1 (en) Fingerproof terminal arrangement for high-voltage applications
JP6080596B2 (ja) ワイヤハーネス導出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