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937B1 - 레버 타입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 타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937B1
KR102264937B1 KR1020200014514A KR20200014514A KR102264937B1 KR 102264937 B1 KR102264937 B1 KR 102264937B1 KR 1020200014514 A KR1020200014514 A KR 1020200014514A KR 20200014514 A KR20200014514 A KR 20200014514A KR 102264937 B1 KR102264937 B1 KR 10226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interlocking
moving plate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14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양측면에 힌지돌기를 돌출 형성된 제 1하우징, 제 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기 위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의 내부 양측면에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한 제 2하우징, 힌지돌기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설정 궤적을 따라 가이드홈부를 형성하여 대응되는 가이드돌기를 수용한 채 힌지돌기를 기준으로 회전 조작시 제 1하우징을 제 2하우징 내부로 삽입 유도하는 레버, 및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레버의 회전 조작에 연동되면서 제 2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연동무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레버의 회전 조작에 연동되어 수하우징과 암하우징의 결합과 함께 무빙플레이트를 수하우징에 삽입하거나 분리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의 조립성 및 분해성이 향상되고, 레버의 회전 조작시 무빙플레이트가 자연적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무빙플레이트와 수하우징의 걸림부위가 해제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와 수하우징의 강제 탄성 변형에 따른 원복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버 타입 커넥터{LEVER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의 회전 조작에 연동되어 수하우징과 암하우징의 결합과 함께 무빙플레이트를 수하우징에 삽입하거나 분리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의 조립성 및 분해성이 향상되고, 레버의 회전 조작시 무빙플레이트가 자연적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무빙플레이트와 수하우징의 걸림부위가 해제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와 수하우징의 강제 탄성 변형에 따른 원복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한 쌍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여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커넥터에 설치되는 터미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간의 결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도 역시 증가하게 됨에 따라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에는 레버를 이용하여 커넥터들이 지렛대의 원리로 결합되는 레버 회전형 커넥터가 사용되었다.
종래의 레버 회전형 커넥터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수커넥터와, 수커넥터의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외부에는 회전축이 구비되는 암커넥터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암커넥터에 조립되어 회전하면서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체결시키는 레버(30)로 구성되어 있다.
수커넥터에는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의 결합과정에서 레버의 가고정편의 선단 중 나머지 일부와 간섭되어 가고정편이 걸린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편을 구비하여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에 체결되기 전에는 레버가 암커넥터에 일정 각도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에 체결될 때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레버 회전형 커텍터에 있어서, 수커넥터에 구비된 메일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가 상호 결합시에 암커넥터의 오삽입 및 공구간섭 등으로 인하여 메일단자가 변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조립과정 및 분리과정에서 수리를 완료한 후에 재체결할 경우에 단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커넥터가 불완전 체결되어 회로 기능에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분리시에 가이드플레이트가 원활하게 상측으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단자의 노출 길이를 최소화시켜 암,수커넥터를 조립시나 분리시에 단자의 휨을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는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한 커넥터가 제안된 바 있다.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320881호(발명의 명칭: 단자가이드를 갖는 커넥터, 등록일: 2013.10.16.)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레버 타입의 차량용 커넥터는 단자가이드를 숫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 단자가이드를 외측 방향(X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함에 따라 단자가이드, 및 단자가이드가 삽입된 암하우징이 과도한 벌어짐으로 인해 탄성 복원되지 않아 조립 체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버의 회전 조작에 연동되어 수하우징과 암하우징의 결합과 함께 무빙플레이트를 수하우징에 삽입하거나 분리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의 조립성 및 분해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레버의 회전 조작에 연동되어 무빙플레이트가 자연적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무빙플레이트와 수하우징의 걸림부위가 해제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와 수하우징의 강제 탄성 변형에 따른 원복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는: 양측면에 힌지돌기를 돌출 형성된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기 위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 양측면에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한 제 2하우징; 상기 힌지돌기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설정 궤적을 따라 가이드홈부를 형성하여 대응되는 가이드돌기를 수용한 채 상기 힌지돌기를 기준으로 회전 조작시, 상기 제 1하우징을 상기 제 2하우징 내부로 삽입 유도하는 레버; 및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연동되면서 상기 제 2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연동무빙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무빙플레이트는, 상기 제 1하우징의 하측면에 대향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하우징의 둘레면을 감싸는 사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무빙플레이트는 연동조작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조작시, 상기 제 1하우징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조작부는, 상기 가이드홈부의 궤적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 설정 궤적을 따라 형성된 연동홈부; 및 상기 레버에 돌출 형성되어 대응되는 상기 연동홈부에 삽입된 채,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시 상기 연동홈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무빙플레이트를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는 연동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절개부를 형성하고, 외측면에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절개부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레버의 회전 조작에 연동되어 수하우징과 암하우징의 결합과 함께 무빙플레이트를 수하우징에 삽입하거나 분리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의 조립성 및 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레버의 회전 조작에 연동되어 무빙플레이트가 자연적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무빙플레이트와 수하우징의 걸림부위가 해제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와 수하우징의 강제 탄성 변형에 따른 원복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10)는 제 1하우징(20), 제 2하우징(30), 레버(40), 연동무빙플레이트(50) 및 연동조작부(100)를 포함한다.
제 1하우징(20)은 피메일 터미널(female terminal)을 삽입하는 것으로서 피메일 하우징(female housing)으로 한다. 제 1하우징(2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제 1하우징(20)은 양측 둘레면에 힌지돌기(22)를 돌출 형성한다. 특히, 제 1하우징(20)과 제 2하우징(30)이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 힌지돌기(22)는 제 2하우징(3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 1하우징(20)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다. 힌지돌기(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2하우징(30)은 제 1하우징(20)을 삽입하기 위해 내부공간(32)을 형성한다. 특히, 제 2하우징(30)은 메일 터미널(male terminal)을 삽입하는 것으로서 메일 하우징(male housing)으로 한다. 제 2하우징(3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물론, 제 1하우징(20)이 메일 하우징이고, 제 2하우징(30)이 피메일하우징일 수 있다.
또한, 제 2하우징(30)은 내부공간(32)의 마주하는 내부 양측면에 가이드돌기(34)를 각각 돌출 형성한다.
가이드돌기(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레버(40)는 힌지돌기(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힌지홀(46)을 통공한다.
특히, 레버(4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42), 및 그립(42)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제 2하우징(30)의 양측면에 각각 대향하는 브릿지(44)를 포함한다.
그립(42)과 브릿지(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힌지홀(46)은 브릿지(44)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대응되는 힌지돌기(22)를 삽입한다. 그래서, 레버(40)는 힌지돌기(22)를 기준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하다. 물론, 레버(40)는 회전 각도가 정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레버(40)가 힌지돌기(22)를 기준으로 제 2하우징(30) 방향으로 하향 회전 조작에 연동시, 제 1하우징(20)은 브릿지(44)와 가이드돌기(34)에 의해 제 2하우징(30)의 내부로 설정 깊이만큼 삽입된다.
상세히, 브릿지(44) 각각은 설정된 궤적의 가이드홈부(48)를 형성한다. 가이드홈부(48)는 가이드돌기(34)를 삽입한다. 그래서, 가이드돌기(34)가 대응되는 가이드홈부(48)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40)가 하향 회전 조작시, 제 1하우징(20)이 제 2하우징(3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홈부(48)는 설정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연동무빙플레이트(50)는 제 1하우징(20)과 제 2하우징(30) 사이에 구비되어, 레버(40)의 회전 조작에 연동되어 제 1하우징(20)의 내부공간(32)으로 삽입된다.
특히, 연동무빙플레이트(50)는 베이스플레이트(52) 및 사이드플레이트(54)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52)는 제 1하우징(20)의 하측면에 대향한다. 이에 따라, 제 1하우징(20)과 제 2하우징(30)이 조립시, 베이스플레이트(52)는 상측면이 제 1하우징(20)의 하측면과 면접되고 하측면이 제 2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의 바닥면과 면접된다. 이때, 베이스플레이트(52)는 암터미널 또는 수터미널(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되도록 홀을 통공한다.
그리고, 사이드플레이트(54)는 베이스플레이트(5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하우징(20)의 둘레면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물론, 사이드플레이트(5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사이드플레이트(54)는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56)를 형성한다. 연동무빙플레이트(50)가 제 2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에 완전히 삽입시, 플랜지(56)는 제 2하우징(30)의 상측 테두리 또는 내측의 설정 위치에 접하게 된다.
즉, 플랜지(56)는 제 2하우징(30)으로부터 연동무빙플레이트(50)의 인출을 위해 잡을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연동무빙플레이트(50)가 제 2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으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플랜지(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연동무빙플레이트(50)는 연동조작부(100)에 의해, 레버(40)의 회전 조작시, 제 1하우징(20)과 함께 내부공간(32)으로 삽입된다.
상세히, 연동조작부(100)는 연동홈부(110) 및 연동돌기(120)를 포함한다.
연동홈부(110)는 브릿지(44)의 가이드홈부(48)의 궤적에 대응되도록, 사이드플레이트(54)에 설정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연동돌기(120)는 레버(40)의 브릿지(44)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대응되는 연동홈부(110)에 삽입된다.
그래서, 레버(40)가 하향 회전 조작시, 이에 연동되어, 브릿지(44)는 가이드홈부(48)에 위치 고정된 가이드돌기(34)를 수용한 채 회전됨으로써 당기는 힘의 작용으로 제 1하우징(20)을 제 2하우징(30)의 내부로 삽입하고, 브릿지(44)의 연동돌기(120)가 사이드플레이트(54)의 연동홈부(110)에 삽입되어 사이드플레이트(54)를 당김으로써 연동무빙플레이트(50)를 누르는 힘의 작용으로 제 2하우징(30)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그립(42)은 제 2하우징(30)의 둘레면 외측에 완전히 노출되도록 위치함에 따라, 사용자나 작업자가 그립(42)을 잡고 들어올리기 용이하다.
물론, 가이드홈부(48)와 연동홈부(110)는 대응되게 형성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사이드플레이트(54)는 절개부(132)를 형성하고, 외측면에 걸림돌기(134)를 돌출 형성하며, 제 1하우징(20)은 절개부(132)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사이드플레이트(54)에 의해 걸림돌기(134)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는 걸림홈(136)을 형성한다.
즉, 연동무빙플레이트(50)가 눌려지면서 제 2하우징(30)의 내부공간(32)으로 삽입시, 사이드플레이트(54)는 절개부(132)의 폭이 좁혀지도록 탄성 변형되며, 걸림돌기(134)가 제 2하우징(3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걸림돌기(134)가 걸림홈(136)에 위치할 경우, 사이드플레이트(54)는 탄성 복원력이 발생됨으로써, 걸림돌기(134)는 대응되는 걸림홈(136)에 걸리게 된다.
반대로, 레버(40)가 상향 회전 조작시, 걸림돌기(134)가 대응되는 걸림홈(136)으로부터 강제 이탈되면서 사이드플레이트(54)는 탄성 변형된다.
결과적으로, 걸림돌기(134)가 걸림홈(136)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사용자나 작업자가 연동무빙플레이트(50)의 사이드플레이트(54)를 직접 외력을 통해 외측으로 젖히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커넥터 20: 제 1하우징
22: 힌지돌기 30: 제 2하우징
32: 내부공간 34: 가이드돌기
40: 레버 42: 그립
44: 브릿지 46: 힌지홀
48: 가이드홈부 50: 연동무빙플레이트
52: 베이스플레이트 54: 사이드플레이트
56: 플랜지 100: 연동조작부
110: 연동홈부 120: 연동돌기
132: 절개부 134: 걸림돌기
136: 걸림홈

Claims (4)

  1. 양측면에 힌지돌기를 돌출 형성된 제 1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삽입하기 위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부 양측면에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한 제 2하우징; 상기 힌지돌기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설정 궤적을 따라 가이드홈부를 형성하여 대응되는 가이드돌기를 수용한 채 상기 힌지돌기를 기준으로 회전 조작시, 상기 제 1하우징을 상기 제 2하우징 내부로 삽입 유도하는 레버; 및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에 연동되면서 상기 제 2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연동무빙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무빙플레이트는, 상기 제 1하우징의 하측면에 대향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하우징의 둘레면을 감싸는 사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무빙플레이트는 연동조작부에 의해, 상기 레버의 조작시, 상기 제 1하우징과 함께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힌지돌기를 삽입하여 상기 제 1하우징에 대해 힌지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힌지홀을 통공하며,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연동무빙플레이트가 상기 제 2하우징의 상기 내부공간에 완전히 삽입시, 상기 제 2하우징의 상측 테두리에 접하도록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조작부는,
    상기 가이드홈부의 궤적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 설정 궤적을 따라 형성된 연동홈부; 및
    상기 레버에 돌출 형성되어 대응되는 상기 연동홈부에 삽입된 채, 상기 레버의 회전 조작시 상기 연동홈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무빙플레이트를 상기 내부공간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하는 연동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플레이트는 절개부를 형성하고, 외측면에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절개부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를 탄성적으로 수용하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KR1020200014514A 2020-02-06 2020-02-06 레버 타입 커넥터 KR102264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14A KR102264937B1 (ko) 2020-02-06 2020-02-06 레버 타입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14A KR102264937B1 (ko) 2020-02-06 2020-02-06 레버 타입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937B1 true KR102264937B1 (ko) 2021-06-14

Family

ID=7641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514A KR102264937B1 (ko) 2020-02-06 2020-02-06 레버 타입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9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6163A (ko) * 2012-05-11 2013-11-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20150140262A (ko) * 2012-04-27 2015-12-15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KR20170051901A (ko) * 2015-11-03 2017-05-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20190081684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한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262A (ko) * 2012-04-27 2015-12-15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KR20130126163A (ko) * 2012-05-11 2013-11-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20170051901A (ko) * 2015-11-03 2017-05-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20190081684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유라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한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2697B2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
US7938655B2 (en) Lever-type connector
EP0847108B1 (en) Modular elecrical connector
EP2403073A1 (en) Connector with sliding cam
KR100852823B1 (ko) 삽입력이 낮은 형태의 커넥터
JP4103333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における導通検査方法
JP3755429B2 (ja) コネクタ
JP2001332342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6351415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168906B2 (ja) 分割コネクタ
JPH06290832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401192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KR102264937B1 (ko) 레버 타입 커넥터
US6283799B1 (en) Male and female electrical connectors with terminal locking device for detecting inserted condition of terminals and connector assembly
JP4661910B2 (ja) 分割コネクタ
JP3806912B2 (ja) コネクタ
EP1220365B1 (en) Divided connector
JP3427665B2 (ja) コネクタ
JP2606643Y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767870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0995279B1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KR20070109325A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의 fpc/ffc고정구조
KR102496091B1 (ko) 커넥터
GB2289171A (en) Stirrup lever connector
KR200425344Y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액츄에이터의 fpc/ffc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