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653B1 - 생력적 텐트 지지대 - Google Patents

생력적 텐트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653B1
KR102264653B1 KR1020207003124A KR20207003124A KR102264653B1 KR 102264653 B1 KR102264653 B1 KR 102264653B1 KR 1020207003124 A KR1020207003124 A KR 1020207003124A KR 20207003124 A KR20207003124 A KR 20207003124A KR 102264653 B1 KR102264653 B1 KR 102264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spring
long
force arm
short
hing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731A (ko
Inventor
주어시엔 진
Original Assignee
주어시엔 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어시엔 진 filed Critical 주어시엔 진
Publication of KR2020003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생력적 텐트 지지대는 상판 헤드(1), 하판 헤드(2) 및 당김 로프 구조를 포함하고, 상판 헤드(1)는 복수개의 긴 골격(4)의 내측단에 힌지 결합하고, 하판 헤드(2)는 복수개의 짧은 골격(5)의 내측단에 힌지 결합하고, 짧은 골격(5)의 외측단은 긴 골격(4)의 중간부에 하나씩 대응하며 힌지 결합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비틀림 스프링(31)이 더 설치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비틀림 스프링(31)에는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force arm)(99)과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98)이 설치되고, 긴 골격(4)과 짧은 골격(5)은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99)과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98)에 각각 고정되고; 당김 로프 구조에는 상판 헤드(1)와 하판 헤드(2)를 가깝게 당기는 당김 로프(3)가 포함되고, 당김 로프(3)의 두 핸들은 하판 헤드(2) 하방으로 처진다. 상기 구조는 짧은 골격(5)을 밀어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힘의 제한을 없애고; 사용자가 힘을 쓰는 방향을 하판 헤드(2) 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힘을 쓰도록 바꾸어 키로 인한 제한을 없앴다는 것이다.

Description

생력적 텐트 지지대
본 발명은 여행 제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첩식의 생력적(laborsaving) 텐트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2011년 8월 3일 공개된 중국 특허문헌 CN201915685U는 “간편한 우산형 텐트”를 개시하였으며, 이는 주로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텐트 지지대와, 텐트 지지대 내측에 설치되는 텐트 천으로 구성되고, 상기 텐트 지지대는 지지대 몸체와 3개 이상의 방사상으로 분포하는 지지봉으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지지대 몸체는 주로 상판 헤드 구조와 하판 헤드 구조로 나뉘고, 지지봉은 긴 골격, 짧은 골격 및 1마디 이상의 절첩 골격으로 나뉘고,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은 중간 연결 헤드를 통해 T형으로 힌지 결합하고, 절첩 골격은 절첩 연결 헤드를 통해 긴 골격과 움직이도록 연결되고, 긴 골격은 상판 헤드 구조와 움직이도록 연결되는 지점에 긴 골격 연결 헤드가 설치되고, 짧은 골격은 하판 헤드 구조와 움직이도록 연결되는 지점에 짧은 골격 연결 헤드가 설치된다. 상기 발명은 내구성 있고 견고하며 조립 및 분리할 필요가 없고 상당히 신속하게 텐트를 지탱하고 접을 수 있는 간편한 우산형 텐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텐트를 지탱하고 접는 시간을 절약시켜주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방안은 상판 헤드와 긴 골격 사이, 하판 헤드와 짧은 골격 사이, 긴 골격과 짧은 골격 사이에 힌지 결합 관계가 있으며, 하나의 삼각형을 형성하고, 3개 변은 각각 긴 골격, 짧은 골격 및 상판 헤드에서 하판 헤드 사이의 가상 연결선이다. 텐트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상판 헤드에서 하판 헤드 사이의 가상 연결선이 최대치로 길어지며, 긴 골격과 짧은 골격 사이의 협각이 180°에 무한히 가까워진다. 이 상태에서 짧은 골격을 밀어 회전시키는 포스 암(force arm)이 상당히 짧아지며, 사용자가 텐트를 펼치려 할 경우 아주 큰 힘을 사용해 충분히 큰 모멘트를 형성해야만 짧은 골격을 밀어 회전시키고 긴 골격과 짧은 골격 사이의 협각을 압축시켜 상하판 헤드 간 거리를 좁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텐트 지지대가 비교적 크고 무거워 마찰력도 크기 때문에 텐트를 펼칠 때 사용자의 체력이 비교적 많이 소모되므로 텐트의 사용이 제한된다. 보다 용이한 사용을 위하여, 종래의 텐트 지지대에는 당김 로프 구조를 추가로 채택해 사용자가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 간 거리를 좁힐 때 도움을 준다. 그러나 종래의 당김 로프 구조는 보편적으로 상부 당김 방식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상판 헤드의 상방으로부터 위를 향해 당김 로프를 당겨야만 지지대를 펼칠 수 있으므로, 키가 크기 않은 사용자에게는 상당히 불편하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력적 텐트 지지대를 제공함으로써 두 가지 측면을 개선하였다. 첫 번째는 짧은 골격을 밀어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힘의 제한을 없앴고, 두 번째는 사용자가 힘을 쓰는 방향을 하판 헤드 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힘을 쓰도록 바꾸어 키로 인한 제한을 없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방안을 채택한다. 즉, 생력적 텐트 지지대는 상판 헤드, 하판 헤드 및 당김 로프 구조를 포함하고, 상판 헤드는 복수개의 긴 골격의 내측단에 힌지 결합하고, 하판 헤드는 복수개의 짧은 골격의 내측단에 힌지 결합하고, 짧은 골격의 외측단은 긴 골격의 중간부에 하나씩 대응하며 힌지 결합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비틀림 스프링이 더 설치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비틀림 스프링에는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force arm)과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이 설치되고,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은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과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에 각각 고정되고, 당김 로프 구조에는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를 가깝게 당기는 당김 로프가 포함되고, 당김 로프의 두 핸들은 하판 헤드 하방으로 처진다.
본 방안에서 설계한 생력적 텐트 지지대는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긴 골격의 내측단은 상판 헤드에 힌지 결합되고, 짧은 골격의 내측단은 하판 헤드에 힌지 결합되고, 짧은 골격의 외측단은 긴 골격의 중간부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힌지 결합 구조에는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이 포함되고, 비틀림 스프링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스프링의 양단에는 하나의 포스 암이 각각 인출되어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과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을 형성하고, 상기 2개 포스 암의 탄성 방향은 스프링 권취로 형성되는 원기둥형 공간체의 원주방향이다. 비틀림 스프링의 제1 및 제2 포스 암은 각각 긴 골격 및 짧은 골격에 고정되어,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이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의 힌지 결합 관계에 적용될 수 있으며,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이 열리면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이 방출하는 힘을 얻기 때문에 인력을 줄이거나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방안에서는 아래 방향으로 당기는 당김 로프 구조를 더 설계하여,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이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열린 후 당김 로프를 당겨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를 제자리로 잡아 당기면 텐트 지지대가 완전히 펼쳐지게 하였다. 본 방안에서는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의 힌지 결합 위치를 펼치는 데 소요되는 힘의 문제를 해결하였고, 당김 로프의 당김 방향의 문제도 해결하여 텐트 지지대의 적용 범위를 더욱 넓혀, 더 많은 사람들이 힘과 키의 제한 없이 텐트 지지대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방안 중의 상판 헤드와 긴 골격, 하판 헤드와 짧은 골격, 긴 골격과 짧은 골격 사이의 힌지 결합 매칭 구조는 2018년 5월 31일 제출된 특허출원 CN201820837645.4의 상응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 사이는 위치제한 당김 후크를 통해 축방향으로 위치를 제한한다. 위치제한 당김 후크의 후단은 힌지 결합 방식을 통하여 상판 헤드 또는 하판 헤드 중 하나 상에 설치하고, 상대적인 다른 판 헤드 상에는 위치제한 당김 후크에 대응하는 당김 후크 클램핑 위치를 설치하며, 통상적으로 상기 위치는 형상이 당김 후크의 전단에 매칭되는 아래로 오목한 형상이다.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가 서로 가까워지고 텐트 지지대가 완전히 펼쳐지면, 위치제한 당김 후크의 전단을 당김 후크 클램핑 위치에 클램핑시켜, 외력으로 인해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의 거리가 분리되어 텐트 사이가 자동으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와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로 힌지 결합 형성되는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쌍을 더 설치하고,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상에는 긴 골격 통공과 한 쌍의 힌지 결합축 시트가 설치되고, 힌지 결합축 시트에는 각각 하나의 힌지 결합축공이 설치되고, 힌지 결합축공의 축방향은 긴 골격 통공의 축방향에 수직이고,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에는 짧은 골격 삽입 연결 비관통공(blind hole)과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이 설치되고, 길고 짧은 힌지 결합축 통공의 축방향은 짧은 골격 삽입 연결 비관통공의 축방향에 수직이고, 긴 골격의 중간부는 긴밀하게 매칭되어 긴 골격 통공 내에 삽입 연결되어 고정되고, 짧은 골격의 외측단은 짧은 골격 삽입 연결 비관통공 내에 삽입 연결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핀축은 상기 한 쌍의 힌지 결합축공과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을 동시에 관통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비틀림 스프링은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의 이중 비틀림 스프링이 대칭 설치되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 사이에 제1 포스 암 연결봉이 연결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비틀림 스프링의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의 양단은 하나의 스프링의 외측단에 연결되고, 각 스프링의 내측단에는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이 각각 연결되고,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상에서 힌지 결합축공의 축방향을 따라 제1 포스 암 연결봉 위치제한 홈이 설치되고, 제1 포스 암 연결봉은 제1 포스 암 연결봉 위치제한 홈 내에 매칭되어 걸림 연결되고,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상에는 한 쌍의 서로 평행하는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이 설치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은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에 수직으로 관통하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 사이의 거리는 제1 포스 암 연결봉의 길이에 매칭되고,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 상에는 아래로 오목한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이 설치되고,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의 단면 형상은 단일 측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과 스프링에 매칭되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의 구멍 바닥 사이 거리는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사이의 거리에 매칭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공의 양단은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의 구멍 바닥에 각각 개설되고, 비틀림 스프링의 한 쌍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및 스프링은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상의 2개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 내에 매칭되어 걸림 연결되고, 2개 스프링의 권취축은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의 축선에 포개지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핀축은 한 쌍의 힌지 결합축공, 한 쌍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 및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및 비틀림 스프링을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잠글 수 있다.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은 충분한 강도가 필요하므로 비틀림 스프링과 직접 고정하기에는 구조적으로 적합하지 않다. 긴 골격, 짧은 골격 및 비틀림 스프링을 더 잘 연결하기 위하여, 본 방안에서는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쌍을 도입하였다.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쌍은 사출 성형할 수 있으며, 긴 골격에 고정되는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및 짧은 골격에 고정되는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상에는 한 쌍의 힌지 결합축 시트가 설치되고, 힌지 결합축 시트 상에 하나의 구멍이 각각 설치되고,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의 단부에 하나의 구멍이 설치된 후, 하나의 힌지 결합핀을 이용하여 이러한 구멍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와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를 함께 힌지 결합한다. 본 방안의 비틀림 스프링은 이중 비틀림 스프링을 채택한다. 일반적으로, 제1 포스 암 연결봉의 축방향은 긴 골격 축방향에 수직이고 스프링의 권취 축방향에 평행하다. 스프링의 다른 일단은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에 각각 대칭으로 연결되며, 일반적으로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의 축방향은 짧은 골격 축방향에 수직이다. 이러한 설계는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이 짧은 골격의 단부에 대칭적으로 고정시켜 짧은 골격의 원주 회전력을 제거할 수 있다.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의 일측에는 제1 포스 암 연결봉 위치제한 홈이 설계되어, 제1 포스 암 연결봉이 안으로 걸림 연결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사전 인장력을 통하여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와의 고정 방식을 형성한다.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부재의 일측에는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의 양단에 한 쌍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의 단면 형상이 불규칙하여, 단일 측에 적합한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및 스프링은 제한된다.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의 구멍 바닥 사이 거리는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사이 거리에 매칭되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 사이의 거리는 제1 포스 암 연결봉의 길이에 매칭되어,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및 이와 서로 연결된 2개의 스프링이 모두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 내에 적합하게 삽입되도록 만들고, 스프링의 사전 인장력을 통하여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와의 고정 방식을 형성한다. 본 방안에서 제공하는 고정 방식에 있어서, 스프링의 권취 축선과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핀축의 축선은 서로 겹치며,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 방향이 길고 짧은 골격의 힌지 수용 방향과 완전히 동일하게 만들어,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바람직하게, 2개의 힌지 결합축 시트의 대향면 상에 회피 홈이 아래로 오목하게 설치되고, 회피 홈의 일단은 힌지 결합축 시트의 뿌리부에서 시작하고, 다른 일단은 적어도 힌지 결합축공에서 끝난다. 비틀림 스프링과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부재가 함께 설치될 때,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은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 장착면 밖에 돌출되며, 만약 이러한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가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와 직접 설치될 경우,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과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상의 힌지 결합축 시트 사이에 간섭이 일어나 아주 큰 마찰이 발생해 설치 및 사용에 모두 유익하지 않다. 본 방안에서는 회피 홈을 설치함으로써 밖으로 돌출된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간섭을 제거하여 설치 및 사용이 편리하다.
당김 로프 구조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한 방식의 장점은 더 생력적이라는 것이며, 다른 한 방식의 장점은 구조가 더 단순하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당김 로프 구조는 상판 헤드 상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한 쌍의 상부 로프축과 하판 헤드 상에서 수평으로 설치된 하부 로프축을 포함하고, 로프의 중간부는 하부 로프축에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하부 로프축 양측에 위치하는 몸체 부분은 각각 하나의 상부 로프축을 감싸고, 당김 로프의 두 핸들 단부는 하판 헨드 하방으로 각각 처진다. 이러한 설계는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가 모두 서로 독립적으로 상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로프축이 하나의 가동 풀리(movable pulley) 역할을 하고, 하부 로프축은 다른 하나의 가동 풀리 역할을 하며, 당김 로프는 3개의 가동 풀리가 형성하는 풀리 블록(pulley block)에서 권취되어 생력적 구조를 형성한다. 사용자는 당김 로프를 당길 때 당기는 거리가 길어져 당기는 힘을 줄일 수 있으므로 생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는 동축이고, 상판 헤드 상에는 상부 소켓관이 설치되고, 하판 헤드 상에는 하부 소켓관이 설치되고, 상부 소켓관과 하부 소켓관은 모두 상판 헤드와 동축이며 서로 매칭되어 씌우며 연결된다. 본 방안은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 상에 각각 하나의 소켓관을 설계하였으며, 2개의 소켓관은 서로 씌우며 연결되는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텐트 지지대가 펼쳐질 때 상하 2개의 판 헤드가 서로 가까워져 서로에 대한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소켓관과 하부 소켓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대와 축방향 위치제한을 형성하는 구조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위치제한 구조는 소켓관의 씌우며 연결되는 대향면 상에 밖으로 돌출된 골격 등이 설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제한 구조를 설치하면 상판 및 하판 헤드의 근접 위치를 제한하여 거리가 너무 가까워 힌지 결합 관계가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김 로프의 핸들 단부는 고리형이다. 고리형으로 설계된 핸들 단부는 작업자가 손에 잡기가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당김 로프의 핸들 단부의 고리형 주위에는 강성의 당김 고리가 설치된다. 당김 고리는 사용자가 당김 로프를 당길 때 그립감을 더욱 편안하게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당김 구조는 수직으로 관통하며 상판 헤드의 하단면 상에 설치되는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을 포함하고, 당김 로프에 위치제한 기구가 설치되고, 위치제한 기구의 직경은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의 직경보다 크며, 위치제한 기구가 설치된 당김 로프의 일 구간은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의 상방에 위치하고, 당김 로프의 두 핸들 단부는 아래를 향해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과 하판 헤드를 관통한다. 본 방안은 상판 헤드 상에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을 설계하였으며,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은 어느 판 헤드의 하단면을 수직 관통한다. 당김 로프를 접은 후, 중간부는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 상방에 위치하고,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 상방에는 위치제한 기구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위치제한 기구의 직경은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보다 크다.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제한 기구는 당김 로프 상에 고정되는 핀축 등의 물체일 있으며, 또는 직접 당김 로프 중간부에 충분히 크게 만든 로프 매듭 등일 수도 있다. 당김 로프의 양단은 아래를 향해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과 하판 헤드를 관통한다. 당김 로프의 양단은 모두 하판 헤드의 하방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하판 헤드 하방에서 당김 로프를 당길 수 있으며, 위치제한 기구는 상판 헤드를 하판 헤드 방향으로 운동시키므로,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을 벌려 텐트 지지대를 들어올릴 수 있다. 본 방안의 당김 로프 구조와 다른 당김 로프 구조의 차이점은, 본 방안은 구조가 더욱 간단하고 조립 속도가 더욱 빠르다는 것이다. 당김 로프의 당김 거리도 더욱 짧다.
바람직하게는, 하판 헤드 상에는 한 쌍의 하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이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그 축방향은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의 축방향과 겹치지 않고, 당김 로프의 양단은 아래 방향으로 하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을 관통한다. 본 방안은 하판 헤드 상에 한 쌍의 하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을 설계하였으며, 하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 축방향은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의 축방향과 겹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은 당김 로프를 양단에서 동시에 힘을 주어 당길 경우, 상판 헤드가 하판 헤드 방향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하판 헤드도 동시에 상판 헤드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당김 로프를 당길 때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제한 기구는 위치제한 비드이고, 위치제한 비드 상에는 방사상의 천공이 설치되고, 당김 로프는 천공을 통해 위치제한 비드를 관통한다. 위치제한 비드는 제조비용이 낮고 로프가 빠르게 관통하여 조립하기 용이하며, 위치제한 비드의 가장 큰 장점은 당김 로프를 긴밀하게 당길 때 그 구면과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의 상단 개구가 유효한 위치제한을 형성하여, 위치제한 비드가 임의로 구르지 않도록 하므로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것이다. 실제 적용에서, 위치제한 비드의 형상은 규칙적인 구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올리브형과 같은 구형에 가까운 형상이거나 양단이 작고 중간이 큰 장구형과 같은 국부적으로 구형인 형상일 수도 있다. 만약 구형에 가깝거나 국부적으로 구형인 형상을 사용할 경우, 당김 로프를 긴밀하게 당길 때 원호면의 위치가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의 상단 개구에 대향시켜야 최적의 위치고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은 상부 소켓관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하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은 하부 소켓관의 꼭대기면에 설치되고,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가 매칭되어 씌우며 연결될 때, 상부 소켓관의 바닥면과 하부 소켓관의 꼭대기면 사이에 갭이 설치되고, 상기 갭의 높이는 당김 로프의 직경보다 크다.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은 상부 소켓관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고, 하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은 하부 소켓관의 꼭대기면 상에 설치된다. 본 방안에서 설계한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가 매칭되어 씌우며 연결될 때, 상부 소켓관의 바닥면과 하부 소켓관의 꼭대기면 사이에 갭이 설치된다. 당김 로프가 상단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을 관통할 때, 일부는 상부 소켓관의 바닥면과 하부 소켓관의 꼭대기면 사이 갭에 위치하여, 상부 소켓관의 바닥면과 하부 소켓관의 꼭대기면 갭이 너무 작아 그 안의 당김 로프가 큰 마찰력으로 인해 당겨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설계 및 제조 시, 공장은 상기 두 가지 유형의 당김 로프 구조를 동일한 세트의 상판 및 하판 헤드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주문 사항에 따라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조립함으로써 금형 수량을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짧은 골격을 밀어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힘의 제한을 없애고, 사용자가 힘을 쓰는 방향을 하판 헤드 하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힘을 쓰도록 바꾸어 키로 인한 제한을 없앴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펼쳐진 상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의 힌지 결합 관계의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5는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의 힌지 결합 관계의 다른 시각의 부재 분해도이다
도 6은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의 구조도이다.
도 7은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의 다른 시각의 구조도이다.
도 8은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의 구조도이다.
도 9는 비틀림 스프링의 구조도이다.
도 10은 비틀림 스프링이 종료점에서 합쳐졌을 때 긴 골격 축방향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비틀림 스프링이 종료점에서 벌려졌을 때 긴 골격 축방향을 따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이 합쳐진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의 매칭 관계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2가 합쳐진 상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서 도시하는 실시예과 같이, 생력적 텐트 지지대는 상방의 상판 헤드(1)와 상판 헤드 하방에 위치하는 하판 헤드(2)가 설치되고,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는 동축이다. 상판 헤드는 복수개의 긴 골격(4)의 내측단에 힌지 결합하고, 하판 헤드는 복수개의 짧은 골격(5)의 내측단에 힌지 결합하고, 짧은 골격의 외측단은 긴 골격의 중간부에 하나씩 대응하며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쌍(36)을 통해 힌지 결합한다. 상판 헤드와 긴 골격, 하판 헤드와 짧은 골격 사이의 구체적인 힌지 결합 매칭 구조는 구체적으로 2018년 5월 31일 제출된 특허출원 CN201820837645.4 중 상응하는 구조의 설명을 참조하며,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은 모두 4개이며, 실제 응용 시 실제 수요에 따라 적합한 수량의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쌍은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34),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35), 비틀림 스프링(31) 및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핀축(42)을 포함한다.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비틀림 스프링은 이중 비틀림 스프링이고, 동일한 권취축을 가지고 대칭되는 2개의 스프링(96)이 설치된다. 스프링의 내측단에는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98)이 각각 연결되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은 평행하다. 스프링의 외측단에는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99)이 각각 연결되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은 평행하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 사이에 제1 포스 암 연결봉(97)이 연결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의 형상은 L형이고, L형의 일측에는 긴 골격 통공(37)이 설치되고, 긴 골격의 중간부는 긴밀하게 매칭되어 긴 골격 통공 내에 삽입 연결되어 고정되고, L형의 타측에는 한 쌍의 힌지 결합축 시트(38)가 설치되고, 힌지 결합 시트 상에는 각각 하나의 힌지 결합축공(39)이 설치되어,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핀축이 매칭되어 관통하도록 제공된다. 힌지 결합축공의 축방향은 긴 골격 통공의 축방향에 수직이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힌지 결합축 시트 사이에 제1 포스 암 연결봉 위치제한 홈(44)이 설치되고, 제1 포스 암 연결봉 위치제한 홈의 방향은 힌지 결합축공에 평행하여, 비틀림 스프링 상의 제1 포스 암 연결봉을 제1 포스 암 연결봉 위치제한 홈 내에 매칭되도록 걸림 연결시켜, 제1 포스 암 연결봉의 원주방향 위치제한을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힌지 결합축 시트의 대향면 상에 회피 홈(47)이 아래로 오목하게 설치되고, 회피 홈의 일단은 힌지 결합축 시트의 뿌리부에서 시작하며, 다른 일단은 힌지 결합축 시트의 상단까지 연장되고, 중간에서 힌지 결합축공의 내측단을 지난다.
짧은 골격측 힌지 연결 부재는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에 짧은 골격 삽입 연결 비관통공(40)이 설치되고, 짧은 골격의 외측단은 짧은 골격 삽입 연결 비관통공 내에 긴밀하게 매칭되도록 삽입 연결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41)이 설치되어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핀축이 매칭되어 관통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의 축방향은 짧은 골격 삽입 연결 비관통공의 축방향에 수직이다.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의 대응하는 길고 짧은 힌지 결합축 통공 양단의 위치에 평행하는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45)이 설치되고,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 상에는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46)이 아래로 오목하게 설치되고,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의 단면 형상은 비표준 형상이고,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및 본 측의 스프링만 수용할 수 있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 사이의 거리는 제1 포스 암 연결봉의 길이에 매칭되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의 구멍 바닥 사이의 거리는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사이의 거리에 매칭된다.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의 양단은 각각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의 구멍의 바닥에 개설되고,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및 본 측의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 내에 매칭될 수 있도록 걸림 연결되어,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의 원주방향 위치제한을 형성하고, 이때 스프링 권취 축방향은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 축방향과 겹친다.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의 힌지 구조를 설치할 때, 비틀림 스프링의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및 스프링을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에 대칭되도록 설치한 다음, 제1 포스 암 연결봉을 제1 포스 암 연결봉 위치제한 홈에 걸림 연결시킨 후,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핀축을 통해 힌지 결합축공과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을 잠그며, 마지막으로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을 각각 대응하는 긴 골격 통공과 짧은 골격 삽입 연결 비관통공 내에 삽입 연결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한다.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핀축은 한 쌍의 힌지 결합축공, 한 쌍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 및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을 동시에 관통하고,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및 비틀림 스프링을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잠그며,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이 힌지 결합 관계를 형성하도록 만들고, 힌지 결합 관계에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력을 추가하였다.
본 실시예의 당김 로프 구조는 생력적 당김 로프 구조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판 헤드 상에 수평으로 장착된 상부 로프축(6)이 설치되고, 상부 로프축은 수평으로 대칭되는 2개이고, 본 실시예 중의 상부 로프축은 원기둥형이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판 헤드 상에 수평으로 장착된 하부 로프축(7)이 설치되고, 본 실시예의 하부 로프축 상에는 당김 로프 천공(8)이 관통되고, 당김 로프 천공은 수평으로 방사상을 따라 하부 로프축이 관통하고, 당김 로프의 중간부는 당김 로프 천공 내에 설치된다. 당김 로프(3)의 중간부는 당김 로프 천공 내에 관통하고, 양측은 각각 상부를 향하고, 각각 하나의 상부 로프축을 감싼 후 처지고, 하단의 핸들 단부는 하판 헤드의 하방에 위치한다. 당김 로프의 핸들 단부는 고리형이고, 고리형 외부를 둘러싸며 강성의 당김 고리(11)가 설치된다. 상판 헤드는 하판 헤드와 동축이고, 상판 헤드 상에는 상부 소켓관(9)이 설치되고, 하판 헤드 상에는 하부 소켓관(10)이 설치되고, 상부 소켓관과 하부 소켓관은 모두 상판 헤드와 동축이고 서로 매칭되어 씌우며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부 소켓관은 계단형 관이고 하부 구간이 작고 상부 구간이 크며,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가 인접할 때, 상부 소켓관의 하부 구간은 하부 소켓관 내에 매칭되어 삽입 연결될 수 있고, 상부 소켓관의 상부 구간은 하부 소켓관의 꼭대기면에 대하여 축방향 위치제한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텐트는 생력적 당김 로프 구조이며, 합쳐진 상태는 도 12 및 도 13에서 도시하였다. 이때 긴 골격 및 짧은 골격의 상태는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사용자는 텐트 지지대를 펼쳐야 할 경우, 필요한 고정 부재만 느슨하게 하면 긴 골격과 짧은 골격 사이의 비틀림 스프링이 추력을 발생시켜 짧은 골격을 밀어 회전시키고, 동시에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만든다. 짧은 골격과 긴 골격 사이의 개방 각도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큰 경우, 사용자는 양손으로 당김 로프의 두 핸들 단부를 당겨 상부 소켓관과 하부 소켓관이 매칭되어 제자리로 씌우며 연결될 때까지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 사이의 거리를 더욱 압축하고, 이때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의 힌지 결합 구조도 열려 제자리를 찾아 전체 텐트 지지대가 펼쳐진다. 이때 2개의 위치제한 당김 후크를 사용하여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 사이의 축방향 간격을 고정하여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는 펼쳐진 상태를 형성한다. 이때의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의 상태는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사용한 후 텐트를 접어야할 때, 위치제한 당김 후크의 위치제한 기능을 취소하고, 밖에서 아래를 향해 합친 상태가 될 때까지 텐트의 긴 골격을 합친다. 짧은 골격과 긴 골격의 힌지 결합 구조 중 비틀림 스프링이 힘을 받아 압축되며 탄성력이 축적되어 다음번 펼칠 때 탄성력이 해제되며 짧은 골격을 밀어 회전하도록 대기한다.
실시예 2
도 1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와 같이, 다른 생력적 텐트 지지대이다.
본 실시예의 당김 로프 구조는 간단한 당김 로프 구조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판 헤드 상에는 상부 소켓관(9)이 설치되고 하판 헤드 상에는 하부 소켓관(10)이 설치되고, 상부 소켓관 및 하부 소켓관은 모두 상판 헤드와 동축이고, 서로 매칭되어 씌우며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부 소켓관은 계단형 관이고 하부 구간이 작고 상부 구간이 크며,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가 인접할 때, 상부 소켓관의 하부 구간은 하부 소켓관 내에 매칭되어 삽입 연결될 수 있고, 상부 소켓관의 상부 구간은 하부 소켓관의 꼭대기면에 대하여 축방향 위치제한 역할을 한다. 상부 소켓관의 바닥면 상에서 중간에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51)이 설치되고, 하부 소켓관의 꼭대기면 상에 한 쌍의 하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52)이 설치되고, 하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 축방향은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의 축방향과 겹치지 않고, 하판 헤드 중심점을 원심으로 하는 원 상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당김 로프(3)의 중간부에는 하나의 위치제한 기구가 고정 연결된다. 본 실시예 중의 위치제한 기구는 하나의 구형인 위치제한 비드(53)이고, 위치제한 비드 상에는 방사상의 천공이 설치되고, 당김 로프는 천공을 통하여 위치제한 비드를 관통한다. 위치제한 비드는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 상방에 위치하고, 그 직경은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 직경보다 크다. 당김 로프가 위치제한 비드를 관통한 후, 양단이 합쳐진 후 함께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을 관통하고, 다시 각각 하나의 하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을 관통하고, 하단의 핸들 단부는 하판 헤드의 하방에 위치한다. 당김 로프의 핸들은 고리형이고, 고리형 외부를 둘러싸며 강성의 당김 고리(11)가 설치된다.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가 매칭되어 씌우며 연결될 때, 상부 소켓관의 바닥면과 하부 소켓면의 꼭대기면 사이에 갭이 설치되고, 상기 갭의 높이는 당김 로프의 직경보다 커서 당김 로프가 상기 갭에서 횡방향으로 당겨질 때의 마찰력을 제거해준다.
나머지는 실시예 1과 같다.
본 실시예 텐트의 생력적 당김 로프 구조는 합쳐진 상태가 도 16 및 도 1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펼치고 접는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차이점은 실시예 2에서 채택한 당김 로프 구조는 당김 로프의 생력적 장점을 포기하고 당기는 거리를 줄이는 장점을 얻었다는 것뿐이다.
1: 상판 헤드
2: 하판 헤드
3: 당김 로프
4: 긴 골격
5: 짧은 골격
6: 상부 로프축
7: 하부 로프축
8: 당김 로프 천공
9: 상부 소켓관
10: 하부 소켓관
11: 당김 고리
31: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비틀림 스프링
34: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35: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36: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쌍
37: 긴 골격 통공
38: 힌지 결합축 시트
39: 힌지 결합축공
40: 짧은 골격 삽입 연결 비관통공
41: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
42: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핀축
44: 제1 포스 암 연결봉 위치제한 홈
45: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
46: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
47: 회피 홈
51: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
52: 하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
53: 위치제한 비드
70: 위치제한 당김 후크
96: 스프링
97: 제1 포스 암 연결봉
98: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99: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

Claims (10)

  1. 생력적 텐트 지지대에 있어서,
    상판 헤드(1), 하판 헤드(2) 및 당김 로프 구조를 포함하고, 상판 헤드는 복수개의 긴 골격(4)의 내측단에 힌지 결합하고, 하판 헤드는 복수개의 짧은 골격(5)의 내측단에 힌지 결합하고, 짧은 골격의 외측단은 긴 골격의 중간부에 하나씩 대응하며 힌지 결합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비틀림 스프링(31)이 더 설치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비틀림 스프링에는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force arm)(99)과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98)이 설치되고, 긴 골격과 짧은 골격은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과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에 각각 고정되고; 당김 로프 구조에는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를 가깝게 당기는 당김 로프(3)가 포함되고, 당김 로프의 두 핸들은 하판 헤드 하방으로 처지며;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34)와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35)로 힌지 결합 형성되는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쌍(36)을 더 설치하고;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상에는 긴 골격 통공(37)과 한 쌍의 힌지 결합축 시트(38)가 설치되고, 힌지 결합축 시트에는 각각 하나의 힌지 결합축공(39)이 설치되고, 힌지 결합축공의 축방향은 긴 골격 통공의 축방향에 수직이고;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에는 짧은 골격 삽입 연결 비관통공(blind hole)(40)과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41)이 설치되고, 길고 짧은 힌지 결합축 통공의 축방향은 짧은 골격 삽입 연결 비관통공의 축방향에 수직이고; 긴 골격의 중간부는 긴밀하게 매칭되어 긴 골격 통공 내에 삽입 연결되어 고정되고, 짧은 골격의 외측단은 짧은 골격 삽입 연결 비관통공 내에 삽입 연결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핀축(42)은 상기 한 쌍의 힌지 결합축공과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을 동시에 관통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비틀림 스프링은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의 이중 비틀림 스프링이 대칭 설치되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 사이에 제1 포스 암 연결봉(97)이 연결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비틀림 스프링의 비틀림 스프링 제1 포스 암의 양단은 하나의 스프링(96)의 외측단에 연결되고, 각 스프링의 내측단에는 하나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이 각각 연결되고;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상에서 힌지 결합축공의 축방향을 따라 제1 포스 암 연결봉 위치제한 홈(44)이 설치되고, 제1 포스 암 연결봉은 제1 포스 암 연결봉 위치제한 홈 내에 매칭되어 걸림 연결되고;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상에는 한 쌍의 서로 평행하는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45)이 설치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은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에 수직으로 관통하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 사이의 거리는 제1 포스 암 연결봉의 길이에 매칭되고;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면 상에는 아래로 오목한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46)이 설치되고;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의 단면 형상은 단일 측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과 스프링에 매칭되고,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의 구멍 바닥 사이 거리는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사이의 거리에 매칭되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의 양단은 2개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의 구멍 바닥에 각각 개설되고; 비틀림 스프링의 한 쌍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및 스프링은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상의 2개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 내에 매칭되어 걸림 연결되고, 2개 스프링의 권취축은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의 축선에 포개지고;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 핀축은 한 쌍의 힌지 결합축공, 한 쌍의 비틀림 스프링 제2 포스 암 장착공 및 길고 짧은 골격 힌지 결합축 통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긴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짧은 골격측 힌지 결합 부재 및 비틀림 스프링을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잠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력적 텐트 지지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힌지 결합축 시트의 대향면 상에 회피 홈(47)이 아래로 오목하게 설치되고, 회피 홈의 일단은 힌지 결합축 시트의 뿌리부에서 시작하고, 다른 일단은 적어도 힌지 결합축공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력적 텐트 지지대.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판 헤드와 하판 헤드는 동축이고; 상판 헤드 상에는 상부 소켓관(9)이 설치되고, 하판 헤드 상에는 하부 소켓관(10)이 설치되고, 상부 소켓관과 하부 소켓관은 모두 상판 헤드와 동축이며 서로 매칭되어 씌우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력적 텐트 지지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부 소켓관과 하부 소켓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대와 축방향 위치제한을 형성하는 구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력적 텐트 지지대.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당김 로프의 핸들 단부는 고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력적 텐트 지지대.
  9. 제8항에 있어서,
    당김 로프의 핸들 단부의 고리형 주위에는 강성의 당김 고리(1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력적 텐트 지지대.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당김 구조는 수직으로 관통하며 상판 헤드의 하단면 상에 설치되는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51)을 포함하고; 당김 로프에 위치제한 기구가 설치되고, 위치제한 기구의 직경은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의 직경보다 크며; 위치제한 기구가 설치된 당김 로프의 일 구간은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의 상방에 위치하고, 당김 로프의 두 핸들 단부는 아래를 향해 상판 헤드 당김 로프 구멍과 하판 헤드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력적 텐트 지지대.
KR1020207003124A 2018-09-19 2018-10-23 생력적 텐트 지지대 KR102264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1538174.3U CN209011676U (zh) 2018-09-19 2018-09-19 省力帐篷支架
CN201821538174.3 2018-09-19
PCT/CN2018/111359 WO2020056841A1 (zh) 2018-09-19 2018-10-23 省力帐篷支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731A KR20200034731A (ko) 2020-03-31
KR102264653B1 true KR102264653B1 (ko) 2021-06-14

Family

ID=6683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124A KR102264653B1 (ko) 2018-09-19 2018-10-23 생력적 텐트 지지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2465B2 (ko)
EP (1) EP3674502B1 (ko)
JP (1) JP3229364U (ko)
KR (1) KR102264653B1 (ko)
CN (1) CN209011676U (ko)
WO (1) WO2020056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2322A (zh) * 2020-11-11 2021-02-23 无棣雷威户外用品有限公司 一种方便携带的户外帐篷
USD1020961S1 (en) * 2021-03-17 2024-04-02 Michael Pagano Portable and foldable enclosure for toddlers and infants
USD997282S1 (en) * 2021-05-08 2023-08-29 Faint Orange Horizon, Inc. Tent
CN113530351A (zh) * 2021-07-29 2021-10-22 周颖 帐篷
CN113982365B (zh) * 2021-11-17 2023-03-10 南京国煜泰户外休闲用品有限公司 一种折叠帐篷
USD1026155S1 (en) * 2022-04-22 2024-05-07 Zhejiang Jincheng Outdoor Products Group Co., Ltd. Tent frame
USD1016950S1 (en) * 2023-07-14 2024-03-05 Shenzhen Boandi Network Technology Co., Ltd. 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40B1 (ko) * 2008-12-01 2009-06-25 서정우 캐노피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9572B1 (en) * 1998-07-24 2001-03-13 Negocios De Estela S.A. Collapsible shelter/tent with frame locking mechanism
KR100649607B1 (ko) * 2005-03-25 2006-11-27 권범철 자동 절첩식 텐트
US20060231129A1 (en) * 2005-04-19 2006-10-19 Ferraro Allan R Sr Folding structure with improved locking system
KR20060133162A (ko) * 2005-06-20 2006-12-26 김수환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90083569A (ko) * 2008-01-30 2009-08-04 우준식 자동 절첩식 텐트
CN201460396U (zh) * 2009-03-27 2010-05-12 都小华 快速架设收纳帐篷骨架
CN201915685U (zh) 2010-11-11 2011-08-03 金祚献 一种便捷式伞型帐篷
CN202000737U (zh) * 2011-02-17 2011-10-05 金祚献 带有天窗的折叠式伞型帐篷架
JP6157590B2 (ja) * 2012-04-27 2017-07-05 高新偉 改良発明式簡易テント
CN205531639U (zh) * 2015-09-14 2016-08-31 金华市凯飞塑业有限公司 一种滑杆帐篷支架
CN205370101U (zh) * 2016-02-03 2016-07-06 义乌金承玻璃钢制品有限公司 一种收折省力的帐篷支架
CN208456259U (zh) 2018-05-31 2019-02-01 金祚献 一种帐篷支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40B1 (ko) * 2008-12-01 2009-06-25 서정우 캐노피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29364U (ja) 2020-12-03
US10982465B2 (en) 2021-04-20
EP3674502A4 (en) 2021-01-06
EP3674502B1 (en) 2021-06-30
CN209011676U (zh) 2019-06-21
WO2020056841A1 (zh) 2020-03-26
KR20200034731A (ko) 2020-03-31
EP3674502A1 (en) 2020-07-01
US20200232247A1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653B1 (ko) 생력적 텐트 지지대
CA2743173C (en) Canopy tent
EP0507012B1 (en) Lower joint folding preventing device for one touch type dome shaped tent
CN100473799C (zh) 自动折叠帐篷
US8469045B2 (en) Collapsible tent frame
US9856673B2 (en) Tent
WO2007012229A1 (fr) Ensemble de tiges pliables pour tente
US20130033075A1 (en) Swing with a folding back that automatically locks the swing
KR100946076B1 (ko) 캐노피 텐트용 폴대
EP0972473B1 (en) Split lockable hinge for a baby bed
JP3238921U (ja) 複動式ロッキングテントフレーム構造
CN208845031U (zh) 一种围栏连接结构以及采用该连接结构的围栏
CN109380830A (zh) 一种组合式手推开合吊伞
CN209403790U (zh) 一种组合式手推开合吊伞
KR200344232Y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US6625826B1 (en) Safety device for foldable baby bed
AU2020100508A4 (en) Labor-Saving Tent Support
CN220777914U (zh) 一种膛炮式护栏横杆折叠结构
CN220777913U (zh) 一种带弹性绳的床护栏折叠结构
CN219422528U (zh) 一种膛炮式护栏横杆折叠结构
CN213109483U (zh) 方便可旋转座椅装卸的儿童推车
CN218206093U (zh) 内置拉簧的杆件铰接结构
CN214284186U (zh) 一种关节可折叠弧形婴儿床
JP3229622U (ja) コット
CN219908292U (zh) 晾杆组件及晾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