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360B1 -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4360B1 KR102264360B1 KR1020210025819A KR20210025819A KR102264360B1 KR 102264360 B1 KR102264360 B1 KR 102264360B1 KR 1020210025819 A KR1020210025819 A KR 1020210025819A KR 20210025819 A KR20210025819 A KR 20210025819A KR 102264360 B1 KR102264360 B1 KR 1022643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dor
- circulating water
- unit
- fine dust
- scrubb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5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4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303 advanced oxidation proces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573881 Coro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59 micr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5 ozo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은, 악취 및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가 제거된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라인,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된 외기에 순환수를 분사하여, 분사된 순환수에 의해 악취 유발 물질과 미세먼지를 제거하며, 악취 유발 물질과 미세먼지가 제거된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러버, 상기 스크러버 내의 낙하된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된 순환수를 정화시켜 상기 스크러버 내의 하부측에 주입하는 제1 순환라인, 상기 스크러버 내의 낙하된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된 순환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스크러버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순환라인 및 상기 스크러버 내의 순환수가 일정량이 되도록 상기 스크러버 내에 상수를 주입하는 유입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악취 및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가 제거된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부의 미세먼지 저감대책 및 악취방지법 (시행 2019.06.13.)에 따라, 미세먼지 및 악취 배출량에 관한 규제가 강화되었고, 이에 미세먼지 및 악취 배출량을 저감하고, 점차 강화되는 법규 준수 및 민원 감소를 도모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일례로, 안산시 소재 A 사료공장은 공단과 주택단지가 각각 서쪽과 동쪽에 위치하는 지정학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해륙풍 및 편서풍이 강하게 작용하는 기상요인으로 인하여 미세먼지와 악취가 주택단지로 향한다.
또한, 사료 제조 시 곡물 등의 원료를 반입 및 분쇄, 배합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먼지가 배출되며, 가루형태의 원료를 열과 압력을 이용해 후레이크 또는 펠렛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한다.
이러한, A 사료공장은 Cyclone 집진기와 오존산화법으로 구성된 대기방지시설을 이용하여 먼지와 악취를 제거하고, 기준치 이하의 배기가스를 배출함에도 불구하고 잦은 민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대기방지시설에는 없는 오존산화 습식스크러버 설비를 추가하여 미세먼지 및 악취물질을 제거 하고, 점차 강화되는 법규 준수 및 민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오존수는 기액혼합 펌프를 이용하여 오존을 Micro 입자 크기로 Bubble화하고 용존시켜 오존 용존율을 99% 수준으로 극대화하여 양질의 오존산화수를 생성하고 배오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UV lamp를 적용하여 산화력이 우수한 OH radical을 생성하여 악취를 빠른 반응속도로 분해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배출가스의 농도에 따라 오존수의 양 및 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은, 악취 및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가 제거된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라인,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된 외기에 순환수를 분사하여, 분사된 순환수에 의해 악취 유발 물질과 미세먼지를 제거하며, 악취 유발 물질과 미세먼지가 제거된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러버, 상기 스크러버 내의 낙하된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된 순환수를 정화시켜 상기 스크러버 내의 하부측에 주입하는 제1 순환라인, 상기 스크러버 내의 낙하된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된 순환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스크러버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순환라인 및 상기 스크러버 내의 순환수가 일정량이 되도록 상기 스크러버 내에 상수를 주입하는 유입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순환라인은, 상기 스크러버의 상부측에서 순환수가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악취 유발 물질이 순환수에 용해되고, 미세먼지가 순환수에 응집된 채, 상기 스크러버 내의 하부측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스크러버는, 상기 제1 순환라인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순환수와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외기의 접촉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상기 스크러버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측에 순환수가 체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측에 개구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의 정화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순환라인으로부터 이동된 순환수를 상기 본체부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의 하부측에 배치된 채, 외기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 데미스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상기 수조부는, 상기 분사부로부터 낙하된 제1 순환수가 수용되는 제1 수조편 및 상기 제1 수조편과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수조편으로부터 이동된 제2 순환수가 수용되는 제2 수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순환수는, 상기 제1 순환라인을 따라 순환되며, 상기 제2 순환수는, 상기 제2 순환라인을 따라 순환되고, 상기 제1 순환라인에 의한 상기 제1 순환수의 순환과, 상기 제2 순환라인에 의한 상기 제2 순환수의 순환은 순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상기 스크러버는, 상기 흡입라인과 상기 스크러버를 매개하며,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상기 외기 유입 위치를 결정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유입라인과 상기 스크러버를 매개하며, 상기 유입라인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상기 상수 유입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순환라인과 상기 스크러버를 매개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순환라인으로의 상기 제1 순환수의 유출 위치를 결정하는 제3-1 연결부, 상기 제1 순환라인과 상기 스크러버를 매개하며, 상기 제1 순환라인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상기 제1 순환수의 유입 위치를 결정하는 제3-2 연결부 및 상기 제2 순환라인과 상기 스크러버를 매개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순환라인으로의 상기 제2 순환수의 유출 위치를 결정하는 제4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1 연결부는, 상기 제3-2 연결부보다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상기 제1 순환라인은, 상기 수조부로부터 배출된 순환수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패키지, 상기 오존패키지로부터 공급된 오존과 순환수가 혼합되도록 하는 기액혼합펌프, 상기 기액혼합펌프에 의해 오존과 순환수가 혼합된 혼합수에 미세 버블을 공급하는 UFB 탱크 및 상기 UFB 탱크를 경유한 혼합수에 자외선을 이용한 고도산화공정을 구현하는 UV 고도산화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상기 오존패키지는, 외부공기를 흡입한 채, 압축하는 공기압축부, 상기 공기압축부로부터 제공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 및 상기 산소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산소를 오존화하는 오존발생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상기 제2 순환라인은, 상기 수조부로부터 배출된 순환수를 이동시키는 순환펌프부 및 상기 순환펌프부에 의해 이동된 순환수가 수용되며, 수용된 순환수 내의 미세먼지를 필터링 되도록 하는 마이크로필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상기 제2 순환라인은, 병렬로 배치된 제1 병렬라인 및 제2 병렬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병렬라인은, 제1 순환펌프편 및 제1 마이크로필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병렬라인은, 제2 순환펌프편 및 제2 마이크로필터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상기 흡입라인은, 상기 외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싸이클론부 및 상기 싸이클론부와 상기 스크러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기가 상기 싸이클론부로부터 상기 스크러버로 이동되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송풍부를 구비하며, 상기 싸이클론부는, 호퍼 형상의 공간형성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에 장착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의 크기가 작아지는 선회류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회류형성부는, 상측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기가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한 채, 하강하여 상기 외기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파티클이 상기 공간형성부의 하부측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은,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외기 내의 오염물질의 농도,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 농도 정보 및 유입된 외기 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순환라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외기 내의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유입가스센싱부, 상기 외기 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수집하는 미세먼지센싱부 및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오존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입가스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존패키지에 의한 오존 공급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과, 상기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을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오존값에 대한 데이터 값을 기초로, 상기 오존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값이 상기 유입가스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을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오존값보다 큰 경우, 상기 오존패키지에 의한 오존 공급량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오존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값이 상기 유입가스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을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오존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오존패키지에 의한 오존 공급량이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상기 유입가스센싱부는, 상기 외기 내의 복합가스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제1 수집부, 상기 외기 내의 암모니아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수집부 및 상기 외기 내의 황화수소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제3 수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은, 상기 제2 순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의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라인 및 상기 제2 순환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의 분기점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 내의 순환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조부의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회수센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조부 내의 순환수가 상기 제2 순환라인 또는 상기 배출라인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도록, 상기 경로설정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수조부 내의 순환수가 상기 배출라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경로설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회수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수조부 내의 순환수가 상기 제2 순환라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경로설정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습식 스크러버의 순환수를 약품대신 오존수를 사용하여, 오존수가 먼지 및 악취를 흡수 및 산화시켜 염이 발생하지 않아 농축된 순환수(폐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계 및 휘발성 가스의 분해가 가능하며, 비교적 유지관리비가 저렴한 오존수를 이용하여 먼지와 악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계측 데이터정보 모니터링 기술을 유·무선 통신기술과 접목하여 실시간 데이터 감시 및 각종 알람 기능을 제공하고, 유지관리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존 용존율이 높은 오존수 발생장치와 UV lamp 그리고 오존산화 습식스크러버를 설치하여,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악취물질까지 제거하며 제거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스크러버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모니터링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스크러버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모니터링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모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스크러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1, 이하, 저감 시스템)은, 악취 및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가 제거된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저감 시스템(1)은, 흡입라인(10), 스크러버(20), 제1 순환라인(30), 제2 순환라인(40) 및 유입라인(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라인(10)은, 상기 외부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스크러버(20)는, 상기 흡입라인(10)으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고, 수용된 외기에 순환수를 분사하여, 분사된 순환수에 의해 악취 유발 물질과 미세먼지를 제거하며, 악취 유발 물질과 미세먼지가 제거된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참고로, 일반적인 습식 스크러버(20)는 먼지 및 물에 잘 용해되는 악취물질 제거는 가능하나 소수성 물질의 제거가 어렵고, 많이 사용되는 3단 약액 세정탑은 소수성 및 휘발성 악취물질의 제거는 가능하지만 약품 사용에 따른 화관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감 시스템(1)은,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계 및 휘발성 가스의 분해가 가능하며, 비교적 유지관리비가 저렴한 오존수를 이용하여 먼지와 악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순환라인(30, 도 1의 붉은색 라인)은, 상기 스크러버(20) 내의 낙하된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된 순환수를 정화시켜 상기 스크러버(20) 내의 하부측에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순환라인(40, 도 1의 녹색 라인)은, 상기 스크러버(20) 내의 낙하된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된 순환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스크러버(20)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유입라인(50, 도 1의 파란색 라인)은, 상기 스크러버(20) 내의 순환수가 일정량이 되도록 상기 스크러버(20) 내에 상수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순환라인(40)은, 상기 스크러버(20)의 상부측에서 순환수가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악취 유발 물질이 순환수에 용해되고, 미세먼지가 순환수에 응집된 채, 상기 스크러버(20) 내의 하부측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러버(20)는, 상기 제1 순환라인(30)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S)으로 유입된 순환수와 상기 흡입라인(10)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S)으로 흡입된 외기의 접촉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 시스템(1)의 스크러버(20)는, 본체부(21), 배출구(23), 분사부(25) 및 데미스터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1)는, 내부에 수용공간(S)을 형성하며, 하부측에 순환수가 체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2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조부(28)는, 상기 분사부(25)로부터 낙하된 제1 순환수가 수용되는 제1 수조편(28a) 및 상기 제1 수조편(28a)과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수조편(28a)으로부터 이동된 제2 순환수가 수용되는 제2 수조편(28b)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순환수와 상기 제2 순환수는 수조편에 수용된 순환수를 구분하기 위하여 임의로 명명한 것이다.
상기 제1 수조편(28a)과 상기 제2 수조편(28b)의 경계는, 보(weir)가 설치되어 일정높이 이상의 제1 순환수가 상기 제2 수조편(28b)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제1 수조편(28a)에 수용된 제1 순환수를 제2 수조편(28b)으로 이동시키는 펌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순환수는, 상기 제1 순환라인(30)을 따라 순환되며, 상기 제2 순환수는,상기 제2 순환라인(40)을 따라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순환라인(30)에 의한 상기 제1 순환수의 순환과, 상기 제2 순환라인(40)에 의한 상기 제2 순환수의 순환은 순차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저감 시스템(1)의 구동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수조편(28b)에 수용된 제2 순환수는 상기 제2 순환라인(4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분사부(25)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S)으로 분사된다. 상기 수용공간(S)에 분사된 제2 순환수는 상기 흡입라인(10)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S)으로 유입된 외기 내의 악취 및 미세먼지와 응집된 채, 제1 수조편(28a)에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조편(28a)에 낙하된 물은 상기 제1 순환라인(30)을 통해 순환되는 중에 정화되어 상기 제1 수조편(28a)에 유입될 수 있다. 정화되어 상기 제1 수조편(28a)에 유입된 제1 순환수는 상기 제2 수조편(28b)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2 수조편(28b)으로 이동된 물은 제2 순환라인(40)을 따라 이동되어 재차 상기 수용공간(S)에 분사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2 순환라인(40)이 활성화되어 상기 수용공간(S)에 제2 순환수가 분사되는 중에는 상기 제1 순환라인(30)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1 순환라인(30)이 활성화되는 중에 상기 제2 순환라인(40)은 비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S)으로 흡입된 외기 내의 악취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제2 순환수는, 오염물질이 축적되지 않고 정화된 채, 외기의 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구(23)는, 상기 본체부(21)의 상부측에 개구되어 상기 수용공간(S) 내의 정화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25)는, 상기 본체부(21)의 수용공간(S)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순환라인(40)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순환라인(40)으로부터 이동된 순환수를 상기 본체부(2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25)는, 높이방향으로 배열된 제1 분사편(251) 및 제2 분사편(2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미스터부(27)는, 상기 분사부(25)의 하부측에 배치된 채, 외기 중의 액적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데미스터부(27)는, 높이방향으로 배열된 제1 데미스터편(271) 및 제2 데미스터편(27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편(251) 및 상기 제1 데미스터편(271)은 한 쌍이 되어, 흡입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정화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분사편(252) 및 상기 제2 데미스터편(272)은 또 다른 한 쌍이 되어, 흡입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정화할 수 있다.
상기 데미스터부(27)는 섬유상태의 물체를 충전하거나 그물코를 여러겹 포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은 알갱이 형태로 부유하는 물방울들이 뭉쳐져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라인(10)을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분사부(25)에 의해 분사된 제2 순환수와 혼합된 채, 상기 데미스터부(27)에 의해 응집되어 하부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러버(20)는, 제1 연결부(291), 제2 연결부(292), 제3-1 연결부(293a), 제3-2 연결부(293b) 및 제4 연결부(29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부는 별도의 개폐부가 구비되어 개폐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291)는, 상기 흡입라인(10)과 상기 스크러버(20)를 매개하며, 상기 흡입라인(10)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S)으로의 상기 외기 유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292)는, 상기 유입라인(50)과 상기 스크러버(20)를 매개하며, 상기 유입라인(50)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S)으로의 상기 상수 유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3-1 연결부(293a)는, 상기 제1 순환라인(30)과 상기 스크러버(20)를 매개하며, 상기 수용공간(S)으로부터 상기 제1 순환라인(30)으로의 상기 제1 순환수의 유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3-2 연결부(293b)는, 상기 제1 순환라인(30)과 상기 스크러버(20)를 매개하며, 상기 제1 순환라인(30)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S)으로의 상기 제1 순환수의 유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4 연결부(295)는, 상기 제2 순환라인(40)과 상기 스크러버(20)를 매개하며, 상기 수용공간(S)으로부터 상기 제2 순환라인(40)으로의 상기 제2 순환수의 유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3-1 연결부(293a)는, 상기 제3-2 연결부(293b)보다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1 연결부(293a)는 상기 제1 수조편(28a)에 수용된 제1 순환수 중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아 가라앉은 순환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순환수는 악취를 유발하는 입자 또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순환수이며, 상기 제1 수조편(28a) 내의 순환수 중 오염도가 높은 물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수조편(28a) 내에서 정화가 필요한 순환수가 먼저 제1 순환라인(30)을 통해 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순환라인(30)을 통해 이동된, 정화된 순환수는 상기 제3-2 연결부(293b)를 통해 상기 스크러버(20)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제1 수조편(28a) 내의 순환수가 밀도 차에 따라 뒤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2 연결부(293b)가 상기 제1 수조편(28a)의 하부측에 연결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정화된 순환수가 상기 제1 수조편(28a)에서 상승되면서 상기 제1 수조편(28a)에 수용된 순환수가 혼합되도록 하여, 정화되어야 할 순환수가 제1 순환라인(30)으로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 시스템(1)의 제1 순환라인(30)은, 상기 수조부(28)로부터 배출된 순환수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패키지(31), 상기 오존패키지(31)로부터 공급된 오존과 순환수가 혼합되도록 하는 기액혼합펌프(33), 상기 기액혼합펌프(33)에 의해 오존과 순환수가 혼합된 혼합수에 미세 버블을 공급하는 UFB 탱크(35) 및 상기 UFB 탱크(35)를 경유한 혼합수에 자외선을 이용한 고도산화공정을 구현하는 UV 고도산화부(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존패키지(31)는, 외부공기를 흡입한 채, 압축하는 공기압축부(311), 상기 공기압축부(311)로부터 제공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313) 및 상기 산소발생기(313)로부터 생성된 산소를 오존화하는 오존발생기(315)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 시스템(1)의 제2 순환라인(40)은, 상기 수조부(28)로부터 배출된 순환수를 이동시키는 순환펌프부(411, 421) 및 상기 순환펌프부(411, 421)에 의해 이동된 순환수가 수용되며, 수용된 순환수 내의 미세먼지를 필터링 되도록 하는 마이크로필터부(413, 4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순환라인(40)은, 병렬로 배치된 제1 병렬라인(41) 및 제2 병렬라인(4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병렬라인(41)은, 제1 순환펌프편(411) 및 제1 마이크로필터편(413)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병렬라인(42)은, 제2 순환펌프편(421) 및 제2 마이크로필터편(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 시스템(1)의 흡입라인(10)은, 상기 외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싸이클론부(11) 및 상기 싸이클론부(11)와 상기 스크러버(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기가 상기 싸이클론부(11)로부터 상기 스크러버(20)로 이동되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송풍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론부(11)는, 호퍼 형상의 공간형성부(111) 및 상기 공간형성부(111)에 장착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의 크기가 작아지는 선회류형성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선회류형성부(113)는, 상측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기가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한 채, 하강하여 상기 외기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파티클이 상기 공간형성부(111)의 하부측에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모니터링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 시스템(1)은 모니터링부(60) 및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60)는, 상기 흡입라인(10)으로부터 유입된 외기 내의 오염물질의 농도,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 농도 정보 및 유입된 외기 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부(60)는, 상기 외기 내의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유입가스센싱부(61), 상기 외기 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수집하는 미세먼지센싱부(63) 및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오존센싱부(6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입가스센싱부(61)는, 상기 외기 내의 복합가스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제1 수집부(611), 상기 외기 내의 암모니아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수집부(612) 및 상기 외기 내의 황화수소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제3 수집부(6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모니터링부(6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순환라인(3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유입가스센싱부(61)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존패키지(31)에 의한 오존 공급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감 시스템(1)의 제어부(70)는,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과, 상기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을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오존값에 대한 데이터 값을 기초로, 상기 오존센싱부(65)에 의해 수집된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값이 상기 유입가스센싱부(61)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을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오존값보다 큰 경우, 상기 오존패키지(31)에 의한 오존 공급량을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오존센싱부(65)에 의해 수집된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값이 상기 유입가스센싱부(61)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을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오존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오존패키지(31)에 의한 오존 공급량이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2)은, 배출라인(80) 및 경로설정부(9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저감 시스템(1)과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이하 배출라인(80) 및 경로설정부(90)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상기 저감 시스템(2)은 배출라인(80) 및 경로설정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80, 도 5의 노란색 라인)은, 상기 제2 순환라인(4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수용공간(S) 내의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된 순환수는 배출탱크(85)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경로설정부(90)는, 상기 제2 순환라인(40)과 상기 배출라인(80)의 분기점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28) 내의 순환수 이동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60)는, 상기 수조부(28)의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회수센싱부(6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회수센싱부(67)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조부(28) 내의 순환수가 상기 제2 순환라인(40) 또는 상기 배출라인(80)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도록, 상기 경로설정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회수센싱부(67)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수조부(28) 내의 순환수가 상기 배출라인(80)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경로설정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회수센싱부(67)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수조부(28) 내의 순환수가 상기 제2 순환라인(40)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경로설정부(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10: 흡입라인
20: 스크러버
30: 제1 순환라인
40: 제2 순환라인
50: 유입라인
60: 모니터링부
70: 제어부
80: 배출라인
90: 경로설정부
10: 흡입라인
20: 스크러버
30: 제1 순환라인
40: 제2 순환라인
50: 유입라인
60: 모니터링부
70: 제어부
80: 배출라인
90: 경로설정부
Claims (14)
- 악취 및 미세먼지가 포함된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악취 및 미세먼지가 제거된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라인;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된 외기에 순환수를 분사하여, 분사된 순환수에 의해 악취 유발 물질과 미세먼지를 제거하며, 악취 유발 물질과 미세먼지가 제거된 정화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러버;
상기 스크러버 내의 낙하된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된 순환수를 정화시켜 상기 스크러버 내의 하부측에 주입하는 제1 순환라인;
상기 스크러버 내의 낙하된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배출된 순환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스크러버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순환라인; 및
상기 스크러버 내의 순환수가 일정량이 되도록 상기 스크러버 내에 상수를 주입하는 유입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순환라인은,
상기 스크러버의 상부측에서 순환수가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악취 유발 물질이 순환수에 용해되고, 미세먼지가 순환수에 응집된 채, 상기 스크러버 내의 하부측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스크러버는,
상기 제1 순환라인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순환수와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 흡입된 외기의 접촉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버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측에 순환수가 체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부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측에 개구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의 정화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
상기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순환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순환라인으로부터 이동된 순환수를 상기 본체부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분사부의 하부측에 배치된 채, 외기 중의 액적을 제거하는 데미스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는,
상기 분사부로부터 낙하된 제1 순환수가 수용되는 제1 수조편 및 상기 제1 수조편과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수조편으로부터 이동된 제2 순환수가 수용되는 제2 수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순환수는,
상기 제1 순환라인을 따라 순환되며,
상기 제2 순환수는,
상기 제2 순환라인을 따라 순환되고,
상기 제1 순환라인에 의한 상기 제1 순환수의 순환과, 상기 제2 순환라인에 의한 상기 제2 순환수의 순환은 순차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버는,
상기 흡입라인과 상기 스크러버를 매개하며,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상기 외기 유입 위치를 결정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유입라인과 상기 스크러버를 매개하며, 상기 유입라인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상기 상수 유입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순환라인과 상기 스크러버를 매개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순환라인으로의 상기 제1 순환수의 유출 위치를 결정하는 제3-1 연결부,
상기 제1 순환라인과 상기 스크러버를 매개하며, 상기 제1 순환라인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상기 제1 순환수의 유입 위치를 결정하는 제3-2 연결부 및
상기 제2 순환라인과 상기 스크러버를 매개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순환라인으로의 상기 제2 순환수의 유출 위치를 결정하는 제4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3-1 연결부는,
상기 제3-2 연결부보다 하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라인은,
상기 수조부로부터 배출된 순환수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패키지,
상기 오존패키지로부터 공급된 오존과 순환수가 혼합되도록 하는 기액혼합펌프,
상기 기액혼합펌프에 의해 오존과 순환수가 혼합된 혼합수에 미세 버블을 공급하는 UFB 탱크 및
상기 UFB 탱크를 경유한 혼합수에 자외선을 이용한 고도산화공정을 구현하는 UV 고도산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패키지는,
외부공기를 흡입한 채, 압축하는 공기압축부,
상기 공기압축부로부터 제공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 및
상기 산소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산소를 오존화하는 오존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순환라인은,
상기 수조부로부터 배출된 순환수를 이동시키는 순환펌프부 및
상기 순환펌프부에 의해 이동된 순환수가 수용되며, 수용된 순환수 내의 미세먼지를 필터링 되도록 하는 마이크로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순환라인은,
병렬로 배치된 제1 병렬라인 및 제2 병렬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병렬라인은,
제1 순환펌프편 및 제1 마이크로필터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병렬라인은,
제2 순환펌프편 및 제2 마이크로필터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라인은,
상기 외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싸이클론부 및 상기 싸이클론부와 상기 스크러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기가 상기 싸이클론부로부터 상기 스크러버로 이동되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송풍부를 구비하며,
상기 싸이클론부는,
호퍼 형상의 공간형성부 및 상기 공간형성부에 장착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횡단면적의 크기가 작아지는 선회류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회류형성부는,
상측으로부터 유입된 상기 외기가 나선형 선회류를 형성한 채, 하강하여 상기 외기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파티클이 상기 공간형성부의 하부측에 수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라인으로부터 유입된 외기 내의 오염물질의 농도,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 농도 정보 및 유입된 외기 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순환라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외기 내의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유입가스센싱부, 상기 외기 내의 미세먼지 농도를 수집하는 미세먼지센싱부 및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오존센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입가스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존패키지에 의한 오존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과, 상기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을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오존값에 대한 데이터 값을 기초로, 상기 오존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값이 상기 유입가스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을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오존값보다 큰 경우, 상기 오존패키지에 의한 오존 공급량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오존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순환수 내의 오존값이 상기 유입가스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을 정화하기 위해 필요한 오존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오존패키지에 의한 오존 공급량이 늘어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가스센싱부는,
상기 외기 내의 복합가스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제1 수집부, 상기 외기 내의 암모니아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수집부 및 상기 외기 내의 황화수소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제3 수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순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의 순환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라인; 및
상기 제2 순환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의 분기점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 내의 순환수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수조부의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수집하는 회수센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조부 내의 순환수가 상기 제2 순환라인 또는 상기 배출라인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되도록, 상기 경로설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수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수조부 내의 순환수가 상기 배출라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경로설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회수센싱부에 의해 수집된 악취 유발 물질의 농도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수조부 내의 순환수가 상기 제2 순환라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경로설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5819A KR102264360B1 (ko) | 2021-02-25 | 2021-02-25 |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5819A KR102264360B1 (ko) | 2021-02-25 | 2021-02-25 |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4360B1 true KR102264360B1 (ko) | 2021-06-15 |
Family
ID=7641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5819A KR102264360B1 (ko) | 2021-02-25 | 2021-02-25 |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436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45997A (ja) * | 1990-10-05 | 1992-05-19 | Phoenix Eng:Kk | 水の浄化法 |
KR100803949B1 (ko) * | 2007-08-02 | 2008-02-15 | 주식회사두합크린텍 |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탈취ㆍ공기살균 장치 및 그방법 |
JP2012157830A (ja) * | 2011-02-01 | 2012-08-23 | Mitsubishi Paper Mills Ltd | 排ガス処理装置 |
KR101505510B1 (ko) * | 2014-04-16 | 2015-03-24 | 글롭텍엔지니어링(주) | 멀티스크러버를 활용한 염색 텐터공정 백연으로부터의 오일회수시스템 |
JP2019157777A (ja) * | 2018-03-14 | 2019-09-19 | 三菱化工機株式会社 | スクラバー、およびスクラバーシステム |
KR102160041B1 (ko) | 2019-05-29 | 2020-09-25 | 주식회사 티엠씨씨엔지 | 미세먼지 저감시스템 |
-
2021
- 2021-02-25 KR KR1020210025819A patent/KR1022643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45997A (ja) * | 1990-10-05 | 1992-05-19 | Phoenix Eng:Kk | 水の浄化法 |
KR100803949B1 (ko) * | 2007-08-02 | 2008-02-15 | 주식회사두합크린텍 |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탈취ㆍ공기살균 장치 및 그방법 |
JP2012157830A (ja) * | 2011-02-01 | 2012-08-23 | Mitsubishi Paper Mills Ltd | 排ガス処理装置 |
KR101505510B1 (ko) * | 2014-04-16 | 2015-03-24 | 글롭텍엔지니어링(주) | 멀티스크러버를 활용한 염색 텐터공정 백연으로부터의 오일회수시스템 |
JP2019157777A (ja) * | 2018-03-14 | 2019-09-19 | 三菱化工機株式会社 | スクラバー、およびスクラバーシステム |
KR102160041B1 (ko) | 2019-05-29 | 2020-09-25 | 주식회사 티엠씨씨엔지 | 미세먼지 저감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21095B2 (ja) | 空気清浄化装置 | |
CN106861368B (zh) | 一种实验室用废气净化器 | |
KR101512648B1 (ko) | 도장부스에서 배출된 페인트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용 건식 제거 장치 | |
CN103055669A (zh) | 一种废气净化处理方法及装置 | |
CN106938173A (zh) | 一种等离子体微纳米气泡染色废水、VOCs协同处理系统 | |
KR101056686B1 (ko) | 캐비테이션 기포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 |
KR101581236B1 (ko) | 자외선 오존 발생기 및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 |
CN103908877B (zh) | 气体过滤和二氧化碳收集的方法及其装置 | |
KR20120086532A (ko) |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 | |
CN109224848A (zh) | 一种废气处理装置 | |
KR101056687B1 (ko) | 악취 처리 장치 | |
JP2020138191A (ja) | 湿式スクラバー | |
CN104168982B (zh) | 用于湿法烟道气脱硫系统的汞捕捉系统和方法 | |
KR102264360B1 (ko) | 무약 및 무방류 방식의 악취 및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 |
CN106861337A (zh) | 一种垃圾填埋场空气净化系统 | |
CN110772981A (zh) | 橡胶轮胎废气净化系统 | |
CN113587331A (zh) | 一种液洗空气净化消毒器 | |
CN206252994U (zh) | 污水厂臭气处理成套系统 | |
JP2006102618A (ja) | 気液分離装置、およびこの気液分離装置を用いた排気ガス浄化装置、あるいは空気清浄化装置、または空気殺菌浄化装置 | |
KR20200099851A (ko) | 공기정화장치 및 공기정화방법 | |
CN208139469U (zh) | 一种空气净化器 | |
CN208574477U (zh) | 具有离心去油雾功能的新型光催化设备 | |
JP2006175336A (ja) | 湿式ガス浄化装置 | |
CN105879535A (zh) | 雾化洗涤式空气净化器 | |
CN213357049U (zh) | 一种污水臭氧催化氧化处理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