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089B1 -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089B1
KR102264089B1 KR1020210045774A KR20210045774A KR102264089B1 KR 102264089 B1 KR102264089 B1 KR 102264089B1 KR 1020210045774 A KR1020210045774 A KR 1020210045774A KR 20210045774 A KR20210045774 A KR 20210045774A KR 102264089 B1 KR102264089 B1 KR 102264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ox
internal
air layer
inl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분도
김석훈
Original Assignee
윤분도
김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분도, 김석훈 filed Critical 윤분도
Priority to KR1020210045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벽 모서리에 외박스와 통기공의 공기층을 제공하는 기둥벽이 노출되며 위아래가 막히는 내박스; 내박스의 하나의 기둥벽에서 공기층을 이루도록 절곡후 이어져서 내박스의 내측벽과 공기층을 이루도록 감싸며, 위아래가 막히는 외박스; 내박스의 하나의 내측벽에 형성한 내유입공; 내박스의 내윗판에 형성하여 내부 더운공기를 배출하여 내박스 내부에 찬공기만 잔류하는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내배출공; 상기 내배출공에 의한 석빙고 효과로 내박스에 수용되는 상온 또는 냉장의 물품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장고의 냉기에 의한 내부대류와 함께 내박스의 내아래판에 형성하여 냉기 대류 및 전도에 의한 냉기를 유입하여 급속 저온을 유도하는 내유입공 ; 외박스의 대향하는 일조의 외측벽에 각각 형성하여 내장된 상온의 물품을 냉각시키도록 냉장고의 냉기를 유입하여 공기층을 경유하여 내박스 내로 전달하여 저온물품의 저온을 유지토록 하는 외측유입공; 및 내박스에 잔류하는 냉기가 증가하여 내부압력이 증가할 때 압력을 유지토록 보조배출공을 경유하여 외박스로 배출하는 외측배출공을 포함하고; 내박스의 내윗판에 형성한 내배출공에서 외박스의 외윗판에 형성한 내배출공에서 외박스의 외윗판에 형성한 외배출공으로 내박스의 내부 열기가 배출토록 한다.

Description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Low-temperature product package providing double walled stone ice storage effect}
본 발명은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저온포장박스는 발포합성수지 패널을 이용하는 국내특허등록10-1176077호,
냉매를 고정시킨 박스형의 국내특허등록10-1269980호,
통풍구를 구비한 냉장포장상자가 국내실용신안등록20-0491923호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은 박스에 별도의 수단을 부가하거나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원가 상승의 요인과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박스와 외박스 사이에 공기층을 이룬 이중벽과 내박스 내부는 저장공간부를 이루어 공기층으로 동골의 그늘막 효과로 외기를 차단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내박스는 석빙고처럼 외기를 유입하여 더워진 공기는 천정으로 배출하고 찬공기는 내부에 잔류하도록 하여 저온물품에 찬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저온 보관성을 좋게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박스와 외박스 사이에 공기층을 이룬 이중벽과 내박스 사이의 공기층으로 동굴처럼 그늘막 효과를 제공하여 외부요인으로 인한 내박스 내의 저온물품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저온을 유지토록하여 유지시간을 늘려주는 포장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박스와 외박스 사이에 공기층을 이룬 이중벽과 내박스 내부는 저장공간부를 이루되 석빙고처럼 측벽에서 외기가 유입되고 천정으로 더운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내박스가 항상 저온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외박스는 마주하는 측벽에서 외기가 공기층으로 통기토록 하는 외유입공을 두어, 저장공간부에 냉동 가능한 상온의 물품을 수용한 상태로 장시간 또는 급속냉동 또는 급속 냉장 가능한 냉장고에 이동하면, 내박스 내부에 별도의 추가 냉매수단을 부가하지 않고도 대류와 전도가 동시에 발생히여 내장물품이 냉동물품이나 저온상태의 저온물품으로 변하고, 이 상태에서 냉장고에서 꺼내 박스채로 배송할 수 있어 물류비, 냉매비, 냉매를 위한 추가포장비 등이 생략되는 경제성이 있는 저온물품 포장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원발명은 내측벽 모서리에 내측벽 높이보다 위아래가 높아 외박스와 통기공의 공기층을 제공하는 기둥벽이 노출되며 윗판과 아래판을 접어 상하가 막히는 내박스;
내박스의 하나의 기둥벽에서 기둥벽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외측벽이 공간벽에서 공기층을 이루도록 절곡후 이어져서 내박스의 내측벽과 공기층을 이루도록 감싸며, 윗판과 아래판을 접어 천정과 바닥이 막히는 외박스;
내박스의 하나의 내측벽에 형성한 내유입공;
내박스의의 내윗판에 형성하여 내부 더운공기를 배출하여 내박스 내부에 찬공기만 잔류하는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내배출공;
상기 내배출공에 의한 석빙고 효과로 내박스에 수용되는 상온 또는 냉장의 물품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장고의 냉기에 의한 내부대류와 함께 내박스의 내아래판에 형성하여 냉기 대류 및 전도에 의한 냉기를 유입하여 급속 저온을 유도하는 내유입공;
외박스의 대향하는 일조의 외측벽에 각각 형성하여 내장된 상온의 물품을 냉각시키도록 냉장고의 냉기를 유입하여 공기층을 경유하여 내박스 내로 전달하여 저온물품의 저온을 유지토록 하는 외측유입공; 및
내박스에 잔류하는 냉기가 증가하여 내부압력이 증가할 때 압력을 유지토록 보조배출공을 경유하여 외박스로 배출하는 외측배출공을 포함하고;
내박스의 내윗판에 형성한 내배출공에서 외박스의 외윗판에 형성한 내배출공에서 외박스의 외윗판에 형성한 외배출공으로 내박스의 내부 열기가 배출토록 하는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내박스와 외박스 사이에 공기층을 이룬 이중벽과 내박스 내부는 저장공간부를 이루어 공기층으로 외기를 차단하여 그늘막 동굴효과를 제공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내박스는 석빙고처럼 외기를 유입하여 더워진 공기는 천정으로 배출하고 찬공기는 내부에 잔류하도록 하여 저온물품에 찬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저온 보관성을 좋게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박스와 외박스 사이에 공기층을 이룬 이중벽과 내박스 사이의 공기층으로 동굴처럼 그늘막 효과를 제공하여 외부요인으로 인한 내박스 내의 저온물품의 온도 상승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내박스와 외박스 사이에 공기층을 이룬 이중벽에 의한 동굴효과와 내박스 내부는 저장공간부를 이루되 석빙고처럼 측벽에서 외기가 유입되고 천정으로 더운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내박스가 항상 저온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외박스는 마주하는 측벽에서 외기가 공기층으로 통기토록 하는 외유입공을 두어, 저장공간부에 냉동 가능한 상온의 물품을 수용한 상태로 장시간 또는 급속냉동 또는 급속 냉장 가능한 냉장고에 이동하면, 내박스 내부에 별도의 냉매수단을 부가하지 않고도 대류와 전도가 동시에 발생히여 내장물품이 냉동물품이나 저온상태의 저온물품으로 변하고, 이 상태에서 냉장고에서 꺼내 박스채로 배송할 수 있어 물류비, 냉매비, 냉매를 위한 추가포장비 등이없어 경제성이 있는 저온물품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개도,
도 2는 도 1에서 내박스를 접은 다음 외박스를 접으려는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 상태로 나타낸 내부 원리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상으로 나타낸 원리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 상태로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평면 상태로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면 상태로 나타낸 원리 개념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 에 손잡이 슬릿을 형성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적어도 두곳의 내측벽(110) 모서리에 내측벽 높이보다 위아래가 높아 외박스(200)와 통기공의 공기층(160)을 제공하는 기둥벽(150)이 노출되며 윗판과 아래판을 접어 천정과 바닥이 막히는 내박스(100);
내박스(100)의 하나의 기둥벽에서 기둥벽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외측벽이 공간벽(215)에서 공기층(160)을 이루도록 절곡후 이어져서 내박스(100)의 내측벽과 공기층(160)을 이루도록 감싸며, 윗판과 아래판을 접어 천정과 바닥이 막히는 외박스(200);
내박스(100)의 하나의 내측벽에 형성한 내유입공(141);
내박스의(100)의 내윗판(122,124)에 형성하여 내부 더운공기를 배출하여 내박스(100) 내부에 찬공기만 잔류하는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내배출공(143);
상기 내배출공(143)에 의한 석빙고 효과로 내박스(100)에 수용되는 상온 또는 냉장의 물품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장고의 냉기에 의한 내부대류와 함께 내박스(100)의 내아래판(132,134)에 형성하여 냉기 대류 및 전도에 의한 냉기를 유입하여 급속 저온을 유도하는 내유입공(144);
외박스(200)의 대향하는 일조의 외측벽에 각각 형성하여 내장된 상온의 물품을 냉각시키도록 냉장고의 냉기를 유입하여 공기층(160)을 경유하여 내박스(100) 내로 전달하여 저온물품의 저온을 유지토록 하는 외측유입공(241); 및
내박스(100)에 잔류하는 냉기가 증가하여 내부압력이 증가할 때 압력을 유지토록 보조배출공(142-2)을 경유하여 외박스(200)로 배출하는 외측배출공(242)을 포함하고;
내박스(100)의 내윗판(122,124)에 형성한 내배출공(143)에서 외박스(200)의 외윗판(222,224)에 형성한 내배출공(143)에서 외박스(200)의 외윗판(222,224)에 형성한 외배출공(243)으로 내박스(100)의 내부 열기가 배출토록 구성한다.
상기, 기둥벽(150)은 하나의 측벽 외측으로 절곡한 기둥벽(a)과 인접 측벽에 부가한 타카벽(b) 을 내박스(10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접은 다음 일체로 결합하고, 기둥벽(150)은 외박스(200)의 아래판과 윗판에 닿도록 내측벽(110) 상하단에서 연장한다.
상기, 외박스(200)의 외측유입공(241)과 외측배출공(242)은 수평위치가 상하로 배치되어 외기가 수평으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공기층(160)을 돌아 잔류하는 시간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내박스(100)의 내유입공(141)은 내측벽의 중앙에 위치하고, 해당 내측벽의 상부 모서리에는 내유입공 보다 유입공이 작은 보조유입공(142-1)이 형성되며, 보조유입공(142-1)은 외측유입공(241)과 수평위치가 동일하며 외측유입공(241)과 동일한 면적크기를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 내박스(100)는 내측벽1내지 내측벽4(111~114)으로 이어지는 내측벽(110);
내측벽1내지 내측벽4(111~114)의 이어지는 부분에 부가되어 외측으로 접어 고정되고 상하가 내측벽의 세로길이보다 긴 기둥벽4내지 기둥벽1(154~151);
대향하는 내측벽1(111) 및 내측벽3(113) 의 상하에 부가되어 인접하는 대향 내측벽2(112) 및 내측벽4(114)의 가로길이의 반보다 작은 높이(세로)를 이룬 내윗판1(121) 과 내윗판3(123) 및, 내아래판(131) 과 내아래판(133);
상기 내측벽2(112) 및 내측벽4(114)의 상하에 부가되어 내박스(100)의 천정과 바닥을 반으로 나누어 덮는 내윗판2(122) 과 내윗판4(124) 및, 내아래판2(132) 과 내아래판4(134);
내윗판2(122) 및 내윗판4(124)에 형성한 내배출공(143); 및
내아래판2(132) 및 내아래판4(134)에 형성한 내유입공(144)을 포함하며;
내측벽2(112)에는 중앙에 유입공의 면적이 큰 내유입공(141)을, 상부 모서리에는 유입면적이 내유입공(141)보다 작은 보조유입공(142-1)이 부가되며;
내유입공(141)과 보조유입공(142-1)의 유입공면적은 내배출공(143) 및 보조배출공(142-2)의 배출면적이 일치하도록 구성하고;
내측벽1(111)에 이어진 기둥벽1(151')에는 공간벽(215)을 매개로 외박스(200)가 내박스(100)와 공기층(160)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외박스(200)는 내박스(100)의 내측벽(111) 일단에서 외측으로 절곡한 기둥벽(151')에서 내측벽(111)과 나란하게 외측으로 절곡한 공간벽(215);
공간벽((215)에서 외측벽4(214) 일단을 직각으로 접고 내측벽4(114)의 외측을 공기층(160)을 이루도록 덮는 외측벽4(214);
외측벽4(214)타단에서 기둥벽2(154)를 공기층(160) 폭만큼 지난 지점에서 직각으로 접어 내측벽3(113)와 공기층(160)이루도록 하는 외측벽3(213)과;
외측벽3(213) 타단에서 기둥벽3(153)를 공기층(160) 폭만큼 지난 지점에서 직각으로 접어 내측벽2(112)과 역시 공기층(160)이루도록 하는 외측벽2(212)와;
외측벽2(212) 타단에서 기둥벽4(154)를 공기층(160) 폭만큼 지난 지점에서 직각으로 접어 내측벽1(111)과 역시 공기층(160)이루도록 하는 외측벽1(211)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외측벽4(214) 모서리 하부에는 작은 면적의 외측배출공(242)을, 외측벽2(212)의 상부측 모서리에는 외측유입공(241)을 형성하여 공기층(160)사이의 통로를 돌아가 지연 이동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1 과 같은 전개도 형상을 이루고, 각 내측벽(114,113,112,111)을 이어주는 기둥벽1내지 4(151,152,153,154)를 이루는 기둥벽(a)과 타카벽(b)을 상호 타카침으로 외향되게 결합하면(다만 기둥벽(151,151')은 상호 타카침으로 결합한다) 내박스(100)의 기본 측벽을 이루고, 내아래판(131,133)을 접고 이어 내아래판(132,134)을 접어 바닥을 막는다. 물론 접는 순서는 바꿔어도 되고, 덮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테이핑이 부가될 수 있다. 이어 내박스(100) 내부 공간에 원하는 물품을 넣고(물품만 넣을 수도 있고, 냉매를 바닥에 깔고 넣을 수도 있다), 내윗판(121,123)을 먼저 덮고, 이어 내윗판(143,124)을 접어 천정을 막고 테이핑하여 포장을 마무리한다. 이는 도 2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물론 내박스(100)에 외박스(200)를 일체로 결합한 다음에 내박스(100) 내부공간에 물품을 넣고 차례로 내박스와 외박스 천정을 닫으면 된다.
내박스를 포장한 도 2 상태에서 외박스(200)를 조립하는 과정은 도 4 와 같이 기둥벽(151')에 부가된 공간벽(215)을 외측으로 공기층(160)을 이루도록 절곡 후, 공간벽(215) 외측단에서 외측벽4(214)일단을 직각으로 내측벽(114)과 나란하게 접는다.
외측벽4(214) 타단에서 기둥벽2(152)를 공기층(160) 폭만큼 지난 지점에서 외측벽3(213) 일단을 직각으로 접어 내측벽3(113)와 공기층(160)이루도록 한다.
외측벽3(213) 타단에서 기둥벽3(153)를 공기층(160) 폭만큼 지난 지점에서 외측벽2(212)일단을 직각으로 접어 내측벽2(112)과 역시 공기층(160)이루도록 한다.
외측벽2(212) 타단에서 기둥벽2(152)를 공기층(160) 폭만큼 지난 지점에서 직각으로 외측벽1(211)을 접어 내측벽1(111)과 역시 공기층(160)이루도록 하고, 외측벽1(211)타단은 기둥벽(151)에 테이핑하여 공기층(160)이 내박스(100)와 외박스(200) 사이에 이루어지는 박스 형태를 완성 한다.
본 발명은 내박스(100)와 외박스(200) 사이에 도 4 및 도 5와 같이 공기층(160)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층(160)이 도 7에 표기한 바와 같이 내박스(100)와 외박스(200) 사이에 형상되어 공기층이 이중벽 형태로 제공되고, 공기층은 그늘막처럼 외기 전도를 차단하고, 내박스(100) 내부는 외박스(200)와 함께 외기가 유입되어 더운공기는 위로 배출하고 찬 공기는 잔류하는 것을 반복하여 내박스(100) 내부가 석빙고효과를 제공한다. 도 7에서는 냉매를 내장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은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7에서 외박스(200)의 외측유입공(241)에서 유입되는 작은양의 공기는 수평으로 이어진 내박스(100) 내측벽(112)의 보조유입공(142-1)과 중앙의 내유입공(141)으로 분산되어 공기확산의 베르누이 정리와 같이 저속으로 저온물품 주변으로 서서히 확산 이동하여 열교환한다. 장시간 열교환에 의하여 더워진 공기는 상승하여 내박스(100)의 내배출공(143)과 외박스(200)의 외배출공(243)으로 배출된다. 배출되지 못하고 공간 저면으로 몰려드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는 차가운공기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내박스(100)의 보조배출공(142-2) 및 외박스(200)의 외측배출공(242)을 통하여 배기된다.
이 경우 외측유입공(241)의 유입면적과 외측배출공(242)의 배출면적이 동일하여 입력만큼 배출하는것 같지만, 내박스(100)내의 외기유입 공기의 잔류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누적되는 더운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는 찬공기는 가두고 더운공기는 쉽게 배출되도록 기능하여 석빙고 효과를 수반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본 발명은 저온물품이나 상온 물품이나, 상온화된 냉매에 저온물품을 넣은 상태에서도 내박스의 물품을 박스채로 저온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도 7과 같이 이동중에는 저온물품 등에 의하여 내박스(100) 바닥의 내유입공(144)이 막혀서 공기의 이동이 차단되므로 대류현상의 발생이 없게되므로 이에 대한 세부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러나 저온물품 보다 온도가 낮은 급속냉장시스템에서는 냉기가 내유입공(144)을 통하여 전도되므로 상온의 냉매를 넣었어도 냉각이나 냉동의 냉매로 변하므로 박스채로 급속냉장시스템에 넣었다가 배송을 가능토록 한다. 물론 전도 냉매는 내유입공(144)외에도 보조유입공(142-1), 내유입공(141), 보조배출공(142-2) 등으로 동시에 유입도힐 수 있어 급속 내동을 가능토록 기능한다.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도 1 에 손잡이슬릿(216)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바, 이는 평소에는 측벽이 막히다가 손잡이로 사용할때만 슬릿홈을 밀거나 당겨 손잡이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힘에 의하여 슬릿이 막히므로 공기층 제공에는 문제가 없게된다.
100;내박스 110;내측벽 111;내측벽1 112;내측벽2 113;내측벽3 114;내측벽4 120;내윗판 121;내윗판1 122;내윗판2 123;내윗판3 124;내윗판4 130;내아래판 131;내아래판1 132;내아래판2 133;내아래판3 134;내아래판4 141,144;내유입공 142-1;보조유입공 142-2;보조배출공 143;내배출공 150;기둥벽 151,151';기둥벽1 a;기둥벽 b;타카벽 152;기둥벽2 153;기둥벽3 154;기둥벽4 160;공기층 210;외측벽 211;외측벽1 212;외측벽2 213;외측벽3 214;외측벽4 215;기둥벽 216;손잡이슬릿 220;외윗판 221;외윗판1 222;외윗판2 223;외윗판3 224;외윗판4 230;외아래판 231;외아래판1 232;외아래판2 233;외아래판3 234;외아래판4 241;외측유입공 242;외측배출공 243;외배출공 244;외유입공

Claims (6)

  1. 적어도 두곳의 내측벽(110) 모서리에 내측벽 높이보다 위아래가 높아 외박스(200)와 통기공의 공기층(160)을 제공하는 기둥벽(150)이 노출되며 윗판과 아래판을 접어 천정과 바닥이 막히는 내박스(100);
    내박스(100)의 하나의 기둥벽에서 기둥벽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가지는 외측벽이 공간벽(215)에서 공기층(160)을 이루도록 절곡후 이어져서 내박스(100)의 내측벽과 공기층(160)을 이루도록 감싸며, 윗판과 아래판을 접어 천정과 바닥이 막히는 외박스(200);
    내박스(100)의 하나의 내측벽에 형성한 내유입공(141);
    내박스의(100)의 내윗판(122,124)에 형성하여 내부 더운공기를 배출하여 내박스(100) 내부에 찬공기만 잔류하는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내배출공(143);
    상기 내배출공(143)에 의한 석빙고 효과로 내박스(100)에 수용되는 상온 또는 냉장의 물품을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장고의 냉기에 의한 내부대류와 함께 내박스(100)의 내아래판(132,134)에 형성하여 냉기 대류 및 전도에 의한 냉기를 유입하여 급속 저온을 유도하는 내유입공(144);
    외박스(200)의 대향하는 일조의 외측벽에 각각 형성하여 내장된 상온의 물품을 냉각시키도록 냉장고의 냉기를 유입하여 공기층(160)을 경유하여 내박스(100) 내로 전달하여 저온물품의 저온을 유지토록 하는 외측유입공(241); 및
    내박스(100)에 잔류하는 냉기가 증가하여 내부압력이 증가할 때 압력을 유지토록 보조배출공(142-2)을 경유하여 외박스(200)로 배출하는 외측배출공(242)을 포함하고;
    내박스(100)의 내윗판(122,124)에 형성한 내배출공(143)에서 외박스(200)의 외윗판(222,224)에 형성한 내배출공(143)에서 외박스(200)의 외윗판(222,224)에 형성한 외배출공(243)으로 내박스(100)의 내부 열기가 배출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기둥벽(150)은 하나의 측벽 외측으로 절곡한 기둥벽(a)과 인접 측벽에 부가한 타카벽(b) 을 내박스(10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접은 다음 일체로 결합하고, 기둥벽(150)은 외박스(200)의 아래판과 윗판에 닿도록 내측벽(110) 상하단에서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외박스(200)의 외측유입공(241)과 외측배출공(242)은 수평위치가 상하로 배치되어 외기가 수평으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공기층(160)을 돌아 잔류하는 시간을 제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내박스(100)의 내유입공(141)은 내측벽의 중앙에 위치하고, 해당 내측벽의 상부 모서리에는 내유입공 보다 유입공이 작은 보조유입공(142-1)이 형성되며, 보조유입공(142-1)은 외측유입공(241)과 수평위치가 동일하며 외측유입공(241)과 동일한 면적크기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내박스(100)는 내측벽1내지 내측벽4(111~114)으로 이어지는 내측벽(110);
    내측벽1내지 내측벽4(111~114)의 이어지는 부분에 부가되어 외측으로 접어 고정되고 상하가 내측벽의 세로길이보다 긴 기둥벽4내지 기둥벽1(154~151);
    대향하는 내측벽1(111) 및 내측벽3(113) 의 상하에 부가되어 인접하는 대향 내측벽2(112) 및 내측벽4(114)의 가로길이의 반보다 작은 높이(세로)를 이룬 내윗판1(121) 과 내윗판3(123) 및, 내아래판(131) 과 내아래판(133);
    상기 내측벽2(112) 및 내측벽4(114)의 상하에 부가되어 내박스(100)의 천정과 바닥을 반으로 나누어 덮는 내윗판2(122) 과 내윗판4(124) 및, 내아래판2(132) 과 내아래판4(134);
    내윗판2(122) 및 내윗판4(124)에 형성한 내배출공(143); 및
    내아래판2(132) 및 내아래판4(134)에 형성한 내유입공(144)을 포함하며;
    내측벽2(112)에는 중앙에 유입공의 면적이 큰 내유입공(141)을, 상부 모서리에는 유입면적이 내유입공(141)보다 작은 보조유입공(142-1)이 부가되며;
    내유입공(141)과 보조유입공(142-1)의 유입공면적은 내배출공(143) 및 보조배출공(142-2)의 배출면적이 일치하도록 구성하고;
    내측벽1(111)에 이어진 기둥벽1(151')에는 공간벽(215)을 매개로 외박스(200)가 내박스(100)와 공기층(160)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6. 제 5항에 있어서, 외박스(200)는 내박스(100)의 내측벽(111) 일단에서 외측으로 절곡한 기둥벽(151')에서 내측벽(111)과 나란하게 외측으로 절곡한 공간벽(215);
    공간벽((215)에서 외측벽4(214) 일단을 직각으로 접고 내측벽4(114)의 외측을 공기층(160)을 이루도록 덮는 외측벽4(214);
    외측벽4(214)타단에서 기둥벽2(154)를 공기층(160) 폭만큼 지난 지점에서 직각으로 접어 내측벽3(113)와 공기층(160)이루도록 하는 외측벽3(213)과;
    외측벽3(213) 타단에서 기둥벽3(153)를 공기층(160) 폭만큼 지난 지점에서 직각으로 접어 내측벽2(112)과 역시 공기층(160)이루도록 하는 외측벽2(212)와;
    외측벽2(212) 타단에서 기둥벽4(154)를 공기층(160) 폭만큼 지난 지점에서 직각으로 접어 내측벽1(111)과 역시 공기층(160)이루도록 하는 외측벽1(211)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외측벽4(214) 모서리 하부에는 작은 면적의 외측배출공(242)을, 외측벽2(212)의 상부측 모서리에는 외측유입공(241)을 형성하여 공기층(160)사이의 통로를 돌아가 지연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KR1020210045774A 2021-04-08 2021-04-08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KR102264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774A KR102264089B1 (ko) 2021-04-08 2021-04-08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774A KR102264089B1 (ko) 2021-04-08 2021-04-08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089B1 true KR102264089B1 (ko) 2021-06-10

Family

ID=76377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774A KR102264089B1 (ko) 2021-04-08 2021-04-08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0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717U (ko) * 1988-06-30 1990-01-19
JP2003291951A (ja) * 2002-03-29 2003-10-15 Asahi Shigyo Kk 折込み式包装箱用型紙、折込み式包装箱体の包装方法及び折込み式包装体
KR20180004857A (ko) * 2016-07-04 2018-01-1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최가농원 농산물용 운반상자
KR200491923Y1 (ko) * 2019-02-01 2020-07-01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냉장 포장 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717U (ko) * 1988-06-30 1990-01-19
JP2003291951A (ja) * 2002-03-29 2003-10-15 Asahi Shigyo Kk 折込み式包装箱用型紙、折込み式包装箱体の包装方法及び折込み式包装体
KR20180004857A (ko) * 2016-07-04 2018-01-1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최가농원 농산물용 운반상자
KR200491923Y1 (ko) * 2019-02-01 2020-07-01 씨제이프레시웨이 주식회사 냉장 포장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13328B2 (ja) 冷蔵商品陳列システム
CN104641190B (zh) 冷藏库
US4845957A (en) In-store refrigerated display system
KR102336200B1 (ko) 냉장고
US4898004A (en) In-store refrigerated display system
JP2016507426A (ja) 輸送ボックス及びチルド製品の輸送方法
WO2017113769A1 (zh) 一种风直冷变换式冰箱
CN107421205B (zh) 冷藏冷冻装置
WO2019001557A1 (zh) 冷藏冷冻装置
CN209054826U (zh) 一种具有双层循环风道的冷柜
JP5436522B2 (ja) 冷凍冷蔵庫
KR102264089B1 (ko) 이중벽 석빙고 효과를 제공하는 저온물품 포장박스
TWI675173B (zh) 冰箱
US20150241108A1 (en) Minimum cavetto module portable refrigerated cabinet with one free cold passage
CN206875810U (zh) 冷藏库
JP2014238182A (ja) 冷蔵庫
JP6145643B2 (ja) 冷蔵庫
AU2020229911B2 (en) Refrigerator having air blower located downstream of transverse side of evaporator
CN208769279U (zh) 一种冷藏展示柜
JP3706192B2 (ja) 冷却貯蔵庫
CN206440058U (zh) 冷藏库
EP3929513B1 (en) Refrigerator with air blower located upstream of lateral side of evaporator
JP5502588B2 (ja) 低温ショーケース
CN102914116B (zh) 制冷设备
JP2008170032A (ja) 凝縮器、冷却システム及び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