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999B1 -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999B1
KR102263999B1 KR1020190050965A KR20190050965A KR102263999B1 KR 102263999 B1 KR102263999 B1 KR 102263999B1 KR 1020190050965 A KR1020190050965 A KR 1020190050965A KR 20190050965 A KR20190050965 A KR 20190050965A KR 102263999 B1 KR102263999 B1 KR 102263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medical
blood
pressur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815A (ko
Inventor
박향숙
신슬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90050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99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39Blood pressure control, pressure transduc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01Control or re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53Interfaces between patient blood circulation and extra-corporal blood circuit
    • A61M1/3659Cannulae pertaining to extracorporeal circulation
    • A61M1/3661Cannulae pertaining to extracorporeal circulation for haemodi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혈액이 유동하는 가요성(可撓性) 재질의 의료용 도관이 관통 결합되는 도관 결합공이 형성된 도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용 도관에 장착되는 도관 장착구; 및 상기 도관 장착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관 결합공에 결합된 상기 의료용 도관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며 상기 의료용 도관을 따라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PRESSURE REGULATING APPARATUS OF BLOOD FOR MEDICAL APPLIANCE}
본 발명은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기기에 연결된 의료용 도관을 따라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을 조절하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석치료는 환자의 혈액에 함유된 노폐물과 수분을 제거하거나, 전해질 교정을 위해 환자의 혈액 등을 체외 순환시킨다.
일반적으로, 투석치료에 있어서는, 환자의 혈액을 체외 순환시키기 위하여 가요성(可撓性; flexible) 튜브로 이루어지는 혈액 회로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혈액 등을 체외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가요성 튜브 형태의 의료용 도관으로 이루어지는 혈액 회로가 사용되고 있다.
혈액 회로를 통해 체외 순환하며 환자의 체내로 다시 공급되는 혈액의 압력이 급격하거나 과도할 경우, 용혈이 발생하여 환자에게 저산소증, 혈압 저하, 쇼크 등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한편, 환자의 체내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혈액의 정화 및 산소 공급을 행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혈액이 에크모(ECMO)와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CRRT)와 다시 에크모를 순차적으로 거쳐 환자의 체내로 유입되도록, 에크모와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를 의료용 도관으로 연결하여 혈액 회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에크모(ECMO)와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CRRT)를 의료용 도관으로 연결한 혈액 관리 장치의 경우, 의료용 도관을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에크모의 경우,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에 비해 혈액이 과도한 음압(Negative pressure)으로 에크모에 유입되어 과도한 양압(Positive pressure)으로 배출된다.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도 혈액이 음압(Negative pressure)으로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로 유입되어, 지속적 신장대체요법 장치에서 양압(Positive pressure)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혈액이 양압으로 지속적 신장대체요법 장치로 유입되어도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의 경우,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로 유입되거나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에서 배출되는 혈액의 압력이 정해진 압력보다 높거나 낮으면,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는 알람이 발생하며, 장치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않고 작동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에크모의 혈류 속도에 따라 에크모에서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로 유입되는 혈액의 압력 조절과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에서 에크모로 배출되는 혈액의 압력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환자의 체내에서 빼낸 혈액이 에크모를 거쳐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로 공급될 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에크모를 거친 혈액이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의 정해진 압력 범위보다 높거나 낮은 압력으로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혈액이 신장대체요법장치에서 에크모로 배출될 때 정해진 압력 범위보다 높거나 낮은 압력으로 에크모로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때, 정해진 압력 범위보다 높거나 낮은 압력의 혈액이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로 유입되거나 에크모로 배출되면,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는 알람이 발생하며, 장치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않고 작동 정지하여, 혈액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환자에게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해, 의료진은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의 작동이 멈추지 않도록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로 유입되고 지속적 신장대체요법 장치에서 배출되는 혈액의 압력을 모니터링하여 조절해야 하므로, 압력 조절작업이 번거롭고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0246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료기기로 유입 및 배출되는 혈액의 압력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의료기기로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 조절 작업에 대한 의료진의 부담을 줄여주며, 환자에게 혈액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기기로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실시예로서, 혈액이 유동하는 가요성(可撓性) 재질의 의료용 도관이 관통 결합되는 도관 결합공이 형성된 도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용 도관에 장착되는 도관 장착구; 및 상기 도관 장착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관 결합공에 결합된 상기 의료용 도관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며 상기 의료용 도관을 따라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구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관 장착구는, 상기 도관 결합공과 연통하는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도관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의료용 도관을 상기 도관 결합공에 삽입하기 위한 도관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조절구는 상기 도관 삽입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구는,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가압부재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도관 삽입부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도관 삽입부의 슬릿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도관 결합공을 향해 직선 왕복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관 장착구에 대한 상기 압력 조절구의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스케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부는, 상기 도관 장착구에 대한 상기 압력 조절구의 직선 이동거리를 복수의 제1단위 눈금으로 표시한 제1스케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구와 상기 도관 장착구는 나사 결합되며, 상기 도관 장착구에 대한 상기 압력 조절구의 1회전 직선 이동거리를 복수의 제2단위 눈금으로 표시한 제2스케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관 장착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관 장착구를 인접한 의료용 도관 또는 의료기기에 거치하는 거치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관 장착구와 상기 거치구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관 장착구의 외주에 상기 거치구의 결합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된 스토퍼 리브; 및 상기 거치구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리브가 결합되어 상기 도관 장착구에 결합되는 상기 거치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노폐물이 함유된 혈액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노폐물이 여과된 혈액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혈액을 여과하는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재된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가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기기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혈액의 압력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의료기기로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 조절 작업에 대한 의료진의 부담을 줄여주며, 환자에게 혈액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일 예로서 도 1의 가압부재가 의료용 도관을 가압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일 예로서 도 1의 가압부재가 의료용 도관을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가 적용된 혈액 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는 도관 장착구(10)와 압력 조절구(30)를 포함한다.
도관 장착구(10)에는 의료용 도관(100)이 장착된다.
도관 장착구(10)는 도관 결합공(13)이 형성된 도관 결합부(11)를 포함한다. 도관 결합공(13)에는 혈액이 유동하는 유동로가 형성된 가요성(可撓性) 재질의 의료용 도관(100)이 관통 결합된다.
또한, 도관 장착구(10)는 의료용 도관(100)을 도관 결합공(13)에 삽입하기 위한 도관 삽입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관 삽입부(21)는 도관 결합부(11)의 일측으로부터 로드 형상으로 길이 연장된다.
도관 삽입부(21)의 중앙에는 도관 삽입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되어, 도관 결합공(13)과 연통하는 슬릿(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관 삽입부(21)는 이분할된다.
또한, 슬릿(23)의 폭은, 도관 결합공(13)에 결합된 의료용 도관(100)이 슬릿(23)을 통해 쉽게 빠지지 않도록, 의료용 도관(10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또한, 슬릿(23)의 폭이 의료용 도관(10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짐에 따라, 이분할된 도관 삽입부(21)는 탄성 변형가능하도록 가요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분할된 도관 삽입부(21)를 양측으로 벌려, 벌어진 슬릿(23)을 통해 의료용 도관(100)을 도관 결합공(13)에 쉽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압력 조절구(30)는 도관 장착구(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관 결합공(13)에 결합된 의료용 도관(100)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며 의료용 도관(100)을 따라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을 조절한다.
압력 조절구(30)는 도관 삽입부(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재(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압부재(31)는 일정 길이의 로드 형상을 가진다. 가압부재(31)는 도관 삽입부(21)의 슬릿(23)에 나사 결합된다. 가압부재(31)의 외주에는 수나사(3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관 삽입부(21)의 슬릿(23)의 일측에는 가압부재(31)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 영역(25)이 형성되고, 슬릿(23)의 타측에는 가압부재(31)의 수나사(33)가 결합되는 암나사 영역(27)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재(31)는 도관 삽입부(21)의 끼움 영역(25)에 1차적으로 끼움 결합한 후, 2차적으로 암나사 영역(27)에 나사 결합되어, 도관 결합공(13)을 향해 직선 왕복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부재(31)가 도관 삽입부(21)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며 도관 결합공(13)에 결합된 의료용 도관(100)을 가압 및 가압해제함에 따라, 의료용 도관(100)을 유동하는 혈액의 유동 단면적이 조절되어, 의료용 도관(100)을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 조절구(30)는 손잡이(41)와 결합 가이드(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41)는 가압부재(31)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31)의 일단부에 마련된다.
결합 가이드(45)는 손잡이(41)로부터 가압부재(31)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재(31)를 도관 삽입부(21)의 슬릿(23)에 삽입하거나, 슬릿(23)에 나사 회전시켜 직선 왕복이동시킬 때, 결합 가이드(45)는 가압부재(31)와 도관 삽입부(21)의 결합을 안내 즉, 결합 가이드(45)는 가압부재(31)와 도관 삽입부(21)가 동심을 이루도록 안내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압부재(31)가 도관 삽입부(21)에 결합될 때, 결합 가이드(45)는 도관 삽입부(21)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분할된 도관 삽입부(21)는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고 원래의 단면형상을 유지하게 되고, 동시에 가압부재(31)는 도관 삽입부(21)의 내주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 형상의 가압부재(31)가 도관 삽입부(21)의 슬릿(23)에 끼움 결합된 후, 슬릿(23)의 암나사와 나사 결합되어 도관 삽입부(21)를 따라 직선 왕복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로서 가압부재(31)는 슬리브 형상을 가지며, 도관 삽입부(21)의 외주를 따라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관 장착구(10)의 도관 삽입부(21)와 압력 조절구(30)의 가압부재(31)를 나사 결합하지 않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가압부재의 표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가압부재의 걸림턱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홈을 도관 삽입부의 슬릿에 도관 삽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도관 장착구에 대한 압력 조절구의 직선 이동거리를 간편하게 조절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는 도관 장착구(10)에 대한 압력 조절구(30)의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스케일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부(50)는 도관 장착구(10)에 대한 압력 조절구(30)의 직선 이동거리를 복수의 제1단위 눈금으로 표시한 제1스케일부(51)를 포함한다. 제1스케일부(51)는 도관 장착구(10)의 도관 삽입부(21)의 표면에 도관 삽입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여기서, 도관 결합부(11)를 향하는 제1스케일부(51)의 제일 바깥쪽의 제1단위 눈금이 압력 조절구(30)의 직선 이동거리의 기준점인 영점이 된다. 그리고, 제1스케일부(51)의 영점으로부터 도관 삽입부(21)의 자유단부를 향할수록 제1단위 눈금이 증가하도록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관 장착구(10)에 제1스케일부(51)를 마련함으로써, 압력 조절구(30)의 가압부재(31)로 도관 결합공(13)에 결합된 의료용 도관(100)에 대한 가압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의료기기로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케일부(50)는 도관 장착구(10)에 대한 압력 조절구(30)의 1회전 직선 이동거리를 복수의 제2단위 눈금으로 표시한 제2스케일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스케일부(55)는 압력 조절구(30)의 결합 가이드(45)의 자유단부의 표면에 결합 가이드(45)의 둘레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이와 같이, 압력 조절구(30)에 제2스케일부(55)를 더 마련함으로써, 압력 조절구(30)의 가압부재(31)로 도관 결합공(13)에 결합된 의료용 도관(100)에 대한 가압 정도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기기로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을 보다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는 도관 장착구(10)를 인접한 의료용 도관(미도시) 또는 의료기기(미도시)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구(60)는 일측이 개구된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지며, 도관 장착구(10)의 자유단부에 예컨대, 압력 조절구(30)가 결합되는 도관 장착구(10)의 반대측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거치구(60)에는 의료용 도관 또는 의료기기에 간편하게 걸 수 있는 클립(6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는 도관 장착구(10)와 거치구(60)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70)는 스토퍼 리브(71)와 스토퍼 홈(75)을 포함한다.
스토퍼 리브(71)는 도관 장착구(10)의 외주에 거치구(60)의 결합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홈(75)은 스토퍼 리브(71)에 대응하여 거치구(60)의 내주면에 일정 길이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홈(75)에는 스토퍼 리브(71)가 끼움 결합되어, 도관 장착구(10)에 결합되는 거치구(60)의 이동을 제한한다.
한편, 도관 장착구(10)와 거치구(60)가 결합될 때, 도관 장착구(10)를 향하는 거치구(60)의 자유단부가 도관 장착구(10)에 형성된 제1스케일부(51)와 간섭하지 않도록 스토퍼(70)는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구(60)의 자유단부가 도관 장착구(10)의 제1스케일부(51)의 영점 기준점과 일치하도록, 도관 장착구(10)와 거치구(60)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를 의료용 도관(100)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의료기기에 연결된 가요성 재질의 의료용 도관(100)을 도관 결합구의 도관 삽입부(21)의 슬롯을 통해 도관 결합공(13)에 관통 결합한다.
다음, 압력 조절구(30)의 가압부재(31)를 도관 결합구의 슬릿(23)에 나사 결합한다. 이 때, 가압부재(31)의 단부가 도관 결합공(13)에 결합된 의료요 도관을 가압하지 않도록, 압력 조절구(30)를 도관 결합구에 1차 결합한다.
그리고, 거치구(60)를 도관 결합구에 결합한 후, 거치구(60)에 마련된 클립(65)을 인접한 의료용 도관에 결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의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가 의료용 도관(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압력 조절구(30)를 도관 결합구에 대해 직선 왕복이동시켜 압력을 조절한다.
예컨대, 압력 조절구(30)의 가압부재(31)를 도관 결합구의 도관 결합공(13)에 결합된 의료용 도관(100)을 향해 전진 이동시켜 의료용 도관(100)의 표면을 가압함에 따라, 의료용 도관(100)을 유동하는 혈액의 유동 단면적이 축소되면서 혈류 속도가 증대하여, 혈액의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압력 조절구(30)의 가압부재(31)가 도관 결합구의 도관 결합공(13)에 결합된 의료용 도관(100)을 가압한 상태에서, 의료용 도관(100)으로부터 이격하도록 후진 이동시켜 의료용 도관(100)의 표면을 가압해제함에 따라, 의료용 도관(100)을 유동하는 혈액의 유동 단면적이 확대되면서 혈류 속도가 감소되어, 혈액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단,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를 에크모에 연결하여 적용하는 경우에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의 의료용 도관을 에크모의 의료용 도관의 연결하는 위치에 따라, 압력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지속적 신장대체요법 장치의 의료용 도관의 표면을 가압하면 의료용 도관을 유동하는 혈액의 유동 단면적이 축소되면서 혈액의 압력을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폐물이 함유된 혈액이 유입되는 유입부(310)와, 노폐물이 여과된 혈액이 배출되는 배출부(320)를 구비하며, 혈액을 여과하는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30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는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300)의 유입부(310)와 배출부(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의료용 도관(100)에 장착되어,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300)로 유입되는 혈액의 압력을 조절하거나,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300)로부터 배출되는 혈액의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가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의 유입부와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의료용 도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는 혈액투석장치, 혈액관류요법장치, 혈장교환술장치, 간투석장치 등과 같은 의료기기의 유입부와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의료용 도관에 장착되어, 해당 의료기기의 의료용 도관을 따라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가 에크모(200)와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300)를 의료용 도관(100)으로 연결한 혈액 관리 장치에 적용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환자(1000)의 체내에서 빼낸 혈액은 에크모(200)를 거쳐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300)로 공급되어, 다시 에크모(200)를 거쳐 환자(1000)의 체내로 유입된다.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300)의 유입부(310)와 배출부(320)에 위치한 의료용 도관(100)에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정해진 압력 범위보다 높은 압력의 혈액이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300)로 유입되면,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300)는 알람을 발생하며 장치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지 않고 작동 정지하여, 혈액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환자에게 위험을 초래하므로,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300)의 유입부(310) 영역 및 배출부(320) 영역에 마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1)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300)로 유입 및 배출되는 혈액의 압력을 간편하게 조절하며 관리할 수 있어, 혈액의 압력 조절 작업에 대한 의료진의 부담이 줄어들고, 환자에게 혈액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가 에크모와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를 의료용 도관으로 연결된 혈액 관리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에크모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의료기기와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를 의료용 도관으로 연결된 혈액 관리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10: 도관 장착구
11: 도관 결합부
13: 도관 결합공
21: 도관 삽입부
23: 슬릿
30: 압력 조절구
31: 가압부재
41: 손잡이
45: 결합 가이드
51: 제1스케일부
55: 제2스케일부
60: 거치구
70: 스토퍼

Claims (12)

  1. 혈액이 유동하는 가요성(可撓性) 재질의 의료용 도관이 관통 결합되는 도관 결합공이 형성된 도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료용 도관에 장착되는 도관 장착구; 및
    상기 도관 장착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관 결합공에 결합된 상기 의료용 도관을 가압 및 가압해제하며 상기 의료용 도관을 따라 유동하는 혈액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구;
    상기 도관 장착구에 대한 상기 압력 조절구의 직선 이동거리를 복수의 제1단위 눈금으로 표시한 제1스케일부;
    상기 도관 장착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관 장착구를 인접한 의료용 도관 또는 의료기기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구; 및
    상기 거치구의 자유단부가 상기 도관 장착구의 상기 제1스케일부의 영점 기준점과 일치하도록 상기 도관 장착구와 상기 거치구의 결합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 장착구는,
    상기 도관 결합공과 연통하는 슬릿을 형성하며 상기 도관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의료용 도관을 상기 도관 결합공에 삽입하기 위한 도관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구는 상기 도관 삽입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구는,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가압부재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도관 삽입부의 결합을 안내하는 결합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도관 삽입부의 슬릿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도관 결합공을 향해 직선 왕복이동하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구와 상기 도관 장착구는 나사 결합되며,
    상기 도관 장착구에 대한 상기 압력 조절구의 1회전 직선 이동거리를 복수의 제2단위 눈금으로 표시한 제2스케일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도관 장착구의 외주에 상기 거치구의 결합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된 스토퍼 리브; 및
    상기 거치구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 리브가 결합되어 상기 도관 장착구에 결합되는 상기 거치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홈을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12. 노폐물이 함유된 혈액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노폐물이 여과된 혈액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혈액을 여과하는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제8항,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가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된 의료용 도관에 장착된, 지속적 신장대체요법장치.
KR1020190050965A 2019-04-30 2019-04-30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KR10226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965A KR102263999B1 (ko) 2019-04-30 2019-04-30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965A KR102263999B1 (ko) 2019-04-30 2019-04-30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815A KR20200126815A (ko) 2020-11-09
KR102263999B1 true KR102263999B1 (ko) 2021-06-10

Family

ID=7342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965A KR102263999B1 (ko) 2019-04-30 2019-04-30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9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737Y1 (ko) * 1998-04-20 2001-12-01 이영규 의약품주입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797Y2 (ko) * 1985-02-08 1990-02-13
TWI616218B (zh) * 2014-03-06 2018-03-01 卡貝歐洲有限公司 輸送藥物的裝置
US9682182B2 (en) * 2014-04-03 2017-06-20 Human Biomed, Inc Dialysate supply unit and blood dialyz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802465B1 (ko) 2016-04-26 2017-11-28 정현석 의료장비용 밸브장착 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737Y1 (ko) * 1998-04-20 2001-12-01 이영규 의약품주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815A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3226708A1 (de) System zur kombinierten Unterdruck- und Instillationsbehandlung von Wunden
KR102263999B1 (ko)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CN109481744B (zh) 一种医疗用便携式无菌吸液装置及使用方法
CN211723274U (zh) 调弯鞘管手柄
KR20150095799A (ko) 조명 장착된 흡입 장치
CN210384009U (zh) 一种骨科外固定用针杆快速固定夹装手柄
EP3170518B1 (de) Dialysemaschine mit integrierter dialysatorkupplung
US11035481B2 (en) Bi-directional valve device for selective control of fluid flow through multiple converging paths
CN217510976U (zh) 一种口鼻腔导引装置
US20080177251A1 (en) Suction Structure Used For Surgial Operation
ITMI20092190A1 (it) Elemento di tenuta per dispositivi per clampare tubi flessibili in macchine medicali
FR3024834B1 (fr) Outil chirurgical a canule, kit chirurgical, procede de fabrication et machine de fabrication d'un tel outil
CN217448575U (zh) 一种血液透析用导管接头保护装置
CN204033991U (zh) 一种消化内科用插管装置
CN216418037U (zh) 一种重症护理用仪器管路约束定位器
DE19855438A1 (de) Handstück für ein Lasergerät und Kupplungsstück für ein Handstück eines Lasergerätes
CN211244783U (zh) 一种小儿微创手术抽吸冲洗装置
CN212879540U (zh) 一种骨科用引导器
CN217793224U (zh) 一种膝关节前交叉韧带骨道重建装置
CN214805243U (zh) 一种双通道脊柱内镜下螺纹工作鞘管
JP6049578B2 (ja) 交換可能な構成要素を有する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
CN218652450U (zh) 一种悬灸固定器
CN107519567B (zh) 一种用于医用导管分流及合流的装置
CN217286640U (zh) 一种胸腔闭式引流装置
CN103830005A (zh) 执笔式滴液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