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737Y1 - 의약품주입기 - Google Patents

의약품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737Y1
KR200244737Y1 KR2019980006227U KR19980006227U KR200244737Y1 KR 200244737 Y1 KR200244737 Y1 KR 200244737Y1 KR 2019980006227 U KR2019980006227 U KR 2019980006227U KR 19980006227 U KR19980006227 U KR 19980006227U KR 200244737 Y1 KR200244737 Y1 KR 200244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bag
medicine
connection pipe
chemica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858U (ko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이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규 filed Critical 이영규
Priority to KR2019980006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73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8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8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737Y1/ko

Links

Landscapes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술환자에게 투여되는 진통제를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균일한 양씩 공급시킬수 있도록 하여 1회처방으로 환자의 통증을 효율적으로 치료함과 아울러 환자의 치료기간동안 여러회 진통주사를 맞는 불편함을 해소할수 있도록 한 의약품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약물이 저장되어진 약액주머니(10)와; 상기 약액주머니(10)로 부터 연결되어진 연결관(20)과; 상기 연결관(20)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약물내에 포함되어진 박테리아 및 공기를 제거시킬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30)와; 상기 연결관(20)내를 흐르는 약물이 미세한 양씩 주사기로 공급될수 있도록 하는 유량조절 모세관(40)으로 구성되어진 의약품주입기(100)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주입기(100)에 적용되어진 약액주머니(10)는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을 압부될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가압장치(50)내에 수용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약품 주입기
본 고안은 의약품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환자에게 투여되는 진통제를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균일하게 공급시킬수 있도록 하여 1회처방으로 환자의 통증을 치료함과 아울러 환자의 치료기간동안 여러회 진통주사를 맞는 불편함을 해소할수 있도록 한 의약품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수술시에는 마취가 수반되고 또한, 수술후에 일정한 시간이 도과하게 되면 마취가 풀리게 되면서 환자에게는 많은 통증이 수반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술후에 발생되어지는 상기와 같은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진통제를 환자에게 투여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진통제를 환자에게 투여시키는 방법으로는 주사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진통제를 주사하는 경우에 있어서, 환자의 통증정도가 극심한 경우에 는 주사기를 통하여 상기 진통제를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지속적으로 투여시켜야 함으로서 진통제를 투여받는 환자의 입장에서도 상당한 불편함이 수반되고, 특히 상기 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간호사나 의료인의 입장에서도 상기 진통제를 수시로 주사해야 함으로서 치료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진통제가 저장되어진 약액주머니로 부터 연결관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의 선단에는 주사바늘이 구비되어진 통상의 의약품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주입기의 연결관상에 약액의 투입량을 미세하게 조절시킬수 있도록 하는 유량조절모세관을 적용시켜 상기 유량조절모세관을 통하여 약액주머니내에 저장되어진 약물이 미세한 양씩 지속적으로 공급될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유량조절 모세관이 구비되어진 의약품주입기는, 약물의 지속적인 투입으로 상기 약액이 저장되어진 약액주머니의 용적이 줄어들게 되면 약물의 투입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수시로 약물의 투입량을 조절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이 수반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종래의 유량조절 모세관이 구비되어진 의약품주입기는 약액주머니내에 저장되어진 약물이 지속적인 공급에 의해 약물의 양이 감소하게 되면서 약액주머니의 용적이 줄어들게 되면 약물의 배출압력이 서서히 떨어지게 되어 단위시간당 공급되는 약물의 양이 변화되어 진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수술환자에게 투여되는 진통제를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균일한 양씩 공급시킬수 있도록 하여 1회처방으로 환자의 통증을 효율적으로 치료함과 아울러 환자의 치료기간동안 여러회 진통주사를 맞는 불편함을 해소할수 있도록 한 의약품주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의약품주입기는, 약물이 저장되어진 약액주머니와; 상기 약액주머니로 부터 연결되어진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약액내에 포함되어진 박테리아 및 공기를 제거시킬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와; 상기 연결관내를 흐르는 약액이 미세한 양씩 주사기로 공급될수 있도록 하는 유량조절모세관으로 구성되어지는 의약품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주입기에 적용되어진 약액주머니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을 압부될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가압장치내에 수용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의약품 주입기의 결합단면도,
도 2 - 상기 도 1 의 A 부를 확대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약액주머니 20:연결관
22:클램프 30:필터부
40:유량조절 모세관 50:가압장치
52:스프링 54:상부케이스
55:투명창 56:하부케이스
57:절개부 58:나사부
59:눈금표시부 60:압착판
62:돌출부 70:약주입구
100:의약품주입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의약품 주입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의약품 주입기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2 는 상기 도 1 의 A 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약물이 저장되어진 약액주머니(10)와; 상기 약액주머니(10)로 부터 연결되어진 연결관(20)과; 상기 연결관(20)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약물내에 포함되어진 박테리아 및 공기를 제거시킬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30)와; 상기 연결관(20)내를 흐르는 약물이 미세한 양씩 주사기로 공급될수 있도록 하는 유량조절 모세관(40)으로 구성되어지는 의약품주입기(100)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주입기(100)에 적용되어진 약액주머니(10)는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을 압부될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가압장치(50)내에 수용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되어진 상기 가압장치(50)는 단면상으로 볼 때 U자형으로 구성되어진 상,하부케이스(54)(56)가 나사부(58)를 통하여 상호 나사결합 될수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하부케이스(56)의 바닥면에는 약액주머니(10)가 수용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약액주머니(10)의 상부는 상기 상부케이스(54)의 상부내벽면으로부터 밀착결합되어진 스프링(52)에 의해 탄지되어진 압착판(60)과 밀착되어 상기 스프링(52)의 탄성력이 압착판(60)을 매개로 약액주머니(10)를 압부시켜 줄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장치(50)내에 수용되어진 약액주머니(10)는 그 일단에 연결관(20)이 연결됨과 아울러, 이 연결관(20)은 상기 하부케이스(56)의 일측벽에 형성되어진 절개부(57)를 따라 승,하강할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며,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54)의 일측은 투명창(55)으로 구성되고 이 투명창(55)에는 눈금표시부(59)가 구성되어 가압장치(50)내에 수용되어진 압착판(60)의 높낮이를 상기 투명창(55)을 통하여 외부에서 관찰하여 약액주머니(10)내에 잔류된 약액의 양을 외부에서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식별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약액주머니(10)로 부터 필터부(30)에 이르는 구간에 연결되어진 연결관(20)상에는 약주입구(70)와 클램프(22)가 소정의 위치에 각각 장착되어 지는데 상기 약주입구(70)의 구조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T자형태로 구성되어 그 양측에 연결관(20)이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일측의 분기관으로는 주사기가 결합될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약주입구(70)를 통하여 약액주머니(10)내에 약을 주입시킬수가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약물의 주입후에는 주입된 약물이 역류되는 것을 차단할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상기 약액주머니(10)는 그 재질을 P.V.C나 형태복원력이 우수한 합성수지재의 필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은 수술환자에게 진통제등을 주사시키는 경우에 단 1 회의 처방으로 지속적으로 진통제를 투여시킬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약주입구(70)에 주사기를 결합시키후 상기 주사기내의 약물을 가압장치(50)내에 수용되어진 약액주머니(10)내에 투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약주입구(70)를 통하여 약액주머니(10)내에 약물이 투입되어지게 되면 상기 약액주머니(10)가 투입되어진 약물의 양에 비례하여 부풀어 오르게 되고 아울러, 상기 부풀려진 약액주머니(10)의 팽창압력에 의해 그 상면에 밀착되어진 압착판(60)이 스프링(52)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승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약액주머니(10)의 일측에 연결되어진 연결관(20)은 하부케이스(56)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진 절개부(57)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약주입구(70)를 통하여 약액주머니(10)내에 적정량의 약물이 투입되어지게 되면 상기 약주입구(70)에 결합된 주사기를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약주입구(70)로 부터 주사기가 분리됨과 동시에 수술환자에게 약물이 자동적으로 투입되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의약품주입기(100)를 통하여 약물을 투입하게 되는 동안에는 상기 가압장치(50)내에 수용되어진 약액주머니(10)가 스프링(52)에 의해 탄지되어진 압착판(60)에 의해 압력을 받게 됨으로서 약물이 지속적으로 균일하게 연결관(20)으로 공급되어지게 되고, 아울러 상기 연결관(20)내로 공급되어진 약물은 이 연결관(20)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진 필터부(30)를 경유하게 되면서 상기 연결관(20)내를 흐르게 되는 약물에 포함되어진 각종 박테리아 및 공기가 제거 되는 것이며 또한, 필터부(30)의 후방에 배치된 유량조절 모세관(40)으로 약물이 통과하게 되면서 미세한 양씩 약물이 지속적으로 환자에게 공급되어져 종래의 경우와 같이 환자를 치료하는 동안 여러회에 걸쳐 수시로 주사를 맞아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약액주머니(10)가 압착판(60)에 의해 균일한 압력으로 눌려지게 됨으로서 상기 약액주머니(10)내에 수용된 약물의 양에 관계없이 연결관(20)으로 공급되는 약물의 양이 항상 일정해 짐으로서 약물의 투입량을 수시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압장치(50)의 상부케이스(54)가 그 일측에 투명창(55)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창(55)에는 눈금표시부(59)가 형성되어 상기 투명창(55)에 형성되어진 눈금표시부(59)를 보고 가압장치(50)내에 수용되어진 압착판(60)의 상승된 위치를 간편하게 외부에서 식별해 낼수 있어, 궁극적으로 약액주머니(10)내에 수용되어진 약물의 양을 정확하게 알아낼수 있으므로 약주입구(70)를 통한 약물의 재주입시기를 간편하게 인지할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약물이 저장되어진 약액주머니와; 상기 약액주머니로 부터 연결되어진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약물내에 포함되어진 박테리아 및 공기를 제거시킬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와; 상기 연결관내를 흐르는 약물이 미세한 양씩 주사기로 공급될수 있도록 하는 유량조절 모세관으로 구성되어지는 의약품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의약품주입기에 적용되어진 약액주머니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속적을 압부될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가압장치내에 수용될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수술환자에게 투여되는 진통제를 일정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균일한 양씩 공급시킬수 있어 1회처방으로 환자의 통증을 효율적으로 치료함과 아울러, 환자의 치료기간동안 여러회 진통주사를 맞는 불편함을 해소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장치의 상부케이스에 구비되어진 투명창을 통하여 외부에서 약액주머니내에 수용되어진 약물의 양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가 있고 아울러 가압장치내에 수용되어진 압착판에 의해 상기 약액주머니가 일정한 압력으로 압부되어지게 됨으로서 상기 약액주머니로 부터 연결되어지는 연결관내로 일정한 양씩 약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져 약물의 공급량을 수시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약물이 저장되어진 약액주머니(10)와; 상기 약액주머니(10)내에 담겨진 약액을 가압시켜 주기 위한 가압장치(50)와; 상기 약액주머니(10)로부터 연결되어진 연결관(20)과; 상기 연결관(20)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약물내에 포함되어진 박테리아 및 공기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필터부(30)와; 상기 연결관(20)내를 흐르는 약물이 미세한 양씩 주사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유량조절모세관(40)등으로 구성되어진 의약품주입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50)는 단면상 U 자형으로 구성되어진 상.하부케이스(54)(56)가 나사부(58)를 통하여 상호 결합되고, 이 하부케이스(56)의 바닥면에 수용되어진 풍선형태의 약액주머니(10)는 그 일단에 연결관(20)이 연결됨과 아울러 이 연결관(20)은 상기 하부케이스(56)의 일측벽에 그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진 절개부(57)를 따라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54)의 일측은 투명창(55)이 구비되어 이 투명창(55)의 주변부에 형성되어진 눈금표시부(59)를 통하여 가압장치(50)내에 수용되어진 압착판(60)의 높낮이를 외부에서 관찰하여 약액주머니(10)내에 잔류된 약물의 양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주입기.
KR2019980006227U 1998-04-20 1998-04-20 의약품주입기 KR200244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227U KR200244737Y1 (ko) 1998-04-20 1998-04-20 의약품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227U KR200244737Y1 (ko) 1998-04-20 1998-04-20 의약품주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858U KR19980024858U (ko) 1998-07-25
KR200244737Y1 true KR200244737Y1 (ko) 2001-12-01

Family

ID=6951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227U KR200244737Y1 (ko) 1998-04-20 1998-04-20 의약품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7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815A (ko) * 2019-04-30 2020-11-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815A (ko) * 2019-04-30 2020-11-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KR102263999B1 (ko) * 2019-04-30 2021-06-1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의료기기용 혈액 압력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858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22514B2 (en) Patient-controlled delivery of beneficial agents
KR100262930B1 (ko) 의약품주입기
US4013074A (en) Implantable medication-dispensing device
US6719728B2 (en) Patient-controlled medication delivery system with overmedication prevention
US5078679A (en) Post-surgical anesthesia at a continuous and progressively decreasing administration rate
US6500156B1 (en) Thumb-powered flushing device for catheters
US6494867B1 (en) Medical device
EP0592483B2 (en) Apparatus for patient-controlled infusion
JP2004538042A (ja) 移植可能で補充可能な、ポートを有する放出制御薬剤送達装置
US5232448A (en) Patient-controlled analgesia device
JPS61113469A (ja) 埋め込み可能な薬剤投与組立体
US5897527A (en) Portable analgesic system
KR100710898B1 (ko) 외부 주입포트가 구비된 약물주입기
KR20180094267A (ko) 자가통증 조절용 약물 투여장치
USRE35192E (en) Post-surgical anesthesia at a continuous and progressively decreasing administration rate
KR200244737Y1 (ko) 의약품주입기
KR102196122B1 (ko) 환자 제어식 약물 투여 장치
CN108904970A (zh) 一种多用途医用抗反流连接器
KR20160008379A (ko) 약물 주입장치
CN212327102U (zh) 一种具有阻止血液回流功能的止痛泵
CN214970363U (zh) 一种麻醉用注药装置
KR200240026Y1 (ko) 의료용 수액투여기의 역류및 공기차단장치
KR200268714Y1 (ko) 수액 세트
KR100400986B1 (ko) 의약품주입기의 공급량조절장치
KR200250097Y1 (ko) 의약품주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