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965B1 - 엔드밀 - Google Patents
엔드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3965B1 KR102263965B1 KR1020190151009A KR20190151009A KR102263965B1 KR 102263965 B1 KR102263965 B1 KR 102263965B1 KR 1020190151009 A KR1020190151009 A KR 1020190151009A KR 20190151009 A KR20190151009 A KR 20190151009A KR 102263965 B1 KR102263965 B1 KR 102263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disposed
- central axis
- end mill
- blad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09—Ball nose end m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08—Side or top views of the cutting ed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2—Cross section of the cutting ed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20—Number of cutting edges
- B23C2210/203—Number of cutting edges f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은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배치된 제1 날,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배치된 제2 날, 상기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제2 방향에 배치된 제3 날 및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배치된 제4 날을 일단에 포함하는 절삭부 및 상기 절삭부의 타단에 배치되며, 말단이 공작 기계에 장착되어 상기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생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상이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엔드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황삭과 정삭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공정 시간의 획기적인 단축이 가능한 엔드밀에 관한 것이다.
엔드밀은 엔드밀 커터나 밀링 머신 등과 같은 공작 기계에 장착되어 피삭재(Work Piece)의 절삭 가공에 사용되는 툴(Tool)이며, 절삭이라 함은 깎아 가공하는 것으로써, 크게 황삭(Rough Grinding)과 정삭(Finishing)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황삭은 피삭재의 흑피를 제거하는 경우나 다듬질 여유가 클 때 절삭폭 및 이송을 비교적 크게 하여 절삭하는 공정이며, 정삭은 피삭재를 곱고 세밀하게 다듬는 공정인바, 종래 기술은 피삭재를 대상으로 황삭을 1차적으로 수행한 이후, 정삭을 2차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한편, 엔드밀은 황삭과 정삭을 수행하는 엔드밀이 서로 구분되어 있는바, 종래 기술은 황삭을 1차적으로 수행한 이후, 정삭을 2차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므로, 공작 기계에 황삭용 엔드밀을 장착시켜 황삭을 1차적으로 수행하고, 장착시킨 황삭용 엔드밀을 탈착시킨 이후 정삭용 엔드밀을 다시 장착시켜 정삭을 2차적으로 수행해야 하는바, 교체 과정에서 시간 손실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전체 공정 시간이 연장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생산성이 저하되어 제조 비용까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절삭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엔드밀을 통해 황삭과 정삭을 동시에 수행하여 절삭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엔드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공정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엔드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은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배치된 제1 날,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배치된 제2 날, 상기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제2 방향에 배치된 제3 날 및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배치된 제4 날을 일단에 포함하는 절삭부 및 상기 절삭부의 타단에 배치되며, 말단이 공작 기계에 장착되어 상기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생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상이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날 및 제2 날의 일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날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날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8mm 내지 12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날 및 제4 날의 일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중심 축선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날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4 날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4mm 내지 8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날 및 제4 날의 일단은 상기 중심 축선과 접촉하며, 상기 제3 날의 타단에 일단이 배치된 제5 날 및 상기 제4 날의 타단에 일단이 배치된 제6날을 더 포함할 수 잇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날 및 제4날은, 상기 생크부의 말단으로부터의 타단까지의 높이가 H1이며, 상기 제5 날 및 제6날은, 상기 생크부의 말단으로부터의 일단까지의 높이가 H2하고, 상기 H2는 H1 미만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5 날 및 제6 날은, 표면에 소정 단차를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날 및 제4 날의 날각도는, 상기 제1 날 및 제2 날의 날각도 미만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8°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82° 회전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안쪽에 황삭을 수행하는 제1 날 및 제2 날을, 바깥쪽에 정삭을 담당하는 제3 날 및 제4 날을 배치함으로써, 한번의 절삭 공정을 통해 황삭과 정삭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황삭용 엔드밀로 공정을 수행한 이후에 정삭용 엔드밀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전체 공정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날 및 제2 날과 제3 날 및 제4 날의 날각도를 상이하게 하고, 생크부의 말단으로부터 제3 날 및 제4 날의 타단까지의 높이와, 제5 날 및 제6 날의 일단까지의 높이에 단차를 둠으로써 서로의 간섭 없이 각각의 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이바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5 날 및 제6 날의 표면에 소정 단차 배치함으로써 피삭재를 깎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칩 배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겟싱부를 곡선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피삭재를 깎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칩 배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3은 제1 날의 단면만을 별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날의 측면만을 별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3 날의 단면만을 별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에 있어서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제3날, 제4 날, 제5 날 및 제6 날 및 생크부를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에 있어서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제3날 및 제5 날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에 있어서 제1 날, 제2 날, 제5 날 및 제6 날의 표면에 소정 단차를 배치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에 있어서 겟싱부를 곡선 형상으로 배치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3은 제1 날의 단면만을 별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날의 측면만을 별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3 날의 단면만을 별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에 있어서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제3날, 제4 날, 제5 날 및 제6 날 및 생크부를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에 있어서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제3날 및 제5 날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에 있어서 제1 날, 제2 날, 제5 날 및 제6 날의 표면에 소정 단차를 배치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에 있어서 겟싱부를 곡선 형상으로 배치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확대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은 제1 날(10), 제2 날(20), 제3 날(30) 및 제4 날(40)을 포함하는 절삭부(B) 및 생크부(S)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통상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생크부(S)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의 기본 몸체(Body)가 되는 구성으로서, 후술할 절삭부(B)의 타단에 배치되며, 말단이 엔드밀 커터나 밀링 머신 등과 같은 공작 기계(미도시)에 장착되어 중심 축선(O)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생크부(S)의 형상은 소정 길이의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상인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장착되는 공작 기계(미도시)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생크부(S)는 절삭부(B)와 경계선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절삭부(B)의 타단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삭부(B)로부터 연장 형성된 스크류부(C)의 말단이 생크부(S)와의 경계선일 수 있으며, 공작 기계(미도시)에 장착되어 피삭재의 절삭 가공에 사용하는 경우 큰 힘과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절삭 가공 과정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삭부(B)와 별개로 구현하여 접착시키는 것보다는 일체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 경우 생크부(S)와 절삭부(B)는 동일한 소재의 금속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소정 형상의 금속을 깎아 절삭부(B) 및 스크류부(C)를 구현하고, 나머지 부분이 생크부(S)가 될 수 있을 것인바, 이를 솔리드(Solid)라 한다.
또한, 생크부(S)와 절삭부(B)는 동일한 소재의 금속이 아니라 소정 형상의 금속 자체를 이종 소재를 결합한 형태로, 보다 구체적으로 생크부(S)를 구현할 영역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일반 탄소공구강으로, 절삭부(B)를 구현할 영역을 강도가 높은 초경합금으로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 자체의 제조 비용 또는 단가를 절감할 수도 있다.
절삭부(B)는 황삭과 정삭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배치된 제1 날(10), 제2 날(20), 제3 날(30) 및 제4 날(40)과 더 나아가 제5 날(50) 및 제6 날(6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심 축선(O)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제1 날(10)이,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제2 날(20)이, 중심 축선(O)을 기준으로 제2 방향에 제3 날(30)이,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제4 날(40)이, 그리고 제3 날(30)과 제4 날(40)의 타단에 제5 날(50) 및 제6 날(60)이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은 4개의 날을 포함하는 4날 엔드밀이 될 수 있다.
제1 날(10)은 중심 축선(O)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방향이란 중심 축선(O)을 기준으로 360° 범위 내에 해당하는 방향이라면 어느 방향이라도 무방하며, 도 2에는 제1 방향이 중심 축선(O)을 기준으로 0°에 해당하는 12시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제1 방향의 예시로 볼 수 있다.
제2 날(20)은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배치된다.
앞서 제1 방향이 중심 축선(O)을 기준으로 360° 범위 내에 해당하는 방향이라면 어느 방향이라도 무방하다 하였기에,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배치되는 제2 날(20)은 중심 축선(O)을 기준으로 제1 날(10)과 점대칭(Point Symmetry)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상 설명한 제1 날(10) 및 제2 날(20)의 일단은 중심 축선(O)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의 상면을 기준으로 중심 축선(O)으로부터 일단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안쪽 영역이 비어있으며, 제1 날(10) 및 제2 날(20)은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을 이용하여 피삭재의 절삭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날(10) 및 제2 날(20)이 피삭재와 1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는 제1 날(10) 및 제2 날(20)이 절삭 공정에서 먼저 수행하는 황삭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바, 그에 따라 제1 날(10) 및 제2 날(20)은 황삭을 담당하는 황삭날이 될 수 있다.
도 3은 제1 날(10)의 단면만을 별개로 도시한 도면인바,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날(10)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14°의 날각도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는 제1 날(10)의 날각도의 예시적인 수치에 해당하며 제1 날(10)의 날각도는 후술할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날각도를 초과하면 충분하다. 이는 황삭을 수행하는 제1 날(10)의 절삭성을 향상시키고자 하기 위함인바, 제1 날(10)의 날각도가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날각도를 초과하기 때문에 제3 날(30) 및 제4 날(40)이 피삭재와 접촉하는 경우 제1 날(10)은 피삭재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날(10)의 날각도에 대한 설명은 제2 날(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제1 날(10)의 측면만을 별개로 도시한 도면인바,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날(10)은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조금씩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수평면을 기준으로 약 2°의 디쉬각도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 역시 제1 날(10)의 디쉬각도의 예시적인 수치에 해당하고, 이러한 제1 날(10)의 디쉬각도에 대한 설명은 제2 날(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 날(30)은 중심 축선(O)을 기준으로 제2 방향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2 방향이란 앞서 설명한 제1 방향과 서로 상이한 방향인바,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상이하기만 하면 무방하나 너무 근접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설정하는 경우 제1 날(10) 및 제2 날(20)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에,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45° 이상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45 이상 회전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3 날(30)이 배치된 제2 방향은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8°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82° 회전한 방향임을 확인할 수 있는바, 제1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8° 회전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설정하였기에 부등 분할이 적용되어 채터링 방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제 4날(40)은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배치된다.
이 경우, 제4 날(40) 역시 제1 날(10) 및 제2 날(20)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제3 날(30)과 중심 축선(O)을 기준으로 점대칭 관계를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상 설명한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일단은 중심 축선(O)과 접촉하여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앞서 제1 날(10) 및 제2 날(2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비어있는 안쪽 영역에 제3 날(30) 및 제4 날(40)이 배치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을 이용하여 피삭재의 절삭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날(10) 및 제2 날(20)이 피삭재와 접촉한 이후에 제3 날(30) 및 제4 날(40)이 2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는 제3 날(30) 및 제4 날(40)이 절삭 공정에서 황삭을 수행한 후에 수행하는 정삭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바, 그에 따라 제3 날(30) 및 제4 날(40)은 정삭을 담당하는 정삭날이 될 수 있다.
도 5는 제3 날(30)의 단면만을 별개로 도시한 도면인바, 도 5를 참조하면 제3 날(30)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8°의 날각도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는 제3 날(30)의 날각도의 예시적인 수치에 해당하며 제3 날(30)의 날각도는 앞서 설명한 제1 날(10) 및 제2 날(20)의 날각도 미만이면 충분하다. 이는 정삭을 수행하는 제3 날(30)의 절삭성을 향상시키고자 하기 위함인바, 제3 날(30)의 날각도가 제1 날(10) 및 제2 날(20)의 날각도 미만이기 때문에 제1 날(10) 및 제2 날(20)이 피삭재와 접촉하는 경우 제3 날(30)은 피삭재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날(30)의 날각도에 대한 설명은 제4 날(4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디쉬각도의 경우, 제1 날(30)의 측면만을 별개로 도시한 도 4와 동일하기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3 날(30) 및 제4 날(40) 역시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조금씩 증가하고, 수평면을 기준으로 약 2°의 예시적인 디쉬각도를 이룰 수 있다고 할 것이며, 이 경우 생크부(S)의 말단으로부터 제1 날(10) 및 제2 날(10)의 타단까지의 높이와 생크부(S)의 말단으로부터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타단까지의 높이는 동일하다 할 것이다.
이하, 절삭 공정을 예를 들어 설명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을 이용하여 피삭재의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절삭 공정을 수행한다면, 바깥쪽에 배치된 제1 날(10) 및 제2 날(20)이 피삭재와 1차적으로 접촉하여 황삭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제1 날(10) 및 제2 날(20)을 통해 피삭재의 흑피가 1차적으로 깎아져 나갈 것이며, 그에 따라 피삭재의 부피가 줄어들어 안쪽에 배치된 제3 날(30) 및 제4 날(40)이 피삭재와 2차적으로 접촉하여 정삭을 수행하고, 제1 날(10) 및 제2 날(20)이 접촉하여 흑피가 깎아져 나간 영역이 곱고 세밀하게 정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날(30) 및 제4 날(40) 자체는 일단은 중심 축선(O)과 접촉하여 배치되나,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타단은 제1 날(10) 및 제2 날(20)의 타단이 배치된 영역까지 연장되지 않고 안쪽에 배치되는바,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타단이 배치된 영역으로부터 제1 날(10) 및 제2 날(20)의 타단 사이의 공간, 보다 구체적으로 제3 날의 타단(30)과 제4 날(40)의 타단에 각각 제5 날(50)과 제6 날(60)이 배치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크부(S)의 말단으로부터의 황삭을 수행하는 제1 날(10) 및 제2 날(20)의 타단까지의 높이와 생크부(S)의 말단으로부터의 정삭을 수행하는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타단까지의 높이는 동일하기에, 생크부(S) 말단으로부터의 제 5날(50) 및 제 6날(60) 표면 전체의 높이까지 이와 동일하다면, 제5 날(50) 및 제6 날(60)이 피삭재와 접촉하기 때문에 안쪽에 배치된 제3 날(30) 및 제4 날(40)이 피삭재와 접촉하지 못하여 정삭 자체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의 단면도, 보다 구체적으로 도 6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제3날(30), 제4 날(40), 제5 날(50) 및 제6 날(60) 및 생크부(S)를 포함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제3날(30) 및 제5날(50)의 단면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생크부(S)의 말단으로부터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타단까지의 높이가 H1이며, 생크부(S)의 말단으로부터 제5 날(50) 및 제6 날(60)의 일단까지의 높이가 H2임을 확인할 수 있는바, 여기서 H2는 H1 미만일 수 있다.
이는 도 7을 참조하면 보다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바, 제3 날(30)의 타단과 제5날(50)의 일단이 소정 높이의 단차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단차의 높이만큼 제5 날(50)의 일단은 제3 날(30)의 타단에 비하여 높이가 낮으며, 제6날(60)의 일단은 제4 날(40)의 타단에 비하여 높이가 낮은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바깥쪽에 배치된 제5 날(50) 및 제6날(60)의 일단의 높이 H2가 안쪽에 배치된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타단의 높이인 H1 미만이며, 단차의 높이는 0.05mm 내지 0.1mm 사이 중 어느 하나, 보다 구체적으로 0.07mm 로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앞서 언급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바, 황삭을 수행하는 제1 날(10) 및 제2 날(20)의 타단까지의 높이와 생크부(S)의 말단으로부터의 정삭을 수행하는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타단까지의 높이는 동일하며, 바깥쪽에 배치된 제5 날(50) 및 제6날(60)의 일단의 높이 H2가 안쪽에 배치된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타단의 높이인 H1 미만이기에, 제3 날(30) 및 제4 날(40)이 정삭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5 날(50) 및 제6 날(60)은 피삭재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바깥쪽에 배치된 제5 날(50) 및 제6날(60)의 일단의 높이 H2가 안쪽에 배치된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타단의 높이인 H1 미만이기 때문에 제5 날(50) 및 제6 날(60)은 제3 날(30) 및 제4 날(40)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간섭도 발생하지 않으며, 앞서 설명한 제1 날(10) 및 제2 날(20)과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날각도의 차이와 더불어 보다 확실하게 각각의 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이바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5 날(50) 및 제6 날(60)의 디쉬각도의 경우, 제1 날(30)의 측면만을 별개로 도시한 도 4와 동일하기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5 날(50) 및 제6 날(60) 역시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조금씩 증가하고, 수평면을 기준으로 약 2°의 예시적인 디쉬각도를 이룰 수 있다고 할 것이며, 이 경우 생크부(S)의 말단으로부터 제1 날(10) 및 제2 날(10)의 타단까지의 높이와 생크부(S)의 말단으로부터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타단까지의 높이 그리고 생크부(S)의 말단으로부터 제5 날(50) 및 제6 날(60)의 타단까지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다 할 것이다. 이 경우, 제1 날(10) 및 제2 날(20)이 황삭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5 날(50) 및 제6 날(60) 역시 피삭재와 접촉하여 황삭을 수행할 수 있는바, 그에 따라 제5 날(50) 및 제6 날(60)은 황삭을 담당하는 황삭날이 될 수 있으며, 제1 날(10) 및 제2 날(20)과 더불어 황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날(10)의 타단으로부터 제2 날(20)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8mm 내지 12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의 규격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으나, 10mm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3 날(30)의 타단으로부터 제4 날(40)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4mm 내지 8mm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이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의 규격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으나, 6mm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날(10)의 타단으로부터 제2 날(20)의 타단까지의 길이를 제3 날(30)의 타단으로부터 제4 날(40)의 타단까지의 길이와 상이하게, 보다 구체적으로 보다 길게 구현함으로써 제1 날(10) 및 제2 날(20)과 제3 날(30) 및 제4 날(40)이 각각의 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이바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 축선(O)을 기준으로 안쪽에 황삭을 수행하는 제1 날(10) 및 제2 날(20)을, 바깥쪽에 정삭을 담당하는 제3 날(30) 및 제4 날(40)을 배치함으로써, 한번의 절삭 공정을 통해 황삭과 정삭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황삭용 엔드밀로 공정을 수행한 이후에 정삭용 엔드밀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차를 방지할 수 있고, 전체 공정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날(10) 및 제2 날(20)과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날각도를 상이하게 하고, 생크부(S)의 말단으로부터 제3 날(30) 및 제4 날(40)의 타단까지의 높이와, 제5 날(50) 및 제6 날(60)의 일단까지의 높이에 단차를 둠으로써 서로의 간섭 없이 각각의 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날(10), 제2 날(20), 제5 날(50) 및 제6 날(60)의 표면에 소정 단차(F)를 배치할 수 있는바, 이 경우 소정 단차(F)는 복수 개의 골과 마루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마루와 다음 순번의 마루 사이의 거리 및 특정 골과 다음 순번의 골 사이의 거리를 1mm 내지 1.4mm, 보다 구체적으로 약 1.2mm로 설정하고, 골로부터 마루 사이의 높이를 0.1mm 내지 0.5mm, 보다 구체적으로 약 0.3mm로 설정함으로써 피삭재를 깎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칩(Chip) 배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엔드밀(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겟싱부(G)를 곡선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칩 배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엔드밀
10: 제1 날
20: 제2 날
30: 제3 날
40: 제4 날
50: 제5 날
60: 제6 날
O: 중심 축선
S: 생크부
B: 절삭부
C: 스크류부
F: 단차
G: 겟싱부
10: 제1 날
20: 제2 날
30: 제3 날
40: 제4 날
50: 제5 날
60: 제6 날
O: 중심 축선
S: 생크부
B: 절삭부
C: 스크류부
F: 단차
G: 겟싱부
Claims (10)
-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배치된 제1 날;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배치된 제2 날;
상기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서로 상이한 제2 방향에 배치된 제3 날; 및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80°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하여 배치된 제4 날;
을 일단에 포함하는 절삭부; 및
상기 절삭부의 타단에 배치되며, 말단이 공작 기계에 장착되어 상기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생크부;
를 포함하는 엔드밀에 있어서,
상기 제1 날 및 제2 날의 일단은 상기 중심 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3 날 및 제4 날의 일단은 상기 중심 축선과 접촉하여 배치되고,
상기 절삭부는,
상기 제3 날의 타단에 일단이 배치된 제5 날; 및
상기 제4 날의 타단에 일단이 배치된 제6날;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생크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5 날 및 제6 날의 일단까지의 높이인 H2는 상기 생크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3 날 및 제4 날의 타단까지의 높이인 H1 미만이고,
상기 생크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제1 날 내지 제6 날 각각의 타단까지의 높이는 H1으로 모두 동일한,
엔드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날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8mm 내지 12mm 중 어느 하나인,
엔드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날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4 날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4mm 내지 8mm 중 어느 하나인,
엔드밀.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날 및 제6 날은,
표면에 소정 단차를 배치한,
엔드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날 및 제4 날의 날각도는,
상기 제1 날 및 제2 날의 날각도 미만인,
엔드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8°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82° 회전한 방향인,
엔드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009A KR102263965B1 (ko) | 2019-11-22 | 2019-11-22 | 엔드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009A KR102263965B1 (ko) | 2019-11-22 | 2019-11-22 | 엔드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3501A KR20210063501A (ko) | 2021-06-02 |
KR102263965B1 true KR102263965B1 (ko) | 2021-06-14 |
Family
ID=76372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1009A KR102263965B1 (ko) | 2019-11-22 | 2019-11-22 | 엔드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396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11466A (ja) * | 2004-09-01 | 2008-04-17 | ドーフィン プレシジョン ツー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多セクション切削面を有する螺旋溝エンドミル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31313U (ko) * | 1987-02-17 | 1988-08-26 | ||
KR100875791B1 (ko) * | 2007-04-06 | 2008-12-24 | 성동수 | 엔드밀 |
US9211594B2 (en) * | 2013-02-13 | 2015-12-15 | Iscar, Ltd. | End mill having a symmetric index angle arrangement for machining titanium |
WO2016068064A1 (ja) | 2014-10-28 | 2016-05-06 | 三菱日立ツール株式会社 | 多刃ボールエンドミル |
-
2019
- 2019-11-22 KR KR1020190151009A patent/KR1022639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11466A (ja) * | 2004-09-01 | 2008-04-17 | ドーフィン プレシジョン ツー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多セクション切削面を有する螺旋溝エンドミ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3501A (ko) | 2021-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12976B2 (en) | Cutting insert and indexable rotary cutting tool | |
KR102193809B1 (ko) | 절삭 인서트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 |
EP2435204B1 (en) | Cutting insert | |
JP6295453B2 (ja) | 両面フライス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フライス工具 | |
EP3241638B1 (en) | Cutting insert, tool body, and cutting tool | |
JP2007030074A (ja) | ラジアスエンドミル及び切削加工方法 | |
KR20010074934A (ko) | 회전 밀링 공구용 인덱서블 인써트 | |
EP3338931B1 (en) |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 |
CN105939805B (zh) | 立铣刀以及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 |
JP6473761B2 (ja) | エンドミル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 |
JP6361948B2 (ja)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 |
JP2013078828A (ja)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 |
KR20170086513A (ko) | 스퀘어 숄더 밀링용 절삭 인서트 및 절삭 공구 | |
US20170056985A1 (en) | Stacked material tool and method for machining | |
JP2007260788A (ja) |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 |
CN111822765B (zh) | 切削刀片 | |
JP2017100249A (ja) |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 |
EP3785834A1 (en) | Cutting insert | |
KR102263965B1 (ko) | 엔드밀 | |
EP3375552B1 (en) | Milling tool comprising a kit for the milling tool | |
KR101861953B1 (ko) | 라우터 엔드밀 구조 | |
CN209124984U (zh) | 一种用于开粗加工的波刃轮廓铣刀 | |
KR200335553Y1 (ko) | 관형 소재 단부의 마감 절삭공구 | |
JPH10118827A (ja) | エンドミル | |
CN118492513A (zh) | 一种无空刀槽人字齿轮的加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