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638B1 - 캠 로크를 갖춘 조준 장치 - Google Patents

캠 로크를 갖춘 조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638B1
KR102262638B1 KR1020157022929A KR20157022929A KR102262638B1 KR 102262638 B1 KR102262638 B1 KR 102262638B1 KR 1020157022929 A KR1020157022929 A KR 1020157022929A KR 20157022929 A KR20157022929 A KR 20157022929A KR 102262638 B1 KR102262638 B1 KR 10226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opening
clip
tab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055A (ko
Inventor
슈테판 뢰트리스베르거
다니엘 안더마트
Original Assignee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3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72Instruments for putting said fixation devices against or away from the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25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applying transverse screws or pins through intramedullary nails or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4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 A61B17/742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having one or more longitudinal elements oriented along or parallel to the axis of the neck
    • A61B17/744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having one or more longitudinal elements oriented along or parallel to the axis of the neck the longitudinal elements coupled to an intramedullary na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97Guide wires or guide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92Impactors or extractors, e.g. for removing intramedullary devices
    • A61B17/921Impactors or extractors, e.g. for removing intramedullary devices for intramedullar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61B2017/004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for insertion of instruments, e.g. guide wire, optical fib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0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 A61B2017/00915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 radioactive radiation
    • A61B2017/0092Material properties transparent or translucent for radioactive radiation for X-rays
    • A61B2017/9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66Radiopaque markers visible in an X-ray im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Neur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준 장치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고 로킹해제 구성과 로킹 구성 사이에서 몸체에 대해 이동가능한 로크(lock)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제1 축을 따라 몸체를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몸체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 개구는 그 안에 장치를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되며, 상기 몸체의 제1 단부는 제1 몸체 개구가 이식가능 장치를 통해 연장되는 대응하는 제1 임플란트 개구와 정렬되어 몸체 내의 제1 몸체 개구를 통해 삽입된 장치가 제1 임플란트 개구의 축을 따라 통과할 조준 구성으로 몸체를 이식가능 장치에 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링을 포함하며, 상기 로크는 로킹 구성에서 제1 몸체 개구 내로 연장되어 제1 몸체 개구 내에 수용된 장치의 외측 표면과 맞물려서 상기 장치를 제1 몸체 개구 내의 원하는 위치에 로킹시키는 맞물림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캠 로크를 갖춘 조준 장치 {AIMING DEVICE WITH CAM LOCK}
골수내 못은 흔히 골절 부위(fracture)를 고정시키기 위해 장골의 골수강 내로 삽입된다. 일단 골수내 못이 골수강 내로 삽입되었으면, 골을 추가로 고정시키기 위해 그리고/또는 못을 골에 고정시키기 위해 다른 골 고정 요소가 측방향으로 골을 통해 골수내 못의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의 골두 및/또는 경부 부분의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기 위해 나선형 나사 또는 다른 임플란트가 골수내 못의 개구를 통해 골의 골두 부분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일단 못이 골 내로 삽입되어서 못이 더 이상 보이지 않을 때, 조준 장치는 골을 통한 그리고 못 내의 원하는 구멍 내로의 이들 고정 요소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삽입 시술 중에 못에 결합될 수 있다. 못은 예를 들어 삽입 손잡이를 통해 조준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조준 장치는 예를 들어 고정 요소를 골을 통해 그리고 골수내 못의 개구 내로 안내하도록 위치되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조준 장치는 예를 들어 조준 장치를 통해 연장되는 각각의 구멍이 골수내 못의 대응하는 개구와 정렬되어 조준 장치의 구멍을 통해 삽입된 보호 슬리브 및/또는 드릴링 장치가 골수내 못의 대응하는 개구와 정렬되는 정렬 상태로 골수내 못의 근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보호 슬리브 또는 공구를 개구 내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조준 장치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와, 몸체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고 로킹해제 구성과 로킹 구성 사이에서 몸체에 대해 이동가능한 로크(lock)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제1 축을 따라 몸체를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몸체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 개구는 제1 몸체 개구 내에 장치를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되며, 상기 몸체의 제1 단부는 제1 몸체 개구가 이식가능 장치를 통해 연장되는 대응하는 제1 임플란트 개구와 정렬되어 몸체 내의 제1 몸체 개구를 통해 삽입된 장치가 제1 임플란트 개구의 축을 따라 통과할 조준 구성으로 몸체를 이식가능 장치에 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링을 포함하며, 상기 로크는 로킹 구성에서 제1 몸체 개구 내로 연장되어 제1 몸체 개구 내에 수용된 장치의 외측 표면과 맞물려서 장치를 제1 몸체 개구 내의 원하는 위치에 로킹시키는 맞물림 부분(engaging portion)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조준 장치에 따른 로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로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로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a는 도 1의 조준 장치의 몸체의 일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의 몸체의 일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로킹해제 구성에 있는 도 1의 조준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로킹 구성에 있는 도 1의 조준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의 장치의 몸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8의 장치에 따른 로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로크의 레버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1의 로크의 스템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1의 로크의 클립 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8의 장치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8의 장치에 따른 로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7의 장치에 따른 로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조준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도 21의 조준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의 일부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도 23의 조준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 이해될 수 있으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참조된다. 본 발명은 골 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 고정 요소 및/또는 다른 공구를 골수내 못과 같은 골 처치 장치의 개구 내로 안내하기 위한 조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슬리브 및/또는 드릴 공구를 조준 장치의 구멍 내에 그리고 골 처치 장치의 개구와 정렬되게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캠(locking cam)을 포함하는 조준 장치를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근위" 및 "원위"가 장치를 사용하는 외과 의사 또는 다른 사용자를 향하는 (근위) 방향 및 이들로부터 멀어지는 (원위) 방향을 지칭하고자 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100)는 보호 슬리브 또는 드릴링 장치와 같은 장치(114)를 몸체(104)의 개구(106)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몸체(104)에 결합되는 로크(102)를 포함한다. 로크(102)는 로크(102)의 어떠한 부분도 개구(106) 내로 연장되지 않는 로킹해제 구성과 로크(102)의 맞물림 부분(112)이 개구(106) 내로 연장되어 장치(114)와 맞물려서 장치(114)를 개구(106) 내에 로킹시키는 로킹 구성 사이에서 몸체(104)에 대해 이동가능하다. 몸체(104)는 종방향으로 제1 단부(108)로부터 제2 단부(110)까지 연장되고, 측방향으로 몸체를 통해 연장되는 개구(106)를 포함한다. 개구(106)는, 제1 단부(108)가 예를 들어 골수내 못과 같은 골 고정 장치에 결합될 때, 개구(106)가 측방향으로 골수내 못을 통해 연장되는 구멍과 정렬되는 개구 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몸체(104)를 따라 위치된다. 측방향 구멍은 예를 들어 골수내 못을 골 내에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나사 및/또는 골의 골두 부분을 통해 연장되어 골두 부분의 고정을 제공하는 나선형 나사와 같은 또 다른 고정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조준 장치(100)가 예를 들어 골수내 못을 골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손잡이를 통해 골수내 못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조준 장치(100)의 몸체(104)의 제1 단부(108)는 노브(116)를 통해 삽입 손잡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106) 내로 삽입된 보호 슬리브와 같은 장치(114)가 드릴 및/또는 다른 공구를 못 구멍의 축을 따라 골 내로 안내할 것이다. 조준 장치(100)가 골수내 못에 관하여 기술되고 도시될 것이지만, 장치(114) 또는 공구가 그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임의의 조준 장치(100)에 로크(102)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로크(102)가 단일 개구(106)에 관하여 기술되지만, 몸체(104)는 골수내 못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106)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개구(10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조준 장치(1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개구(106)의 각각에 대한 하나의 로크(102)와 같은 하나 초과의 로크(102)를 포함할 수 있다.
로크(102)는 핀(130)을 통해 몸체(10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102)는 로킹 부재(126)로부터 연장되는 탭(124)을 포함한다. 로킹 부재(126)는 연결 표면(134)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평탄한 표면(132)을 포함한다. 평탄한 표면들(132) 사이의 거리가 로킹 부재(126)의 폭을 한정한다. 로킹 부재(126)는 또한 그것을 통해 평탄한 표면들(132) 중 제1 표면으로부터 평탄한 표면들(132) 중 제2 표면까지 중심축(C)을 따라 연장되는 구멍(128)을 포함한다. 구멍(128)은 로크(102)가 로킹해제 구성과 로킹 구성 사이에서 핀(130)과 중심축(C)을 중심으로 피벗하도록 구멍 내에 핀(130)을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연결 표면(134)은 로킹 부재(126)가 몸체(104) 내에서 중심축(C)을 중심으로 피벗할 수 있도록 중심축(C) 주위로 둥글게 만들어질 수 있다. 맞물림 부분(112)이 연결 표면(134)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며, 이때 로크(102)가 로킹 구성으로 이동될 때, 맞물림 부분(112)이 개구(106) 내로 연장되어 개구(106)를 통해 삽입된 장치(114)의 외측 표면과 맞물린다. 연결 표면(134)은 또한 실질적으로 평탄한 로킹 표면(138)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표면(138)은 로크(102)가 로킹 구성에 있을 때 몸체(104)의 일부분과 접속하도록 탭(124)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로킹 부재(126)는 또한 평탄한 표면(132)을 따라 맞물림 부분(112)으로부터 중심축(C)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홈(1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맞물림 부분(112)의 폭(예컨대, 홈들(136) 사이의 거리)이 로킹 부재의 나머지 부분의 폭(예컨대, 평탄한 표면들(132)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다.
탭(124)은 측방향으로 로킹 부재(126)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고/파지되거나 눌러지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탭(124)은 날개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탭(124)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로크(102)를 수용 구성과 로킹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한, 탭(124)이 다양한 형상들 중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개구(106)는 측방향으로 몸체(104)를 통해 몸체의 근위 표면(120)으로부터 원위 표면(122)까지 연장된다. 개구(106)는 몸체 내에 장치(114)를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몸체(104)는 종방향으로 근위 표면(120)을 따라 개구(106)로부터 몸체(104)의 일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리세스(118)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18)는 개구(106)의 일부분과 중첩하도록 몸체(104)를 따라 위치되고, 그 안에 로크(102)의 로킹 부재(126)를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핀(130)은 로킹 부재(126)가 리세스(118) 내에서 핀(130)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리세스(118)와 로크(102)의 구멍(128)을 통해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102)는 한 쌍의 핀(130')을 통해 몸체(104')에 결합될 수 있다. 핀(130')은 리세스(118')의 대향 측벽들 상에 위치되고, 로크(102)의 구멍(128)의 대향 개구들 내로 연장된다. 그러나, 로크(102)는 로킹 부재(126)의 전체 폭을 통해 연장되는 구멍(128)보다는 한 쌍의 핀(130)을 그 안에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평탄한 표면(132) 내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로킹해제 구성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124)은 몸체(104)의 근위 표면(120)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맞물림 부분(112)은 개구(106)가 그 안에 슬리브(114) 또는 다른 공구를 수용하기 위해 막혀 있지 않도록 개구(106) 내로 연장되지 않는다. 로킹 구성에서, 탭(124)은 근위 표면(120)을 향해 이동되어 로크(102)를 핀(130)을 중심으로 피벗시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126)의 맞물림 부분(112)을 개구(106) 내로 이동시킨다. 맞물림 부분(112)은 개구(106) 내에 수용된 슬리브(114)의 외부 표면 내로 연장되어 그 안에 슬리브(114)를 고정시킨다. 로킹 표면(138)은 또한 리세스(118)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측방향 표면(140)과 맞물려 로크(102)를 로킹 구성으로 몸체(104)에 대해 유지시킨다. 로킹 구성에서, 이 실시예에 따른 탭(124)은 근위 표면(1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일단 조준 장치(100)가 사용되었으면, 원하는 대로, 로크(102)가 다시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되어 그 상태로부터 장치(114)를 제거할 수 있다. 로크(102)를 로킹해제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탭(124)을 근위 표면(120)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켜, 로킹 표면(138)을 리세스(118)의 측방향 표면(140)과의 맞물림으로부터 벗어나게 끌어당기고, 맞물림 부분(112)을 개구(106) 밖으로 이동시켜 장치(114)를 해제시킨다.
로크(102)는 몸체(10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장치(100)가 단일 핀(130)을 포함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핀(130)이 제거되어 로크(102)를 몸체(10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장치(100)가 한 쌍의 핀(130')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로크(102)가 그의 평탄한 표면(132)을 따라 연장되는 홈(136)을 통해 핀(130')으로부터 클립해제될 수 있다. 로크(102)는 핀(130)이 홈(136)을 따라 활주되고 로크(102)가 몸체(104')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로크(102)와 몸체(104')는, 로크(102)가 필요시 교체될 수 있고 몸체(104')와 로크(102)가 필요에 따라 세정될 수 있도록 분리될 수 있다. 로크(102)는 핀(130')이 구멍(128) 또는 그의 대향 리세스 내에 수용될 때까지 핀(130)을 로크(102)의 홈(136)을 통해 활주시킴으로써 몸체(104')에 재결합될 수 있다. 핀(130')은 로크(102)가 몸체(104)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멍(128)의 개구 또는 리세스 내에 스냅체결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로크(102)는 조준 장치(100)의 개구(106)가 그것을 통해 슬리브(114) 및/또는 다른 공구를 안내하기 위해 명확하게 촬상되고 관찰될 수 있도록 방사선 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200)는 전술한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이 조준 장치는 그 개구(206) 내에 안내 슬리브 또는 다른 공구와 같은 장치(214)를 고정시키기 위해 몸체(204)에 결합되는 로크(202)를 포함한다. 장치(100)와 유사하게, 로크(202)는 로킹해제 구성과 로킹 구성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그러나, 로크(202)는 탭(224)과 클립(226)을 포함하며, 이 클립(226)은 클립(226)을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시켜 장치(224)가 개구(226)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로크(202)의 탭(224)이 눌러져야만 하도록 로킹 구성으로 편향되어 있다. 일단 장치(214)가 개구(206) 내로 삽입되었으면, 원하는 대로, 탭(224)이 해제되어 클립(226)을 편향 위치로 복귀시켜서, 장치(214)를 개구(206) 내에 로킹시킬 수 있다.
몸체(104)와 유사하게,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4)는 골 고정 장치에 결합될 수 있고, 조준 장치(100)가 골 고정 장치에 결합될 때, 골 고정 장치의 구멍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206)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4)는 그것의 근위 표면(220)과 원위 표면(222) 사이에서 개구(206)를 통과하는 종방향 슬롯(242)을 포함한다. 몸체(204)는 또한 몸체(204)의 대향 측면(246) 상에 홈(244)을 포함하며, 이때 측면(246)은 근위 및 원위 표면(220, 222)을 연결한다. 홈(244)은 종방향 슬롯(242)과 연통되고, 클립(226)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특히, 홈(244)은 클립(226)의 일부분을 종방향 슬롯(242) 내에 유지시키기 위해 클립(226)의 로킹 부분(238)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형 단부(258)를 포함한다. 홈(244)은 또한 클립(226)이 로킹 구성과 로킹해제 구성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상화되며, 예컨대, 종방향 슬롯(242) 내에 수용된 클립(226)의 일부분이 그 안에서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몸체(204)는 또한 그것을 통해 근위 표면(220)으로부터 원위 표면(222)까지 연장되는 구멍(218)을 포함하고, 탭(224)을 클립(226)에 연결하는, 로크(202)의 스템 부분(248)을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몸체(204)는 또한 구멍(218)을 둘러싸는 그것의 일부분을 따라 근위 표면(220) 상에 리세스형 부분(25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형 부분(250)은 탭(224)의 상응하게 형상화된 연장부(252)가 그 안에 수용되어 탭(224)이 몸체(224)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비-원형 형상을 갖는다. 구멍(218)과 리세스형 부분(250)은 개구(206)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202)는 스템 부분(248)을 통해 클립(226)에 연결되는 탭(224)을 포함한다. 로크(202)는 클립(224)의 일부분이 종방향 슬롯(242) 내에 수용되어 개구(206) 내에 수용된 장치(214)와 맞물리도록 몸체(204)에 결합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224)은 사용자가 탭(224)을 통해 로크(202)를 눌러 로크(202)를 로킹 구성과 로킹해제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탭(224)은 몸체(204)의 리세스형 부분(250) 내에 수용되도록 탭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52)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248)은 연장부(252)로부터 원위 단부(254)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원위 단부에 L자형 팁(256)을 포함한다. L자형 팁(256)은 스템(248)을 클립(226)에 결합시킨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클립(226)은 클립 몸체(232)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아암(234)을 포함한다. 클립 몸체(232)는 종방향 슬롯(242) 내에 수용되고, 개구(206)를 통과한 장치(214)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부분(212)을 포함한다. 맞물림 부분(212)은 장치(214)의 외부 표면에 대응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맞물림 부분(212)은 원통형 장치(214)를 수용하기 위해 만곡된 리세스로서 한정될 수 있다. 클립 몸체(232)는 탭(224)이 클립(226)에 결합되도록 스템(248)의 L자형 팁(256)을 수용하기 위한 긴 구멍(228)을 포함할 수 있다. 긴 구멍(228)은, 스템(248)과 탭(224)이 제2 구성에 있을 때 L자형 팁이 상기 구멍을 쉽게 통과할 수 있지만 스템(248)과 탭(224)이 상기 구멍의 종축을 중심으로 제1 구성으로 회전될 때 상기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아암(234)은 클립 몸체(232)로부터 홈(244)의 리세스형 단부(258)와 맞물리도록 측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로킹 단부(238)까지 연장된다.
로크(202)는 클립 몸체(232)가 종방향 슬롯(242)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클립 아암(234)은 홈(244)을 통해 연장되며, 클립 아암(234)의 로킹 단부(238)가 홈(244)의 리세스형 단부(258) 내에 수용되도록 몸체(204)에 결합된다. 클립(226)은, 구멍(228)을 통과하여 탭(224)이 클립(226)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 구성으로 위치되는 스템(248)을 통해 탭(224)에 연결된다. 탭(224)의 연장부(252)는 탭(224)과 스템(228)이 클립(226)에 대해 회전되어 로크를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우발적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구멍(228)을 둘러싸는 리세스(250) 내에 수용된다. 로킹 구성에서, 클립(226)은 종축을 따라 연장되고, 클립의 맞물림 부분(212)은 개구(206) 내로 연장된다. 그러나, 로크(202)는 탭(224)을 몸체(204)의 근위 표면(220)을 향해 눌러 클립(226)을 종축과의 정렬로부터 벗어나게 구부려서 맞물림 부분(212)을 개구(206) 밖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암(234)은 클립(226)이 구부러질 수 있도록 홈(244) 내에서 이동한다. 클립(226)은, 로킹 구성에서 클립(226)을 편향시키지만 클립(226)이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예를 들어 티타늄과 같은, 탄성 특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 또는 다른 공구와 같은 장치(214)를 개구(206)를 통해 삽입하는 것이 요구될 때, 사용자는 탭(224)을 눌러 클립(226)을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장치(214)가 개구(206)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탭(224)이 해제되어 클립(226)을 로킹 위치로 복귀시켜서 그 안에서 장치(214)를 로킹시킬 수 있다.
장치(100)와 유사하게, 로크(202)는 로크(202) 및/또는 몸체(204)가 필요에 따라 세정 및/또는 교체될 수 있도록 몸체(20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로크(202)를 몸체(204)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52)가 리세스(250)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탭(224)이 몸체(204)의 근위 표면(220)으로부터 멀어지게 잡아당겨진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224), 따라서 스템(248)이 회전되어 로크(202)를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이동시켜서, 스템(248)의 L자형 팁(256)을 클립(226)의 구멍(238)으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킬 수 있다. 일단 탭(224)이 클립(226)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었으면, 클립(226)은 클립 아암(234)의 로킹 단부(238)를 로킹 리세스(258)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킴으로써 몸체(204)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226)이 필요에 따라 구부러질 수 있는 탄성 재료로 클립(226)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300)는 아래에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바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장치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장치(300)는 장치(314)를 몸체(304)의 개구(306) 내에 로킹시키기 위해 몸체(304)에 결합되는 로크(302)를 포함한다. 클립(202)과 유사하게, 클립(302)은 탄성 특성을 가지며 로킹 구성에서 편향된다. 그러나, 로크(302)는 몸체(304)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되기보다는 몸체(304)의 종축에 대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334)을 포함하는 클립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04)는 개구(306)의 대향 측들에서 측면(346)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홈(342)을 포함한다. 홈(342)은 그 안에 로크의 아암(334)을 수용하고 그 안에서 아암(334)의 구부림을 가능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302)는 탭(324)과 이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334)을 포함한다. 탭(324)은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쉽게 파지되고/파지되거나 눌러지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질 수 있다. 탭(324)의 내부 표면(332)이 슬리브 또는 다른 공구와 같은 장치(314)의 외측 표면과 맞물리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지는 맞물림 부분(312)을 한정한다. 맞물림 부분(312)은 예를 들어 원통형 장치(314)와 맞물리기 위한 만곡된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334)은 홈(342) 내에 수용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아암(334)의 로킹 단부(338)가 예를 들어 장치(200)의 홈(242)과 유사하게 홈(342)의 로킹 리세스(미도시)와 맞물리도록 측방향 내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로킹 단부(338)는 몸체(304)의 원위 표면(322)을 따라 홈(342)의 일부분과 맞물릴 수 있다. 로크(302)가 몸체(304)에 결합될 때, 탭(324)은 로크(302)가 사용자에 의해 접근가능하도록 몸체(304)의 근위 표면(320)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로크(302)는 로크(302)가 편향된 로킹 위치와 로킹해제 구성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스프링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킹 구성에서, 로크(302)는 맞물림 부분(312)이 개구(306) 내로 연장되도록 편향된다. 로크(302)를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탭(324)을 몸체(304)의 근위 표면(320)을 향해 눌러, 로크(302)를 변형시켜서 맞물림 부분(312)을 개구(306) 밖으로 이동시킨다. 사용자는 장치(314)를 개구(306) 내로 삽입하기 위해 로크(302)를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단 장치(314)가 개구(306) 내로 삽입되었으면, 원하는 대로, 탭(324)이 해제되어 로크(302)가 로킹 구성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되어, 장치(314)를 개구(306) 내에 로킹시킬 수 있다.
전술한 장치(100, 200)와 유사하게, 로크(302)는 로크(302)가 필요에 따라 세정 및/또는 교체될 수 있도록 몸체(30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로크(302)가 탄성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아암(334)의 로킹 단부(338)가 홈(342)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아암(334)이 간단히 외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400)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조준 장치(3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장치(400)는 장치를 몸체(404)의 개구(406) 내에 로킹시키기 위해 몸체(404)에 결합되는 로크(402)를 포함한다. 로크(302)와 유사하게, 로크(402)는 탭(424)과 로킹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아암(434)을 포함한다. 로크(402)는 탭(424)과 이 탭으로부터 몸체(404)의 종축에 대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434)을 포함한다. 몸체(404)는 개구(406)의 대향 측들에서 측면(446)을 따라 연장되는 홈(442)을 포함한다. 홈(442)은 아암(434)을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그러나, 아암(434)은 몸체(404)와 맞물리도록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되는 로킹 단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오히려, 아암(434)은 홈(442) 내에 수용되고, 원위방향으로 몸체(404)의 원위 표면(422)을 지나서 측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단부(438)를 포함한다. 단부(438)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파지되어 아암(434)을 서로 떨어지게 끌어당겨서 로크(402)를 몸체(404)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킬 수 있다.
로크(402)가 몸체(404)에 결합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탭(424)이 몸체(404)의 근위 표면(420) 위로 연장된다. 로킹 구성에서, 탭(424)은 근위 표면(420)으로부터 멀어지게 비스듬히 놓이고, 개구(406)의 경로 내로 연장되는, 예를 들어, 만곡된 리세스와 같은 맞물림 부분(412)을 포함한다. 따라서, 원통형 장치가 개구(406)를 통과할 때, 그 외측 표면이 맞물림 부분(412)에 의해 맞물린다. 탭(424)은, 맞물림 부분(412)이 개구의 경로 밖으로 이동되어 개구(406)를 통한 장치의 삽입을 해제 및/또는 허용하는 로킹해제 구성으로 장치(400)를 이동시키기 위해 몸체(404)의 근위 표면(420)을 향해 눌러질 수 있다.
또한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다른 실질적으로 유사한 실시예에서, 로크(424')가 몸체(404) 내로 통합된다. 아래에 지적되는 바를 제외하고는, 로크(402')는 로크(402)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이는 탭(424')과 그로부터 연장되는 아암(434')을 포함한다. 로크(402')의 아암(434')은 개구(406)의 대향 측들에서 몸체(404)를 통해 몸체의 근위 표면(420)으로부터 원위 표면(422)까지 연장되는 구멍(442') 내에 수용된다. 로크(402')는 전술한 로크(402)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기능하는데, 이는 그 맞물림 부분(412')이 로크(402')를 로킹 구성과 로킹해제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 개구(406)의 경로 내로 그리고 경로 밖으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몸체(404)는 근위 표면(420)을 통해 연장되는 리세스(450)를 추가로 포함한다. 리세스(450)는 탭(424')이 근위 표면(420)을 향해 로킹해제 위치로 눌러질 때 탭(424')을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진다. 도 19와 도 20의 조준 장치(400)가 로크(402) 및 로크(402') 둘 모두를 도시하지만, 이 조준 장치(400)는 로크(402, 40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 장치(500)는 아래에 지적되는 바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조준 장치(4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장치(500)는, 몸체(504)의 개구(506)를 통과한 장치가 그 안에 로킹되는 로킹 구성과 몸체(504)를 통과한 장치가 그 안에서 이동될 수 있는 로킹해제 구성 사이에서 몸체에 대해 이동하기 위해 몸체(504)에 결합되는 로크(502)를 포함한다. 로크(502)는 로킹 구성을 향해 편향되고, 몸체(504)의 근위 표면(520) 위로 연장되는 탭형 부분(524)과 개구(506)의 대향 측들에서 몸체(504)를 통해 몸체의 근위 표면(520)으로부터 원위 표면(522)까지 연장되는 구멍(542) 내에 수용되는 아암 부분(534)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지는 와이어로 형성된다.
탭형 부분(524)은, 장치(500)가 로킹 구성에 있을 때 개구(506)의 경로 내로 연장되는 맞물림 부분(512)을 한정하도록 탭형 부분(524)의 중심선을 향해 내향으로 구부러지는 와이어 부분을 포함한다. 전술한 장치(400)와 유사하게, 탭형 부분(524)은 로킹 구성에서 근위 표면(520)으로부터 멀어지게 비스듬히 놓인다. 로크(502)를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탭형 부분(524)은 근위 표면(520)을 통해 연장되고 그 안에 탭형 부분(524)을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지는 리세스(550) 내로 근위 표면(520)을 향해 눌러진다. 로크(502)가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될 때, 맞물림 부분(512)은 조준 슬리브와 같은 장치가 개구(506) 내외로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506)의 경로 밖으로 이동된다. 일단 조준 슬리브가 개구(506) 내에 위치되었으면, 원하는 대로, 탭형 부분(524)은 맞물림 부분(512)(예컨대, 탭형 부분의 중심선을 향해 내향으로 구부러졌던 와이어 부분)이 그 외측 표면과 맞물리고 그 안에 슬리브를 로킹시키도록 해제될 수 있다.
도 23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준 장치(600)는 후술되는 바를 제외하고는 조준 장치(4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장치(600)는, 로크(602)가 몸체(604)의 개구(606)를 통과한 슬리브 또는 다른 공구와 맞물려 그 안에 슬리브를 로킹시키는 로킹 구성과 슬리브 또는 다른 공구가 개구(606) 내로 또는 그 밖으로 이동가능하게 통과될 수 있는 로킹해제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몸체(604)에 결합되는 로크(602)를 포함한다. 로크(602)는 예를 들어 PEEK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재료로 형성되는 탭 부재(624)를 포함하는데, 이는 개구(606)의 대향 측들에서 몸체(604)를 통해 몸체의 근위 표면(620)으로부터 원위 표면(622)까지 연장되는 구멍(642) 내에 위치되고 로크(602)가 로킹 구성과 로킹해제 구성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힌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탄성 핀(634)을 통해 몸체(604)에 연결된다. 로킹 구성에서, 예를 들어, 핀(634)은 이들이 편향되는 실질적으로 곧은 구성으로 연장된다. 핀(634)은, 탭 부재(624)의 맞물림 부분(612)이 개구(606)의 경로 내로 연장되고 탭 부재(624)가 몸체(604)의 근위 표면(620)에 대해 비스듬히 놓이도록 탭 부재(624)를 몸체(604)에 연결한다. 로킹해제 구성에서, 핀(634)은 탭 부재(624)를 근위 표면(620)을 향해 누르고 맞물림 부분(612)을 개구(606)의 경로 밖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들의 편향된 위치로부터 멀어지게 변형(예컨대, 만곡)된다. 탭 부재(624)는 탭 부재(624)를 리세스 안에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지는, 근위 표면(620) 내에 형성되는 리세스(650) 내로 눌러질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든 변경과 변화를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31)

  1.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로서, 상기 몸체는 제1 축을 따라 상기 몸체를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몸체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 개구는 상기 제1 몸체 개구 내에 장치를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지며, 상기 몸체의 제1 단부는 조준 구성에서 상기 몸체를 이식가능 장치에 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준 구성에서, 상기 제1 몸체 개구가 상기 이식가능 장치를 통해 연장되는 대응하는 제1 임플란트 개구와 정렬되어 상기 몸체 내의 상기 제1 몸체 개구를 통해 삽입된 장치가 상기 제1 임플란트 개구의 축을 따라 통과하는, 상기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고 로킹해제 구성과 로킹 구성 사이에서 상기 몸체에 대해 이동가능한 로크(lock)로서, 상기 로크는 상기 로킹 구성에서 상기 제1 몸체 개구 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몸체 개구 내에 수용된 장치의 외측 표면과 맞물려서 상기 장치를 상기 제1 몸체 개구 내의 원하는 위치에 로킹시키는 맞물림 부분(engaging portion)을 포함하는, 상기 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는 핀을 통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로크가 상기 로킹해제 구성과 상기 로킹 구성 사이에서 피벗식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조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는 상기 로크의 로킹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탭(tab)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부분은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따라 상기 제1 몸체 개구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몸체의 리세스(recess) 내에 피벗식으로 수용되어, 상기 탭이 상기 로킹해제 구성에서 상기 근위 표면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구성에서, 상기 탭은 상기 로킹 부분을 상기 핀을 중심으로 피벗시켜 상기 맞물림 부분을 상기 제1 몸체 개구 내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근위 표면을 향해 이동가능한, 조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부분의 폭이 상기 로크의 로킹 부분의 나머지 부분의 폭보다 더 작은, 조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는 상기 로킹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클립(clip)을 포함하는, 조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과 원위 표면 사이에서 상기 제1 몸체 개구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슬롯(slot)과 상기 몸체의 측방향 표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반대쪽 홈(groove)들을 포함하는, 조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종방향 슬롯 내에 수용되는 로크 몸체와 상기 반대쪽 홈들을 따라 연장되는 클립 아암들을 포함하는, 조준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는 상기 클립에 연결되는 탭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탭이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향해 눌러질 때 상기 로크가 상기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되는, 조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상기 로크를 상기 몸체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탭을 상기 클립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클립으로부터 맞물림 해제가능한, 조준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맞물림 부분이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몸체 개구의 반대쪽 측면들에서 상기 몸체의 측방향 표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향 홈들을 포함하여 상기 클립의 아암들을 상기 측방향 홈들 내에 수용하는, 조준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티타늄 및 스프링 강 중 하나로 형성되는, 조준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맞물림 부분이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몸체 개구의 반대쪽 측면들에서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으로부터 원위 표면까지 상기 몸체를 통해 연장되는 한 쌍의 구멍들을 포함하여 상기 클립의 아암들을 상기 구멍들 내에 수용하는, 조준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맞물림 부분을 한정하는 탭형 부분(tabbed portion)을 포함하도록 구부러진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들은 상기 맞물림 부분이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몸체 개구의 반대쪽 측면들에서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으로부터 원위 표면까지 상기 몸체를 통해 연장되는 구멍들 내에 수용되는, 조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탭형 부분은 상기 탭형 부분의 중심선을 향해 내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맞물림 부분을 한정하는, 조준 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클립을 상기 로킹 구성을 향해 편향시키는 한 쌍의 핀들을 통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탭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탭 부재는 상기 탭이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향해 눌러질 때 상기 핀들이 변형되고 상기 로크가 상기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조준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는 한 쌍의 핀들에 의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로크가 상기 로킹해제 구성과 로킹 구성 사이에서 피벗식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조준 장치.
  18.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로서, 상기 몸체는 제1 축을 따라 상기 몸체를 통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몸체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 개구는 상기 제1 몸체 개구 내에 장치를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이 정해지며, 상기 몸체의 제1 단부는 조준 구성에서 상기 몸체를 이식가능 장치에 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조준 구성에서, 상기 제1 몸체 개구가 상기 이식가능 장치를 통해 연장되는 대응하는 제1 임플란트 개구와 정렬되어 상기 몸체 내의 상기 제1 몸체 개구를 통해 삽입된 장치가 상기 제1 임플란트 개구의 축을 따라 통과하는, 상기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고 로킹해제 구성과 로킹 구성 사이에서 상기 몸체에 대해 이동가능한 로크로서, 상기 제1 몸체 개구는 상기 제1 몸체 개구 내에 장치를 수용하도록 상기 로킹해제 구성에서 가로막히지 않고, 상기 로크는 상기 로킹 구성에서 상기 제1 몸체 개구 내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몸체 개구 내에 수용된 장치의 외측 표면과 맞물리는 맞물림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는 핀을 통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로크가 상기 로킹해제 구성과 상기 로킹 구성 사이에서 상기 핀을 중심으로 피벗식으로 이동가능한, 조준 장치.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는 상기 로크의 로킹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탭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 부분은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따라 상기 제1 몸체 개구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몸체의 리세스 내에 피벗식으로 수용되어, 상기 탭이 상기 로킹해제 구성에서 상기 근위 표면으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준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는 상기 로킹 구성을 향해 편향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조준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과 원위 표면 사이에서 상기 제1 몸체 개구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슬롯과 상기 몸체의 측방향 표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반대쪽 홈들을 포함하는, 조준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종방향 슬롯 내에 수용되는 로크 몸체와 상기 반대쪽 홈들을 따라 연장되는 클립 아암들을 포함하는, 조준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는 상기 클립에 연결되는 탭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탭이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향해 눌러질 때 상기 로크가 상기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되는, 조준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상기 로크를 상기 몸체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탭을 상기 클립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클립으로부터 맞물림 해제가능한, 조준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맞물림 부분이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몸체 개구의 반대쪽 측면들에서 상기 몸체의 측방향 표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향 홈들을 포함하여 상기 클립의 아암들을 상기 측방향 홈들 내에 수용하는, 조준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맞물림 부분이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몸체 개구의 반대쪽 측면들에서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으로부터 원위 표면까지 상기 몸체를 통해 연장되는 한 쌍의 구멍들을 포함하여 상기 클립의 아암들을 상기 한 쌍의 구멍들 내에 수용하는, 조준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맞물림 부분을 한정하는 탭형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부러진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들은 상기 맞물림 부분이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몸체 개구의 반대쪽 측면들에서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으로부터 원위 표면까지 상기 몸체를 통해 연장되는 구멍들 내에 수용되는, 조준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탭형 부분은 상기 탭형 부분의 중심선을 향해 내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맞물림 부분을 한정하는, 조준 장치.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클립을 상기 로킹 구성으로 편향시키는 한 쌍의 핀들을 통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탭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탭 부재는 상기 탭이 상기 몸체의 근위 표면을 향해 눌러질 때 상기 핀들이 변형되고 상기 로크가 상기 로킹해제 구성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조준 장치.
  3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는 한 쌍의 핀들에 의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로크가 상기 로킹해제 구성과 로킹 구성 사이에서 피벗식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조준 장치.
KR1020157022929A 2013-01-30 2014-01-15 캠 로크를 갖춘 조준 장치 KR102262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53,883 2013-01-30
US13/753,883 US9393064B2 (en) 2013-01-30 2013-01-30 Cam lock
PCT/US2014/011665 WO2014120446A1 (en) 2013-01-30 2014-01-15 Aiming device with cam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055A KR20150113055A (ko) 2015-10-07
KR102262638B1 true KR102262638B1 (ko) 2021-06-11

Family

ID=5007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929A KR102262638B1 (ko) 2013-01-30 2014-01-15 캠 로크를 갖춘 조준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93064B2 (ko)
EP (1) EP2950724B1 (ko)
JP (1) JP6495184B2 (ko)
KR (1) KR102262638B1 (ko)
CN (1) CN105120775B (ko)
BR (1) BR112015017890B1 (ko)
CA (1) CA2899907C (ko)
WO (1) WO20141204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6001B2 (ja) * 2015-05-15 2019-07-17 株式会社ホムズ技研 インプラントの取付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骨固定システム
ITUA20163613A1 (it) * 2016-05-19 2017-11-19 Orthofix Srl Strumentario perfezionato per l'allineamento di viti di fissaggio da inserire in fori trasversali di chiodi per ossa lunghe, in particolare chiodi midollari
US10492803B2 (en) 2016-09-22 2019-12-03 Globus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medullary nail implantation
US11083503B2 (en) 2016-09-22 2021-08-10 Globus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ramedullary nail implantation
US11633219B2 (en) 2019-06-26 2023-04-25 Globus Medical, Inc. Fenestrated pedicle nail
EP4027921A4 (en) * 2019-09-12 2024-01-17 Paragon 28 Inc IMPLANT GUIDES,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11806029B2 (en) * 2021-01-06 2023-11-07 DePuy Synthes Products, Inc. Locking troca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784A1 (en) 2009-10-15 2011-04-21 Synthes Usa, Llc Protection sleeve retention device
WO2011050842A1 (fr) 2009-10-28 2011-05-05 CHIRMAT Sàrl Dispositif pour le positionnement et le reglage d'un axe de vise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06564U1 (de) 1998-04-09 1999-08-12 Howmedica Gmbh Zielgerät für einen Verriegelungsnagel
DE20019014U1 (de) * 2000-11-08 2001-02-15 Cheng Kenny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Anbautisch
US6620195B2 (en) 2001-04-18 2003-09-16 Medicinelodg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graft ligament to a bone
DE20211806U1 (de) * 2002-08-01 2002-10-17 Stryker Trauma Gmbh Zielgerät für einen Verriegelungsnagel
EP1854611A1 (en) 2006-05-09 2007-11-14 Stryker Trauma GmbH Connection between two component parts by means of injection molding, auxiliary attachment for medical purposes
FR2934145B1 (fr) 2008-07-24 2010-08-13 Tornier Sa Instrument chirurgical.
FR2978342A1 (fr) 2011-07-26 2013-02-01 Tornier Inc Instrumentation chirurgica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784A1 (en) 2009-10-15 2011-04-21 Synthes Usa, Llc Protection sleeve retention device
WO2011050842A1 (fr) 2009-10-28 2011-05-05 CHIRMAT Sàrl Dispositif pour le positionnement et le reglage d'un axe de vis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0775A (zh) 2015-12-02
EP2950724B1 (en) 2017-09-13
KR20150113055A (ko) 2015-10-07
BR112015017890A2 (pt) 2017-07-11
EP2950724A1 (en) 2015-12-09
JP2016504962A (ja) 2016-02-18
US20140214101A1 (en) 2014-07-31
CN105120775B (zh) 2018-03-02
CA2899907A1 (en) 2014-08-07
JP6495184B2 (ja) 2019-04-03
CA2899907C (en) 2021-02-02
US9393064B2 (en) 2016-07-19
BR112015017890B1 (pt) 2021-12-28
WO2014120446A1 (en)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2638B1 (ko) 캠 로크를 갖춘 조준 장치
EP1682017B1 (en) Surgical drill guide
US10874385B2 (en) Surgical retractor
CA2641714C (en) Transbuccal plate holding cannula
KR102263818B1 (ko) 보호 슬리브를 구비한 다중구멍 드릴 슬리브
JP6279612B2 (ja) ピンを引き抜くための器具
US20090204137A1 (en) Safety scalpel
WO2010065219A2 (en) Hub and handle design for carpal tunnel release tool
US20100011535A1 (en) Releasably interlocking instrument handle and method of use thereof
TW201822718A (zh) 生檢裝置之手柄
US20210068851A1 (en) Osteotome guide
US20190000488A1 (en) Kerrison rongeur with removable tip assembly
US20230109346A1 (en) Orthopedic staple and related instruments
US11266422B2 (en) Drill guide assembly
JP7005336B2 (ja) 手術用器具
US20230404582A1 (en) Orthopedic staple and related instruments
US20220257255A1 (en) Medical sliding shaft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