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169B1 - A pillar assembly of movable HANOK structure - Google Patents

A pillar assembly of movable HANOK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169B1
KR102262169B1 KR1020190062574A KR20190062574A KR102262169B1 KR 102262169 B1 KR102262169 B1 KR 102262169B1 KR 1020190062574 A KR1020190062574 A KR 1020190062574A KR 20190062574 A KR20190062574 A KR 20190062574A KR 102262169 B1 KR102262169 B1 KR 102262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coupling hole
fixing rod
fixed
han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5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6693A (en
Inventor
김상협
조영민
Original Assignee
김상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협 filed Critical 김상협
Priority to KR102019006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169B1/en
Publication of KR2020013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6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8Connection to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옥구조물을 이동식으로 모듈화하여 운반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기둥 골조의 구조적 강성을 높여 안정적인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옥구조물의 하부 골조를 구성하는 강재 프레임과; 상기 강재 프레임에 고정되며, 강재 프레임의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봉; 상기 고정봉이 상,하 방향으로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된 초석; 및 상기 초석의 통공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봉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봉은 중공(中空)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의 외주면에는 고정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에는 상기 고정결합공에 대응되는 기둥결합공이 삽입홈에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둥결합공을 통해 상기 고정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봉에 상기 기둥을 구속시키는 구속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봉의 둘레에는 고정봉과 초석 사이에 유격을 발생시키는 유격 플랜지가 상기 고정봉의 동심원 방향으로 고정봉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격 플랜지에는 상,하 관통된 플랜지공이 형성된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umn assembly of a mobile hanok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hanok structure that enables transport by modularizing the hanok structure, as well as increas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column frame to ensure stable transport. It relates to a column assembly.
To this end, a steel frame constituting the lower frame of the hanok structure; a fixing rod fixed to the steel frame and protruding upward of the steel frame; a cornerston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rod pass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a column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rod protruding up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rnerstone is inserted, the fixing rod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fixing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rod, and the pillar has the A pillar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xed coupling hole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and it is inserted into the fixed coupling hole through the pillar coupling hole and includes a constraint pin for constraining the pillar to the fixing rod, and is fixed around the fixing rod A gap flange for generating a gap between the rod and the cornerstone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xed rod in the concentric direction of the fixed rod, and the gap flange is provided with a column assembly of a movable hanok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flange holes are formed.

Description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A pillar assembly of movable HANOK structure}A pillar assembly of movable HANOK structure

본 발명은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한옥 모듈의 기둥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높여 운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umn assembly of a mobile hanok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umn assembly of a mobile hanok structure in which transport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column of a prefabricated hanok module.

한옥이란 한국 전통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건물을 말하는데, 상기 한옥은 친환경적이고, 건강하며, 세계의 어느 나라 어느 민족의 전통건축과 견주어도 뒤지지 않을 만큼의 독특한 전통미가 있고, 무엇보다도 자연과의 조화가 두드러지며, 이로 인해 거주자에게 심리적 안정감 주는 장점이 있다.Hanok refers to a building built in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al style. The hanok is eco-friendly, healthy, has a unique traditional beauty that cannot b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any country in the world, and above all, it stands out in harmony with nature.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psychological stability to residents.

상기한 한옥의 건축은, 먼저 건축하고자하는 터에 기초공사를 실시하고, 기둥을 세울 자리에 주초석을 놓고, 주초석 위에 기둥을 세운 후, 기둥 위에 대들보와 중간보를 가로 세로방향으로 교차시켜 공간을 형성한다. In the above-mentioned construction of hanok, the foundation work is first carried out on the site to be built, the foundation stone i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pillar is to be erected, the pillar is erected on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space is formed by crossing the cross beam and the middle beam on the pilla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do.

그리고, 공간의 안쪽 바닥에 온돌을 구비하는 방바닥을 형성하고, 기둥과 기둥사이는 흙벽돌 또는 창문 등으로 막아 방과 마루 등을 구획하며, 서까래 또는 부연 등 위에 기와를 얹어 지붕을 형성한다.Then, a floor with an ondol is formed on the inner floor of the space, and between the pillars and the pillars are blocked with earth bricks or windows to divide the room and the floor, and the roof is formed by placing tiles on the rafters or parapets.

도 1은 상기한 한옥의 일반적인 구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1을 참조하면, 한옥은 초석(10)의 상부에 기둥(11)이 세워지며, 이들 기둥(11) 사이에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상인방(12a), 중인방(12b) 및 하인방(12c)이 설치된다.1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hanok. Referring to FIG. 1, in the hanok, pillars 11 are built on top of a cornerstone 10, and between these pillars 11, from top to bottom. A lintel (12a), a lintel (12b) and a lintel (12c) are installed.

또한 기둥(11)의 상부에는 도리(16)가 위치되며, 그 도리(16) 위에 지붕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dori 16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11, and the roof is installed on the dori 16.

이때, 전통의 한옥구조물은 지붕이 무겁기 때문에, 초석(10)과 기둥(11)을 서로 결구하지 않아도 횡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구조이다.At this time, since the traditional hanok structure has a heavy roof, it is a structure capable of resisting lateral force even if the foundation stone 10 and the pillar 11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한 전통 한옥구조물은 시공 현장에서 용도에 맞게 목재를 가공하여 각 한옥부재들을 시공함으로 건축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일련의 시공과정은 한옥의 최종건축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traditional hanok structure is constructed by processing wood to suit the purpose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ng each hanok member. This series of construction processes takes a lot of time until the final construction of the hanok.

또한, 한옥부재가 모듈화 및 부품화가 되어 있지 않아 한옥부재를 건축현장에서 직접 가공하여 사용하므로 정밀도와 취급성이 낮은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단열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anok members are not modularized or parts, the hanok members are directly processed and used at the construction site, so there is a problem of low precision and handling,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ulation is weak.

즉, 한옥의 건축부재가 규격화되지 못하여 현장에서 재료를 현장의 규격에 맞도록 가공하므로 시간과 작업공수가 증가하고 정밀성이 떨어짐에 따라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building members of hanok are not standardized and the materials are processed on site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si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ime and workmanship increase and the work productivity decreases as the precision decreas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건축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공사기간이 단축된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mobile hanok structures with low construction costs and a shortened construction period is rapidly increasing.

이동식 한옥구조물은 펜션 등의 숙박시설 뿐만 아니라, 별장 및 주거공간으로서의 기능도 손색이 없으며, 공장에서의 기성품 제작이 이루어진 후 운반되어 현장에서의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건축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건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obile hanok structure can function not only as accommodation facilities such as pensions, but also as villas and residential spaces.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현대식 건물의 단열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단열성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of a modern building can be applied, the thermal insulation property can also be improved.

하지만, 상기한 이동식 한옥구조물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따른 전통 한옥구조물의 기둥 구조를 이동식 한옥구조물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기둥과 초석간 구조적 강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차량을 통한 한옥구조물 운반시에 구조물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aforementioned mobile hanok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lumn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o the mobile hanok structure as it is, and if the structural rigidity between the column and the cornerstone is not supported, when transporting the hanok structure through a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can be damaged.

이에 따라,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에 대한 구조적 강성 및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an increas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pillars of the mobile hanok structure and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209891호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No. 10-120989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을 통해 한옥구조물을 모듈화하여 운반을 가능케 하되 한옥구조물의 기둥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높여, 차량을 이용한 운반시 한옥구조물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dularize and transport a hanok structure through assembly, but to increas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pillars of the hanok structure, so that when transporting using a vehicle, the hanok structu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illar assembly of a mobile hanok structure that prevents damag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옥구조물의 하부 골조를 구성하는 강재 프레임과; 상기 강재 프레임에 고정되며, 강재 프레임의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봉; 상기 고정봉이 상,하 방향으로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된 초석; 및 상기 초석의 통공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봉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봉은 중공(中空)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의 외주면에는 고정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에는 상기 고정결합공에 대응되는 기둥결합공이 삽입홈에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둥결합공을 통해 상기 고정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봉에 상기 기둥을 구속시키는 구속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봉의 둘레에는 고정봉과 초석 사이에 유격을 발생시키는 유격 플랜지가 상기 고정봉의 동심원 방향으로 고정봉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격 플랜지에는 상,하 관통된 플랜지공이 형성된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eel frame constituting the lower frame of the hanok structure; a fixing rod fixed to the steel frame and protruding upward of the steel frame; a cornerston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rod pass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a post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rod protruding up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oundation stone is inserted, the fixing rod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fixing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rod, and the pillar has the A pillar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xed coupling hole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and it is inserted into the fixed coupling hole through the pillar coupling hole and includes a constraint pin for constraining the pillar to the fixing rod, and is fixed around the fixing rod A gap flange for generating a gap between the rod and the cornerstone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xed rod in the concentric direction of the fixed rod, and the gap flange is provided with a column assembly of a movable hanok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flange holes are formed.

이때, 상기 고정봉은 중공(中空)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의 외주면에는 고정결합공이 형성되고, 기둥에는 상기 고정결합공에 대응되는 기둥결합공이 삽입홈에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둥결합공을 통해 고정결합공으로 삽입되어 고정봉에 기둥을 구속시키는 구속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xing rod is formed in a hollow (middle space), a fixing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rod, and a pillar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pillar to pass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and through the pillar coupling ho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estraining pin inserted into the fixed coupling hole to constrain the column to the fixed rod.

이때, 상기 고정결합공은 고정봉의 양측을 관통하고, 기둥결합공은 기둥의 양측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coupling hole penetrates both sides of the fixing rod, and the column coupling hole penetrates both sides of the pillar.

또한, 상기 고정결합공 및 기둥결합공은 초석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coupling hole and the column coupling hole ar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oundation stone.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illar assembly of the movable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강재 프레임을 이용해 한옥구조물의 바닥틀을 구성하고, 강재 프레임 상에 기둥 조립체를 조립 구성함으로써, 한옥구조물을 모듈화할 수 있으므로 운반을 가능케 할 수 있다.First, by constructing a floor frame of a hanok structure using a steel frame and assembling a column assembly on the steel frame, the hanok structure can be modularized, so that it can be transported.

이때, 기둥과 강재 프레임간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차량을 이용한 운반시에도, 진동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tructural rigidity between the pillar and the steel frame can be increas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damage due to vibration even during transportation using a vehicle.

둘째, 한옥의 전통적인 기둥 외관에 대한 심미감을 유지시키면서도, 외력에 대한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기둥 조립체의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pport rigidity against external force while maintaining the aesthetic sense of the traditional pillar appearance of the hanok,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pillar assembly.

나아가 한옥구조물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내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entire hanok structure can be increased, seismic efficiency can be improved.

셋째, 기둥 조립체 시공에 대한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work convenienc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lumn assembly.

강재 프레임에 고정봉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봉의 상방으로 초석 및 목재기둥이 결합됨으로써, 기둥 조립체 시공에 대한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rod is fixed to the steel frame, the foundation stone and the wooden pillar ar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rod, thereby increasing work convenienc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illar assem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통 한옥의 측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가 설치된 한옥구조물이 운반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
1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a traditional hanok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umn assembly of a movable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lumn assembly of a movable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llar assembly of a movable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 pillar assembly of a movable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lumn assembly of a movable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ok structure in which the pillar assembly of the movable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being transporte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lumn assembly of a movable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는 조립식으로 모듈화하여 한옥구조물 운반을 가능케 하고, 기둥의 구조적 강성을 높였다.The pillar assembly of the movable hanok structure was modulariz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o enable transport of the hanok structure and to increas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pillar.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프레임(100)과, 고정봉(200)과, 초석(300)과, 기둥(400)과, 구속핀(5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illar assembly of the movable hanok structure includes a steel frame 100, a fixed rod 200, a cornerstone 300, a pillar 400, and a restraining pin 500. include

강재 프레임(100)은 한옥구조물의 하부틀을 구성하며, 강성을 위해 금속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한옥구조물은 사각 형태로 제공되므로, 상기 강재 프레임(100) 역시 사각의 틀로 제공된다. 강재 프레임(100)은 H빔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H빔을 결속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틀로 제공하는 것이다. 물론, 강재 프레임(100)이 H빔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의 강 재질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steel frame 100 constitutes the lower frame of the hanok structure, and is preferably made of metal for rigidity. Since a typical hanok structure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steel frame 100 is also provided in a rectangular frame. The steel frame 100 is preferably provided as an H-beam, and is provided in a rectangular frame as shown in FIG. 2 by binding a plurality of H-beams. Of course, the steel frame 100 is not limited to the H-beam, and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steel material,

고정봉(200)은 강재 프레임(100) 상에 기둥(4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강재 프레임(100)에 고정된다. 고정봉(200)은 기둥(400)에 가해지는 횡력을 지지하며, 강성을 위해 금속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봉(200)은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용접을 통해 강재 프레임(10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강재 프레임(100) 상에 고정된 상태의 고정봉(200)은 강재 프레임(100)의 상방을 향하게 된다. The fixing rod 200 is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pillar 400 on the steel frame 100 , and is fixed to the steel frame 100 . The fixing rod 200 supports the lateral force applied to the pillar 400 , and is preferably made of metal for rigidity. The fixing rod 200 is made in the form of a hollow, it is preferable to be fixed to the steel frame 100 through welding. The fixing rod 200 in a state of being fixed on the steel frame 100 is directed upward of the steel frame 100 .

고정봉(200)의 외주면에는 중공(中空)의 내부와 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결합공은 설명의 편의상 고정 결합공(210)이라 한다. 고정 결합공(210)은 후술하는 기둥(400)을 고정봉(2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정봉(200)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고정 결합공(210)은 고정봉(200)의 양측에 형성되며, 고정봉(200) 양측의 고정 결합공(210)은 서로 대향된다.A coupl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ollo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rod 200 . The coupling hole is referred to as a fixed coupling hole 2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xing coupling hole 210 is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the pillar 400 to the fixing rod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preferably formed in plurality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xing rod 200 . The fixing coupling holes 2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rod 200 , and the fixing coupling holes 210 on both sides of the fixing rod 200 are opposed to each other.

초석(300)은 기둥(400)을 받쳐주는 구성이며, 전통 한옥의 심미감을 제공한다. 초석(300)은 현대의 신한옥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으나, 한옥의 심미감을 돋보일 수 있도록 석재임이 바람직하다.The cornerstone 300 is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the pillar 400, and provides an aesthetic feeling of a traditional hanok. The cornerstone 300 may be provided with a variety of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modern new hanok, but is preferably a stone material to highlight the aesthetics of hanok.

초석(30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통공(310)이 형성된다. 통공(310)은 고정봉(200)이 기둥(400)과의 결합을 위해 초석(300)을 지나가기 위한 통로임과 더불어, 고정봉(200) 상에서 통공(310)의 위치 가이드 및 횡력에 의해 초석(3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봉(200)에 구속되는 역할을 한다.In the center of the cornerstone 300, a through hole 310 penetrating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is formed. The through hole 310 is a passage for the fixing rod 200 to pass through the cornerstone 300 for coupling with the pillar 400, and by the position guide and the lateral force of the through hole 310 on the fixing rod 200. It serves to be constrained to the fixing rod 200 so that the cornerstone 300 does not move.

초석(300)의 높이는 고정봉(200)에 형성된 고정 결합공(210)의 최저점 미만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구속핀(500)이 고정 결합공(210)으로 삽입될 때, 초석(300)이 고정 결합공(210)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초석(300)의 높이가 고정 결합공(210)의 최저점 미만임에 따라, 초석(300)의 통공(310)을 고정봉(200)이 통과하였을 때 초석(300)의 상방으로 고정봉(200)이 튀어나온 상태가 된다.The height of the cornerstone 300 is preferably less than the lowest point of the fixed coupling hole 210 formed in the fixed rod 200 . This is to prevent the foundation stone 300 from blocking the fixed coupling hole 210 when the constraining pin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fixed coupling hole 210 . As described above, as the height of the cornerstone 300 is less than the lowest point of the fixed coupling hole 210, upward of the cornerstone 300 when the fixed rod 2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10 of the cornerstone 300. The fixing rod 200 is in a protruding state.

기둥(400)은 명칭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한옥구조물의 기둥으로서 역할을 하며, 초석(300)의 상방으로 튀어나온 고정봉(200)에 결합된다. 기둥(400)의 하부에는 고정봉(2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410)이 형성된다. 정확하게는, 삽입홈(410)은 기둥(400)의 저면에서 기둥(400)의 내부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다. 삽입홈(410)의 직경은 고정봉(200)의 직경에 대응되며, 초석(300)의 통공(310) 직경과도 대응이 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name, the pillar 400 serves as a pillar of the hanok structure, and is coupled to the fixed rod 200 protruding upward of the foundation stone 300 . An insertion groove 410 into which the fixing rod 200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llar 400 . To be precise, the insertion groove 41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bottom of the pillar 400 to the inside of the pillar 400 .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groove 410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fixing rod 200 , and also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10 of the cornerstone 300 .

기둥(400)의 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420)이 형성된다. 결합공(420)은 고정봉(200)에 기둥(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상기 삽입홈(410)에 통하게 형성된다. 기둥(400)에 형성된 결합공(420)은 설명의 편의상 기둥 결합공(420)이라 한다. 기둥 결합공(420)은 초석(300)의 상방으로 튀어나온 고정 결합공(210)에 대응되며, 후술하는 구속핀(500)이 삽입되는 구성이다. 기둥 결합공(420)은 기둥(400)의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기둥(40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A coupling hole 42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illar 400 as shown in FIG. 2 . The coupling hole 420 is configured to allow the post 400 to be coupled to the fixing rod 200 , and is form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410 . The coupling hole 420 formed in the pillar 400 is referred to as a pillar coupling hole 42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lumn coupling hole 420 corresponds to the fixed coupling hole 210 protruding upward of the cornerstone 300 , and a constraint pin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reinto. The column coupling hole 420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column 400 , o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lumn 400 .

구속핀(500)은 고정봉(200) 상에 기둥(400)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하며, 기둥 결합공(420)을 통과해 고정 결합공(21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속핀 (500)없이 고정봉(200)만으로 기둥(400)을 구속시킬 수도 있지만, 구속핀(500)을 이용해 기둥(400)의 측부를 고정봉(200)에 구속시킴으로서 강재 프레임(100) 상에서의 기둥(400) 결합력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The constraining pin 500 serves to constrain the pillar 400 on the fixing rod 200 ,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coupling hole 210 through the pillar coupling hole 420 .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ain the column 400 only with the fixing rod 200 without the restraining pin 500 , but on the steel frame 100 by constraining the side of the column 400 to the fixing rod 200 using the restraining pin 500 . The coupling force of the pillar 400 may be further strengthened.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 결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of the pillar assembly of the movable hanok structur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이동식 한옥구조물을 제작하는 공장에서, 작업자는 시공 설계를 고려하여 한옥구조물 사이즈에 맞게 강재 프레임(100)으로 하부틀을 제작한다.In a factory that manufactures a mobile hanok structure, a worker manufactures a lower frame with a steel frame 1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anok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design.

작업자는 강재 프레임(100)의 기둥(400) 설치 부위마다 고정봉(200)을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The operator welds and fixes the fixing rod 200 at each installation site of the pillar 400 of the steel frame 100 .

작업자는 초석(300)을 상기 고정봉(200)에 결합시킨다. 고정봉(200)은 초석(300)의 통공(310)을 통과하여 초석(300)의 상방으로 돌출된다.The operator couples the cornerstone 300 to the fixing rod 200 . The fixing rod 2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310 of the cornerstone 300 and protrudes upward of the cornerstone 300 .

고정봉(200)과 초석(300)의 통공(310)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는데, 고정봉(200) 상에서 초석(300)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자는 고정봉(200)과 통공(310) 사이에 발생한 유격에 접착수단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수단으로는 케미컬 주입액이 바람직하지만, 케미컬 주입액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re is a gap between the fixed rod 200 and the through hole 310 of the cornerstone 300, and the operator has the fixed rod 200 and the through hole 31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ornerstone 300 does not occur on the fixed rod 200. It is preferable to inject an adhesive means into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m. The bonding means is preferably a chemical injection solution, but is not limited to a chemical injection solution.

작업자는 초석(300)의 상방에서 기둥(400)을 하강하여, 고정봉(200)을 기둥(400)의 삽입홈(410)에 삽입시킨다. 기둥(400)의 저면은 초석(300)의 상면에 지지되고, 고정 결합공(210)과 기둥 결합공(420)은 서로 대응된다.The operator lowers the pillar 400 from above the cornerstone 300 and inserts the fixing rod 200 into the insertion groove 410 of the pillar 400 . The bottom surface of the pillar 40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tone 300 , and the fixed coupling hole 210 and the pillar coupling hole 420 correspond to each other.

작업자는 구속핀(500)을 기둥 결합공(420) 및 고정 결합공(210)을 통과하여 체결한다.The operator fastens the constraint pin 500 through the column coupling hole 420 and the fixed coupling hole 210 .

이로써, 공장에서의 기둥 조립체 제작이 완료된다.Thus, the production of the pillar assembly in the factory is completed.

작업자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상기 기둥 조립체에 바닥 및 벽체를 추가 조립하여, 이동식 한옥구조물 모듈을 완성한다.The operator completes the mobile hanok structure module by additionally assembling the floor and walls to the column assembly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작업자는 완성된 이동식 한옥구조물 모듈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차량을 이용해 시공 현장으로 운반시킨다. 이동식 한옥구조물 모듈은 강재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한옥구조물로서의 형태가 갖춰진 형국이며, 이는 중량물로서 적재 차량을 통해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다.The worker transports the completed mobile hanok structure module to the construction site using a loading vehicle as shown in FIG. 7 . The mobile hanok structure module is equipped with a shape as a hanok structure upward based on the steel frame 100, which can be easily transported through a loading vehicle as a heavy object.

이동식 한옥구조물 모듈은 시공 현장에 도착된 후, 일련의 마감 공사 등을 거쳐 주거 공간으로서의 한옥구조물로 제공된다.After the mobile hanok structure module arrives a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provided as a hanok structure as a residential space through a series of finishing work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봉과 초석 간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rovides a structure for strengthen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xed rod and the cornerstone.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고,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Prior to descrip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re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attached thereto.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봉(200)의 둘레에는 유격 플랜지(220)가 형성된다. 유격 플랜지(220)는 초석(300)과 고정봉(200) 간에 유격을 충분히 발생시켜 상기 케미컬 주입액이 고정봉(200)과 통공(310) 사이에 충분히 효과적으로 주입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유격 플랜지(220)는 고정봉(200)의 동심원 방향으로 고정봉(200)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고정봉(200)의 하부에 형성된다. 유격 플랜지(220)에는 상,하 관통된 플랜지공(221)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 a clearance flange 220 is formed around the fixing rod 200 . The gap flange 220 is configured to sufficiently effectively generate a gap between the cornerstone 300 and the fixed rod 200 so that the chemical injection solution can be sufficiently effectively injected between the fixed rod 200 and the through hole 310 . The clearance flange 220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fixing rod 200 in the concentric direction of the fixing rod 200 , an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rod 200 . The clearance flange 220 has upper and lower penetrating flange holes 221 are formed.

플랜지공(221)은 초석(300)의 통공(310)으로 상기 케미컬 주입액 유입시, 유격 플랜지(220)의 양측을 소통시키고 상기 케미컬 주입액이 엉겨 붙을 수 있도록 하여 초석(300)과 고정봉(200) 간 결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플랜지공(221)은 유격 플랜지(220)에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flange hole 221 communicates both sides of the gap flange 220 when the chemical injection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310 of the cornerstone 300 and allows the chemical injection liquid to coagulate with the cornerstone 300 and the fixed rod. (200) is a configuration to maximize the bonding force between.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 hole 221 is formed in plurality in the clearance flange 220 .

초석(30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벽(320)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초석(300)의 상면에는 기둥(400)이 안착되는데, 가이드벽(320)은 기둥(400)의 위치 가이드 및 기둥(400)의 안정감을 위해 제공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wall 320 is further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ornerstone 300 . The pillar 4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tone 300 , and the guide wall 320 is provided for a position guide of the pillar 400 and stability of the pillar 400 .

상기와 같은 구성의 기둥 조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초석(300)의 통공(310)에 고정봉(200)을 통과시켜 초석(300)을 강재 프레임(100)에 안착시킨다. 초석(300)의 위치는 유격 플랜지(220)에 의해 고정봉(200)을 중심으로 둔 상태로 가이드될 수 있다.In order to construct the pillar assembly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erator passes the fixing rod 200 through the through hole 310 of the cornerstone 300 to seat the cornerstone 300 on the steel frame 100 . The position of the cornerstone 300 may be guided in a state centered on the fixing rod 200 by the clearance flange 220 .

작업자는 초석(300)의 통공(310)에 상기 케미컬 주입액을 주입한다. 상기 케미컬 주입액은 유격 플랜지(220)의 플랜지공(221)을 통해 유격 플랜지(220) 하방의 통공(310) 바닥으로부터 차오르며, 상기 케미컬 주입액이 경화됨에 따라 고정봉(200)과 초석(300)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The operator injects the chemical injection solution into the through hole 310 of the foundation stone 300 . The chemical injection solution fills up from the bottom of the through hole 310 under the clearance flange 220 through the flange hole 221 of the clearance flange 220, and as the chemical injection solution hardens, the fixing rod 200 and the foundation stone 300 ) ar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작업자는 초석(300)의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봉(200)의 상방에서 기둥(400)을 하강하여, 고정봉(200)을 삽입홈(410)에 삽입시킨다. 기둥 결합공(420)과 고정 결합공(210)은 서로 대응되며, 작업자는 구속핀(500)을 이용하여 고정봉(200)에 기둥(400)을 구속시킴으로써, 초석(300) 상에서의 기둥(400) 결합이 완료된다.The operator descends the pillar 400 from above the fixing rod 200 protruding upward of the cornerstone 300 , and inserts the fixing rod 200 into the insertion groove 410 . The pillar coupling hole 420 and the fixed coupling hole 210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operator constrains the pillar 400 to the fixing rod 200 using the constraining pin 500, so that the pillar ( 400) the binding is complete.

작업자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바닥 및 벽체를 시공하여, 이동식 한옥구조물 모듈을 완성한다.The worker constructs the floor and wall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o complete the mobile hanok structure module.

작업자는 완성된 이동식 한옥구조물 모듈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차량을 이용해 시공 현장으로 운반시킨다. 이동식 한옥구조물 모듈은 강재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한옥구조물로서의 형태가 갖춰진 형국이며, 이는 중량물로서 적재 차량을 통해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다.The worker transports the completed mobile hanok structure module to the construction site using a loading vehicle as shown in FIG. 7 . The mobile hanok structure module is equipped with a shape as a hanok structure upward based on the steel frame 100, which can be easily transported through a loading vehicle as a heavy object.

이동식 한옥구조물 모듈은 시공 현장에 도착된 후, 일련의 마감 공사 등을 거쳐 주거 공간으로서의 한옥구조물로 제공된다.After the mobile hanok structure module arrives a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provided as a hanok structure as a residential space through a series of finishing works.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는 이동 및 운반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둥의 구조적 강성을 높인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이동식 한옥구조물은 차량을 통해 운반되는 과정에서 진동 등에 의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손상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는 이동 및 운반을 위해 이동식 한옥구조물을 최적화한 것이다.As described so far, the pillar assembly of the movable hano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of increasing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pilla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movement and transport. Accordingly, the mobile hanok structure is not damage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due to vibration or the like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ported through a vehicle. That is, the pillar assembly of the mobile hanok structure is optimized for the movement and transport of the mobile hanok structur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0 : 강재 프레임 200 : 고정봉
210 : 고정 결합공 220 : 유격 플랜지
221 : 플랜지공 300 : 초석
310 : 통공 320 : 가이드벽
400 : 기둥 410 : 삽입홈
420 : 기둥 결합공 500 : 구속핀
100: steel frame 200: fixed rod
210: fixed coupling hole 220: play flange
221: flange ball 300: cornerstone
310: through hole 320: guide wall
400: pillar 410: insertion groove
420: column coupling hole 500: constraint pin

Claims (4)

한옥구조물의 하부 골조를 구성하는 강재 프레임과;
상기 강재 프레임에 고정되며, 강재 프레임의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봉;
상기 고정봉이 상,하 방향으로 통과되는 통공이 형성된 초석; 및
상기 초석의 통공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봉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봉은 중공(中空)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의 외주면에는 고정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에는 상기 고정결합공에 대응되는 기둥결합공이 삽입홈에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둥결합공을 통해 상기 고정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봉에 상기 기둥을 구속시키는 구속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봉의 둘레에는 고정봉과 초석 사이에 유격을 발생시키는 유격 플랜지가 상기 고정봉의 동심원 방향으로 고정봉에 비해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유격 플랜지에는 상,하 관통된 플랜지공이 형성된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
a steel frame constituting the lower frame of the hanok structure;
a fixing rod fixed to the steel frame and protruding upward of the steel frame;
a cornerston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rod pass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and a column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rod protruding up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rnerstone is inserted,
The fixing rod is formed in a hollow (centered),
A fixing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rod, and a pillar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pillar to pass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and a restraining pin inserted into the fixed coupling hole through the pillar coupling hole to constrain the pillar to the fixing ro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fixed rod, a gap flange for generating a gap between the fixed rod and the cornerstone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xed rod in the concentric direction of the fixed rod, and the play flange has a flange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pole assembl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공은 상기 고정봉의 양측을 관통하고, 상기 기둥결합공은 상기 기둥의 양측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coupling hole penetrates both sides of the fixed rod, and the pillar coupling hole penetrates both sides of the pillar.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공 및 상기 기둥결합공은 상기 초석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한옥구조물의 기둥 조립체.

4.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fixed coupling hole and the pillar coupling hole is a movable hanok structure pilla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oundation stone.

KR1020190062574A 2019-05-28 2019-05-28 A pillar assembly of movable HANOK structure KR1022621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574A KR102262169B1 (en) 2019-05-28 2019-05-28 A pillar assembly of movable HANOK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574A KR102262169B1 (en) 2019-05-28 2019-05-28 A pillar assembly of movable HANOK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693A KR20200136693A (en) 2020-12-08
KR102262169B1 true KR102262169B1 (en) 2021-06-07

Family

ID=7377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574A KR102262169B1 (en) 2019-05-28 2019-05-28 A pillar assembly of movable HANOK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16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946A (en) * 2004-10-26 2006-05-18 Grand Form:Kk Member fixture
KR101508518B1 (en) 2014-09-12 2015-04-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Hanok side door and it's prod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891B1 (en) 2010-07-16 2012-12-10 (주)한옥과 문화 Column Assembly for Hanok
KR101710913B1 (en) * 2015-03-11 2017-02-28 주식회사 코리아모바일 A Prefabricated Toil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946A (en) * 2004-10-26 2006-05-18 Grand Form:Kk Member fixture
KR101508518B1 (en) 2014-09-12 2015-04-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Hanok side door and it's prod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693A (en)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8031B2 (en)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fabricated volumetric building modules
CN106065666B (en) Formula movable plank house easy to install with combined type basic component
US10837167B2 (en) Construction of the prefabricated column and beam type
JP2020037775A (en) Non-brace steel fram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column base unit
KR102262169B1 (en) A pillar assembly of movable HANOK structure
KR101697360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prefabricated columns
KR101101788B1 (en) The prefabcated hanok
JP5618132B2 (en) Building structure
KR20150033749A (en) Seismic retrofitting method
KR101399913B1 (en) Movable korea house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using container
JP4446401B2 (en)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ment piece
KR101508518B1 (en) Hanok side door and it's produ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T1252938B (en) CAGE WITH TWO ELEMENTS OF FOUR BASIC TRIEDRONS, FOR BEARING STRUCTURE OF MODULAR CIVIL BUILDINGS
KR20210108818A (en) Frame module for steelhouse
KR101173046B1 (en) Supporting Structure of Floor Frame for Arbor
CN219548031U (en) Assembled column base connection node of indoor steel structure exhibition hall frame structure
KR102376382B1 (en) Base structure for connection of column and beam
JP7096606B2 (en) Wall structure, wooden building, and how to build a wooden building
JP3170692U (en) Truss type structure with reinforcement unit
JP6580314B2 (en) building
ATE498037T1 (en) INTEGRATED PREFABRICATED CONSTRUCTION SYSTEM WITH LIGHTWEIGHT COMPONENTS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STRUCTURE
KR100694665B1 (en) The wooden building perventing torsion of wooden wall
KR101399918B1 (en) Movable korea house and the construction methods using container
KR20230154708A (en) Connection apparatus for precast member and precast structure prefabricating mrthod
KR101513064B1 (en) Method for lifting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