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166B1 - 철근 접합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 접합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166B1
KR102262166B1 KR1020200132728A KR20200132728A KR102262166B1 KR 102262166 B1 KR102262166 B1 KR 102262166B1 KR 1020200132728 A KR1020200132728 A KR 1020200132728A KR 20200132728 A KR20200132728 A KR 20200132728A KR 102262166 B1 KR102262166 B1 KR 10226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reinforcing bar
bolt
reinforcing bar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운
김정희
Original Assignee
이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운 filed Critical 이양운
Priority to KR102020013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철근을 각각 파지하며, 상호 결합되는 제1, 2고정척과, 상기 제1, 2 고정척에 의해 파지된 양 철근 사이에서 양 철근 단부에 맞닿도록 구비되며 제1, 2고정척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척은 길이방향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관통형성된 제1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척은 길이방향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관통형성된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2 고정척이 양 철근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 일측면과 상기 제2연결부 타측면이 맞닿도록 구비하여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을 일직선상에 정렬시키고 상기 볼트를 제1, 2체결공에 삽입함으로써 제1,2 고정척의 결합상태를 고정하고, 이어서 양 철근 단부와 볼트를 개선용접하는 구조를 가지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접합용 연결구 {Connection for rebar fusion splicing}
본 발명은 철근 접합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이음 할 철근을 고정시켜줌과 동시에 양 철근의 간격 및 중심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의 이음은 별도의 고정용 클램프를 구비하여 물리적인 방법으로 강제 결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철근이음용 슬리브를 이용하여 용접기로 용접하는 방법이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접에 의한 철근이음방법에서 양 철근을 잡아주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정장치(1)는 지지프레임(2)의 양단부에 서로 이음 될 철근을 잡아주기 위한 고정척(3, 3')이 형성되고, 고정척(3, 3')의 사이에 슬리브(도시되지 않음)를 대고 용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장치(1)는 양 철근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척(3, 3')에 함께 구비된 볼트(4, 4')를사용하여 어느 정도의 수치제어를 할 수 있지만 토목 및 건축에서는 미세한 차이에 의해 하중의 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작은 차이라고는 하지만 결과적으로 아주 위험한 결과를 초래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척(3, 3')을 형성할 때 미리 그 중심을 맞추었다고는 하지만 차례의 사용으로 고정척(3, 3')이 뒤틀리게 되어 철근간의 중심이 틀어지는 경우가 발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 철근을 각각 파지하는 두 개의 고정척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되, 두 개의 고정척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가 양 철근 사이에 구비된 상태에서 철근과 철근을 개선용접함으로써 양 철근간의 간격과 중심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한 이음용접이 가능한 철근 접합용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개선용접된 양 철근으로부터 철근 접합용 연결구를 간편히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 철근을 각각 파지하며, 상호 결합되는 제1, 2고정척과, 제1, 2 고정척에 의해 파지된 양 철근 사이에서 양 철근 단부에 맞닿도록 구비되며 제1, 2고정척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한다. 제1고정척은 길이방향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연결부와, 제1연결부에 관통형성된 제1체결공을 포함하고, 제2고정척은 길이방향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연결부와, 제2연결부에 관통형성된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제1,2 고정척이 양 철근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제1연결부 일측면과 제2연결부 타측면이 맞닿도록 구비하여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을 일직선상에 정렬시키고 볼트를 제1, 2체결공에 삽입함으로써 제1,2 고정척의 결합상태를 고정하고, 이어서 양 철근 단부와 볼트를 개선용접(開先鎔接)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2 고정척은 단면의 형상이 철근의 타측 외주면을 향하도록 개구된 C자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일측방향을 향해 돌출된 받침돌부와, 몸체부의 개구된 부위의 내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철근의 일측 외주면을 라운드지게 감싸는 제1철근삽입부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제1고정척의 받침돌부 일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제2 연결부는 제2고정척의 받침돌부 일단으로부터 제1 연결부의 두께만큼 일측방향을 향해 절곡되며, 절곡된 부위에서부터 연장 형성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제1철근 삽입부에 철근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수용되어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되되 제1, 2 고정척이 각각 파지한 양 철근이 수평선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고정척은 철근의 일측 외주면을 라운드지게 감싸며, 내측에 수용하도록 횡방향으로 제1철근삽입부가 개구된 제1죠와, 제1죠와 결합되어 철근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며, 내측에 수용되도록 횡방향으로 제2철근삽입부가 개구된 제2죠로 구성되며, 제1죠와 제2죠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더 구비됨에 따라, 제1철근 삽입부에 철근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제1죠와 제2죠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제1죠의 외주연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안내 돌부와, 제2죠의 제2철근삽입부 내주연 양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딩 안내돌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안착요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철근 삽입부에 철근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제1죠와 제2죠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견고한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개폐가능한 힌지구조체일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죠의 일면에서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힌지공과, 제1죠의 일면과 반대방향에 구비된 이면에서, 제1죠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 또는 결합오목부와, 제2죠의 일면에서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2힌지공과, 제2죠의 일면과 반대방향에 구비된 이면에서, 제2죠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 또는 결합 돌출부와, 제1힌지공과 제2힌지공에 끼워지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제1철근 삽입부에 철근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제1힌지공과 제2힌지공에 끼워진 힌지축을 회동시켜 철근을 파지하며, 이어서 결합돌출부와 결합오목부의 결합에 의해 견고한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연결부는 제1 고정척의 제1죠에 형성되되 제2연결부는 제2고정척의 제1죠에 형성된다. 철근의 일측외주면에 접한 1죠가 구비된 방향이 제1방향이고, 철근의 타측외주면에 접한 제2죠가 구비된 방향이 제2방향일 때, 제1죠는 단면의 형상이 제2방향을 향하도록 개구된 C자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제1방향을 향해 돌출된 받침돌부를 포함하며, 제1 철근삽입부는 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개구된 부위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면이 제1철근삽입부와 일치한다. 제1 연결부는 제1고정척의 제1죠 받침돌부 일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제2 연결부는 제2고정척의 제1죠 받침돌부 일단으로부터 제1 방향을 향해 제1 연결부의 두께만큼 절곡되며 절곡된 부위에서부터 연장 형성됨에 따라, 제1, 2 고정척이 각각 파지한 양 철근이 수평선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볼트는 볼트머리와, 볼트머리 하단부측에 결합되어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볼트 몸체부재를 포함하고, 볼트 몸체부재는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에 끼워지는 생크부와, 제1 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통과해 양 철근 단부와 맞닿도록 구비되는 쓰레드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의하면, 양 철근 단부와 볼트 몸체부재를 개선용접한 상태에서 볼트머리에 회전력을 가해 볼트 몸체부재를 분리함으로써 제1 고정척과 제2고정척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제1죠 및 제2죠를 분리하여 제1고정척과 제2고정척을 양 철근으로부터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는 쓰레드와, 생크부가 나사결합 된 구조를 가지며, 쓰레드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보조나사산이 형성되고, 생크부타측 끝단부에는 쓰레드일측 끝단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보조나사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양 철근 단부와 몸체부재사이를 개선용접한 상태에서 볼트머리에 회전력을 가해 쓰레드와 생크부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트는 쓰레드일측 끝단부가 생크부타측 끝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보조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보조결합홈의 내경은, 생크부 타측 끝단부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양 철근 단부와 볼트 몸체부재사이를 개선용접한 상태에서 볼트머리에 회전력을 가해 쓰레드와 생크부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트는 쓰레드가 생크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생크부와 접하는 쓰레드의 일측 끝단부에는 V자 형의 홈이 쓰레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양 철근 단부와 몸체부재사이를 개선용접한 상태에서 볼트머리에 회전력을 가해 쓰레드와 생크부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2 고정척의 제2죠는 횡방향을 기준으로 철근이 개선용접되는 부위와 반대방향에 형성된 끝단부에서, 안착요부에 수용된 제1죠의 슬라이딩 안내돌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척의 제2죠와 제1죠가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철근 연결구를 간편하게 조립하여 조립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고정척이 양 철근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두 개의 고정척을 연결하는 볼트를 구비하고, 볼트의 생크부가 양 철근 사이에 구비된 상태에서 양 철근 사이의 개선용접을 수행하되, 필요에 따라 양 철근으로부터 신속하고 용이하게 두 개의 고정척을 분리하여 분리된 고정척을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근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의 형상을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구의 제1 고정척의 제1죠와 제2고정척의 제1죠 사이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볼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의 제1죠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양 철근(10)을 각각 파지하며, 상호 결합되는 제1, 2고정척(100)(200)과, 제1, 2 고정척에 의해 파지된 양 철근(10) 사이에서 양 철근 단부에 맞닿도록 구비되며 제1, 2고정척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볼트(300)를 포함한다. 제1고정척(100)은 길이방향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연결부(113)와, 제1 연결부(113)에 관통형성된 제1 체결공(113a)을 포함하고, 제2고정척(200)은 길이방향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연결부(213)와, 제2 연결부(213)에 관통형성된 제2 체결공(213a)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제1,2 고정척(100)(200)이 양 철근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볼트(300)를 제1, 2체결공(113a)(213a)에 삽입함으로써 제1,2 고정척의 결합상태를 고정하고, 이어서 양 철근 단부와 볼트를 개선용접(開先鎔接)한다.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접합용 연결구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는 제1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구조를 개선하여 재사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제2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의 형상을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다. 도 3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는, 제1,2 고정척(100)(200)은 단면의 형상이 철근의 타측 외주면을 향하도록 개구된 C자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110a)(120a)와,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일측방향을 향해 돌출된 받침돌부(110b)(120b)와, 몸체부의 개구된 부위의 내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철근의 일측 외주면을 라운드지게 감싸는 제1철근삽입부(111)(211)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13)는 제1고정척(100)의 받침돌부(110b) 일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제2 연결부(213)는 제2고정척(200)의 받침돌부(120b) 일단으로부터 제1 연결부(113)의 두께만큼 일측방향을 향해 절곡되며, 절곡된 부위에서부터 연장 형성됨에 따라, 제1,2고정척의 제1철근 삽입부(111)(211) 각각에 철근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수용되어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되되 제1, 2 고정척(100)(200)이 각각 파지한 양 철근이 도 2와 같이 수평선상으로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를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고정척이 철근(10)의 일측 외주면을 라운드지게 감싸며, 내측에 수용하도록 횡방향으로 제1철근삽입부(211)가 개구된 제1죠(110)(210)와, 제1죠(110)(210)와 결합되어 철근(10)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며, 내측에 수용되도록 횡방향으로 제2 철근 삽입부(221)(121)가 개구된 제2죠(120)(220)로 구성되고, 제1죠와 제2죠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더 구비됨에 따라, 제1철근 삽입부에 철근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제1죠와 제2죠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결합수단은 제1죠(110)(210)의 외주연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안내 돌부(112)(212)와, 제2죠(120)(220)의 제2철근삽입부(221)(121) 내주연 양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딩 안내돌부(112)(21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안착요부(122)(222)를 포함한다. 제1철근 삽입부(211)에 철근(10)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제1죠(110)(210)와 제2죠(120)(220)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견고한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수단은 개폐가능한 힌지구조체이되, 제1죠의 일면에서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힌지공(미도시)과, 제1죠의 일면과 반대방향에 구비된 이면에서, 제1죠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미도시) 또는 결합오목부(미도시)와, 제2죠의 일면에서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2힌지공(미도시)과, 제2죠의 일면과 반대방향에 구비된 이면에서, 제2죠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 또는 결합 돌출부와, 제1힌지공과 제2힌지공에 끼워지는 힌지축(미도시)을 포함한다. 제1철근 삽입부에 철근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제1힌지공과 제2힌지공에 끼워진 힌지축을 회동시켜 철근을 파지하며, 이어서 결합돌출부와 결합오목부의 결합에 의해 견고한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구의 제1 고정척의 제1죠와 제2고정척의 제1죠 사이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113)는 제1 고정척의 제1죠(110)에 형성되되 제2 연결부(213)는 제2고정척의 제1죠(210)에 형성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연결부(113) 일측면과 제2연결부(213) 타측면이 맞닿도록 구비하여 제1 체결공(113a)과 제2 체결공(213a)을 일직선상에 정렬시키고 제1,2 체결공을 관통하도록 볼트(300)를 삽입한다.
볼트(300)는 볼트머리(310)와, 볼트머리(310) 하단부측에 결합되어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볼트 몸체부재(320)를 포함하고, 볼트 몸체부재(320)는 제1 체결공(113a) 및 제2 체결공(213a)에 끼워지는 생크부(321)와, 제1 체결공(113a) 및 제2 체결공(213a)을 통과해 양 철근(10) 단부와 맞닿도록 구비되는 쓰레드(322)로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드(322)와, 생크부(321)는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는 쓰레드(322)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보조나사산(322a)이 형성되고, 생크부(321)타측 끝단부에는 쓰레드(322)일측 끝단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보조나사홈(321a)이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볼트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트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드(322)일측 끝단부가 생크부(321)타측 끝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보조결합홈(321b)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보조결합홈의 내경은, 생크부 타측 끝단부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기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양 철근 단부와 볼트 몸체부재(320)사이를 개선용접한 상태에서 볼트머리(310)에 회전력을 가해 쓰레드와 생크부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트를 설명하면, 볼트는 쓰레드(322)는 생크부(321)와 일체로 형성되되, 생크부와 접하는 쓰레드(322)의 일측 끝단부에는 V자 형의 홈이 쓰레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양 철근 단부와 몸체부재(320)사이를 개선용접한 상태에서 볼트머리(310)에 회전력을 가해 쓰레드와 생크부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의 제1죠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는 제1 고정척의 제1죠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의 (b)는 제2 고정척의 제1죠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철근(10)의 일측외주면에 접한 1죠가 구비된 방향이 제1방향이고, 철근(10)의 타측외주면에 접한 제2죠(120)(220)가 구비된 방향이 제2방향일 때, 도 8의 (a)내지 도 8의 (b)에 도시된 제1죠(110)(210)는 단면의 형상이 제2방향을 향하도록 개구된 C자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110a)(120a)와, 몸체부(110a)의 외측면에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제1방향을 향해 돌출된 받침돌부(110b)(120b)를 포함한다. 또한, 제1철근삽입부(111)(211)는 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개구된 부위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면이 제1철근삽입부(111)(211)와 일치한다.
또한, 제1 연결부(113)는 제1 고정척의 제1죠(110) 받침돌부 일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제2 연결부(213)는 제2고정척의 제1죠(210) 받침돌부 일단으로부터 제1 방향을 향해 제1 연결부(113)의 두께(T)만큼 절곡되며 절곡된 부위에서부터 연장 형성된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고정척이 각각 파지한 양 철근이 수평선상으로 배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철근 접합용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를 철근에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b)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양 철근(10) 단부와 볼트 몸체부재(320)사이를 개선용접한 상태에서 볼트머리(310)에 회전력을 가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몸체부재(320)를 분리함으로써 제 1 고정척(100)과 제2고정척(200)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제1죠(110)(210) 및 제2죠(120)(220)를 분리하여 제 1 고정척(100)과 제2고정척(200)을 양 철근(10)으로부터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2 고정척(100)(200)의 제2죠(120)(220)는 횡방향을 기준으로 철근이 개선용접되는 부위와 반대방향에 형성된 끝단부에서, 안착요부(122)(222)에 수용된 제1죠의 슬라이딩 안내돌부(112)(21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4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철근 100 : 제1 고정척
110 : 제1죠 110a : 몸체부
110b : 받침돌부 111 : 제1철근삽입부
112 : 슬라이딩 안내 돌부 113 : 제1연결부
113a : 제1체결공 120 : 제2죠
120a : 몸체부 120b : 받침돌부
121 : 제2철근삽입부 122 : 안착요부
200 : 제2 고정척 210 : 제1죠
211 : 제1철근삽입부 212 : 슬라이딩 안내 돌부
213 : 제2연결부 213a : 제2체결공
220 : 제2죠 221 : 제2철근삽입부
222 : 안착요부 300 : 볼트
310 : 볼트머리 320 : 볼트 몸체부재
400 : 스토퍼

Claims (14)

  1. 양 철근을 각각 파지하며, 상호 결합되는 제1, 2고정척과, 상기 제1, 2 고정척에 의해 파지된 양 철근 사이에서 양 철근 단부에 맞닿도록 구비되며 제1, 2고정척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척은 길이방향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관통형성된 제1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척은 길이방향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관통형성된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2 고정척이 양 철근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 일측면과 상기 제2연결부 타측면이 맞닿도록 구비하여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을 일직선상에 정렬시키고, 상기 볼트를 제1, 2체결공에 삽입함으로써 제1,2 고정척의 결합상태를 고정하고, 이어서 양 철근 단부와 볼트를 개선용접(開先鎔接)하며,
    상기 제1,2 고정척은 단면의 형상이 철근의 타측 외주면을 향하도록 개구된 C자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일측방향을 향해 돌출된 받침돌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부위의 내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철근의 일측 외주면을 라운드지게 감싸는 제1철근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고정척의 받침돌부 일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제2고정척의 받침돌부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의 두께만큼 일측방향을 향해 절곡되며, 절곡된 부위에서부터 연장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철근 삽입부에 철근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수용되어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되되 제1, 2 고정척이 각각 파지한 양 철근이 수평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2. 삭제
  3. 양 철근을 각각 파지하며, 상호 결합되는 제1, 2고정척과, 상기 제1, 2 고정척에 의해 파지된 양 철근 사이에서 양 철근 단부에 맞닿도록 구비되며 제1, 2고정척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척은 길이방향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관통형성된 제1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척은 길이방향일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관통형성된 제2체결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2 고정척이 양 철근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 일측면과 상기 제2연결부 타측면이 맞닿도록 구비하여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을 일직선상에 정렬시키고, 상기 볼트를 제1, 2체결공에 삽입함으로써 제1,2 고정척의 결합상태를 고정하고, 이어서 양 철근 단부와 볼트를 개선용접(開先鎔接)하며,
    상기 각각의 고정척은 철근의 일측 외주면을 라운드지게 감싸며, 내측에 수용하도록 횡방향으로 제1철근삽입부가 개구된 제1죠와, 상기 제1죠와 결합되어 철근의 타측 외주면을 감싸며, 내측에 수용되도록 횡방향으로 제2철근삽입부가 개구된 제2죠로 구성되며, 상기 제1죠와 제2죠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철근 삽입부에 철근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제1죠와 제2죠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죠의 외주연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안내 돌부와, 상기 제2죠의 제2철근삽입부 내주연 양측에 형성되며 슬라이딩 안내돌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안착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철근 삽입부에 철근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제1죠와 제2죠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견고한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개폐가능한 힌지구조체이되,
    제1죠의 일면에서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1힌지공과, 제1죠의 일면과 반대방향에 구비된 이면에서, 제1죠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 또는 결합오목부와, 제2죠의 일면에서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제2힌지공과, 상기 제2죠의 일면과 반대방향에 구비된 이면에서, 제2죠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 또는 결합 돌출부와, 상기 제1힌지공과 제2힌지공에 끼워지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철근 삽입부에 철근 일측 외주면이 맞닿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제1힌지공과 제2힌지공에 끼워진 힌지축을 회동시켜 철근을 파지하며, 이어서 상기 결합돌출부와 결합오목부의 결합에 의해 견고한 철근의 파지력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제1 고정척의 제1죠에 형성되되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고정척의 제1죠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철근의 일측외주면에 접한 1죠가 구비된 방향이 제1방향이고, 철근의 타측외주면에 접한 제2죠가 구비된 방향이 제2방향일 때,
    상기 제1죠는 단면의 형상이 제2방향을 향하도록 개구된 C자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면에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제1방향을 향해 돌출된 받침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철근삽입부는 몸체부의 내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개구된 부위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면이 제1철근삽입부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고정척의 제1죠 받침돌부 일단에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제2고정척의 제1죠 받침돌부 일단으로부터 제1 방향을 향해 상기 제1 연결부의 두께만큼 절곡되며 절곡된 부위에서부터 연장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2 고정척이 각각 파지한 양 철근이 수평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 하단부측에 결합되어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볼트 몸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 몸체부재는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에 끼워지는 생크부와, 제1 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통과해 양 철근 단부와 맞닿도록 구비되는 쓰레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양 철근 단부와 볼트 몸체부재를 개선용접한 상태에서 볼트머리에 회전력을 가해 볼트 몸체부재를 분리함으로써 제1 고정척과 제2고정척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1죠 및 제2죠를 분리하여 제1고정척과 제2고정척을 양 철근으로부터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쓰레드와, 생크부가 나사결합 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쓰레드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보조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생크부타측 끝단부에는 상기 쓰레드일측 끝단부가 수용되도록 오목하게 보조나사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양 철근 단부와 몸체부재사이를 개선용접한 상태에서 볼트머리에 회전력을 가해 쓰레드와 생크부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쓰레드일측 끝단부가 상기 생크부타측 끝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보조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조결합홈의 내경은, 생크부 타측 끝단부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양 철근 단부와 볼트 몸체부재사이를 개선용접한 상태에서 볼트머리에 회전력을 가해 쓰레드와 생크부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쓰레드가 상기 생크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생크부와 접하는 쓰레드의 일측 끝단부에는 V자 형의 홈이 쓰레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양 철근 단부와 몸체부재사이를 개선용접한 상태에서 볼트머리에 회전력을 가해 쓰레드와 생크부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척의 제2죠는 횡방향을 기준으로 철근이 개선용접되는 부위와 반대방향에 형성된 끝단부에서, 안착요부에 수용된 제1죠의 슬라이딩 안내돌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스토퍼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접합용 연결구.
KR1020200132728A 2020-10-14 2020-10-14 철근 접합용 연결구 KR10226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28A KR102262166B1 (ko) 2020-10-14 2020-10-14 철근 접합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728A KR102262166B1 (ko) 2020-10-14 2020-10-14 철근 접합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166B1 true KR102262166B1 (ko) 2021-06-08

Family

ID=7639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728A KR102262166B1 (ko) 2020-10-14 2020-10-14 철근 접합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1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373Y2 (ja) * 1990-06-05 1997-07-16 相生精機株式会社 鉄筋突合せ溶接継手用金具
JP2007160387A (ja) * 2005-12-16 2007-06-28 Sukematsu Iwashita 棒鋼の接合工法
JP2009113079A (ja) * 2007-11-06 2009-05-28 Kobe Steel Ltd 厚鋼板の突合せ溶接継ぎ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373Y2 (ja) * 1990-06-05 1997-07-16 相生精機株式会社 鉄筋突合せ溶接継手用金具
JP2007160387A (ja) * 2005-12-16 2007-06-28 Sukematsu Iwashita 棒鋼の接合工法
JP2009113079A (ja) * 2007-11-06 2009-05-28 Kobe Steel Ltd 厚鋼板の突合せ溶接継ぎ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9442B2 (ja) 連結器
JP5237302B2 (ja) 電気組継ぎ(splice)コネクタ
AU2009262673B2 (en) Wedge and socket assembly
US4985003A (en) Branching electrical connector and spacer therefor
US4579272A (en) Boiler pipe tool for heliarc welding
JPH0217321B2 (ko)
US4794815A (en) Attachment device for elements of bicycle handlebars, with gripping parts including two jaw members hinged together
US4320620A (en) Arrangement for fastening a structural part to a round steel chain
KR102262166B1 (ko) 철근 접합용 연결구
KR0127996B1 (ko) 테두리에 에지웨브가 형성된 성형판넬
CZ282392B6 (cs) Připojovací svorka pro baterii nebo akumulátor
JPH084947A (ja) クランプ装置
GB1587233A (en) Clamp for conductor of an overhead electricity transmission line
US3188602A (en) Parallel-groove electrical connector
KR20130071774A (ko) 배관용 클램프
JP2022520607A (ja)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の多部品チェーンリンク並びにそのための横断接続片及びサイドプレート
RU2618973C2 (ru) Сборный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о съемной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ой головкой
JP4121081B2 (ja) 架線引き留め用カムアロング
EP1067248B1 (en) Anchoring device for building components made of concrete or the like with easy-to-apply element for anchoring to the component
KR101144139B1 (ko)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JPH06300177A (ja) パイプクランプ付電気融着継手
US2495359A (en) Scaffold clamp
CA2462403A1 (en) Hand tool for portably holding workpieces during drilling or grinding operations
KR101144138B1 (ko) 양방향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재의 양방향 자동 체결방법
JP6682486B2 (ja) クランプ部材、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