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891B1 -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891B1
KR102261891B1 KR1020200152895A KR20200152895A KR102261891B1 KR 102261891 B1 KR102261891 B1 KR 102261891B1 KR 1020200152895 A KR1020200152895 A KR 1020200152895A KR 20200152895 A KR20200152895 A KR 20200152895A KR 102261891 B1 KR102261891 B1 KR 102261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attress
bed
spac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침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침대
Priority to KR102020015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02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with separate resilient support elements, e.g. elastomeric springs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matrix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07Edg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43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5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Interconnection of springs, e.g. in spring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침대용 매트리스의 완충 성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본넬스프링과; 상기 본넬스프링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매트프레임과; 상기 매트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본넬스프링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매트프레임에 결속하는 결속클립과; 상기 매트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열되는 본넬스프링의 상단 또는 하단을 각각 일렬로 결속하는 결속코일과; 상기 결속클립 및 결속코일의 결속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격자 배열되는 본넬스프링의 각 교차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본넬스프링의 완충력을 보강하는 보강부재와; 쿠션부를 중심으로 상/하 적층되는 외피부 및 내피부로 이루어져 상기 매트프레임의 바깥쪽을 둘레를 감싸는 매트리스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체중 가압으로 발생되는 스프링의 성능 감소를 최소화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침대용 매트리스의 처짐을 방지하여 한 곳에 집중되는 체중 가압을 분산시켜 안정적인 수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Bed mattress with reinforcing performance}
본 발명은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체중 가압으로 발생되는 스프링의 성능 감소를 최소화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침대용 매트리스의 처짐을 방지하여 한 곳에 집중되는 체중 가압을 분산시켜 안정적인 수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용 매트리스는 그 내부에는 스프링 구조물이 장착되고, 이 스프링 구조물에는 다수의 스프링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 및 장착되어 그 위에서 취침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신체를 받쳐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숙면이 요구되므로 침대용 매트리스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침대용 매트리스의 쿠션감을 좌우할 수 있다.
이러한, 침대용 매트리스의 구조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을 완충하고, 스프링 구조물의 상/하에 부직포, 스펀지 및 화학솜 등의 쿠션부재를 적측하여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침대용 매트리스의 완충 능력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존해야 하므로 침대용 매트리스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스프링이 다른 부분에 스프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탄성력이 떨어지는 침대용 매트리스 처짐 현상으로 사용자의 숙면이 방해되며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침대용 매트리스의 처짐을 보강하기 위해 제안된 특허문헌 1은 나팔형 탄성체의 내부 통공에 윗면과 아랫면이 넓고 중심부가 가늘게 형성된 모래시계 형태인 보강형 발포체 가 구비되도록 하여 침대의 부분마다 다른 횡압력과 종압력에 대비하여 탄성력 및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한 바 완충 능력을 보강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구성은 모래시계와 같은 형상으로 보강형 발포제를 제작해야 하므로 난해한 제조의 형상과 더불어, 나팔형 목부분에 스프링을 삽입시키는 구조로 제작하는데 실질적인 어려움이 있다.
즉,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스프링의 중심을 관통하여 보강부재를 일일이 체워넣어야 하므로 제작 코스트의 지연과 제조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됨에 따라 작업성 및 경제성을 고려해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938822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프링 사이의 교차 공간에 보강 구조를 구현하여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체중 가압으로 발생되는 스프링의 성능 감소를 최소화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침대용 매트리스의 처짐을 방지하여 한 곳에 집중되는 체중 가압을 분산시켜 안정적인 수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대용 매트리스의 완충 성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본넬스프링과; 상기 본넬스프링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매트프레임과; 상기 매트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본넬스프링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매트프레임에 결속하는 결속클립과; 상기 매트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열되는 본넬스프링의 상단 또는 하단을 각각 일렬로 결속하는 결속코일과; 상기 결속클립 및 결속코일의 결속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격자 배열되는 본넬스프링의 각 교차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본넬스프링의 완충력을 보강하는 보강부재와; 쿠션부를 중심으로 상/하 적층되는 외피부 및 내피부로 이루어져 상기 매트프레임의 바깥쪽을 둘레를 감싸는 매트리스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공간(121)에 수용 가능한 높이로 보강 성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두 개의 십자를 합친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두 곳의 교차공간에 동시에 수용되는 제1보강체와; 상기 내부공간(121)에 수용 가능한 높이로 보강 성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십자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한 곳의 교차공간에 수용되는 제2보강체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침대용 매트리스는 취침시 사용자가 위치되는 집중구역과 비집중구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집중구역에 위치되는 교차공간에는 상기 제1보강체가 배열되고, 상기 비집중구역에 위치되는 교차공간에는 상기 제2보강체가 배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공간(121)에 수용 가능한 높이로 보강 성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십자 모양의 단면이 연속되는 생선가시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렬로 위치되는 교차공간에 모두 수용되는 제3보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침대용 매트리스의 테두리에 위치되는 교차공간에는 사용자가 침대용 매트리스에 걸터앉는 집중 하중에 대해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침대용 매트리스의 둘레를 따라 교차공간에 제1보강체, 제2보강체, 제3보강체 중 어느 하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체중 가압으로 발생되는 스프링의 성능 감소를 최소화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침대용 매트리스의 처짐을 방지하여 한 곳에 집중되는 체중 가압을 분산시켜 안정적인 수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에 적용되는 보강부재의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 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 성능을 갖는 본넬스프링(110)이 수용되는 매트프레임(120), 본넬스프링(110)을 매트프레임(120)에 결속하는 결속클립(130) 및 결속코일(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쿠션부(161)를 중심으로 상/하 적층되는 외피부(162) 및 내피부(163)로 이루어져 매트프레임(120)의 바깥쪽을 둘레를 감싸는 매트리스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트프레임(120)은 본넬스프링(110)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121)이 마련되도록 상/하 한 쌍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사각틀로 이루어진 두 개의 강선와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넬스프링(110)은 양쪽 단부가 넓고 중심이 좁게 권선된 스프링코일로 침대용 매트리스(100)의 완충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매트프레임(120)의 내부공간(121)에 다수개가 격자로 배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결속클립(130)은 매트프레임(120)의 테두리를 따라 본넬스프링(110)이 배열되는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매트프레임(120)에 클램프되어 본넬스프링(110)을 매트프레임(120)에 결속할 수 있다.
그리고, 결속코일(140)은 매트프레임(120)의 내부공간(121)에 배열되는 본넬스프링(110)의 상단 또는 하단을 각각 일렬로 결속할 수 있다.
즉, 결속클립(130) 및 결속코일(140)의 결속을 통해 매트프레임(120)의 내부공간(121)에 본넬스프링(110)을 격자로 배열 설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와 같이, 격자 배열된 본넬스프링(110)의 사이에는 교차공간(1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교차공간(123)에 보강부재(150)가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결국, 보강부재(150)는 결속클립(130) 및 결속코일(140)의 결속을 통해 내부공간(121)에 격자 배열되는 본넬스프링(110)의 각 교차공간(123)에 구비되어 본넬스프링(110)의 완충 성능만으로 사용자의 체중에 대해 모자른 완충력를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재(150)는 도 3에 도시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21)에 수용 가능한 높이로 보강 성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두 개의 십자를 합친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두 곳의 교차공간(123)에 동시에 수용되는 제1보강체(151)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150)는 상기 내부공간(121)에 수용 가능한 높이로 보강 성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십자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한 곳의 교차공간(123)에 수용되는 제2보강체(153)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보강체(151) 및 제2보강체(153)로 구분되는 보강부재(150)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교차공간(123)에 각각 배치하여 사용자에 의해 집중되는 체중에 대하여 본넬스프링(110)에 모자른 완충력에 대해 보강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보강부재(150)의 재질은 스폰지, 폼(FORM), 발포수지 등 쿠션력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보강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침대용 매트리스(100)에 적용되는 보강부재(150)의 최적의 형태를 십자 모양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모양 및 형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침대용 매트리스(100)는 취침시 사용자가 위치되는 집중구역(100a)과 비집중구역(100b)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집중구역(100a)에 위치되는 교차공간(123)에는 제1보강체(151)가 배열되고, 비집중구역(100b)에 위치되는 교차공간(123)에는 제2보강체(153)가 배열 구비되어 보강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침대용 매트리스(100)는 사용자의 체형 또는 체중에 따라 3존, 5존, 7조 등 다양하게 매트리스 존을 갖는데, 각 존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보강부재(150)의 사이즈 또는 개수를 다양하게 적요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와 같이, 보강부재(150)는 상기 내부공간(121)에 수용 가능한 높이로 보강 성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십자 모양의 단면이 연속되는 생선가시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렬로 위치되는 교차공간(123)에 모두 수용되는 제3보강체(15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침대용 매트리스(100)의 모서리 부분에 걸터앉는 경우 사용자의 체중이 수직으로 집중되므로 본넬스프링(110)만으로 체중으로 집중되는 하중을 극복할 수 없으므로 매트리스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길이로 제3보강체(55)를 제공하여 침대용 매트리스(1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대용 매트리스(100)의 둘레를 따라 교차공간(123)에 제1보강체(151), 제2보강체(153), 제3보강체(155) 중 어느 하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거나 3가지 보강체를 모두 배치함에 따라, 침대용 매트리스(100)의 보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도시와 같이, 보강부재(150)의 테두리 일측에는 체움돌기(150a)가 더 형성되어 본넬스프링(110)의 특이한 형상에 대응하여 교차공간(123)을 채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체중 가압으로 발생되는 스프링의 성능 감소를 최소화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침대용 매트리스의 처짐을 방지하여 한 곳에 집중되는 체중 가압을 분산시켜 안정적인 수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침대용 매트리스
100a: 집중구역
100b: 비집중구역
110: 본넬스프링
120: 매트프레임
121: 내부공간
123: 교차공간
130: 결속클립
140: 결속코일
150: 보강부재
151: 제1보강체
153: 제2보강체
155: 제3보강체
160: 매트리스커버
161: 쿠션부
162: 외피
163: 내피

Claims (5)

  1. 침대용 매트리스(100)에 있어서,
    상기 침대용 매트리스(100)의 완충 성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본넬스프링(110)과;
    상기 본넬스프링(110)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121)이 마련된 매트프레임(120)과;
    상기 매트프레임(12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본넬스프링(110)의 상단 및 하단을 각각 매트프레임(120)에 결속하는 결속클립(130)과;
    상기 매트프레임(120)의 내부공간(121)에 배열되는 본넬스프링(110)의 상단 또는 하단을 각각 일렬로 결속하는 결속코일(140)과;
    상기 결속클립(130) 및 결속코일(140)의 결속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21)에 격자 배열되는 본넬스프링(110)의 각 교차공간(123)에 구비되어 상기 본넬스프링(110)의 완충력을 보강하는 보강부재(150)와;
    쿠션부(161)를 중심으로 상/하 적층되는 외피부(162) 및 내피부(163)로 이루어져 상기 매트프레임(120)의 바깥쪽을 둘레를 감싸는 매트리스커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강부재(150)는,
    상기 내부공간(121)에 수용 가능한 높이로 보강 성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두 곳의 교차공간(123)에 동시에 위치되는 제1보강체(151)와;
    상기 내부공간(121)에 수용 가능한 높이로 보강 성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한 곳의 교차공간(123)에 수용되는 제2보강체(153)와;
    상기 내부공간(121)에 수용 가능한 높이로 보강 성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생선가시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렬로 위치되는 교차공간(123)에 모두 수용되는 제3보강체(155)로 구성되고,
    상기 교차공간(123)에 제1보강체(151), 제2보강체(153), 제3보강체(155) 중 어느 하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거나 3가지 보강체를 모두 배치하되,
    상기 본넬스프링(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교차공간(123)을 채울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재(150)의 테두리에는 체움돌기(150a)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대용 매트리스(100)는 취침시 사용자가 위치되는 집중구역(100a)과 비집중구역(100b)으로 구분되며,
    상기 집중구역(100a)에 위치되는 교차공간(123)에는 상기 제1보강체(151)가 배열되고, 상기 비집중구역(100b)에 위치되는 교차공간(123)에는 상기 제2보강체(153)가 배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대용 매트리스(100)의 테두리에 위치되는 교차공간(123)에는 사용자가 침대용 매트리스(100)에 걸터앉는 집중 하중에 대해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침대용 매트리스(100)의 둘레를 따라 교차공간(123)에 제1보강체(151), 제2보강체(153), 제3보강체(155) 중 어느 하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KR1020200152895A 2020-11-16 2020-11-16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KR102261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895A KR102261891B1 (ko) 2020-11-16 2020-11-16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895A KR102261891B1 (ko) 2020-11-16 2020-11-16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891B1 true KR102261891B1 (ko) 2021-06-08

Family

ID=7639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895A KR102261891B1 (ko) 2020-11-16 2020-11-16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8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820A (ko) * 2000-06-02 2003-01-23 실리 테크놀로지 엘엘씨 이너스프링 조립체 및 매트리스용 압출 발포체 보강 구조물
KR100938822B1 (ko) 2009-03-24 2010-01-26 박한규 침대스프링 보강용 발포체를 포함하는 침대스프링 보강장치및 이를 이용한 침대스프링 구조
KR20100129276A (ko) * 2008-01-18 2010-12-08 실리 테크놀로지 엘엘씨 내부스프링 완충 삽입체
KR20140134841A (ko) * 2013-05-15 2014-11-25 리엔산업(주) 침대용 매트리스 처짐 방지장치
KR101633268B1 (ko) * 2015-12-23 2016-06-24 고광윤 포켓 스프링 매트리스용 사이드 보강구조
KR20190001012U (ko) * 2017-10-20 2019-04-30 김병혁 침대용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820A (ko) * 2000-06-02 2003-01-23 실리 테크놀로지 엘엘씨 이너스프링 조립체 및 매트리스용 압출 발포체 보강 구조물
KR20100129276A (ko) * 2008-01-18 2010-12-08 실리 테크놀로지 엘엘씨 내부스프링 완충 삽입체
KR100938822B1 (ko) 2009-03-24 2010-01-26 박한규 침대스프링 보강용 발포체를 포함하는 침대스프링 보강장치및 이를 이용한 침대스프링 구조
KR20140134841A (ko) * 2013-05-15 2014-11-25 리엔산업(주) 침대용 매트리스 처짐 방지장치
KR101633268B1 (ko) * 2015-12-23 2016-06-24 고광윤 포켓 스프링 매트리스용 사이드 보강구조
KR20190001012U (ko) * 2017-10-20 2019-04-30 김병혁 침대용 매트리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181B1 (en) Spring construction
US10485353B2 (en) Mattress with different firmness zones
EP1246556B1 (en) Coupled waveband suspension for bedding and seating units
KR102261891B1 (ko) 보강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JP3211873U (ja) クッション
US20200229609A1 (en) Coil spring mattress construction
KR101876554B1 (ko) 측면 내구성이 우수한 스프링 매트리스
KR20110125455A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KR101400502B1 (ko) 매트리스
KR20190001833U (ko) 소파용 스프링 조립체
KR102378668B1 (ko) 다층구조의 침대 매트리스
KR102139012B1 (ko) 보강구조를 갖는 매트리스용 침대 스프링
KR102618345B1 (ko) 에어볼 매트리스
KR20190001012U (ko) 침대용 매트리스
KR101782124B1 (ko) 무조닝 스프링매트리스
JPH0161047B2 (ko)
CN216020177U (zh) 一种弹簧床垫
CN210611650U (zh) 一种软硬分区的弹簧床垫
US20220287469A1 (en) Adjustable mattress side rails
KR102356586B1 (ko) 차별화된 강성을 갖는 매트리스
KR101304645B1 (ko) 매트리스
US11744383B2 (en) Mattress
KR102312498B1 (ko) 체압 분산 성능을 갖는 침대용 매트리스
KR101757847B1 (ko) 매트리스
US5678261A (en) Cush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