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788B1 -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788B1
KR102261788B1 KR1020190068538A KR20190068538A KR102261788B1 KR 102261788 B1 KR102261788 B1 KR 102261788B1 KR 1020190068538 A KR1020190068538 A KR 1020190068538A KR 20190068538 A KR20190068538 A KR 20190068538A KR 102261788 B1 KR102261788 B1 KR 102261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apture
animal
fixed
c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1695A (en
Inventor
이재일
Original Assignee
제일레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레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레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788B1/en
Publication of KR2020014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2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 A01M23/3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with sna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로 분리가능한 몸체; 몸체의 제 1 종단면에 연결되고, 몸체의 종단면보다 큰 종단면을 갖는 연결부; 및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 및 연결부를 관통하여 몸체 및 연결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연결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포획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 animal trapp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pe-shaped body that is separable into a plurality of piec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body; And it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wire, and is movable along the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through the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tch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form a capture region.

Description

동물 포획 기구{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s}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s

본 발명은 동물 포획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에 맞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동물을 포획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포획된 동물을 해방시킬 수 있는 동물 포획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trapp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imal trapping device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to fit an animal, can keep an animal in a captured state, and can release a captured animal.

야생동물은 다양한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멧돼지, 고라니 등은 농가에서 농작물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농사 시설을 손상시키기도 하고, 간혹 인명피해를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들고양이는 다람쥐의 서식처인 산의 낮은 곳에 집단으로 서식하면서 다람쥐 등을 잡아먹어 다람쥐의 서식처를 점점 감소시키고, 들고양이의 포식자는 없어 들고양이의 번식은 증가되고 있다. 쥐 또는 들쥐는 마을 등지에 서식하는 데 포획이 감소되고 번식이 증가하여 식당, 주방 및 하수관 등지를 통행하면서 각종 전염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이처럼 야생동물은 사람들의 생활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Wild animals are causing a variety of damage. For example, wild boar, elk, and the like damage not only crops but also agricultural facilities such as vinyl houses, and sometimes cause casualties. In addition, while feral cats live in groups in the low places of the mountains, the habitat of squirrels, they eat squirrels and the like to gradually decrease the habitat of squirrels, and there are no predators of feral cats, so the breeding of feral cats is increasing. Rats or field mice live in villages, etc., but their catch is reduced and their reproduction is increased, so they pass through restaurants, kitchens and sewer pipes, and become a carrier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s. As such, wild animals are detrimental to people's lives.

다양한 방법으로 야생동물의 포획이 시도되고 있다. 총기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사냥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와이어 형태의 올무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발목이나 목을 감싸서 야생동물의 포획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특히, 와이어 형태의 올무는 야생동물 뿐 아니라, 동물 보호소, 동물 사육시설 등의 동물을 관리하기 위하여 포획하는 데에 이용되기도 한다.Various methods have been attempted to capture wild animals. Wild animals are hunted using firearms, and wild animals are captured by wrapping the ankles or necks of wild animals using wire-type snare. In particular, the wire-type snare is also used to capture wild animals to manage animals such as animal shelters and animal breeding facilities.

하지만, 와이어 형태의 올무는 포획하고자 동물에 맞추어 제작되어, 다양한 동물을 포획하는 데에 이용되기 어렵다. 또한, 동물에게 상처를 입히지 않고 동물의 포획이 이루어져야 하나 와이어 형태의 올무는 동물에게 상처를 입히기도 하고, 포획된 동물을 해방시키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wire-type snare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nimal to be captured, so it is difficult to use it to capture various animals. In addition, although the animal should be captured without injuring the animal, the wire-type snare sometimes injures the animal, and it is difficult to release the captured animal.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이하게 다양한 동물을 포획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동물 포획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animal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imal trapp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used to capture various animals.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물을 안정적으로 포획된 상태로 유지하고, 포획된 동물을 용이하게 해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물 포획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animal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imal trapping device that allows the animal to be stably maintained in a captured state and to easily release the captured animal.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animal capture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asks, and another task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로 분리가능한 몸체; 몸체의 제 1 종단면에 연결되고, 몸체의 종단면보다 큰 종단면을 갖는 연결부; 및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 및 연결부를 관통하여 몸체 및 연결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연결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포획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포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ve concept, there is provided an animal trapping device, comprising: a pipe-shaped body, which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body; And it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wire, and is movable along the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through the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tch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form a capture region.

또한, 포획부의 제 1 종단에는 소정의 영역을 폐쇄한 형태로 형성하는 보조 연결부가 형성되며, 연결부의 측면에는 연결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연결부는, 연결부에서 연결 공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고, 연결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 바아를 포함하되, 포획부의 보조 연결부가 연결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바아는 연결 공간에 삽입되어 보조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호 간에 마주하는 연결 공간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uxiliary connection part for forming a closed shape of a predetermined area is formed at the first end of the catch part, a connection space is concavely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is loca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space in the connection part, , including a connection ba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w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of the catch par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the connection ba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and penetrates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to close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pace facing each other can be positioned to connect.

또한, 포획부의 제 2 종단에는 보조 스토퍼가 설치되고, 몸체는, 몸체의 제 2 종단면에 삽입되어 몸체에 결합되고, 포획부가 관통되는 몸체 스토퍼를 포함하되, 몸체 스토퍼의 외경은 몸체의 내경에 상응하고, 몸체 스토퍼의 내경은 보조 스토퍼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an auxiliary stopper is installed at the second end of the catch, and the body includes a body stopper tha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d of the body and coupled to the body, and through which the catch is passed,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stopper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stopper may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stopper.

또한, 몸체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부가 연결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 몸체;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몸체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되는 제 2 몸체; 및 제 1 몸체와 제 2 몸체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되, 제 2 몸체는 연결 몸체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the first body made of a pipe shape, the first e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is fixed; a second body formed in a pipe shape and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first body; and a connecting body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o connec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wherein the second body may be detachably connected from the connecting body.

또한, 제 2 몸체에 대응되는 연결 몸체의 종단면에서 연결 몸체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도록 연결 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 보조홈들이 형성되고, 몸체는, 연결 몸체의 외주면 상에서 연결 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 보조홈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제 2 몸체를 연결 몸체에 고정시키거나 연결 몸체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auxiliary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to conne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dy are formed, and the body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It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econd body to the connection body or detachable from the connection body.

또한, 연결 고정부는, 연결 몸체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구부러지고, 양종단부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이격되는 고정 몸체; 고정 몸체의 양종단부를 관통하여 고정 몸체의 양종단부에 결합된 몸체 연결부; 및 몸체 연결부의 종단에 연결되어, 고정 몸체에 대하여 회동하여 고정 몸체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고정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 2 몸체가 연결 몸체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제어부는 고정 몸체에 근접하도록 회동하여 고정 몸체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고정 몸체로 연결 몸체를 가압하여 결합 보조홈의 폭을 감소시켜 제 2 몸체를 연결 몸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fixing portion is bent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the fixed body is spaced apart so that both ends face each other; a body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xed body through both end portions of the fixed body; and a fixed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erminal end of the body connection unit and configured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 portions of the fixed body, wherein the second body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the fixed control unit comprises: The second body can be fixed to the connecting body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by pressing the connecting body with the fixed body to narrow the gap between both ends of the fixed body by rotating it close to the fixed body.

또한, 동물 포획 기구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연결부에 연결되어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포획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form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positioned to surround a part of the catch part forming the capture area.

또한, 동물 포획 기구는,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포획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되, 동물이 포획 영역에 삽입되어 보호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포획부가 포획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켜, 보호부는 변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imal catching mechanism further includes a guard position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catching portion forming the catching region, wherein the catching portion has a size of the catching region in a state in which the animal is inserted into the catching region and contacted with the guard. By reducing , the protection part can be deformed.

또한, 보호부는, 포획부의 제 1 종단과 연결부 사이의 포획부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각각 포획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포획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와선을 형성하며, 탄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보호 탄성체; 및 보호 탄성체를 둘러싸면서 포획부의 제 1 종단과 연결부 사이의 포획부를 따라 위치되는 보호 몸체를 포함하되, 동물은 포획 영역에 삽입되어 보호 몸체에 접촉될 수 있고, 동물이 포획 영역에 삽입되어 보호 몸체에 접촉된 상태에서, 포획부는 포획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켜, 보호 탄성체는 포획부에 근접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tection part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atch part between the first end of the catch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each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tch part to form a spiral lin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tch part, and a plurality of metal materials having elasticity dog protective elastomer; and a protective body surrounding the protective elastic body and positioned along the catch portion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end of the catch portion, wherein the animal can be inserted into the capture area to contact the protective body, and the animal is inserted into the capture area to contact the protective body.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catching portion, the size of the catching region is reduced, so that the protective elastic body may be deformed to approximate the catching portion.

또한, 안내부는 보호 탄성체의 중심에 삽입될 수 있고, 보호 몸체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elastic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body.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animal capture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다양한 동물이 용이하게 포획되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1) It can be used to facilitate capture of various animals.

(2) 동물이 안정적으로 포획된 상태로 유지되고, 포획된 동물이 용이하게 해방될 수 있다.(2) The animal is stably kept in a captured state, and the captured animal can be easily released.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animal captur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의 몸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의 포획부가 연결부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에서 수용부의 개폐 제어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herei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imal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of the animal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tch part of the animal captur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 connection part.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imal trapping mechanis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of the receiving unit i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imal trapping mechanis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er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they are responsible for,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of the components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be performed exclusively by the componen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ur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100)의 몸체(101)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100)의 포획부(103)가 연결부(102)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imal trapping devic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ody 101 of the animal trapp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ture part 103 of the animal captur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102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100)는 몸체(101), 연결부(102), 포획부(103) 및 안내부(104)를 포함하고, 폐쇄된 포획 영역(A)을 통해 동물을 포획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1 to 3 , the animal trapp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1 , a connection part 102 , a catch part 103 , and a guide part 104 . and can be used to capture animals through the closed capture area (A).

몸체(101)는 금속 재질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폭보다 현저하게 큰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몸체(101)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파이프 형상, 삼각형 파이프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101 is made of a metal pipe shape, and has a length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width. The body 10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a circular pip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ipe shape, a triangular pipe shape, or the like.

또한, 몸체(101)는 제 1 몸체(111), 제 2 몸체(113), 연결 몸체(115), 연결 고정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101 may include a first body 111 , a second body 113 , a connection body 115 , and a connection fixing part 117 .

제 1 몸체(111)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몸체(111)의 제 1 종단부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연결부(10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The first body 111 is formed in a pipe shape.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first body 111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02 to be specifically described later.

제 2 몸체(113)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몸체(113)는 제 1 몸체(111)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되고, 제 1 몸체(111)의 제 2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The second body 113 has a pipe shape. The second body 113 is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first body 111 and is positioned to face the second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body 111 .

연결 몸체(115)는 제 1 몸체(111)와 제 2 몸체(113)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몸체(111)와 제 2 몸체(113)를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 몸체(115)도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몸체(111) 및 제 2 몸체(113)의 길이보다 현저하게 짧은 길이를 갖는다.The connecting body 115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3 to connect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3 . Here, the connecting body 115 is also made in a pipe shape, and has a length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lengths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3 .

제 1 몸체(111)의 제 2 종단부 및 제 2 몸체(113)의 제 1 종단부가 연결 몸체(115)에 삽입되어, 제 1 몸체(111) 및 제 2 몸체(113)는 연결 몸체(115)에 결합된다. 또한, 연결 몸체(115)는 제 1 몸체(11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몸체(113)와는 상호 간에 분리가능하다.The second end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first end of the second body 113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ody 115 , so that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3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dy 115 . ) is bound to In addition, the connecting body 11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111 ,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113 .

한편, 연결 몸체(115)에는 복수 개의 결합 보조홈(115a)들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결합 보조홈(115a)들은 각각 제 2 몸체(113)에 대응되는 연결 몸체(115)의 종단면에서 연결 몸체(115)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연결 몸체(115)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결합 보조홈(115a)들은 연결 몸체(115)에 삽입된 제 2 몸체(113)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coupling auxiliary grooves 115a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body 115 . The plurality of coupling auxiliary grooves 115a are formed to conne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115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11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dy 113, respective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115. is formed along In addition,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s 115a may be positioned around the second body 113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115 .

연결 고정부(117)는 연결 몸체(115)의 외주면 상에서 연결 몸체(115)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 보조홈(115a)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제 2 몸체(113)는 연결 몸체(115)에 삽입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 고정부(117)에 의해 연결 몸체(115)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거나 연결 몸체(115)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fixing part 117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s 115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5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115 . The second body 113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115 and maintained in a detachable state from the connection body 115 by the connection fixing part 117 in a connected state, or may be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115 . .

또한, 연결 고정부(117)는 결합 보조홈(115a)들 각각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제 2 몸체(113)가 연결 몸체(1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고정부(117)가 결합 보조홈(115a)의 폭을 감소시키면, 연결 몸체(115)은 제 2 몸체(113)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제 2 몸체(113)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제 2 몸체(113)는 연결 몸체(115)에 고정된다. 한편, 연결 몸체(115)의 내주면이 제 2 몸체(11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 고정부(117)가 결합 보조홈(115a)의 폭을 증가시키면, 연결 몸체(115)와 제 2 몸체(113) 사이는 느슨해져 제 2 몸체(113)는 연결 몸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fixing part 117 can adjust the width of eac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s (115a). When the second body 113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115 and the connection fixing part 117 reduces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115a, the connection body 115 is formed of the second body 113 . By press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13 . Here, the second body 113 is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115 .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11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13, the connecting fixing unit 117 increases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115a, the connecting body 115 and the first The second body 113 is loosened between the two bodies 113 so that the second body 113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115 .

상기와 같은 연결 고정부(117)는 고정 몸체(117a), 몸체 연결부(117b) 및 고정 제어부(117c)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fixing part 117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fixing body 117a, a body connection part 117b and a fixing control part 117c.

고정 몸체(117a)는 연결 몸체(115)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구부러진다. 여기서, 고정부 몸체(117a)의 양종단부는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이격된다. 이러한 고정 몸체(117a)는 결합 보조홈(115a)에 대응하도록 연결 몸체(115)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 몸체(115)의 외주면 상에 위치된다.The fixing body 117a is bent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115 . Here,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xing body 117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facing each other. This fixing body 117a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115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115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115a).

몸체 연결부(117b)는 고정 몸체(117a)의 양종단부를 관통하여 고정 몸체(117a)의 양종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몸체 연결부(117b)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몸체 연결부(117b)의 제 1 종단부는 볼트 헤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connection part 117b penetrates both ends of the fixed body 117a a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xed body 117a. Here, the body connection part 117b may be formed in a bolt shape, and the first end of the body connection part 117b may be formed in a bolt head shape.

고정 제어부(117c)는 몸체 연결부(117b)에 연결되어 회동된다. 여기서, 고정 제어부(117c)는 고정 몸체(117a)에 근접하거나 고정 몸체(117a)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고, 고정 몸체(117a)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xed control part 117c is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ion part 117b and rotates. Here, the fixed control unit 117c may be rotated to be close to or away from the fixed body 117a, and ma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xed body 117a.

고정 제어부(117c)가 고정 몸체(117a)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위치되면, 제 2 몸체(113)는 연결 몸체(1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제어부(117c)가 고정 몸체(117a)에 근접하도록 회동되어, 고정 몸체(117a)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면, 고정 몸체(117a)는 연결 몸체(115)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결합 보조홈(115a)의 폭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제 2 몸체(113)는 연결 몸체(115)에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fixed control unit 117c is positioned away from the fixed body 117a , the second body 113 may be easily separ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ody 115 . Here, when the fixed control unit 117c is rotated to be close to the fixed body 117a,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xed body 117a is reduced, the fixed body 117a is pressed while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115. Reduce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115a). Due to this, the second body 113 may be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115 .

한편, 제 2 몸체(113)가 연결 몸체(115)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제어부(117c)가 고정 몸체(117a)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되어, 고정 몸체(117a)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면, 고정 몸체(117a)와 연결 몸체(115) 사이는 느슨해지고 결합 보조홈(115a)의 폭은 증가된다. 이로 인해, 제 2 몸체(113)는 연결 몸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113 is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115 , the fixed control unit 117c is rotated away from the fixed body 117a,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xed body 117a is increased, , between the fixing body (117a) and the connecting body (115) is loosened and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115a) is increased. Due to this, the second body 113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115 .

또한, 몸체(101)는 몸체 스토퍼(11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몸체 스토퍼(119)는 제 2 몸체(113)의 제 2 종단면에 삽입되어 제 2 몸체(113)에 결합된다. 여기서, 몸체 스토퍼(119)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몸체(113)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고, 제 2 몸체(113)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후술될 포획부(103)는 몸체 스토퍼(119)의 양종단면을 관통하여 몸체 스토퍼(119)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101 may further include a body stopper 119 . The body stopper 119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econd body 113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113 . Here, the body stopper 119 is made of a pipe shape,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113 , and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113 . Specifically, the catch portion 10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oved along the body stopper 119 through both longitudinal cross-sections of the body stopper 119 .

연결부(102)는 몸체(101), 특히 제 1 몸체(111)의 제 1 종단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연결부(102)는 종단면을 통해 몸체(101)에 연결되고, 연결부(102)의 종단면은 몸체(101)의 종단면보다 크다.The connection part 102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body 101 , in particular the first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body 111 . Here, the connecting portion 102 is connected to the body 101 through a longitudinal cross-section, and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02 is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body 101 .

연결부(102)의 측면에는 연결 공간(102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공간(102a)은 부분적으로 개방된 내측면을 가짐으로써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몸체(10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connection space 102a may be concavely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02 . As shown, the connection space 102a may be formed in a 'C' shape by having a partially open inner surface, and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101 .

또한, 연결부(102)는 연결 바아(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바아(121)는 연결부(102)에서 연결 공간(102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고, 연결 공간(102a)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바아(121)는 연결 공간(102a)에 삽입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는 연결 공간(102a)의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102 may include a connecting bar 121 . The connection bar 121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space 102a in the connection part 102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102a. The connection bar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102a to connect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space 102a facing each other.

포획부(103)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포획부(103)는 몸체(101) 및 연결부(102)를 관통하여 몸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몸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포획부(103)는 연결부(102)에 연결되어 포획 영역(A)을 폐쇄되도록 형성하고, 몸체(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catching part 10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wire made of a metal material. Here, the catching portion 103 passes through the body 10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02 and is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1 , and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1 . The catching portion 10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02 to close the catching region (A), and ma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1 to adjust the size of the catching region (A).

또한, 포획부(103)는 보조 연결부(131) 및 보조 스토퍼(13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cher 103 may include an auxiliary connection unit 131 and an auxiliary stopper 133 .

보조 연결부(131)는 포획부(103)의 제 1 종단에 형성되어, 소정의 영역을 폐쇄된 형태로 형성한다. 여기서, 보조 연결부(131)는 와이어 형태의 포획부(103)의 제 1 종단부가 겹쳐지면서 소정의 영역을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31 is formed at the first end of the catch part 103 to form a predetermined area in a closed shape. 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31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area is formed while the first end of the wire-shaped trapping part 103 overlaps.

보조 연결부(131)가 연결 공간(102a)에 삽입되고, 연결 바아(121)는 보조 연결부(131)를 관통하여 상호 간에 마주하는 연결 공간(102a)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연결부(131)는 연결 공간(102a)에 삽입되어 관통된 연결 바아(121)에 걸린 형태로 연결부(10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포획부(103)는 연결부(102)와 조합하여 폐쇄된 형태의 포획 영역(A)을 형성하고 유지될 수 있다.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31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102a, and the connection bar 121 may be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31 to connect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space 102a facing each other. 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3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02 in a form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102a and hung on the through connection bar 121 . In addition, the catch portion 103 may be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02 to form and hold the closed form of the capture area A.

보조 스토퍼(133)는 포획부(103)의 제 2 종단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스토퍼(133)의 외경은 몸체 스토퍼(119)의 내경보다 크다. 보조 스토퍼(133)는 몸체 스토퍼(119)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몸체(101)에서 제 2 몸체(113)가 연결 몸체(115)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제 2 몸체(113)는 보조 스토퍼(133)에 의해 포획부(103)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The auxiliary stopper 133 may be installed at the second end of the catcher 103 . 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stopper 133 is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stopper (119). The auxiliary stopper 133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body stopper 119 . Even if the second body 113 in the body 101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115 , the second body 113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catcher 103 by the auxiliary stopper 133 .

보조 연결부(131)가 연결부(102)에 연결된 상태에서, 보조 스토퍼(133)는 몸체(101), 특히 몸체 스토퍼(119)에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에, 보조 스토퍼(133)는 몸체 스토퍼(119)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13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02, the auxiliary stopper 133 may move closer to the body 101, in particular, the body stopper 119, there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capturing region A. .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stopper 133 may move away from the body stopper 119 to reduce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안내부(104)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연결부(10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부(104)의 내경은 포획부(103)의 외경에 상응하고, 포획 영역(A)을 형성하는 포획부(103)의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된다. 포획부(103)는 몸체(101) 및 연결부(102)를 관통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 안내부(104)에 의해 꼬이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포획부(103)는 몸체(101) 및 연결부(102)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guide part 104 is made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02 . Here,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104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atch portion 103 and is position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catch portion 103 forming the capture area A. The catch portion 103 may not be twisted by the guide portion 104 when moving through the body 101 and the connection portion 102 . For this reason, the capture part 103 can smoothly move along the body 101 and the connection part 102 to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100)의 포획부(103)는 몸체(101) 및 연결부(102)를 관통한 상태에서 소정의 영역을 형성하면서 제 1 종단에서 설치된 보조 연결부(131) 및 제 2 종단에 설치된 보조 스토퍼(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연결부(131)는 제 1 몸체(111)에 연결된 연결부(102)에 연결되고, 보조 스토퍼(133)는 제 2 몸체(113)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100)에서 포획부(103)는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보조 연결부(131) 및 보조 스토퍼(133)에 의해 몸체(101) 및 연결부(102)를 관통한 상태에서 몸체(101) 및 연결부(102)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The catching part 103 of the animal catching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passes through the body 101 and the connection part 102 and forms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31 and the second terminal installed at the first end. It may include an auxiliary stopper 133 installed in the.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13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02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1 , and the auxiliary stopper 133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113 . For this reason, in the animal captur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pturing unit 103 adjusts the size of the capturing region A, and the body 101 and the connecting unit 102 by the auxiliary connecting unit 131 and the auxiliary stopper 133 . )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body 10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02 in a state of being penetrated.

또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101)에서 몸체(101)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몸체(111)와 제 2 몸체(113)를 연결 몸체(115)를 통해 연결한다. 여기서, 제 1 몸체(111)는 연결 몸체(115)에 고정되고, 제 2 몸체(113)는 연결 고정부(117)에 의해 연결 몸체(115)에 고정되기도 하고 연결 몸체(1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제 2 몸체(113)는 연결 몸체(115)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 1 몸체(111)와 포개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포획부(103)는 와이어 형태로 존재하면서 제 1 몸체(111)와 제 2 몸체(113)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100)는 용이하게 휴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10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101 connects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3 in the shape of a pipe through the connecting body 115 . Here, the first body 111 is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115 , and the second body 113 is also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115 by the connection fixing part 117 and is to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115 . can In particular, the second body 113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the first body 111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115 . Here, the catcher 103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3 while being in the form of a wire. Accordingly, the animal trapp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carried.

또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100)에서 포획부(103)는 몸체(101) 및 연결부(102)를 관통한 상태에서 몸체(101) 및 연결부(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포획부(103)의 보조 연결부(131)가 연결부(102)에 연결되어, 동물 포획 기구(100)에는 포획 영역(A)이 형성된다. 포획부(103)는 몸체(101) 및 연결부(102)를 따라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imal trapp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tcher 103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1 and the connector 102 while penetrating the body 101 and the connecting part 102 . 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131 of the capture part 10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02 , and the capture area A is formed in the animal capture device 100 . The capture part 103 may move along the body 101 and the connection part 102 to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예를 들어, 포획부(103)는 동물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포획 영역(A)을 형성한다. 동물이 포획 영역(A)에 삽입된 상태에서, 포획부(103)의 보조 스토퍼(133)가 몸체(101)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겨지면, 포획 영역(A)의 크기는 감소되고, 포획 영역(A)에 삽입된 동물은 포획부(103)에 접촉되어 이동을 제한받게 될 수 있다. 여기서, 포획부(103)의 보조 스토퍼(133)가 몸체(101)에 근접하도록 이동되면, 포획 영역(A)의 크기는 증가되고, 포획부(103)는 동물로부터 멀어져, 동물은 포획 영역(A)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획 영역(A)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기에,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100)는 다양한 크기의 동물을 포획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포획된 동물을 손쉽게 해방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apture part 103 forms the capture area A with a size into which an animal can be inserted. When the auxiliary stopper 133 of the catcher 103 is pulled away from the body 101 while the animal is inserted into the capture area A,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decreases, and the capture area A ), the inserted animal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capture unit 103 and restrict movement. Here, when the auxiliary stopper 133 of the catcher 103 is moved to be close to the body 101,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increases, the catcher 103 moves away from the animal, and the animal moves to the capture area ( A) can be liberated from Since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can b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animal capture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to capture animals of various sizes, and the captured animals can be easily released.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100)에서 안내부(104)는 포획 영역(A)을 형성하는 포획부(103)의 일부를 감싸도도록 연결부(102)에 연결된다. 여기서, 안내부(104)는 몸체(101) 및 연결부(102)를 관통한 와이어 형태의 포획부(103)를 꼬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100)에서 포획부(103)는 안내부(104)에 의해 안정적으로 포획 영역(A)을 형성할 수 있고,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In the animal captur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10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02 so as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capturing portion 103 forming the capturing area A. Here, the guide part 104 may prevent the body 101 and the connecting part 102 from twisting the wire-shaped catch part 103 . Due to this, in the animal captur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pturing unit 103 can stably form the capturing area A by the guide 104, and it is easy to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ing area A. can be moved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3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300)에서 수용부(305)의 개폐 제어부(355)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imal trapping device 3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ceiving part 305 in the animal trapp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control part 355.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300)는 몸체(301), 연결부(302), 포획부(303), 안내부(304) 및 수용부(305)를 포함하고, 폐쇄된 포획 영역(A)을 통해 동물을 포획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4 and 5 , the animal trapp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301 , a connection part 302 , a catch part 303 , a guide part 304 and a receiving part. It includes a portion 305 and can be used to capture an animal through a closed capture area (A).

몸체(301)는 금속 재질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폭보다 현저하게 큰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몸체(301)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파이프 형상, 삼각형 파이프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301 is made of a metal pipe shape, and has a length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width. The body 30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a circular pip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ipe shape, a triangular pipe shape, or the like.

또한, 몸체(301)는 제 1 몸체(311), 제 2 몸체(313), 연결 몸체(315) 및 연결 고정부(317)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301 may include a first body 311 , a second body 313 , a connection body 315 , and a connection fixing part 317 .

제 1 몸체(311)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몸체(311)의 제 1 종단부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연결부(30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The first body 311 has a pipe shape.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first body 311 is inserted and fixed in a connection portion 302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제 2 몸체(313)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몸체(313)는 제 1 몸체(311)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되고, 제 1 몸체(311)의 제 2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The second body 313 has a pipe shape. The second body 313 is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first body 311 , and is positioned to face the second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body 311 .

연결 몸체(315)는 제 1 몸체(311)와 제 2 몸체(313)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몸체(311)와 제 2 몸체(313)를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 몸체(315)도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몸체(311) 및 제 2 몸체(313)의 길이보다 현저하게 짧은 길이를 갖는다.The connecting body 315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 and connects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 Here, the connecting body 315 is also made in a pipe shape, and has a length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lengths of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

제 1 몸체(311)의 제 2 종단부 및 제 2 몸체(313)의 제 1 종단부가 연결 몸체(315)에 삽입되어, 제 1 몸체(311) 및 제 2 몸체(313)는 연결 몸체(315)에 결합된다. 또한, 연결 몸체(315)는 제 1 몸체(31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몸체(313)와는 상호 간에 분리가능하다.The second end of the first body 311 and the first end of the second body 313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ody 315 so that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dy 315 ) is bound to In addition, the connection body 31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311 ,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313 .

한편, 연결 몸체(315)에는 복수 개의 결합 보조홈(315a)들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결합 보조홈(315a)들은 각각 제 2 몸체(313)에 대응되는 연결 몸체(315)의 종단면에서 연결 몸체(315)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연결 몸체(315)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결합 보조홈(315a)들은 연결 몸체(315)에 삽입된 제 2 몸체(313)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coupling auxiliary grooves 315a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body 315 . A plurality of coupling auxiliary grooves (315a) are formed to conne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315)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31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dy (313), respectively,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315) is formed along In addition,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s 315a may be positioned around the second body 313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315 .

연결 고정부(317)는 연결 몸체(315)의 외주면 상에서 연결 몸체(315)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 보조홈(315a)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제 2 몸체(313)는 연결 몸체(315)에 삽입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 고정부(317)에 의해 연결 몸체(315)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거나 연결 몸체(315)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fixing part 317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s 315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315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315 . The second body 313 may be maintained in a detachable state from the connection body 315 by the connection fixing part 317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315 and connected, or may be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315 . .

또한, 연결 고정부(317)는 결합 보조홈(315a)들 각각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제 2 몸체(313)가 연결 몸체(3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고정부(317)가 결합 보조홈(315a)의 폭을 감소시키면, 연결 몸체(315)은 제 2 몸체(313)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제 2 몸체(313)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제 2 몸체(313)는 연결 몸체(315)에 고정된다. 한편, 연결 몸체(315)의 내주면이 제 2 몸체(31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 고정부(317)가 결합 보조홈(315a)의 폭을 증가시키면, 연결 몸체(315)와 제 2 몸체(313) 사이는 느슨해져 제 2 몸체(313)는 연결 몸체(3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fixing part 317 can adjust the width of eac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s (315a). When the second body 313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315, the connection fixing part 317 reduces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315a, the connection body 315 is the second body 313 of By press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313 . Here, the second body 313 is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315 .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31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313, the connecting fixing part 317 increases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315a, the connecting body 315 and the first The space between the two bodies 313 is loosened, so that the second body 313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315 .

상기와 같은 연결 고정부(317)는 고정 몸체(317a), 몸체 연결부(317b) 및 고정 제어부(317c)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fixing part 317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fixing body 317a, a body connection part 317b, and a fixing control part 317c.

고정 몸체(317a)는 연결 몸체(315)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구부러진다. 여기서, 고정부 몸체(317a)의 양종단부는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이격된다. 이러한 고정 몸체(317a)는 결합 보조홈(315a)에 대응하도록 연결 몸체(315)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 몸체(315)의 외주면 상에 위치된다.The fixing body 317a is bent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315 . Here,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xing body 317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facing each other. This fixed body (317a)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315)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315)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315a).

몸체 연결부(317b)는 고정 몸체(317a)의 양종단부를 관통하여 고정 몸체(317a)의 양종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몸체 연결부(317b)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몸체 연결부(317b)의 제 1 종단부는 볼트 헤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connecting portion 317b passes through both ends of the fixed body 317a a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xed body 317a. Here, the body connection part 317b may be formed in a bolt shape, and the first end of the body connection part 317b may be formed in a bolt head shape.

고정 제어부(317c)는 몸체 연결부(317b)에 연결되어 회동된다. 여기서, 고정 제어부(317c)는 고정 몸체(317a)에 근접하거나 고정 몸체(317a)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고, 고정 몸체(317a)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xed control part 317c is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ion part 317b and rotates. Here, the fixed control unit 317c may be rotated to be close to or away from the fixed body 317a, and ma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xed body 317a.

고정 제어부(317c)가 고정 몸체(317a)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위치되면, 제 2 몸체(313)는 연결 몸체(3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제어부(317c)가 고정 몸체(317a)에 근접하도록 회동되어, 고정 몸체(317a)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면, 고정 몸체(317a)는 연결 몸체(315)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결합 보조홈(315a)의 폭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제 2 몸체(313)는 연결 몸체(315)에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fixed control unit 317c is positioned away from the fixed body 317a , the second body 313 can be easily separ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ody 315 . Here, when the fixed control unit 317c is rotated to be close to the fixed body 317a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xed body 317a is reduced, the fixed body 317a is pressed while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315 Reduce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315a). Due to this, the second body 313 may be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315 .

한편, 제 2 몸체(313)가 연결 몸체(315)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제어부(317c)가 고정 몸체(317a)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되어, 고정 몸체(317a)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면, 고정 몸체(317a)와 연결 몸체(315) 사이는 느슨해지고 결합 보조홈(315a)의 폭은 증가된다. 이로 인해, 제 2 몸체(313)는 연결 몸체(3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313 is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315, the fixed control unit 317c is rotated away from the fixed body 317a,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xed body 317a increases. , between the fixed body (317a) and the connecting body (315) is loosened and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315a) is increased. Due to this, the second body 313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315 .

또한, 몸체(301)는 몸체 스토퍼(31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몸체 스토퍼(319)는 제 2 몸체(313)의 제 2 종단면에 삽입되어 제 2 몸체(313)에 결합된다. 여기서, 몸체 스토퍼(319)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몸체(313)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고, 제 2 몸체(313)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후술될 포획부(303)는 몸체 스토퍼(319)의 양종단면을 관통하여 몸체 스토퍼(319)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301 may further include a body stopper 319 . The body stopper 319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econd body 313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313 . Here, the body stopper 319 is made of a pipe shape,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313,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313). Specifically, the catch portion 30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oved along the body stopper 319 through both longitudinal cross-sections of the body stopper 319 .

연결부(302)는 몸체(301), 특히 제 1 몸체(311)의 제 1 종단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연결부(302)는 종단면을 통해 몸체(301)에 연결되고, 연결부(302)의 종단면은 몸체(301)의 종단면보다 크다.The connection part 302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body 301 , in particular the first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body 311 . Here, the connecting portion 302 is connected to the body 301 through a longitudinal cross-section, and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02 is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body 301 .

연결부(302)의 측면에는 연결 공간(302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공간(302a)은 부분적으로 개방된 내측면을 가짐으로써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몸체(30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connection space 302a may be concavely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302 . As shown, the connection space 302a may be formed in a 'C' shape by having a partially open inner surface, and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301 .

또한, 연결부(302)는 연결 바아(32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바아(321)는 연결부(302)에서 연결 공간(302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고, 연결 공간(302a)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바아(321)는 연결 공간(302a)에 삽입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는 연결 공간(302a)의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302 may include a connecting bar 321 . The connection bar 321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space 302a in the connection part 302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302a. The connection bar 321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302a to connect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space 302a facing each other.

포획부(303)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포획부(303)는 몸체(301) 및 연결부(302)를 관통하여 몸체(3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몸체(3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포획부(303)는 연결부(302)에 연결되어 포획 영역(A)을 폐쇄되도록 형성하고, 몸체(3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catch part 30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wire made of a metal material. Here, the catching portion 303 passes through the body 301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2 , is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301 , and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301 . The catching portion 30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02 to form the catching region A to be closed, and the size of the catching region A can be adjusted by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301 .

또한, 포획부(303)는 보조 연결부(331) 및 보조 스토퍼(33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ch part 303 may include an auxiliary connection part 331 and an auxiliary stopper 333 .

보조 연결부(331)는 포획부(303)의 제 1 종단에 형성되어, 소정의 영역을 폐쇄된 형태로 형성한다. 여기서, 보조 연결부(331)는 와이어 형태의 포획부(303)의 제 1 종단부가 겹쳐지면서 소정의 영역을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331 is formed at the first end of the catch part 303 to form a predetermined area in a closed shape. 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331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is formed while the first end of the wire-shaped trapping part 303 overlaps.

보조 연결부(331)가 연결 공간(302a)에 삽입되고, 연결 바아(321)는 보조 연결부(331)를 관통하여 상호 간에 마주하는 연결 공간(302a)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연결부(331)는 연결 공간(302a)에 삽입되어 관통된 연결 바아(321)에 걸린 형태로 연결부(30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포획부(303)는 연결부(302)와 조합하여 폐쇄된 형태의 포획 영역(A)을 형성하고 유지될 수 있다.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331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space 302a, and the connecting bar 321 may be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331 to connect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spaces 302a facing each other. 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33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302 in a form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302a and hung on the through connection bar 321 . In addition, the catch portion 303 may be combined with the connection portion 302 to form and hold the closed form of the capture area A.

보조 스토퍼(333)는 포획부(303)의 제 2 종단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스토퍼(333)의 외경은 몸체 스토퍼(319)의 내경보다 크다. 보조 스토퍼(333)는 몸체 스토퍼(319)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몸체(301)에서 제 2 몸체(313)가 연결 몸체(315)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제 2 몸체(313)는 보조 스토퍼(333)에 의해 포획부(303)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The auxiliary stopper 333 may be installed at the second end of the catch portion 303 . 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stopper 333 is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stopper 319 . The auxiliary stopper 333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body stopper 319 . Even if the second body 313 in the body 301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315 , the second body 313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catcher 303 by the auxiliary stopper 333 .

보조 연결부(331)가 연결부(302)에 연결된 상태에서, 보조 스토퍼(333)는 몸체(301), 특히 몸체 스토퍼(319)에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에, 보조 스토퍼(333)는 몸체 스토퍼(319)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With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331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02 , the auxiliary stopper 333 may be moved closer to the body 301 , in particular the body stopper 319 , to increase the size of the capturing area A .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stopper 333 may move away from the body stopper 319 to reduce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안내부(304)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연결부(30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부(304)의 내경은 포획부(303)의 외경에 상응하고, 포획 영역(A)을 형성하는 포획부(303)의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된다. 포획부(303)는 몸체(301) 및 연결부(302)를 관통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 안내부(304)에 의해 꼬이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포획부(303)는 몸체(301) 및 연결부(302)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guide part 304 is made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302 . Here,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304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atch portion 303 and is positioned to surround a part of the catch portion 303 forming the capture area A. The catch portion 303 may not be twisted by the guide portion 304 when moving through the body 301 and the connection portion 302 . For this reason, the capture part 303 can smoothly move along the body 301 and the connection part 302 to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수용부(305)는 포획 영역(A)에 대응하도록 포획부(303)의 일부에 연결되어, 수용 공간(B)을 형성한다. 동물은 포획 영역(A)을 통해 수용 공간(B)에 수용되어 포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305)의 일부(A')(이하에서는 개폐 영역(A')이라고 한다)는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 영역(A')은 포획 영역(A)과 마주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물은 동물은 수용 공간(B)에 수용되었다가 수용부(305)의 개폐 영역(A')을 통해 해방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ortion 305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catching portion 303 to correspond to the catching area (A), thereby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B). The animal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B) through the capture area (A) and maintained in a captured state. In addition, a part 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ning/closing area A') of the receiving portion 305 may be opened and closed. Here, the opening/closing area A' may face the capturing area A. Due to this, the animal may be releas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area A' of the accommodation part 305 after the animal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

또한, 수용부(305)는 수용 몸체(351), 개폐부(353), 개폐 제어부(355) 및 개폐 연결부(357)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305 includes a receiving body 351 , an opening/closing unit 353 , an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5 , and an opening/closing connection unit 357 .

수용 몸체(351)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되, 포획 영역(A)을 따라 포획부(303)의 일부에 연결되어 포획부(303)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수용 몸체(351)는 개방된 형태의 개폐 영역(A')을 갖는 수용 공간(B)을 형성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body 351 is made in the form of a mesh and is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catch portion 303 along the capture area A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catch portion 303 . Here, the accommodating body 351 may form an accommodating space (B) having an open/closed area (A') of an open shape.

개폐부(353)는 줄 형태로 이루어지되, 개폐 영역(A)을 따라 수용 몸체(351)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여기서, 개폐부(353)의 양종단부는 상호 간에 겹쳐질 수 있고, 수용 몸체(351)는 개폐부(35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수용 몸체(351)가 개폐부(353)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개폐 영역(A')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53 is formed in the form of a line, and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accommodation body 351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A). Here, both end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53 may overlap each other, and the receiving body 351 may be moved alo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53 . As the accommodation body 351 moves along the opening/closing part 353, the size of the opening/closing area A' may be adjusted.

개폐 제어부(355)는 수용 공간(B)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개폐부(353)에 결합되어 개폐부(35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개폐부(353)가 수용 몸체(351)에 설치되고 개폐부(353)의 양종단부가 상호 간에 겹쳐진 상태에서, 개폐부(353)의 양종단부는 개폐 제어부(355)를 관통한다. 여기서, 개폐 제어부(353)는 개폐부(353) 상에 고정될 수 있고, 개폐부(35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5 may be coupled to the opening/closing unit 353 so as to be located outside the accommodation space B and move along the opening/closing unit 353 . In a state where the opening/closing part 353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body 351 and both ends of the opening/closing part 353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both ends of the opening/closing part 353 pass through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5 . Here,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3 may be fixed on the opening/closing unit 353 and may move along the opening/closing unit 353 .

개폐 제어부(355)가 상호 간에 겹쳐진 개폐부(353)의 양종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개폐부(353)는 점점 감소되는 개폐 영역(A')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개폐 제어부(355)가 상호 간에 겹쳐진 개폐부(353)의 양종단으로부터 근접할수록, 개폐부(353)는 점점 증가되는 개폐 영역(A')을 형성할 수 있다. 개폐 제어부(355)는 개폐부(353)에 고정됨으로써 개폐 영역(A')을 형성된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As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5 moves away from both ends of the mutually overlapping opening/closing unit 353, the opening/closing unit 353 may form an opening/closing area A' that gradually decreases. Meanwhile, as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5 approaches from both ends of the overlapping opening/closing unit 353, the opening/closing unit 353 may form an opening/closing area A' that gradually increases.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5 may be fixed to the opening/closing unit 353 to maintain the opening/closing area A' in a formed size.

또한, 개폐 제어부(355)는 제어 하우징(355a), 제어 몸체(355b), 밀착 몸체(355c) 및 이동 몸체(355d)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5 includes a control housing (355a), a control body (355b), a close contact body (355c) and a moving body (355d).

제어 하우징(355a)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간에 겹쳐진 개폐부(353)의 양종단부는 제어 하우징(355a)을 관통한다.The control housing 355a has a cylindrical shape, and both ends of the opening/closing parts 353 overlapping each other pass through the control housing 355a.

제어 하우징(355a)의 상면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어 공간(355a1)이 형성되고, 제어 공간(335a1)의 내측면 상단에는 제어 하우징(355a)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어 스토퍼(355a2)가 돌출 형성된다.A control space 355a1 having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housing 355a, and a control stopper 355a2 protrud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rol housing 355a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rol space 335a1. .

제어 하우징(355a)의 측면에는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한 쌍의 개폐 관통홀(355a3)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개폐 관통홀(355a3)들은 제어 스토퍼(355a2)에 인접하면서 제어 스토퍼(355a2)의 하측에 형성된다. 개폐부(353)의 양종단부는 겹쳐진 상태로 개폐 관통홀(355a3)들을 동시에 관통한다.A pair of opening/closing through-holes 355a3 are formed in side surfaces of the control housing 355a to face each other. Here, the opening/closing through-holes 355a3 are formed adjacent to the control stopper 355a2 and below the control stopper 355a2. Both end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53 simultaneously penetrate the opening and closing through-holes 355a3 in an overlapping state.

제어 하우징(355a)의 하면에는 이동 연결홀(355a4)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동 연결홀(355a4)은 제어 하우징(355a)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다.A movable connection hole 355a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housing 355a. Here, the movable connection hole 355a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housing 355a.

제어 몸체(355b)는 제어 공간(355a1)에 수용되어 제어 공간(355a1)의 바닥면과 제어 스토퍼(355a2) 사이에서 제어 공간(355a1)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제어 몸체(355b)는 제어 공간(355a1)에 상응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body 355b is accommodated in the control space 355a1 and is vertically movable along the control space 355a1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 space 355a1 and the control stopper 355a2. Here, the control body (355b)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pace (355a1).

또한, 제어 몸체(355b)의 상면에는 개폐 관통홀(355a3)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 연결홈(355b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어 연결홈(355b1)이 개폐 관통홀(355a3)에 연결될 때, 제어 연결홈(355b1)의 하단은 개폐 관통홀(355a3)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rol connection groove 355b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body 355b to be connected to the opening/closing through-hole 355a3. Here, when the control connection groove 355b1 is connected to the opening/closing through-hole 355a3,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connection groove 355b1 may be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opening/closing through-hole 355a3.

개폐부(353)의 양종단부는 겹쳐진 상태로 개폐 관통홀(355a3)들을 동시에 관통할 때, 제어 연결홈(355b1)에 삽입될 수 있다.When both ends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53 pass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through-holes 355a3 in an overlapping state at the same time, they may be inserted into the control connection groove 355b1.

밀착 몸체(355c)는 제어 공간(355a1)에 수용되어 제어 공간(355a1)의 바닥면과 제어 몸체(355b) 사이에 위치되어, 제어 몸체(355b)를 제어 스토퍼(355a2)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개폐부(353)가 개폐 관통홀(355a3)들을 관통하고 제어 연결홈(355b1)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착 몸체(355c)는 제어 몸체(355b)를 이용하여 개폐부(353)를 제어 스토퍼(355a2)에 밀착시킨다. 이로 인해, 개폐부(353)는 제어 하우징(355a)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개폐부(353)를 잡아당겨 제어 하우징(355a)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The close contact body 355c is accommodated in the control space 355a1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 space 355a1 and the control body 355b, to closely contact the control body 355b to the control stopper 355a2. Here,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53 penetrates the opening and closing through-holes 355a3 and is inserted into the control connection groove 355b1, the contact body 355c uses the control body 355b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53 with a control stopper ( 355a2). Due to this, the opening/closing part 353 may be fix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housing 355a. Meanwhile, the operator may move the opening/closing part 353 with respect to the control housing 355a by pulling it.

이동 몸체(355d)는 제어 하우징(355a)의 이동 연결홀(355a4)을 통해 제어 몸체(355b)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몸체(355b)가 제어 스토퍼(355a2)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 몸체(355d)는 제어 몸체(355b)를 제어 스토퍼(355a2)로부터 이격시키고, 밀착 몸체(355c)를 압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353)는 제어 하우징(355a)에 대하여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The movable body 355d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body 355b through the movable connection hole 355a4 of the control housing 355a.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body 355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rol stopper 355a2 , the movable body 355d may separate the control body 355b from the control stopper 355a2 and compress the contact body 355c. Here, the opening/closing part 353 may be easily mov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housing 355a.

개폐 연결부(357)는 개폐부(353)의 양종단을 연결하고, 수용 몸체(351)와 개폐 제어부(355) 사이의 개폐부(353) 상에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된다. 개폐 연결부(357)는 개폐부(353)를 개폐 제어부(355)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connection unit 357 connects both ends of the opening/closing unit 353 and is movably located on the opening/closing unit 353 between the receiving body 351 and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5 . The opening/closing connection unit 357 may prevent the opening/closing unit 35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5 .

한편, 개폐 영역(A')이 폐쇄된 상태에서, 수용 몸체(351)는 개폐부(353)의 일부에만 집중적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개폐 연결부(357)는 수용 몸체(351)에 접촉되고, 개폐 제어부(355)는 개폐 연결부(357)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개폐 영역(A')은 견고하게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area A' is closed, the accommodation body 351 is intensively located only in a part of the opening/closing part 353 . Here, the opening/closing connection part 357 may be in contact with the accommodation body 351 , and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5 may be in contact with the opening/closing connection part 357 . Due to this, the opening/closing area A' may be firmly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또한, 개폐부(353)에서 수용 몸체(351)가 위치되는 부분이 증가되면, 개폐 영역(A')의 크기는 증가될 수 있고, 개폐 제어부(335)는 개폐 영역(A')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동물은 수용부(305)의 수용 공간(B)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개폐 영역(A')을 통해 해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rtion where the receiving body 351 is loca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53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A' may be increas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335 may maintain the size of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A'. can The animal may be releas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area A' formed in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 of the accommodation unit 305 .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300)의 포획부(303)는 몸체(301) 및 연결부(302)를 관통한 상태에서 소정의 영역을 형성하면서 제 1 종단에서 설치된 보조 연결부(331) 및 제 2 종단에 설치된 보조 스토퍼(33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연결부(331)는 제 1 몸체(311)에 연결된 연결부(302)에 연결되고, 보조 스토퍼(333)는 제 2 몸체(313)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300)에서 포획부(303)는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보조 연결부(331) 및 보조 스토퍼(333)에 의해 몸체(301) 및 연결부(302)를 관통한 상태에서 몸체(301) 및 연결부(302)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The catching part 303 of the animal catching device 300 of this embodiment passes through the body 301 and the connection part 302 and forms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331 and the second terminal installed at the first end. It may include an auxiliary stopper 333 installed in th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33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302 connected to the first body 311 , and the auxiliary stopper 333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313 . For this reason, i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pping part 303 adjusts the size of the trapping area A, and the body 301 and the connection part 302 by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331 and the auxiliary stopper 333. )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body 301 and the connection part 302 in a state of being penetrated.

또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301)에서 몸체(301)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몸체(311)와 제 2 몸체(313)를 연결 몸체(315)를 통해 연결한다. 여기서, 제 1 몸체(311)는 연결 몸체(315)에 고정되고, 제 2 몸체(313)는 연결 고정부(317)에 의해 연결 몸체(315)에 고정되기도 하고 연결 몸체(3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제 2 몸체(313)는 연결 몸체(315)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 1 몸체(311)와 포개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포획부(303)는 와이어 형태로 존재하면서 제 1 몸체(311)와 제 2 몸체(313)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300)는 용이하게 휴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30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301 connects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in the shape of a pipe through the connecting body 315 . Here, the first body 311 is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315 , and the second body 313 is also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315 by the connection fixing part 317 and is to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315 . can In particular, the second body 313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the first body 311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315 . Here, the catcher 303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311 and the second body 313 while being in the form of a wire. Accordingly, the animal capture devic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carried.

또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300)에서 포획부(303)는 몸체(301) 및 연결부(302)를 관통한 상태에서 몸체(301) 및 연결부(3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포획부(303)의 보조 연결부(331)가 연결부(302)에 연결되어, 동물 포획 기구(300)에는 포획 영역(A)이 형성된다. 포획부(303)는 몸체(301) 및 연결부(302)를 따라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tch part 303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301 and the connection part 302 while passing through the body 301 and the connection part 302 . 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331 of the capture part 30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302 , and the capture area A is formed in the animal capture device 300 . The capture part 303 may move along the body 301 and the connection part 302 to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포획부(303)가 동물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포획 영역(A)을 형성하고, 수용부(305)에서 수용 몸체(351)는 개폐부(353)의 일부에만 집중적으로 위치되어 개폐 영역(A')은 폐쇄되며, 개폐 연결부(357)는 수용 몸체(351)에 접촉되고, 개폐 제어부(355)는 개폐 연결부(357)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동물은 포획 영역(A)을 통해 수용 공간(B)에 수용되고 수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동물이 수용 공간(B)에 수용된 상태에서, 개폐부(353)에서 수용 몸체(351)가 위치되는 부분이 증가되면, 개폐 영역(A')의 크기는 증가될 수 있고, 개폐 제어부(335)는 개폐 영역(A')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동물은 수용부(305)의 수용 공간(B)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개폐 영역(A')을 통해 해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300)는 다양한 크기의 동물을 포획하고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포획된 동물을 손쉬우면서 안정적으로 해방시킬 수 있다.The catching part 303 forms a catching area A having a size in which an animal can be inserted, and the accommodating body 351 in the accommodating part 305 is intensively located only in a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53 to the opening and closing area A ') is closed, the opening/closing connection part 357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body 351 , and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55 may be in contact with the opening/closing connection part 357 . Here, the animal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 through the capture area (A) and maintained in the accommodated state.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animal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 if the portion where the accommodation body 351 is located in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353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opening/closing area A' may be increased, and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35 ) may maintain the size of the opening/closing area A'. The animal may be releas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area A' formed in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 of the accommodation unit 305 . Therefore,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apture and stably protect animals of various sizes, and can easily and stably release the captured animals.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300)에서 안내부(304)는 포획 영역(A)을 형성하는 포획부(303)의 일부를 감싸도도록 연결부(302)에 연결된다. 여기서, 안내부(304)는 몸체(301) 및 연결부(302)를 관통한 와이어 형태의 포획부(303)를 꼬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300)에서 포획부(303)는 안내부(304)에 의해 안정적으로 포획 영역(A)을 형성할 수 있고,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I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300 of this embodiment, the guide 30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302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catch 303 forming the capture area A. Here, the guide part 304 may prevent the body 301 and the wire-shaped catch part 303 penetrating the connection part 302 from being twisted. For this reason, i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pture part 303 can stably form the capture area A by the guide 304, and it is easy to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can be moved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5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imal capture device 5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동물 포획 기구(500)는 몸체(501), 연결부(502), 포획부(503), 안내부(504) 및 보호부(506)를 포함하고, 폐쇄된 포획 영역(A)을 통해 동물을 포획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animal trapping device 5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501 , a connection part 502 , a catch part 503 , a guide part 504 , and a protection part 506 . ) and can be used to capture animals through a closed capture area (A).

몸체(501)는 금속 재질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폭보다 현저하게 큰 길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몸체(501)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파이프 형상, 삼각형 파이프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501 is made of a metal pipe shape, and has a length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width. Although the body 501 of this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a circular pipe shap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ipe shape, a triangular pipe shape, or the like.

또한, 몸체(501)는 제 1 몸체(511), 제 2 몸체(513), 연결 몸체(515), 연결 고정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501 may include a first body 511 , a second body 513 , a connection body 515 , and a connection fixing part 517 .

제 1 몸체(511)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몸체(511)의 제 1 종단부는 구체적으로 후술될 연결부(50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The first body 511 has a pipe shape. The first end portion of the first body 511 is inserted and fixed in a connection portion 502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제 2 몸체(513)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몸체(513)는 제 1 몸체(511)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되고, 제 1 몸체(511)의 제 2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The second body 513 has a pipe shape. The second body 513 is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first body 511 and is positioned to face the second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body 511 .

연결 몸체(515)는 제 1 몸체(511)와 제 2 몸체(513)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몸체(511)와 제 2 몸체(513)를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 몸체(515)도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몸체(511) 및 제 2 몸체(513)의 길이보다 현저하게 짧은 길이를 갖는다.The connecting body 515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511 and the second body 513 , and connects the first body 511 and the second body 513 . Here, the connecting body 515 is also made in a pipe shape, and has a length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e lengths of the first body 511 and the second body 513 .

제 1 몸체(511)의 제 2 종단부 및 제 2 몸체(513)의 제 1 종단부가 연결 몸체(515)에 삽입되어, 제 1 몸체(511) 및 제 2 몸체(513)는 연결 몸체(515)에 결합된다. 또한, 연결 몸체(515)는 제 1 몸체(51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몸체(513)와는 상호 간에 분리가능하다.The second end of the first body 511 and the first end of the second body 513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ody 515 so that the first body 511 and the second body 513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ody 515 . ) is bound to In addition, the connecting body 515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511 ,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513 .

한편, 연결 몸체(515)에는 복수 개의 결합 보조홈(515a)들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결합 보조홈(515a)들은 각각 제 2 몸체(513)에 대응되는 연결 몸체(515)의 종단면에서 연결 몸체(515)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연결 몸체(515)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결합 보조홈(515a)들은 연결 몸체(515)에 삽입된 제 2 몸체(513)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coupling auxiliary grooves 515a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body 515 . A plurality of coupling auxiliary grooves (515a) are respectively formed to conne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515)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51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dy (513),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515) is formed along In addition,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s 515a may be positioned around the second body 513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515 .

연결 고정부(517)는 연결 몸체(515)의 외주면 상에서 연결 몸체(515)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 보조홈(515a)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제 2 몸체(513)는 연결 몸체(515)에 삽입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 고정부(517)에 의해 연결 몸체(515)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거나 연결 몸체(515)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fixing part 517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s 515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515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515 . The second body 513 may be maintained in a detachable state from the connection body 515 by the connection fixing part 517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515 and connected, or may be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515 . .

또한, 연결 고정부(517)는 결합 보조홈(515a)들 각각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제 2 몸체(513)가 연결 몸체(5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고정부(517)가 결합 보조홈(515a)의 폭을 감소시키면, 연결 몸체(515)은 제 2 몸체(513)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제 2 몸체(513)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제 2 몸체(513)는 연결 몸체(515)에 고정된다. 한편, 연결 몸체(515)의 내주면이 제 2 몸체(51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연결 고정부(517)가 결합 보조홈(515a)의 폭을 증가시키면, 연결 몸체(515)와 제 2 몸체(513) 사이는 느슨해져 제 2 몸체(513)는 연결 몸체(5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fixing part 517 can adjust the width of eac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s (515a). When the second body 513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515 and the connection fixing part 517 reduces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515a, the connection body 515 is the second body 513 of By press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econd body 513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Here, the second body 513 is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515 .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51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513, when the connecting fixing part 517 increases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515a, the connecting body 515 and the first The space between the two bodies 513 is loosened, so that the second body 513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515 .

상기와 같은 연결 고정부(517)는 고정 몸체(517a), 몸체 연결부(517b) 및 고정 제어부(517c)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fixing part 517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fixing body 517a, a body connection part 517b and a fixing control part 517c.

고정 몸체(517a)는 연결 몸체(515)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구부러진다. 여기서, 고정부 몸체(517a)의 양종단부는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이격된다. 이러한 고정 몸체(517a)는 결합 보조홈(515a)에 대응하도록 연결 몸체(515)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 몸체(515)의 외주면 상에 위치된다.The fixed body 517a is bent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515 . Here,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xing body 517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facing each other. This fixed body (517a)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515)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ody (515)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515a).

몸체 연결부(517b)는 고정 몸체(517a)의 양종단부를 관통하여 고정 몸체(517a)의 양종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몸체 연결부(517b)는 볼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몸체 연결부(517b)의 제 1 종단부는 볼트 헤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dy connecting portion 517b penetrates both ends of the fixed body 517a and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xed body 517a. Here, the body connection part 517b may be formed in a bolt shape, and the first end of the body connection part 517b may be formed in a bolt head shape.

고정 제어부(517c)는 몸체 연결부(517b)에 연결되어 회동된다. 여기서, 고정 제어부(517c)는 고정 몸체(517a)에 근접하거나 고정 몸체(517a)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고, 고정 몸체(517a)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xed control part 517c is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ion part 517b and rotates. Here, the fixed control unit 517c may be rotated so as to be close to or away from the fixed body 517a, and ma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xed body 517a.

고정 제어부(517c)가 고정 몸체(517a)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위치되면, 제 2 몸체(513)는 연결 몸체(5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제어부(517c)가 고정 몸체(517a)에 근접하도록 회동되어, 고정 몸체(517a)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면, 고정 몸체(517a)는 연결 몸체(515)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결합 보조홈(515a)의 폭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제 2 몸체(513)는 연결 몸체(515)에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fixed control unit 517c is positioned away from the fixed body 517a, the second body 513 can be easily separ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ody 515 . Here, when the fixed control unit 517c is rotated to be close to the fixed body 517a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xed body 517a is reduced, the fixed body 517a is pressed while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515 . Reduce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515a). Due to this, the second body 513 may be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515 .

한편, 제 2 몸체(513)가 연결 몸체(515)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제어부(517c)가 고정 몸체(517a)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되어, 고정 몸체(517a)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면, 고정 몸체(517a)와 연결 몸체(515) 사이는 느슨해지고 결합 보조홈(515a)의 폭은 증가된다. 이로 인해, 제 2 몸체(513)는 연결 몸체(5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513 is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515, the fixed control unit 517c is rotated away from the fixed body 517a, so that when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xed body 517a increases, , between the fixing body (517a) and the connecting body (515) is loosened and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515a) is increased. Due to this, the second body 513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515 .

또한, 몸체(501)는 몸체 스토퍼(51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몸체 스토퍼(519)는 제 2 몸체(513)의 제 2 종단면에 삽입되어 제 2 몸체(513)에 결합된다. 여기서, 몸체 스토퍼(519)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몸체(513)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갖고, 제 2 몸체(513)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후술될 포획부(503)는 몸체 스토퍼(519)의 양종단면을 관통하여 몸체 스토퍼(519)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Also, the body 501 may further include a body stopper 519 . The body stopper 519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econd body 513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513 . Here, the body stopper 519 is made of a pipe shape,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513, has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513). Specifically, the catch portion 50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oved along the body stopper 519 through both longitudinal cross-sections of the body stopper 519 .

연결부(502)는 몸체(501), 특히 제 1 몸체(511)의 제 1 종단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연결부(502)는 종단면을 통해 몸체(501)에 연결되고, 연결부(502)의 종단면은 몸체(501)의 종단면보다 크다.The connection part 502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body 501 , in particular the first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body 511 . Here, the connecting portion 502 is connected to the body 501 through a longitudinal cross-section, and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502 is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body 501 .

연결부(502)의 측면에는 연결 공간(502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공간(502a)은 부분적으로 개방된 내측면을 가짐으로써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몸체(501)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connection space 502a may be concavely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502 . As shown, the connection space 502a may be formed in a 'C' shape by having a partially open inner surface, and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body 501 .

또한, 연결부(502)는 연결 바아(52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바아(521)는 연결부(502)에서 연결 공간(502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고, 연결 공간(502a)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바아(521)는 연결 공간(502a)에 삽입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는 연결 공간(502a)의 내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502 may include a connecting bar 521 . The connection bar 521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connection space 502a in the connection part 502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502a. The connection bar 521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502a to connect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ion space 502a facing each other.

포획부(503)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포획부(503)는 몸체(501) 및 연결부(502)를 관통하여 몸체(5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몸체(5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포획부(503)는 연결부(502)에 연결되어 포획 영역(A)을 폐쇄되도록 형성하고, 몸체(5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catching part 50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wire made of a metal material. Here, the catching portion 503 passes through the body 501 and the connecting portion 502 , is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501 , and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501 . The catching portion 50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502 to close the catching region (A), and the size of the catching region (A) can be adjusted by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501).

또한, 포획부(503)는 보조 연결부(531) 및 보조 스토퍼(53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ch part 503 may include an auxiliary connection part 531 and an auxiliary stopper 533 .

보조 연결부(531)는 포획부(503)의 제 1 종단에 형성되어, 소정의 영역을 폐쇄된 형태로 형성한다. 여기서, 보조 연결부(531)는 와이어 형태의 포획부(503)의 제 1 종단부가 겹쳐지면서 소정의 영역을 형성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531 is formed at the first end of the catch part 503 to form a predetermined area in a closed shape. 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531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redetermined area is formed while the first end of the wire-shaped catch part 503 overlaps.

보조 연결부(531)가 연결 공간(502a)에 삽입되고, 연결 바아(521)는 보조 연결부(531)를 관통하여 상호 간에 마주하는 연결 공간(502a)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연결부(531)는 연결 공간(502a)에 삽입되어 관통된 연결 바아(521)에 걸린 형태로 연결부(50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포획부(503)는 연결부(502)와 조합하여 폐쇄된 형태의 포획 영역(A)을 형성하고 유지될 수 있다.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531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space 502a, and the connecting bar 521 may be positioned to pass through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531 to connect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spaces 502a facing each other. 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53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502 in a form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502a and hung on the through connection bar 521 . In addition, the catch 503 may be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502 to form and hold the closed form of the capture area A.

보조 스토퍼(533)는 포획부(503)의 제 2 종단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스토퍼(533)의 외경은 몸체 스토퍼(519)의 내경보다 크다. 보조 스토퍼(533)는 몸체 스토퍼(519)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몸체(501)에서 제 2 몸체(513)가 연결 몸체(515)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제 2 몸체(513)는 보조 스토퍼(533)에 의해 포획부(503)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The auxiliary stopper 533 may be installed at the second end of the catch part 503 . 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stopper 533 is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stopper (519). The auxiliary stopper 533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body stopper 519 . Even if the second body 513 in the body 501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515 , the second body 513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catch part 503 by the auxiliary stopper 533 .

보조 연결부(531)가 연결부(502)에 연결된 상태에서, 보조 스토퍼(533)는 몸체(501), 특히 몸체 스토퍼(519)에 근접하도록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에, 보조 스토퍼(533)는 몸체 스토퍼(519)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With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531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502 , the auxiliary stopper 533 may move closer to the body 501 , in particular the body stopper 519 , to increase the size of the trapping area A .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stopper 533 may move away from the body stopper 519 to reduce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안내부(504)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연결부(50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부(504)의 내경은 포획부(503)의 외경에 상응하고, 포획 영역(A)을 형성하는 포획부(503)의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된다. 포획부(503)는 몸체(501) 및 연결부(502)를 관통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 안내부(504)에 의해 꼬이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포획부(503)는 몸체(501) 및 연결부(502)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guide part 504 is made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502 . Here,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504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atch portion 503 and is position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catch portion 503 forming the capture area A. The catch part 503 may not be twisted by the guide part 504 when moving through the body 501 and the connection part 502 . For this reason, the capture part 503 can smoothly move along the body 501 and the connection part 502 to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보호부(506)는 포획 영역(A)을 형성한 포획부(503)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여기서, 보호부(506)는 포획부(503)의 제 1 종단의 보조 연결부(531)와 연결부(502) 사이에 위치된다. 동물, 특히 동물의 목 부분이 포획 영역(A)에 삽입된 상태에서, 포획부(503)는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하여, 보호부(506)를 동물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보호부(506)가 동물에 접촉된 상태에서 포획부(503)가 포획 영역(A)의 크기를 감소시킬 때, 보호부(506)는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물의 목 부분이 포획 영역(A)에 삽입된 경우, 동물은 포획부(503)에 의해 질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보호부(506)는 보호 탄성체(561) 및 보호 몸체(5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ection part 506 is loc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catch part 503 which forms the capture area A. Here, the protection part 506 is positioned between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531 of the first end of the catch part 503 and the connection part 502 . In a state in which the animal, particularly the neck portion of the animal, is inserted into the capture area A, the capture unit 503 may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so that the protection unit 50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nimal. When the capturing unit 503 reduces the size of the capturing region A while the protecting unit 506 is in contact with the animal, the protecting unit 506 may be deformed. Due to this, when the neck portion of the animal is inserted into the capture region A, the animal may not be choked by the capture portion 503 . Also, the protection unit 506 may include a protection elastic body 561 and a protection body 563 .

보호 탄성체(56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보호 연결부(531)와 연결부(502) 사이의 포획부(503)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각각의 보호 탄성체(561)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고, 포획부(503)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포획부(50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와선(spiral)을 형성한다. 이러한 보호 탄성체(561)는 탄성을 갖기에 변형되고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is made of a plurality, and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atch portion 503 between the protective connecting portion 531 and the connecting portion 502 . Here, each protective elastic body 56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tch part 503 to form a spir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tch part 503 . Since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has elasticity, it can be deform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한편, 안내부(504)는 보호 탄성체(561)를 통과하여 보호 탄성체(561)와 교차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보호 탄성체(561)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안내부(504)는 보호 탄성체(561)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504 may pass through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and be positioned to intersect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 and may not interfere with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 Here, the guide 504 may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

보호 몸체(563)는 보호 연결부(531)와 연결부(502) 사이의 포획부(503)의 둘레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보호 탄성체(561)를 둘러싼다. 여기서, 보호 몸체(563)는 고무, 합성 수지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튜브일 수 있다. 동물의 목 부분이 포획 영역(A)에 삽입된 경우, 동물의 목 부분은 포획부(503)에 접촉되지 않고 보호 몸체(563)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동물의 목 부분에는 포획부(503)로 인한 상처가 생기지 않을 수 있다.The protective body 563 is positio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tch portion 503 between the protective connecting portion 531 and the connecting portion 502 to surround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 Here, the protective body 563 may be a tu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ynthetic resin. When the neck portion of the animal is inserted into the capture region A, the neck portion of the animal is in contact with the protective body 563 without contacting the capture portion 503 . Due to this, the neck portion of the animal may not be damaged due to the capture unit 503 .

한편, 보호 몸체(563)가 동물의 목 부분에 접촉된 상태에서 포획부(503)가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점점 감소시킬 때, 포획부(503)와 동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보호 탄성체(561)는 포획부(503)에 근접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동물의 목 부분은 포획부(503)에 의해 조여지지 않아 질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보호 몸체(563)가 동물의 목 부분에 접촉된 상태에서 포획부(503)가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점점 증가시킬 때, 보호 탄성체(561)는 변형된 상태로부터 포획부(503)로부터 멀어지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atching part 503 gradually decreases the size of the catching area A while the protective body 563 is in contact with the animal's neck, the protective elastic body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tching part 503 and the animal. 561 can be deformed to proximate catch 503 . Here, the neck of the animal may not be suffocated because it is not tightened by the catcher 503 . In addition, when the catching part 503 gradually increases the size of the catching area A while the protective body 563 is in contact with the neck of the animal,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moves from the deformed state to the catching part 503 . ) and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또한, 안내부(504)는 보호 몸체(563)에 삽입되어 보호 몸체(563)에 둘러싸일 수 있다. 동물은 포획 영역(A)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내부(504)에 직접 접촉되어, 안내부(504)는 동물에 상처를 내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504 may be inserted into the protection body 563 and surrounded by the protection body 563 . The animal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guide 504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apture area A, so that the guide 504 may not hurt the animal.

상기와 같은 보호부(506)는 하기와 같이 동물 포획 기구(500)에 설치될 수 있다.The protection unit 506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in the animal capture device 500 as follows.

포획부(503)가 보호 탄성체(561)의 중심을 관통하여 위치되고, 보호 탄성체(561)의 일 종단이 포획부(503)의 외주면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보호 탄성체(561)는 포획부(503)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포획부(50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와선을 형성할 수 있다.The catching portion 503 is positioned through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 and one end of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is welded and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tching part 503 . Here,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may exten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tch part 503 to form a spiral lin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tch part 503 .

보호 몸체(563)는 고무, 합성 수지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보호 탄성체(561)를 수용하도록 포획부(503)를 둘러쌀 수 있다. 여기서, 시트 형상의 보호 몸체(564)의 양측 종단은 접합되어 튜브 형상의 보호 몸체(563)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몸체(563)는 보호 탄성체(561)를 수용하면서 포획부(503)의 둘레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e protective body 563 may surround the catch portion 503 to accommodate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in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body 563 is formed in a sheet shap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ynthetic resin. Here, both ends of the sheet-shaped protective body 564 may be joined to form a tube-shaped protective body 563 . The protective body 563 may be maintained in a state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tch portion 503 while receiving the protective elastic body 561 .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500)의 포획부(503)는 몸체(501) 및 연결부(502)를 관통한 상태에서 소정의 영역을 형성하면서 제 1 종단에서 설치된 보조 연결부(531) 및 제 2 종단에 설치된 보조 스토퍼(53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연결부(531)는 제 1 몸체(511)에 연결된 연결부(502)에 연결되고, 보조 스토퍼(533)는 제 2 몸체(513)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500)에서 포획부(503)는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보조 연결부(531) 및 보조 스토퍼(533)에 의해 몸체(501) 및 연결부(502)를 관통한 상태에서 몸체(501) 및 연결부(502)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The catching part 503 of the animal catching device 500 of this embodiment penetrates the body 501 and the connection part 502 and forms a predetermined area while forming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531 and the second terminal part installed at the first end. It may include an auxiliary stopper 533 installed in the.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53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502 connected to the first body 511 , and the auxiliary stopper 533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513 . For this reason, in the animal catching mechanism 500 of this embodiment, the catching part 503 adjusts the size of the catching area A, and the body 501 and the connection part 502 by the auxiliary connection part 531 and the auxiliary stopper 533 )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body 501 and the connection part 502 in a state of being penetrated.

또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501)에서 몸체(501)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몸체(511)와 제 2 몸체(513)를 연결 몸체(515)를 통해 연결한다. 여기서, 제 1 몸체(511)는 연결 몸체(515)에 고정되고, 제 2 몸체(513)는 연결 고정부(517)에 의해 연결 몸체(515)에 고정되기도 하고 연결 몸체(51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제 2 몸체(513)는 연결 몸체(515)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제 1 몸체(511)와 포개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포획부(503)는 와이어 형태로 존재하면서 제 1 몸체(511)와 제 2 몸체(513)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500)는 용이하게 휴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50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dy 501 connects the first body 511 and the second body 513 in the shape of a pipe through the connecting body 515 . Here, the first body 511 is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515 , and the second body 513 is also fixed to the connection body 515 by the connection fixing part 517 and is to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515 . can In particular, the second body 513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the first body 511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body 515 . Here, the catch part 503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511 and the second body 513 while being in the form of a wire. Accordingly, the animal capture device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carried.

또한,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500)에서 포획부(503)는 몸체(501) 및 연결부(502)를 관통한 상태에서 몸체(501) 및 연결부(5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포획부(503)의 보조 연결부(531)가 연결부(502)에 연결되어, 동물 포획 기구(500)에는 포획 영역(A)이 형성된다. 포획부(503)는 몸체(501) 및 연결부(502)를 따라 이동하여,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rapping part 503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501 and the connection part 502 while passing through the body 501 and the connection part 502 . Here,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531 of the capturing unit 50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unit 502 , and the capturing region A is formed in the animal capturing device 500 . The capture part 503 may move along the body 501 and the connection part 502 to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예를 들어, 포획부(503)는 동물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포획 영역(A)을 형성한다. 동물이 포획 영역(A)에 삽입된 상태에서, 포획부(503)의 보조 스토퍼(533)가 몸체(501)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겨지면, 포획 영역(A)의 크기는 감소되고, 포획 영역(A)에 삽입된 동물은 포획부(503)에 접촉되어 이동을 제한받게 될 수 있다. 여기서, 포획부(503)의 보조 스토퍼(533)가 몸체(501)에 근접하도록 이동되면, 포획 영역(A)의 크기는 증가되고, 포획부(503)는 동물로부터 멀어져, 동물은 포획 영역(A)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획 영역(A)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기에,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500)는 다양한 크기의 동물을 포획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포획된 동물을 손쉽게 해방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apture part 503 forms the capture area A with a size into which an animal can be inserted. When the auxiliary stopper 533 of the capture unit 503 is pulled away from the body 501 while the animal is inserted into the capture area A,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decreases, and the capture area A ), the inserted animal may be in contact with the capture unit 503 to be restricted in movement. Here, when the auxiliary stopper 533 of the catcher 503 is moved to be closer to the body 501,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increases, and the catch 503 moves away from the animal, and the animal moves to the capture area ( A) can be liberated from Since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can be adjusted as described above, the animal capture device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to capture animals of various sizes, and the captured animals can be easily released.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500)에서 안내부(504)는 포획 영역(A)을 형성하는 포획부(503)의 일부를 감싸도도록 연결부(502)에 연결된다. 여기서, 안내부(504)는 몸체(501) 및 연결부(502)를 관통한 와이어 형태의 포획부(503)를 꼬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동물 포획 기구(500)에서 포획부(503)는 안내부(504)에 의해 안정적으로 포획 영역(A)을 형성할 수 있고, 포획 영역(A)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I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500 of this embodiment, the guide 50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502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catch 503 forming the capture area A. As shown in FIG. Here, the guide portion 504 may prevent the catching portion 503 in the form of a wire passing through the body 501 and the connection portion 502 from being twisted. For this reason, in the animal trapping device 500 of this embodiment, the capture part 503 can stably form the capture area A by the guide part 504, and it is easy to adjust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A. can be moved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by the person.

100, 300, 500: 동물 포획 기구
101, 301, 501: 몸체
102, 302, 502: 연결부
103, 303, 503: 포획부
104, 304, 504: 안내부
305: 수용부
506: 보호부
100, 300, 500: animal capture device
101, 301, 501: body
102, 302, 502: connection part
103, 303, 503: catcher
104, 304, 504: information department
305: receptacle
506: protection unit

Claims (10)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복수 개로 분리가능한 몸체;
몸체의 제 1 종단면에 연결되고, 몸체의 종단면보다 큰 종단면을 갖는 연결부;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 및 연결부를 관통하여 몸체 및 연결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연결부의 측면에 연결되어 포획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포획부;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연결부에 연결되어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포획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되는 안내부; 및
포획 영역을 형성하는 포획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보호부를 포함하되,
동물이 포획 영역에 삽입되어 보호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포획부가 포획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켜, 보호부는 변형되고,
보호부는,
포획부의 제 1 종단과 연결부 사이의 포획부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각각 포획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포획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와선을 형성하며, 탄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보호 탄성체; 및
보호 탄성체를 둘러싸면서 포획부의 제 1 종단과 연결부 사이의 포획부를 따라 위치되는 보호 몸체를 포함하며,
동물은 포획 영역에 삽입되어 보호 몸체에 접촉될 수 있고,
동물이 포획 영역에 삽입되어 보호 몸체에 접촉된 상태에서, 포획부는 포획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켜 보호 탄성체는 포획부에 근접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기구.
Doedoe made of a pipe shape, a plurality of separable body;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body and having a longitudinal cross-section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body;
a catch part made in the form of a wire, movable along the body and the connection part through the body and the connection part, and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to form a trapping area;
a guide part made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positioned to surround a part of the catch part forming a capture area; and
a protection portion positio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capture portion defining the capture region;
In a state in which the animal is inserted into the capture area and contacted with the guard, the capture unit reduces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so that the guard is deformed;
protection department,
a plurality of protective elastic bodie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atch portion between the first end of the catch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each exten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tch portion to form a spiral lin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tch portion, and made of a metall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a protective body surrounding the protective elastic body and positioned along the catch portion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end of the catch portion;
the animal can be inserted into the capture area and contacted with the protectiv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animal is inserted into the capture area and in contact with the protective body, the capture portion reduces the size of the capture area so that the protective elastic body is deformed to be close to the captur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포획부의 제 1 종단에는 소정의 영역을 폐쇄한 형태로 형성하는 보조 연결부가 형성되며,
연결부의 측면에는 연결 공간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연결부는,
연결부에서 연결 공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되고, 연결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 바아를 포함하되,
포획부의 보조 연결부가 연결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바아는 연결 공간에 삽입되어 보조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호 간에 마주하는 연결 공간의 내측면을 연결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기구.
According to claim 1,
At the first end of the trapping part, an auxiliary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form a closed shape of a predetermined area,
A connection space is concavely form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connection part,
A connection bar position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connection space in the connection part and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of the catch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space, the connecting ba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space and positioned so as to pass through the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to connect inn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spaces facing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포획부의 제 2 종단에는 보조 스토퍼가 설치되고,
몸체는,
몸체의 제 2 종단면에 삽입되어 몸체에 결합되고, 포획부가 관통되는 몸체 스토퍼를 포함하되,
몸체 스토퍼의 외경은 몸체의 내경에 상응하고, 몸체 스토퍼의 내경은 보조 스토퍼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An auxiliary stopper is installed at the second end of the catch,
body,
A body stopper inserted into the second longitudinal section of the body, coupled to the body, and through which the catch part is penetrated,
An outer diameter of the body stopper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stopper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stopper.
제1항에 있어서, 몸체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종단부가 연결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 1 몸체;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몸체와 동일 직선 상에 위치되는 제 2 몸체; 및
제 1 몸체와 제 2 몸체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되,
제 2 몸체는 연결 몸체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기구.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A first body made of a pipe shape, the first e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is fixed;
a second body formed in a pipe shape and positioned on the same straight line as the first body; and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ncluding a connecting body connecting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second body is detachably connected from the connecting body.
제4항에 있어서,
제 2 몸체에 대응되는 연결 몸체의 종단면에서 연결 몸체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결하도록 연결 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 보조홈들이 형성되고,
몸체는,
연결 몸체의 외주면 상에서 연결 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 보조홈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제 2 몸체를 연결 몸체에 고정시키거나 연결 몸체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기구.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coupling auxiliary groov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to conne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dy are formed,
body,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od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fixing part for fixing the second body to the connection body or detachable from the connection body. animal capture apparatus.
제5항에 있어서, 연결 고정부는,
연결 몸체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구부러지고, 양종단부가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이격되는 고정 몸체;
고정 몸체의 양종단부를 관통하여 고정 몸체의 양종단부에 결합된 몸체 연결부; 및
몸체 연결부의 종단에 연결되어, 고정 몸체에 대하여 회동하여 고정 몸체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고정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 2 몸체가 연결 몸체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제어부는 고정 몸체에 근접하도록 회동하여 고정 몸체의 양종단부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고정 몸체로 연결 몸체를 가압하여 결합 보조홈의 폭을 감소시켜 제 2 몸체를 연결 몸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기구.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nection fixing portion,
a fixed body bent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both longitudinal ends thereof face each other;
a body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xed body through both end portions of the fixed body; and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ody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a fixed control unit for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nd portions of the fixed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ody, the fixed control unit rotates to be close to the fixed body to narrow the gap between both ends of the fixed body and press the connecting body with the fixed body to reduce the width of the coupling auxiliary groove to fix the second body to the connecting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안내부는 보호 탄성체의 중심에 삽입될 수 있고, 보호 몸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포획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elastic body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protective body.
KR1020190068538A 2019-06-11 2019-06-11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s KR102261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538A KR102261788B1 (en) 2019-06-11 2019-06-11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538A KR102261788B1 (en) 2019-06-11 2019-06-11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695A KR20200141695A (en) 2020-12-21
KR102261788B1 true KR102261788B1 (en) 2021-06-07

Family

ID=7409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538A KR102261788B1 (en) 2019-06-11 2019-06-11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7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8694A1 (en) * 2021-06-23 2022-12-29 Edward John Brice Animal sna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139B1 (en) 2012-08-30 2013-08-19 안성중 The collar of animal companion
JP2018191549A (en) 2017-05-15 2018-12-06 毅 難波 Screw lock type pushing spring trap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169B1 (en) * 1999-07-12 2002-02-27 박종현 A butterfly catcher
KR200448074Y1 (en) * 2008-03-21 2010-03-15 김진우 Animal restraining po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139B1 (en) 2012-08-30 2013-08-19 안성중 The collar of animal companion
JP2018191549A (en) 2017-05-15 2018-12-06 毅 難波 Screw lock type pushing spring trap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 "제일레스텍 경남 동물포획뜰채(JIA-060)(대)" (2016.04.18.) (Url : www.119rescue.co.kr/bbs/s3_4/250172)*
인터넷 게시물, "제일레스텍 경남 동물포획올무(JIA-070)" (2016.04.23.) (Url : www.119rescue.co.kr/bbs/s3_4/2501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695A (en) 202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10245A (en) Traps
US3942480A (en) Removable arthropod repellent device for attachment to the ear of an agricultural animal
WO2018144089A1 (en) Rodent trap
US20050274057A1 (en) Humane leg hold trap
KR102261788B1 (en)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s
KR200448074Y1 (en) Animal restraining pole
US20100031555A1 (en) Animal Trap
US20230116447A1 (en) Trap
NZ5299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rmination of pests
JP6355663B2 (en) Beast trap
US7921593B2 (en) Rodent trap having a snare
GB2300557A (en) Spring activated animal snare
US20180199548A1 (en) Break Away Animal Collar
US20160143263A1 (en) Apparatus for Capturing Game or Pests
KR101939909B1 (en) Harmful Animal capture device
US9781917B1 (en) Animal trap
US10051855B2 (en) Animal trap system
US5010682A (en) Animal trap
US20180132474A1 (en) Mousetrap apparatus
US2780885A (en) Fish bait holders
KR102338020B1 (en) Wild boar capture frame
DK2869695T3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 ANIMAL TARGET POSITION
US7461478B2 (en) Trap for burrowing animals
JP7391143B1 (en) Wild animal trapping equipment
US4918855A (en) Trap for catching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