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826B1 - Suppress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Suppress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826B1
KR102603826B1 KR1020220156352A KR20220156352A KR102603826B1 KR 102603826 B1 KR102603826 B1 KR 102603826B1 KR 1020220156352 A KR1020220156352 A KR 1020220156352A KR 20220156352 A KR20220156352 A KR 20220156352A KR 102603826 B1 KR102603826 B1 KR 102603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pturing
binding
unit
pu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3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두선
Original Assignee
신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두선 filed Critical 신두선
Priority to KR1020220156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826B1/en
Priority to PCT/KR2023/003427 priority patent/WO202411175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06Ballistically deployed systems for restraining persons or animals, e.g. ballistically deployed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부에 배치되며, 미리 정해진 가압에 의해 회전되어 개방되는 회전부가 구비된 포획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상기 포획부 내 포획 공간으로 안내된 대상체를 감싸 고정시키는 포승 와이어 조립체; 상기 포획부에 결합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후부에 결합되며, 상기 포승 와이어 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압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front, and includes a capturing portion provided with a rotating portion that is rotated and opened by a predetermined pressure; a trapping wire assembly that surrounds and secures the object guided to the capturing space within the capturing unit through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A connecting rod coupled to the capturing portion; And it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and provides a suppressing device including an oper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rapping wire assembly.

Description

제압장치{SUPPRESSION APPARATUS}SUPPRE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제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협적인 범죄자나 동물을 포획하고 제압하도록 이루어진 제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ress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uppression device configured to capture and suppress threatening criminals or animals.

일반적으로 경찰관 및 보안요원은 범죄자를 제압 및 체포하거나 범인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살상용 총기, 최루 가스총, 테이저건, 전기 충격기, 경찰봉, 진압봉, 방패, 수갑, 포승 등 다양한 장비를 사용한다.In general, police officers and security personnel use a variety of equipment such as lethal firearms, tear gas guns, Tasers, stun guns, police batons, batons, shields, handcuffs, and assault rifles to subdue and arrest criminals or protect themselves from criminal attacks. .

그러나 가스총 및 전기 충격기의 경우, 범인이 정면에 위치하거나 팔을 뻗어 닿을 수 있는 근거리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에 사용상 제약이 많다.However, in the case of gas guns and electric stun guns,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their use because they can only be used at close range where the criminal is in front or can reach with an outstretched arm.

그리고 살상용 총기의 경우, 범인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주거나 생명을 잃게 할 수도 있어 그 취급 및 사용이 매우 엄격하고 제한적이다. 특히, 총탄이 범인에게 적중하지 않을 경우, 주변의 행인이 다칠 수도 있다.And in the case of lethal firearms, their handling and use are very strict and restricted because they can cause fatal injury or loss of life to the criminal. In particular, if the bullet does not hit the criminal, nearby passers-by may be injured.

이에, 범죄자를 비롯한 위협적인 동물을 효과적으로 포획하고 제압하도록 이루어진 제압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uppression devices designed to effectively capture and suppress threatening animals, including criminals.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67936호(2003.08.19)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67936 (2003.08.1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위협적인 범죄자나 동물을 포획하고 제압하도록 이루어진 제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uppression device that captures and suppresses threatening criminals or animal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부에 배치되며, 미리 정해진 가압에 의해 회전되어 개방되는 회전부가 구비된 포획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상기 포획부 내 포획 공간으로 안내된 대상체를 감싸 고정시키는 포승 와이어 조립체; 상기 포획부에 결합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후부에 결합되며, 상기 포승 와이어 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압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front, and includes a capturing part provided with a rotating part that is rotated and opened by a predetermined pressure; a trapping wire assembly that surrounds and secures the object guided to the capturing space within the capturing unit through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A connecting rod coupled to the capturing portion; And it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and provides a suppressing device including an oper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rapping wire assemb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획부는, 내부에 포획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포획 프레임; 상기 제1 포획 프레임과 함께 내부에 포획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포획 프레임; 및 상기 제2 포획 프레임과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가압에 의해 상기 제2 포획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카라비너 형태의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포획 프레임은 상기 회전부가 복원된 상태에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turing unit includes: a first capturing frame forming a capturing space therein; a second capturing frame forming a capturing space therein together with the first capturing frame; and a carabiner-shaped rotating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capturing frame and rotated relative to the second capturing frame by a predetermined pressure, wherein the first capturing frame can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in a restored state. there i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승 와이어 조립체는,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격발 와이어; 상기 격발 와이어의 단부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격발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결속부; 일단은 상기 제1 포획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속부에 결합되는 고정 와이어; 전진 이동하는 상기 결속부와 체결되는 결속 체결부; 및 일단은 상기 결속 체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봉의 후부에 구비되는 당김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rapping wire assembly includes: a percussion wire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a binding portion that moves forward by movement of the percussion wir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an end of the percussion wir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xing wir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capturing fram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binding unit; a binding fastening part engaged with the binding part moving forward;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binding fastening part,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pulling wi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 체결부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결속 체결부는 상기 회전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상기 당김 와이어가 당겨질 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rotating part, and the binding fastening part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binding fastening part exerts a predetermined force while fixed to the rotating part. When the pulling wire is pulled above, the fastening protrus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후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풀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풀림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포획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고정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제1 포획 프레임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 wire release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and one end of the fixing wire coupled to the first capture frame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release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apture frame. The bond can be releas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의 단부에는 상기 당김 와이어를 당기기 위한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당김 와이어로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d of the pulling wire is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for pulling the pulling wire, and the gripp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that allows current to flow to the pulling wir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후부에 구비되며, 상기 당김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이어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홀더는 상기 당김 와이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and further includes a wire holder that prevents the pulling wire from loosening, and the wire holder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restrict movement of the pulling wir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압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suppres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explained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르면, 제압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위협적인 범죄자나 동물을 포획한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ression device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effectively suppress threatening criminals or animals while they are captur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포획부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승 와이어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가 결속 체결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김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결속 체결부가 제2 포획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홀더의 요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풀림부의 작동에 의해 제1 포획 프레임으로부터 고정 와이어의 결합이 해체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re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apturing uni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unit is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oseung wi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binding unit is coupled to a binding faste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inding fasten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apture frame by pulling the pulling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main parts of a wir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of the fixing wire from the first capturing frame is dismantled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releas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ad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arts mean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member, and do not necessarily mean located above or below based on the direction of grav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포획부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승 와이어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가 결속 체결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김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결속 체결부가 제2 포획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홀더의 요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풀림부의 작동에 의해 제1 포획 프레임으로부터 고정 와이어의 결합이 해체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res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capturing uni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unit is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ir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coupling the binding portion to the binding fasten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inding fasten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apture frame by pulling the pulling wire according to an example,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wir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g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of the fixing wire from the first capturing frame is dismantled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releas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압장치(1000)는 위협적인 범죄자 또는 동물 등을 포획한 상태에서 제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압장치(1000)를 통해 제압되는 위협적인 범죄자 또는 동물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상체라고 하자.As shown in Figures 1 to 8, the suppression device 1000 is configured to capture and suppress threatening criminals or animals. He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let us refer to a threatening criminal or animal that is suppressed through the suppression device 1000 as an object.

이와 같은 제압장치(1000)는 포획부(100), 포승 와이어 조립체(200), 연결봉(300), 작동 제어부(400), 와이어 풀림부(500) 및 와이어 홀더(600)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suppression device 1000 may include a capturing unit 100, a catch wire assembly 200, a connecting rod 300, an operation control unit 400, a wire unwinding unit 500, and a wire holder 600.

여기서 포획부(100)는 제압장치(1000)의 전부에 구비되며, 대상체를 포획부(100)의 내부 공간인 포획 공간(101)에 가두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capturing unit 10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uppression device 1000 and is configured to confine the object in the capturing space 101, which is an internal space of the capturing unit 100.

이러한 포획부(100)는 제1 포획 프레임(110), 회전부(120) 및 제2 포획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포획 프레임(110), 회전부(120) 및 제2 포획 프레임(130)은 연결된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포획 공간(101)을 마련하게 된다.This capturing unit 100 includes a first capturing frame 110, a rotating unit 120, and a second capturing frame 130. The first capturing frame 110, the rotating part 120, and the second capturing frame 130 are connected, and a capturing space 101 is provided therein.

이러한 포획부(100)는 포획 공간(101) 내로 대상체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타원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포획부(100)의 형상은 반드시 타원형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사각형 등 대상체를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apturing unit 100 has an overall oval shape so that the object can be effectively moved into the capturing space 101. Here, the shape of the capturing unit 1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n oval shape, and of course, i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 square, as long as it can effectively capture the object.

이와 같은 포획부(100)는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회전부(120)가 구비되어 외부에 존재하는 대상체는 포획 공간(101)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20)는 제2 포획 프레임(130)과 힌지축(131)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13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로,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회전부(120)가 가압되는 경우, 회전부(120)는 제1 포획 프레임(110)에 결합된 힌지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부(120)에 미리 정해진 힘이 해제될 시, 회전부(120)는 회전부(120) 내에 구비된 스프링과 같은 복원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여기서 회전부(120)가 원위치로 복원된 상태에서는 회전부(120)의 단부는 제1 포획 프레임(110)과 연결된다.Such a captur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unit 120 that can be rotated, so that an object existing outside can be guided into the capturing space 101. This rotating part 120 is hingedly coupled to the second capturing frame 130 and the hinge axis 131 and is rotatable about the hinge axis 131. For example, when the rotating part 120 is pressed with more than a predetermined force, the rotating part 120 rotates around the hinge axis 131 coupled to the first capturing frame 110. And when the predetermined force on the rotating unit 120 is released, the rotating unit 12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 restoration member (not shown) such as a spring provided within the rotating unit 120. Here, when the rotating part 12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end of the rotating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apturing frame 110.

이와 같이, 제1 포획 프레임(110)과 제2 포획 프레임(130)은 고정된 구성이고, 회전부(120)는 제1 포획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포획부(10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카라비어의 작동 방식과 동일한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capturing frame 110 and the second capturing frame 130 are fixed, and the rotating unit 120 is rotated based on the first capturing frame 110. This capturing unit 100 may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generally known operating method of the carabiner.

한편, 포승 와이어 조립체(200)는 포획부(100) 내 포획 공간(101)으로 안내된 대상체를 감싸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trapping wire assembly 200 is configured to surround and fix the object guided into the capturing space 101 within the capturing unit 100.

이러한 포승 와이어 조립체(200)는 격발 와이어(210), 결속부(220), 고정 와이어(230), 결속 체결부(240) 및 당김 와이어(250)를 포함할 수 있다.This wrapping wire assembly 200 may include a percussion wire 210, a binding portion 220, a fixing wire 230, a binding fastening portion 240, and a pulling wire 250.

격발 와이어(210)는 연결봉(300)의 후부에 결합되는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에 의해 격발되며 결속부(220)를 전진 이동 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작동 제어부(400)가 소총의 방아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작동 제어부(40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트리거 메커니즘을 통해 격발 와이어(210)를 타격하여 전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격발 와이어(210)는 예로 실리콘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결속부(220)를 타격하는 격발 와이어(210)의 단부에는 와이어 캡(211)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trigger wire 210 is trigger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coupled to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300 and moves the binding unit 220 forward. He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ined as an example that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is in the shape of a rifle trigger. This operation control unit 400 is configured to strike the percussion wire 210 and move it forward through a generally known trigger mechanism. This percussion wire 21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silicone wire, and a wire cap 211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percussion wire 210 that hits the binding portion 220.

이와 같이, 결속부(220)를 타격하도록 이루어진 작동 제어부(400)는 소총의 방아쇠 형태를 이루어 격발 와이어(210)를 타격하는 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작동 제어부(400)는 결속부(220)의 전부측에 배치되는 솔레노이드 가압부(미도시)를 통해 결속부(220)를 타격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 형태로 이루어진 작동 제어부의 작동을 통해 솔레노이드 가압부를 작동시키면, 솔레노이드 가압부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솔레노이드 가압부에 구비된 플런지가 튀어나오며 이웃하게 배치되는 결속부(220)를 타격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작동 제어부(400)를 통해 결속부(220)를 타격하는 방식 및 형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속부(220)의 효과적인 타격이 가능하다면 해당 작동 제어부(400)의 구조, 형태 및 형상은 일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way,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configured to strike the binding portion 220 may be configured to strike the percussion wire 210 in the form of a rifle trigger, or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other forms. For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may strike the binding unit 220 through a solenoid pressing unit (not shown)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binding unit 220. That is, when the user operates the solenoid pressing par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in the form of a button, the plunger provided in the solenoid pressing part protrudes by induced electromotive force and hits the binding part 220 arranged adjacently. The method and form of striking the binding unit 220 through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this way, if effective striking of the binding portion 220 is possible, the structure, form, and shape of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ontrol portion 400 are not limited to one embodiment, and of cours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한편, 결속부(220)는 중공이 형성된 결속 지지부재(2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 지지부재(222)는 결속부(22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결속 지지부재(222) 내에 구비된 결속부(220)는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시, 격발된 격발 와이어(210)에 의해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결속부(220)는 회전부(120)에 결합된 결속 체결부(24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즉, 결속부(220)가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결속부(220)에 구비된 탄성 고정체(221)는 압축된 상태로 결속 체결부(240)에 형성된 결합홀(243)까지 이동된 후, 결합홀(243)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며 결합홀(243)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binding portion 220 may be disposed within the hollow binding support member 222. This binding support member 222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inding portion 220. In this way, the binding portion 220 provided in the binding support member 222 moves forward by the triggered wire 210 w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is operated. In this process, the binding unit 22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binding fastening unit 240 coupled to the rotating unit 120. That i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binding unit 220 forward, the elastic fixture 221 provided in the binding unit 220 is moved in a compressed state to the coupling hole 243 formed in the binding fastening unit 240,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in the coupling hole 243 and can be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coupling hole 243.

본 발명에서는 결속부(220), 격발 와이어(210) 및 결속 체결부(240) 등이 2개의 세트로 이루어진 형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해당 세트 구성은 단일 세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3세트, 4세트 등 복수의 세트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복수개의 세트로 구비될 경우,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세트에서 작동 불량(격발 불량, 결속부 결합 불량 등)이 발생되더라도 사용상 문제가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ing portion 220, the percussion wire 210, and the binding fastening portion 240 are shown as two sets, but the set configuration may be a single set, 3 sets, or 4 sets. Of course, it may be composed of multiple sets. Here, when provided as a plurality of sets, there is no problem in use even if, for example, an operation defect (defects in firing, defects in fastening part, etc.) occurs in any one set.

이와 같은 결속부(220)와 결속 체결부(240)의 결합 구조는 일실예에 따른 결합 구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카라비너를 이용한 후크 결합 방식으로 결속부(220)와 결속 체결부(24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해당 구성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inding portion 220 and the binding fastening portion 240 is not limited to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one example, and for example, the binding portion 220 and the binding fastening portion ( Of course, the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corresponding composition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the combination of 240).

그리고 고정 와이어(230)의 일단은 제1 포획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고정 와이어(230)의 타단은 결속부(220)에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 와이어(230)의 일단은 제1 포획 프레임(110)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And one end of the fixing wire 230 is coupled to the first capturing frame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wire 230 is coupled to the binding portion 220. Here, one end of the fixing wire 230 may be coupled to the wire fixing part 111 provided in the first capturing frame 110.

한편, 결속 체결부(240)에는 전진 이동하는 결속부(220)가 삽입 결합되는 결속 체결홀(2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결속부(220)가 결속 체결부(24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속부(220)와 결속 체결부(240)는 일체를 이룬다.Meanwhile, a binding hole 241 is formed in the binding fastening part 240 into which the binding part 220 moving forward is inserted and coupled. In this way, when the binding portion 22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binding fastening portion 240, the binding portion 220 and the binding fastening portion 240 are integrated.

그리고 당김 와이어(250)의 일단은 결속 체결부(240)에 결합되고, 당김 와이어(250)의 타단은 연결봉(300)의 후부에 위치된다. 이에, 사용자는 연결봉(300)의 후부에 위치된 당김 와이어(250)를 선택적으로 잡아 당길 수 있다.And one end of the pulling wire 250 is coupled to the binding fastening portion 240, and the other end of the pulling wire 25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300.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ively pull the pulling wire 250 locat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300.

여기서 결속부(220)와 결속 체결부(240)의 결합을 통해 고정 와이어(230)와 당김 와이어(250)는 하나의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를 이룬다. 이에, 사용자는 목표로 하는 대상체를 먼저 포획부(100) 내에 가둔 상태에서 당김 와이어(250)를 당김으로써, 포획부(100) 내로 이동된 대상체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즉, 연결 형성된 고정 와이어(230)와 당김 와이어(250)는 대상체를 포승 또는 올무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Her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binding portion 220 and the binding fastening portion 240, the fixing wire 230 and the pulling wire 250 are connected by one wire. Accordingly, the user can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object moved into the capturing unit 100 by first trapping the target object in the capturing unit 100 and then pulling the pulling wire 250 . That is, the connected fixing wire 230 and pulling wire 250 can fix the object in the form of a trap or snare.

여기서 당김 와이어(250)를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으로 당기는 과정에서 결속 체결부(240)는 회전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20)에는 체결홈(121)이 형성되고, 결속 체결부(240)에는 체결홈(121)에 삽입되는 체결돌기(242)가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힘으로 당김 와이어(250)를 당기는 과정에서 결속 체결부(240)는 회전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Here, in the process of the user pulling the pulling wire 250 with a certain force or more, the binding fastening part 240 may be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art 120. Specifically, a fastening groove 121 is formed in the rotating part 120, and a fastening protrusion 242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21 is formed in the binding fastening part 240, so that the wire 250 is pulled with a force of a certain level or more. In the process of pulling, the binding fastening part 240 may be separated from the rotating part 120.

한편, 연결봉(300)은 일정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연결봉(300)의 후부측을 잡은 상태에서 연결봉(300)의 전부에 배치된 포획부(100)를 통해 대상체를 포획하거나 제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봉(300)은 일정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대상체와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대상체를 포획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를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ing rod 300 is made to have a certain length. The user can capture or subdue the object through the capturing unit 100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connecting rod 300 while holding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ng rod 300. In this way, since the connecting rod 300 is made to have a certain length, it can capture the object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bject. Therefore, the object can be safely captured.

이와 같은 연결봉(300)은 복수개의 봉을 서로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연결봉(300)의 길이를 조정할 수도 있는 등 연결봉(300)의 구조 및 형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Such a connecting rod 300 is made to connect a plurality of rods to each other, and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connecting rod 300 can be made in various ways, such as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300 can be adjusted.

그리고 연결봉(300)에는 예를 들어 손전등을 거치할 수 있는 손전등 거치대(31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손전등 거치대(310)에 결합된 손전등을 통해 제압장치(1000)를 야간에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대상체를 포획하는 과정에서 대상체의 시야를 분산시킬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connecting rod 300 may be provided with a flashlight holder 310 that can hold a flashlight, for example.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suppression device 1000 even at night through a flashlight coupled to the flashlight holder 310, or the user can disperse the field of view of the object in the process of capturing the object.

한편, 와이어 홀더(600)는 연결봉(300)의 후부에 구비된다.Meanwhile, the wire holder 60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300.

이러한 와이어 홀더(600)는 당김 와이어(25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와이어 홀더(600)는 당김 와이어(250)를 당기는 과정에서 당김 와이어(250)의 당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와이어 홀더(600)는 예를 들어 코드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와이어 홀더(600)에 구비된 누름부(610)를 누른 상태에서 당김 와이어(250)를 당길 수 있다. 그리고 당김 와이어(250)를 당긴 후, 누름부(610)를 놓으면 와이어 홀더(600) 내에 구비된 스프링은 복원되어 당김 와이어(250)를 가압하며 당김 와이어(25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당김 와이어(250)가 당겨진 상태에서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is wire holder 600 is designed to prevent the pulling wire 250 from loosening. That is, the wire holder 60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pulling wire 250 from being unwou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ulling direction during the pulling wire 250. Such a wire holder 60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cord lock. Accordingly, the user can pull the pull wire 250 while pressing the pressing part 610 provided on the wire holder 600. And after pulling the pulling wire 250, when the pressing part 610 is released, the spring provided in the wire holder 600 is restored to press the pulling wire 250 and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pulling wire 250. In other words, the pulling wire 250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while being pulled.

이러한 당김 와이어(250)의 단부에는 파지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A gripping portion 700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is pulling wire 250.

사용자는 파지부(700)는 움켜쥔 상태에서 당김 와이어(250)를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지부(700)의 외형은 타원형인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파지부(700)의 외형은 사용자가 편안하게 잡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user may pull the pull wire 250 while grasping the grip portion 700. The outer shape of the gripping part 700 is described as an oval shape, but the outer shape of the gripping part 700 may have various shapes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hold.

이러한 파지부(700) 내에는 전기 충격을 위한 배터리 또는 건전지함 등의 전력 공급부(710)가 구비될 수 있고, 당김 와이어(250)의 단부를 지지 고정하는 와이어 클램프(7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전력 공급부(710)와 와이어 클램프(720)는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A power supply unit 710 such as a battery or battery box for electric shock may be provided within the gripping unit 700, and a wire clamp 720 may be provided to support and secure the end of the pulling wire 250. . The power supply unit 710 and the wire clamp 720 are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그리고 파지부(700)의 외면에는 스위치(7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730)의 작동시, 전력 공급부(710)의 전류는 당김 와이어(250)로 흐르게 되고, 종국에 당김 와이어(250)와 고정 와이어(230)에 의해 포획된 대상체로 전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범인을 포승 와이어 조립체(200)로 묶은 상태에서 흉기를 버리라는 사용자의 경고를 듣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범인에게 스위치를 작동시켜 범인에게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다.Additionally, a switch 73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per 700. When this switch 730 is operated, the current of the power supply unit 710 flows to the pulling wire 250, and ultimately an electric shock may be applied to the object captured by the pulling wire 250 and the fixing wire 230. there is. For example, if the criminal is tied up with the trap wire assembly 200 and does not listen to the user's warning to throw away the weapon, the user can apply an electric shock to the criminal by activating a switch.

여기서 스위치(730)는 예를 들어, 파지부(700)가 아닌 작동 제어부(400)에 이웃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로를 구성하여 작동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ere, of course, the switch 730 may be operated by configuring a circuit while being disposed adjacent to the operation control unit 400 rather than the gripping unit 700, for example.

한편, 와이어 풀림부(500)는 연결봉(300)의 후부에 구비된다.Meanwhile, the wire release portion 50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300.

이러한 와이어 풀림부(500)는 제1 포획 프레임(110)에 구비된 와이어 고정부(111)에 결합된 고정 와이어(230)가 와이어 고정부(111)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와이어 풀림부(500)의 작동을 통해 제1 포획 프레임(110)에 결합된 고정 와이어(230)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This wire release unit 500 controls the fixing wire 230 coupled to the wire fixing part 111 provided in the first capturing frame 110 to be disconnected from the wire fixing part 111. That is, the user can selectively disconnect the fixing wire 230 coupled to the first capturing frame 110 by operating the wire release unit 500.

이러한 와이어 고정부(111)는 고리 지지부(112)와 회동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부(113)는 고리 지지부(112)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회동부(113)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져 회동부(113)가 고리 지지부(112)를 기준으로 회동될 시, 와이어 고정부(111)에 체결된 고정 와이어(230)의 일단부는 와이어 고정부(111)로부터 풀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와이어 고정부(111)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알려진 돈사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is wire fixing part 111 may include a ring support part 112 and a rotating part 113. Here, the rotating part 113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based on the ring support part 112. That is, when a certain force or more is applied to the rotating part 113 and the rotating part 113 is rotated based on the ring support part 112, one end of the fixing wire 230 fastened to the wire fixing part 111 is fixed to the wire. Can be released from the government (111). For example, such a wire fixing part 11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mmonly known pig hook.

여기서 와이어 풀림부(500)는 풀림 와이어(510)를 통해 회동부(113)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와이어 풀림부(500)의 작동에 의해 풀림 와이어(510)는 당겨지며, 회동부(113)는 고리 지지부(112)로부터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풀림부(500)는 예를 들어, 윈치 방식을 통해 회동부(113)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솔레노이드 방식을 통해 회동부(113)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가 고리 손잡이를 직접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회동부(113)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회동부(113)의 회전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wire unwinding part 50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113 through the unwinding wire 510. By operating the wire unwinding part 500, the unwinding wire 510 is pulled, and the rotating part 113 can be rotated from the ring support part 112. At this time, the wire release part 50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ng part 113 through a winch method, for example, or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ng part 113 through a solenoid method, and the user may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portion 113 may be accomplish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rotating the pivoting portion 113 by directly pulling the handle.

이와 같은 와이어 풀림부(500)는 예를 들어 포획부(100) 내에서 고정 와이어(230)와 당김 와이어(250)에 의해 포승 또는 올무 형태로 고정된 대상체를 풀어줘야 할 경우, 사용자는 와이어 풀림부(500)의 작동을 통해 제1 포획 프레임(110)에 고정된 고정 와이어(230)를 간단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Such a wire release unit 500 is used,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release an object fixed in the form of a trap or snare by the fixing wire 230 and the pulling wire 250 within the capturing unit 100, the user releases the wire. The fixing wire 230 fixed to the first capturing frame 110 can be easily releas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unit 500.

이러한 제압장치(1000)는 대형 어류를 잡을 때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압장치(1000)를 통해 상어, 참치, 피라루크, 바라쿠다, 돌고래 등의 대형 어류를 뜰채로 뜰 수 없을 때,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대형 어류의 주둥이, 아가미, 가슴, 꼬리 지느러미 등에 포승 와이어 조립체(200)를 걸은 후, 대형 어류를 배위로 잡아 올리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This suppression device 1000 can also be used to catch large fish. For example, the user may use the suppression device 1000 when it is impossible to float large fish such as sharks, tuna, pirarucus, barracuda, and dolphins. That is, the user can hang the catch wire assembly 200 on the snout, gills, chest, tail fin, etc. of a large fish and then use it to catch the large fish on a boat.

그리고 제압장치(1000)는 육지에 사는 타조, 곰, 물개, 악어, 아나콘다, 호랑이, 독수리, 바다표범, 소, 말, 당나귀 등의 다양한 동물을 포획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ression device 1000 can be used to capture various animals living on land, such as ostriches, bears, seals, crocodiles, anacondas, tigers, eagles, seals, cows, horses, and donkeys.

이와 같이, 제압장치(1000)는 사람 뿐만 아니라 조류, 어류, 파충류, 양서류 및 포유류 등 다양한 동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uppression device 1000 can be used not only on people but also on various animals such as birds, fish, reptiles, amphibians, and mammals.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포획부
101: 포획 공간
110: 제1 포획 프레임
111: 와이어 고정부
112: 고리 지지부
113: 회동부
120: 회전부
121: 체결홈
122: 결합홀
130: 제2 포획 프레임
131: 힌지축
200: 포승 와이어 조립체
210: 격발 와이어
211: 와이어 캡
220: 결속부
221: 탄성 고정체
222: 결속 지지부재
230: 고정 와이어
240: 결속 체결부
241: 결속 체결홀
242: 체결돌기
250: 당김 와이어
300: 연결봉
310: 손전등 거치대
400: 작동 제어부
500: 와이어 풀림부
510: 풀림 와이어
600: 와이어 홀더
610: 누름부
700: 파지부
710: 전력 공급부
720: 와이어 클램프
730: 스위치
1000: 제압장치
100: Capture unit
101: Capture space
110: first capture frame
111: Wire fixing part
112: Ring support part
113: Rotation unit
120: Rotating part
121: Fastening groove
122: coupling hole
130: second capture frame
131: Hinge axis
200: Poseung wire assembly
210: percussion wire
211: wire cap
220: Binding part
221: elastic fixture
222: Binding support member
230: fixed wire
240: Binding fastener
241: Binding fastening hole
242: Fastening protrusion
250: pulling wire
300: connecting rod
310: Flashlight holder
400: operation control unit
500: Wire unwinding part
510: unwinding wire
600: wire holder
610: Pressing part
700: Gripping part
710: Power supply unit
720: wire clamp
730: switch
1000: suppression device

Claims (7)

전부에 배치되며, 미리 정해진 가압에 의해 회전되어 개방되는 회전부가 구비된 포획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상기 포획부 내 포획 공간으로 안내된 대상체를 감싸 고정시키는 포승 와이어 조립체;
상기 포획부에 결합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후부에 결합되며, 상기 포승 와이어 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획부는, 내부에 포획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포획 프레임; 상기 제1 포획 프레임과 함께 내부에 포획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포획 프레임; 및 상기 제2 포획 프레임과 연결되며, 미리 정해진 가압에 의해 상기 제2 포획 프레임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카라비너 형태의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포획 프레임은 상기 회전부가 복원된 상태에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제압장치.
A capturing part disposed on the front and having a rotating part that is rotated and opened by a predetermined pressure;
a trapping wire assembly that surrounds and secures the object guided to the capturing space within the capturing unit through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A connecting rod coupled to the capturing portion; and
It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and includes an operation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rapping wire assembly,
The capturing unit includes: a first capturing frame forming a capturing space therein; a second capturing frame forming a capturing space therein together with the first capturing frame; and a carabiner-shaped rotating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capturing frame and rotated relative to the second capturing frame by a predetermined pressure, wherein the first capturing frame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in a restored state.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승 와이어 조립체는,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격발 와이어;
상기 격발 와이어의 단부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격발 와이어의 이동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결속부;
일단은 상기 제1 포획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속부에 결합되는 고정 와이어;
전진 이동하는 상기 결속부와 체결되는 결속 체결부; 및
일단은 상기 결속 체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봉의 후부에 구비되는 당김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seung wire assembly,
a percussion wire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a binding portion that moves forward by movement of the percussion wir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an end of the percussion wir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fixing wir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capturing fram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binding unit;
a binding fastening part engaged with the binding part moving forward; and
A suppr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binding fastening part,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pulling wi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 체결부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결속 체결부는 상기 회전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힘 이상으로 상기 당김 와이어가 당겨질 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rotating part, and the binding fastening part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A suppr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ulling wire is pulled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force while the binding fastening part is fixed to the rotating part, the fastening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후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풀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풀림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포획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고정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제1 포획 프레임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It further includes a wire unwinding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A suppr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fixing wire coupled to the first capturing frame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capturing frame by the operation of the wire release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의 단부에는 상기 당김 와이어를 당기기 위한 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당김 와이어로 전류를 흐르도록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suppr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end of the pulling wire is provided with a gripping part for pulling the pulling wire, and the gripping part is provided with a switch that allows current to flow to the pulling wi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후부에 구비되며, 상기 당김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이어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홀더는 상기 당김 와이어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uppression devic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rod and further includes a wire holder that prevents the pulling wire from loosening, wherein the wire holder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restrict movement of the pulling wire.
KR1020220156352A 2022-11-21 2022-11-21 Suppression apparatus KR102603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352A KR102603826B1 (en) 2022-11-21 2022-11-21 Suppression apparatus
PCT/KR2023/003427 WO2024111759A1 (en) 2022-11-21 2023-03-14 Entrap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352A KR102603826B1 (en) 2022-11-21 2022-11-21 Suppress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826B1 true KR102603826B1 (en) 2023-11-20

Family

ID=8897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352A KR102603826B1 (en) 2022-11-21 2022-11-21 Suppression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3826B1 (en)
WO (1) WO2024111759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395A (en) * 2001-04-03 2002-10-08 Tadaharu Asakawa Long handle-having capturing tool
KR20030067936A (en) 2002-02-09 2003-08-19 이광수 Electric shock device
CN212813778U (en) * 2020-08-26 2021-03-30 哈尔滨中科基因技术有限公司 Animal doctor catches device with anim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395A (en) * 2001-04-03 2002-10-08 Tadaharu Asakawa Long handle-having capturing tool
KR20030067936A (en) 2002-02-09 2003-08-19 이광수 Electric shock device
CN212813778U (en) * 2020-08-26 2021-03-30 哈尔滨中科基因技术有限公司 Animal doctor catches device with anim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1759A1 (en) 202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4573B1 (en) Impact release stun gun dart
US6404613B1 (en) Animal stun gun
US20150354915A1 (en) Automatic Line Release Mechanism for a Bow
KR20140007308A (en) A fishline launcher
KR102603826B1 (en) Suppression apparatus
CN215572435U (en) Rope control catcher
CN210441751U (en) Non-contact type throwing rope catcher
CN112696991A (en) Civil rope catching gun
JP2002355323A (en) Protecting/catching apparatus
WO2022158729A1 (en) Animal trapping apparatus using high voltage
KR200200510Y1 (en) A policeman's billy
US4539774A (en) Rodent exterminator
KR200386061Y1 (en) Capturing device that can shoot a strong net for catching suspects
KR101545047B1 (en) Air gun of a criminal arrest
KR102403215B1 (en) Chain and shooter for arrest
CN106561781A (en) Electric shock helmet
KR20000017628U (en) A policeman's billy
KR200142096Y1 (en) Air gun
CN212300094U (en) Improved runner lasso gun
KR20110028788A (en) A tool of criminal arrest
CN205102681U (en) Ware is arrested in pulse
CN219810338U (en) Anti-riot capturing fork
CN218380664U (en) Explosion-proof device
US5048221A (en) Catch and release trap
JP3243870U (en) Injection net deployment device with position detec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