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747B1 -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747B1
KR102261747B1 KR1020190104694A KR20190104694A KR102261747B1 KR 102261747 B1 KR102261747 B1 KR 102261747B1 KR 1020190104694 A KR1020190104694 A KR 1020190104694A KR 20190104694 A KR20190104694 A KR 20190104694A KR 102261747 B1 KR102261747 B1 KR 10226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ucture
frame
edge
air purification
ri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908A (ko
Inventor
윤용한
Original Assignee
윤용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한 filed Critical 윤용한
Priority to KR102019010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7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4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목 및 한지 창호를 이용함으로써 미려하고 화려한 전통 액자를 연출할 수 있으며, 공기 유동과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액자 구조물 및 하부 액자 구조물를 마련하는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 및 상기 마련된 상부 액자 구조물과 하부 액자 구조물 사이에 투명 플레이트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과 하부 액자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액자 결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상부 액자 구조물은 그 상부 액자 구조물을 구성하는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에 의해 소정 폭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 사이에는 먼지가 흡착되는 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MANUFACTURING METHOD OF PICTURE FRAME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AND AIR CLEANING PICTURE FRAM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목 및 한지 창호를 이용함으로써 미려하고 화려한 전통 액자를 연출할 수 있으며, 공기 유동과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끼워서 감상할 수 있는 장식류의 일종으로서, 벽면에 걸거나 책상이나 장식장 등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금속, 합성수지, 목재 등의 소재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널리 사용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액자는 수많은 종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재질 또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함은 물론 액자의 상품성을 높이고자 그 표면에 각가지의 방법으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한편, 나무무늬는 그 사용된 나무(원목)의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고풍적이고 아름다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데, 원목 자재는 단가가 비싸고 제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지 않아, 일부에서는 액자 표면에 원목이 가지는 나무무늬와 유사한 모양의 모조나무무늬가 인쇄 또는 도색된 필름지를 부착 사용하여 마치 원래 나무무늬를 그대로 표현된 것처럼 출시하는 액자도 간혹 보이기도 하지만, 이는 아무리 정교한 인쇄 및 도색을 통하여 나무무늬를 표현하다 하여도 나무무늬의 고유이미지는 사실상 얻지는 못한다.
이는 외관상으로 그럴 듯하게 보일 수 있으나 아는 이는 대부분 제품의 질을 저평가하게 됨으로 결과적으로 상품의 질을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끼워 감상할 수 있는 기능 이외에는 다른 어떠한 기능도 담당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떨어지고, 오직 디자인적인 외관만으로 액자의 가치가 판단될 수 밖에 없어 액자의 고급화에 한계가 있었다.
한편, 현대인들은 냉방 및 난방, 방음 등의 고효율화와 에너지 절약이라는 차원에서 외부 공기와 더욱 더 차단된 밀폐도가 증가된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내부 생활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습기 및 냄새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두통, 안질, 집중력 저하, 어지러움, 매스꺼음 등과 같은 내부공기 오염에 의한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보존을 위한 새로운 건축자재의 등장으로 오염물질에 의한 악취의 방출이 더욱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오염된 실내공기는 오염된 대기와 함께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입히기 때문에 실내공간에서 활동함에 따라 자연 배출되는 공기 중의 습기 및 냄새 또는 오염물질에 의한 악취를 인체에 해가 없이 안전하게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기청정기는 고가일 뿐만 아니라 설치시 별도의 설치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주변의 실내인테리어나 장식물 등과 자연스럽게 조화되지 못하여 실내 분위기를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소비자들은 자연의 아름다움이 그대로 베어 있는 제품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원목이 가지는 고유의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도 기능이 부여된 액자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88-0005901(1988.07.2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217-0046280(1217.05.0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10611(1215.04.02.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7279(2005.06.17.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목 및 한지 창호를 이용함으로써 미려하고 화려한 전통 액자를 연출할 수 있으며, 공기 유동과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상부 액자 구조물 및 하부 액자 구조물를 마련하는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 및 상기 마련된 상부 액자 구조물과 하부 액자 구조물 사이에 투명 플레이트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과 하부 액자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액자 결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상부 액자 구조물은 그 상부 액자 구조물을 구성하는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에 의해 소정 폭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 사이에는 먼지가 흡착되는 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의 외측 테두리 부재에는, 상기 공기정화 부재의 가장자리가 삽입 장착되는 제1 홈, 및 상기 액자 하부 구조물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상기 하부 액자 구조물은, 소정 사이즈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면 일측에 상기 투명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턱을 갖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상부 가장자리는 연귀 작업으로 45°로 깍인 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테두리 부재는 단면 반달모양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액자 결합 단계는 상면이 상기 투명 플레이트에 의해 커버되고, 하면 가장자리는 상기 받침대의 안착턱에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가 더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틀의 형상과 사이즈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의 형상과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내연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액자 결합 단계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으로 나무 재질의 쐐기못을 고정시켜 이웃하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 간을 고정시키고,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을 지지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고정-분리 부재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의 공기 정화 부재는 창살문양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의 베이스 틀, 및 상기 베이스 틀의 일면에 구비되는 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한 일 관점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를 형성하는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 및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 정화 부재를 포함하는 상부 액자 구조물; 소정 사이즈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받침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과 결합되는 하부 액자 구조물;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의 내측 테두리 부재와 상기 하부 액자 구조물의 받침대 사이에 개재되는 투명 플레이트 및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정화 부재는 창살문양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의 베이스 틀, 및 상기 베이스 틀의 일면에 구비되는 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액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는 상기 공기 정화 부재의 가장자리가 삽입 장착되는 제1 홈, 및 상기 액자 하부 구조물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상부 가장자리는 연귀 작업으로 45°로 깍인 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테두리 부재는 단면 반달모양을 갖고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틀의 형상과 사이즈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의 형상과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내연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을 지지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고정-분리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에 의하면, 원목과 한지가 갖고 있는 고유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하여 미려하고 화려한 전통 액자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유동과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어 공기 정화 기능성이 부여된 액자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에 통해 제작된 상부 액자 구조물과 하부 액자 구조물 간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에 통해 시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의 시제작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과정에서 마련되는 상부 액자 구조물을 구성하는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 각각의 단면도로서, (A)는 외측 테두리 부재의 단면도이고, (B)는 내측 테두리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과정에서 마련되는 상부 액자 구조물을 구성하는 외측 테두리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과정에서 마련되는 하부 액자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과정에서 마련되는 내측 테두리 부재가 공기 정화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에 통해 제작된 상부 액자 구조물과 하부 액자 구조물 간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에 통해 시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의 시제작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과정에서 마련되는 상부 액자 구조물을 구성하는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 각각의 단면도로서, (A)는 외측 테두리 부재의 단면도이고, (B)는 내측 테두리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과정에서 마련되는 상부 액자 구조물을 구성하는 외측 테두리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과정에서 마련되는 하부 액자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과정에서 마련되는 내측 테두리 부재가 공기 정화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액자 구조물(100) 및 하부 액자 구조물(200)를 마련하는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S100); 및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S100)에서 마련된 상부 액자 구조물(100)과 하부 액자 구조물(200) 사이에 투명 플레이트(투명 아크릴)(310)와 지지 플레이트(320)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100)과 하부 액자 구조물(200)을 결합시키는 액자 고정 단계(S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20)는 생략될 수 있으나, 사진 등을 투명 플레이트(310)의 하면(배면)에 위치시킬 때 사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100)는 소정 폭의 가장자리가 미세공을 갖는 구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100)은 외측 테두리 부재(액자 테두리 살대)(110)와 내측 테두리 부재(액자 속살대)(120)에 의해 소정 폭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예를 들면, 사각형)의 링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로 형성되며, 그 외측 테두리 부재(110)와 내측 테두리 부재(120) 간에는 미세먼지 등을 흡착시켜서 정화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 부재(13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S100)에서 마련되는 상부 액자 구조물(100)과 하부 액자 구조물(200)을 가공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S100)에서 마련되는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100)은, 외측 테두리 부재(액자 테두리 살대)(110)와 내측 테두리 부재(액자 속살대)(120)를 포함하는데, 원목을 절단한 제재목의 상하면을 매끄럽게 하도록 복수 회 대패질한 다음(예를 들면, 자동 대폐 등), 각 이웃하는 면들이 직각을 이루도록 복수 회 대패질 한 후(예를 들면, 수압 대패 등), 소정 사이즈로 재단한다.
그리고 재단 작업이 완료된 소정 사이즈의 소재에, 상기 공기정화 부재(130)가 삽입 장착되는 제1 홈(111), 및 상기 액자 하부 구조물(200)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가 안착 결합되는 제2 홈(112)을 형성하도록 홈파기 가공하여 외측 테두리 부재(액자 테두리 살대)(1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홈(111)과 제2 홈(112)이 형성된 소재의 가장자리부(외측을 향하는 상면과 그 상면과 이웃하는 외측면)를 연귀 작업을 하여 45°로 깍인 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귀 작업은 예를 들면, 재단기면 홈에 45°썰매지그를 끼워넣어 위 아래에 일정하게 움직하여 소재의 가장자리부를 연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테두리 부재(액자 속살대)(120)는 재단 작업이 완료된 소정 사이즈의 재료를 루터 작업(예를 들면, 루터 기기를 통해)하여 단면 반달모양을 갖는 반달 속살대로 형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반달 속살대의 하면에 후술할 공기 정화 부재(130)의 베이스 틀(131)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턱(121)을 형성시켜서 최종의 내측 테두리 부재(120)가 마련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정화 부재(130)는 창살문양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예를 들면, 사각형)의 링 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의 베이스 틀(131), 및 상기 베이스 틀(131)의 일면(바람직하게는 노출 반대면인 후면)에 구비되는 한지(13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 틀(131)의 형상과 사이즈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110)와 내측 테두리 부재(120)의 형상과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지(132)는 풀 등의 접착제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외측 테두리 부재(110)와 내측 테두리 부재(120) 및 공기 정화 부재(130)는, 상기 공기 정화 부재(130)의 내연 측에 상기 내측 테두리 부재(120)를 안착 고정(풀 등을 발라 고정)시킨 다음, 상기 공기 정화 부재(130)의 외연을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110)의 제1 홈(111)을 각각 삽입 결합시킨 다음, 각 연귀 부분에 드릴로 결합구멍을 형성하여 대나무 재질 쐐기못(원목 못)(410) 등을 박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한 상부 액자 구조물(10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기 공기 정화 부재(130)의 외연 측에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110)의 제1 홈(111)을 각각 삽입 결합함에 있어, 연귀 부분에 목공풀을 발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100)의 외측 테두리 부재(110)의 배면(하부 액자 구조물(200)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하부 액자 구조물(200)와의 사이에 투명 플레이트(310)와 지지 플레이트(320)를 개재시키고 상기 하부 액자 구조물(200)의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후면을 지지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고정-분리 부재가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분리 부재는 예를 들면 액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카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액자 구조물(200)의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후면을 지지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S100)에서 마련되는 상기 하부 액자 구조물(200)은, 소정 사이즈의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상기한 투명 플레이트(310) 및/또는 지지 플레이트(32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턱(121)을 갖는 받침대(220)를 갖고 형성되는 것으로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110)가 이루는 사이즈보다 작게, 바람직하게는 외측 테두리 부재(110)가 이루어는 사이즈의 내연 사이즈에 상응하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받침대(220)는 상기 내측 테두리 부재(110)가 이루는 사이즈에 상응하는 사이즈를 갖고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220)는 목공 풀 등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는, 하부 액자 구조물(200)의 받침대(220)에 지지 플레이트(320)를 안착시킨 다음, 그 위에 사진 등을 올려놓고 투명 플레이트(310)로 커버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투명 플레이트(310)가 안착된 하부 액자 구조물(200) 위로 상부 액자 구조물(100)를 커버하면서 내측 테두리 부재(120)의 하면이 투명 플레이트(310)의 가장자리 상면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100)의 외측 테두리 부재(110)의 배면에 구성된 고정-분리 부재가 상기 하부 액자 구조물(200)의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후면을 지지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정화 부재(13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면이 베이스 플레이트(2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공기정화 부재(130)와 베이스 플레이트(21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는 도 4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정화 부재(130)를 통과하면서 순환되어 먼지(미세 먼지 등) 등이 공기정화 부재(130)의 한지(132)에 흡착됨으로써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에 따르면, 원목과 한지가 갖고 있는 고유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하여 미려하고 화려한 전통 액자를 연출할 수 있으며, 공기 유동이 가능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
S200: 액자 결합 단계
100: 상부 액자 구조물
110: 외측 테두리 부재(액자 테두리 살대)
111: 제1 홈
112: 제2 홈
120: 내측 테두리 부재(액자 속살대)
121: 안착턱
130: 공기 정화 부재
131: 베이스 틀
132: 한지
200: 하부 액자 구조물
210: 베이스 플레이트
220: 받침대
310: 투명 플레이트
320: 지지 플레이트
410: 쐐기못

Claims (8)

  1. 상부 액자 구조물 및 하부 액자 구조물를 마련하는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 및
    상기 마련된 상부 액자 구조물과 하부 액자 구조물 사이에 투명 플레이트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과 하부 액자 구조물을 결합시키는 액자 결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상부 액자 구조물은 그 상부 액자 구조물을 구성하는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에 의해 소정 폭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 사이에는 먼지가 흡착되는 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마련되고,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의 외측 테두리 부재에는, 공기정화 부재의 가장자리가 삽입 장착되는 제1 홈, 및 상기 액자 하부 구조물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상기 하부 액자 구조물은, 소정 사이즈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면 일측에 상기 투명 플레이트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턱을 갖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상부 가장자리는 연귀 작업으로 45°로 깍인 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테두리 부재는 단면 반달모양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액자 결합 단계는 상면이 상기 투명 플레이트에 의해 커버되고, 하면 가장자리는 상기 받침대의 안착턱에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가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틀의 형상과 사이즈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의 형상과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내연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액자 결합 단계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으로 나무 재질의 쐐기못을 고정시켜 이웃하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 간을 고정시키고,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을 지지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고정-분리 부재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액자 구조물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의 공기 정화 부재는 창살문양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의 베이스 틀, 및 상기 베이스 틀의 일면에 구비되는 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6. 삭제
  7.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를 형성하는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 및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공기 정화 부재를 포함하는 상부 액자 구조물;
    소정 사이즈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받침대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과 결합되는 하부 액자 구조물;
    상기 상부 액자 구조물의 내측 테두리 부재와 상기 하부 액자 구조물의 받침대 사이에 개재되는 투명 플레이트 및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정화 부재는 창살문양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 또는 도우넛 형태의 베이스 틀, 및 상기 베이스 틀의 일면에 구비되는 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는 상기 공기 정화 부재의 가장자리가 삽입 장착되는 제1 홈, 및 상기 액자 하부 구조물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상부 가장자리는 연귀 작업으로 45°로 깍인 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테두리 부재는 단면 반달모양을 갖고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틀의 형상과 사이즈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와 내측 테두리 부재의 형상과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내연 사이즈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 테두리 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을 지지 고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고정-분리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액자.
  8. 삭제
KR1020190104694A 2019-08-26 2019-08-26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 KR10226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694A KR102261747B1 (ko) 2019-08-26 2019-08-26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694A KR102261747B1 (ko) 2019-08-26 2019-08-26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908A KR20210024908A (ko) 2021-03-08
KR102261747B1 true KR102261747B1 (ko) 2021-06-04

Family

ID=7518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694A KR102261747B1 (ko) 2019-08-26 2019-08-26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7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183B2 (ja) * 1993-11-26 2000-04-04 池田物産株式会社 回転機構の製造方法
JP3047990B2 (ja) * 1990-03-09 2000-06-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知識の評価,更新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5901A (ko) 1986-11-28 1988-07-21 정상희 가습과 공기정화 기능을 가진 다용도 액자
JP3028183U (ja) * 1996-02-20 1996-08-30 アルナ工芸株式会社 額 縁
JP3047990U (ja) * 1997-10-13 1998-04-28 株式会社大淵銀器 額縁に入れた螺鈿細工板
KR200387279Y1 (ko) 2005-04-01 2005-06-17 (주)이엘티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액자
KR101510611B1 (ko) 2015-01-26 2015-04-08 유제빈 액자형 공기정화기
KR20170046280A (ko) 2015-10-21 2017-05-02 조원복 원목 액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7990B2 (ja) * 1990-03-09 2000-06-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知識の評価,更新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3028183B2 (ja) * 1993-11-26 2000-04-04 池田物産株式会社 回転機構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908A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23345A1 (en) 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framing a picture
US5355654A (en) Simulated solid wood slab
AU2015341532A1 (en) Image display assembly
KR102261747B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 액자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공기 정화 액자
US5884444A (en) Paneling method and construction
US6076329A (en) Decorative mirror frames
US20060283121A1 (en) Panel door and method of making a panel door
US7712240B2 (en) Angular corner structure that join universal foldable frame moulding lengths
US20060242866A1 (en) Full Moon Canvas
US20110030302A1 (en) Panel backing and mounting system
JP6928338B2 (ja) 柔軟性に優れた装飾材
CN211308088U (zh) 一种可更换画布的吸声体
RU16713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элемент
JP3242960U (ja) 組子模様を投影できる装飾性テーブル
US5758960A (en) Joint for lamps and the like
CN105708247A (zh) 带有可更换装饰面板的画框
JP3243447U (ja) 組子様相を呈した装飾性テーブル
US20050229513A1 (en) Accent frame
FR2915426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e cartons pour kit mosaiques et les produits obtenus issus du procede
KR200359057Y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삽입된 건축용 마감 장식재
US20140283980A1 (en) Methods for creating tempered glass art furniture and accessories
JP3041661U (ja) 家紋付六角型吊り灯籠。
US20140138180A1 (en) Vibration-dampening musical performance riser
KR200242928Y1 (ko) 복충유리 부속품의 장식물과 코너 고정:합체물
JPS63100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