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217B1 -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217B1
KR102260217B1 KR1020140055068A KR20140055068A KR102260217B1 KR 102260217 B1 KR102260217 B1 KR 102260217B1 KR 1020140055068 A KR1020140055068 A KR 1020140055068A KR 20140055068 A KR20140055068 A KR 20140055068A KR 102260217 B1 KR102260217 B1 KR 102260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hock absorber
cylinder
piston rod
sl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161A (ko
Inventor
송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05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21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71Assembly or repai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상단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트라이크 캡과, 상기 스트라이크 캡과 차체의 사이에 범퍼러버가 구비되는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스트라이크 캡의 상면에 밀착 위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베어링과 상기 범퍼러버의 사이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스트라이크 캡이 상기 베어링에 의해 슬라이드 회동되도록 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쇽업소버{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판이 범퍼러버와 스트라이크 캡의 접촉을 방지하고, 베어링이 지지판과 스트라이크 캡 간의 회전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차량의 조향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억제하거나 감쇠하는 역할을 하며, 차체 또는 프레임과 휠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체의 상하방향 진동 에너지를 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쇽업소버는 차체 각부의 동적 응력을 저감시켜 내구 수명을 증가시키고, 스프링 아래 질량의 운동을 억제하여 타이어의 접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관성력에 의한 자세 변화 등을 억제하여 차량의 운동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하는 피스톤 밸브와, 일단이 피스톤 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되는 피스톤 로드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는 왕복이동시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로드 사이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범퍼러버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결합되어 범퍼러버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트라이크 캡 등이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쇽업소버는 범퍼러버와 스트라이크 캡이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차량의 조향시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스크라이크 캡과 범퍼러버의 접촉 부위에서 소음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33402호(2002년 05월 0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쇽업소버용 마운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판이 범퍼러버와 스트라이크 캡의 접촉을 방지하고, 베어링이 지지판과 스트라이크 캡 간의 회전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실린더의 회전이 용이하고, 차량의 조향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쇽업소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어링과 지지판을 얇은 두께의 와셔 형상으로 적용함으로써, 소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한 쇽업소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상단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트라이크 캡과, 상기 스트라이크 캡과 차체의 사이에 범퍼러버가 구비되는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스트라이크 캡의 상면에 밀착 위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베어링과 상기 범퍼러버의 사이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스트라이크 캡이 상기 베어링과 접촉된 상태로 회동되도록 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은 윤활유 공급이 없는 와셔 형상의 드라이 베어링(dry bearing) 또는 윤활유가 주입된 와셔 형상의 세미 드라이 베어링(semi-dry bearing)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테프론(Teflon)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금속 소재로 구비되며, 외부에 테프론 소재가 피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은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스트라이크 캡의 상면에 밀착 위치되는 제1슬라이드판 및,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판과 밀착된 상태로 상호 슬라이드 회전되는 제2슬라이드판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드판은 상기 스트라이크 캡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슬라이드판은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판이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드판과 상기 제2슬라이드판은 테프론(Teflon)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드판과 상기 제2슬라이드판은 금속 소재로 구비되며, 외부에 테프론 소재가 피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는 상기 스트라이크 캡의 상단과 상기 베어링을 외부에서 감싸기 위한 차단부가 하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판이 범퍼러버와 스트라이크 캡의 접촉을 방지하고, 베어링이 지지판과 스트라이크 캡 간의 회전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실린더의 회전이 용이하고, 차량의 조향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베어링과 지지판을 얇은 두께의 와셔 형상으로 적용함으로써, 소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에서 스트라이크 캡과 베어링과 지지판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에 차단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쇽업소버는 실린더(10)와, 피스톤 로드(20)와, 스트라이크 캡(30)과, 범퍼러버(40)와, 베어링(50)과, 지지판(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는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기 위한 피스톤 밸브(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10)와 피스톤 로드(20)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인슐레이터(60)와, 범퍼러버(40)와 상기 실린더(10)의 상단을 외부로부터 커버하는 더스트 커버(70)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린더(10)와 상기 인슐레이터(60) 상에 각각 설치되어 나선형 현가 스프링(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한 상하 스프링시트(8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들 중, 먼저 실린더(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는 유체(오일 등)가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0)는 하나의 실린더를 갖는 단통식 쇽업소버와, 두 개의 실린더를 갖는 복통식 쇽업소버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린더(10)를 복통식 쇽업소버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10)는 내튜브와 외튜브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실린더(10)의 일단과 후술 될 피스톤 로드(20)의 일단은,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압축 및 인장 행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10)의 하단에는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0)는, 일단이 피스톤 밸브(50)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튜브의 외부로 연장되어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된다.
아울러, 실린더(10)의 상단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20)를 가이드 지지하기 위한 로드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 밸브(50)는, 실린더(10)의 내부를 압축챔버와 인장챔버로 구분하며, 상기 실린더(10)의 내부에서 압축과 인장 행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유체의 저항력에 의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피스톤 밸브(50)가 압축 행정을 하는 경우에는, 상부 인장챔버에 비해 하부 압축챔버의 압력이 상승한다.
이때, 상기 압축챔버의 압력 상승에 의해 상기 압축챔버 내에 충전된 유체가 유로를 통해 밸브 수단을 밀어 열면서 인장챔버로 이동한다.
반대로, 피스톤 밸브(50)가 인장 행정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동작과 역 방향으로 동작한다.
스트라이크 캡(30)은, 피스톤 로드(20)가 관통되도록 실린더(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하 설명될 범퍼러버(40)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라이크 캡(30)은 실린더(10)의 상단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범퍼러버(40)는, 인슐레이터(60)의 하단과 후술 될 지지판(200)의 사이에 설치되며, 이 상태에서 압축 및 이완 동작을 통해 충격을 완충한다.
여기서, 상기 범퍼러버(40)는 실린더의 상단 지지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고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현가 스프링은, 차축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감쇠시켜며, 피스톤 로드(14)가 하향 이동되었을 때 이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베어링(100)은, 피스톤 로드(20)가 관통된 상태로 스트라이크 캡(30)의 상면에 밀착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100)은 스트라이크 캡(30)의 상면과 범퍼러버(40)의 하단이 접하는 상태로 회전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도록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100)는 중앙에 중공이 상하로 관통형성된 와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한, 상기 베어링(100)은 윤활유 공급이 없는 와셔 형상의 드라이 베어링(dry bearing)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베어링(100)은 윤활유가 주입된 와셔 형상의 세미 드라이 베어링(semi-dry bearing)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100)은 일정 강도와 적정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테프론(Teflon)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테프론 소재는 불소와 탄소의 강력한 화학적 결합으로 인해 매우 안정된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특성이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베어링(100)은 금속 소재로 몸체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 테프론 소재가 피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베어링(100)의 몸체는 금속 소재로 제작하고, 실질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상기 몸체의 외부에 테프론을 피복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어링(100)은 도 2에서처럼 두 개의 판재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밀착 위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어링(100)은 제1슬라이드판(110)과 제2슬라이드판(12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은, 피스톤 로드(20)가 관통된 상태로 스트라이크 캡(30)의 상면에 밀착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은 중앙에 중공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와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은 스트라이크 캡(30)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을 상기 스트라이크 캡(30)의 상면과 분리된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제2슬라이드판(120)은, 피스톤 로드(20)가 관통된 상태로 후술 될 지지판(200)의 하면에 밀착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은 제1슬라이드판(110)과 밀착된 상태로 상호 슬라이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은 후술 될 지지판(200)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을 제1슬라이드판(110)의 상면과 분리된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된,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과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은 테프론(Teflon)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과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은 금속 소재로 몸체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 테프론 소재가 피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과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의 몸체는 금속 소재로 제작하고, 실질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는 외부에 테프론을 피복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슬라이드판(110)과 상기 제2슬라이드판(120)은 상호 간의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게 때문에,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고 소음도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지지판(200)은, 피스톤 로드(20)가 관통된 상태로 베어링(100)과 범퍼러버(40)의 사이에 밀착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200)은 스트라이크 캡(30)이 상기 베어링(100)에 의해 슬라이드 회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00)은 중앙에 중공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와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00)의 재질은 금속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판(200)은, 마찰력이 큰 범퍼러버(40)의 하단을 밀착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조향에 의해 실린더(10)와 스크라이크 캡(30)이 일정 각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지지판(200)은 범퍼러버(40)와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때, 지지판(200)의 하면과 스트라이크 캡(30)의 상면 사이에 위치된 베어링(100)에 의해 스트라이크 캡(30)이 작은 마찰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200)이 범퍼러버(40)와 스프라이크 캡(30)의 접촉을 방지하고, 베어링(100)이 지지판과 스트라이크 캡(30) 간의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차량의 조향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지지판(200)의 측면에는 도 3에서처럼 스트라이크 캡(30)의 상단과 베어링(100)의 측면을 외부에서 감싸기 위한 차단부(210)가 하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0)는, 지지판(200)과 베어링(100)의 밀착된 부위와 스트라이크 캡(30)과 상기 베어링(100)의 밀착된 부위로 이물질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베어링(100)과 스트라이크 캡(30)의 밀착된 부위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경우, 상기 스트라이크 캡이 회전할 때 소음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지지판(200)이 범퍼러버(40)와 스트라이크 캡(30)의 접촉을 방지하고, 베어링(100)이 지지판과 스트라이크 캡(30) 간의 회전 마찰력을 줄여줌으로써, 실린더(10)의 회전이 용이하고, 차량의 조향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어링(100)과 지지판(200)을 얇은 두께의 와셔 형상으로 적용함으로써, 소음 방지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쇽업소버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실린더 20: 피스톤 로드
30: 스트라이크 캡 40: 범퍼러버
50: 인슐레이터 60: 더스트 커버
70: 스프링시트 100: 베어링
110: 제1슬라이드판 120: 제2슬라이드판
200: 지지판 210: 차단부

Claims (9)

  1.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상단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도록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트라이크 캡과, 상기 스트라이크 캡과 차체의 사이에 범퍼러버가 구비되는 쇽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스트라이크 캡의 상면에 밀착 위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베어링과 상기 범퍼러버의 사이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스트라이크 캡이 상기 베어링과 접촉된 상태로 회동되도록 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스트라이크 캡의 상면에 밀착 위치되는 제1슬라이드판 및,
    상기 피스톤 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밀착 위치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판과 밀착된 상태로 상호 슬라이드 회전되는 제2슬라이드판을 구비하여 상기 스트라이크 캡과 상기 범퍼러버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윤활유 공급이 없는 와셔 형상의 드라이 베어링(dry bearing) 또는 윤활유가 주입된 와셔 형상의 세미 드라이 베어링(semi-dry bearing)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테프론(Teflon)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금속 소재로 구비되며, 외부에 테프론 소재가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판은,
    상기 스트라이크 캡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슬라이드판은,
    상기 지지판의 하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판이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판과 상기 제2슬라이드판은,
    테프론(Teflon)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측면에는,
    상기 스트라이크 캡의 상단과 상기 베어링을 외부에서 감싸기 위한 차단부가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KR1020140055068A 2014-05-08 2014-05-08 쇽업소버 KR102260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068A KR102260217B1 (ko) 2014-05-08 2014-05-08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068A KR102260217B1 (ko) 2014-05-08 2014-05-08 쇽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161A KR20150128161A (ko) 2015-11-18
KR102260217B1 true KR102260217B1 (ko) 2021-06-03

Family

ID=5483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068A KR102260217B1 (ko) 2014-05-08 2014-05-08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2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337A (ja) * 2001-09-04 2003-03-12 Bridgestone Corp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
JP2005506494A (ja) * 2001-09-12 2005-03-03 アクチボラゲット エス ケイ エフ バンプストップ装置
JP2010100223A (ja) 2008-10-24 2010-05-06 Toyot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2225475A (ja) * 2011-04-22 2012-11-15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2337A (ja) * 2001-09-04 2003-03-12 Bridgestone Corp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
JP2005506494A (ja) * 2001-09-12 2005-03-03 アクチボラゲット エス ケイ エフ バンプストップ装置
JP2010100223A (ja) 2008-10-24 2010-05-06 Toyot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2225475A (ja) * 2011-04-22 2012-11-15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161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12112A1 (zh) 列车油压减振器
US20130140117A1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US9731574B2 (en) Shock absorber gas spring seal
ES2744831T3 (es) Supresión de vibración de tren de aterrizaje ajustable
JP2007501729A (ja) フロントストラット空気ばね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JP5542493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101744302B1 (ko) 쇽업소버
KR102260217B1 (ko) 쇽업소버
JP6174206B1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20120058149A (ko) 차량용 쇽 업소버
KR101723612B1 (ko) 쇽업소버
KR102238047B1 (ko) 차량의 쇼크업소버
KR101724736B1 (ko)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KR101337582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CN207500382U (zh) 一种气囊减振器复位缓冲装置
KR20150064533A (ko) 선회 감응형 밸브 조립체를 갖는 쇽업소버
KR102487823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101194805B1 (ko) 컴프레션 스프링을 갖는 쇽업소버
KR101263476B1 (ko) 쇽업소버
KR101563122B1 (ko) 쇽업소버
KR101239921B1 (ko) 동흡진기가 내장된 차량용 쇽 업소버
KR102497036B1 (ko) 범퍼 스토퍼 어셈블리
KR20160091144A (ko) 쇽업소버
KR101239922B1 (ko) 동흡진기가 구비된 차량용 쇽 업소버
KR101239920B1 (ko) 동흡진기가 구비된 차량용 쇽 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