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124B1 -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124B1
KR102260124B1 KR1020190029076A KR20190029076A KR102260124B1 KR 102260124 B1 KR102260124 B1 KR 102260124B1 KR 1020190029076 A KR1020190029076 A KR 1020190029076A KR 20190029076 A KR20190029076 A KR 20190029076A KR 102260124 B1 KR102260124 B1 KR 102260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corner portion
antenna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669A (ko
Inventor
봉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to KR102019002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1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6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 H05K1/165Printed circuits incorporating printed electric components, e.g. printed resistor, capacitor, inductor incorporating printed i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수납 및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는,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고, 제1 모서리부, 제2 모서리부, 제1 모서리부와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3 모서리부 및 제2 모서리부와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4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제2 내지 제4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제1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일단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시블 배터리;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 코일; 제3 모서리부 또는 제4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부; 및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전면부에 구비되되, 제3 모서리부 또는 제4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CARD TYPE SMART KE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슬림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실 내부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차량 엔진을 작동시키는 키 어셈블리가 배치되고, 키 어셈블리에 작동 키를 삽입 회전하는 동작으로 엔진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작동 키를 이용하지 아니하고도 간단하게 시동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엔진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해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통신방법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차량의 도난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휴대하고 상기 스마트키를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재된 ECU와 무선으로 암호화 통신을 수행하여 정당한 사용자에게만 차량 엔진의 시동 온(ON)을 허여하는 소위 스마트키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고, 스마트키는 사용자가 휴대하여야 하므로 지갑이나 가방 등에 수납이 용이하도록 될 수 있으면 얇고 견고하게 제작되는 것을 동 기술 분야의 과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카드형 스마트키의 두께가 두꺼워 수납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키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잦은 소모로 부품 교체의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납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슬림하게 형성된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무선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는,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고, 제1 모서리부, 제2 모서리부, 제1 모서리부와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3 모서리부 및 제2 모서리부와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4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제2 내지 제4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제1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일단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시블 배터리;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 코일; 제3 모서리부 또는 제4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부; 및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전면부에 구비되되, 제3 모서리부 또는 제4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충전 코일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 배터리의 후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모서리부 및 상기 제2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되, 제3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어부(MCU)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안테나는 제4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플렉시블 배터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안테나; 제4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1 안테나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 안테나; 및 제3 모서리부 및 제4 모서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안테나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두께는, 1.7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로 길이는 85mm 이상 86mm 미만으로 형성되고, 세로 길이는 54mm 이상 55mm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단순한 이모빌라이져 기능뿐만 아니라, 능동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금시키거나 해정시키는 버튼 스위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기존의 카드형 스마트키 보다 약 50%의 두께가 감소하여 수납 및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셋째, NFC 통신을 통하여 차량의 비상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넷째, 무선충전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는 기존의 배터리 교체 작업이 삭제되므로 소모품 비용이 절감되고, 배터리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다섯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플렉시블 배터리를 사용하여 신용카드처럼 지갑에 수납할 수 있어, 수납이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여섯째, 각 부품들 배치 시, 밴딩에 취약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피하여 최적의 배치를 함으로써 카드형 스마트키가 휘어지더라도 각 부품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의 규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의 규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는,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고, 제1 모서리부(E1), 제2 모서리부(E2), 제1 모서리부(E1)와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3 모서리부(E3) 및 제2 모서리부(E2)와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4 모서리부(E4)를 포함하는 본체(10);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제2 내지 제4 모서리부(E2 ~ E4)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 제1 모서리부(E1)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일단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시블 배터리(60);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 코일(50); 제3 모서리부(E3) 또는 제4 모서리부(E4) 중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부(41, 42, 43); 및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의 전면부에 구비되되, 제3 모서리부(E3) 또는 제4 모서리부(E4) 중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스위칭부(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고, 제1 모서리부(E1), 제2 모서리부(E2), 제1 모서리부(E1)와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3 모서리부(E3) 및 제2 모서리부(E2)와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4 모서리부(E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후술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 플렉시블 배터리(30), 복수개의 안테나부(40), 무선 충전 코일(50) 및 스위칭부(60) 등이 배치되고, EMC 수지를 이용하여 몰딩시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체(10)는 1.7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가로 길이(L1)는 85mm 이상 86mm 미만으로 형성되고, 세로 길이(L2)는 54mm 이상 55mm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의 가로 길이(L1)는 85.4mm이고, 세로 길이(L2)는 54.3mm로 신용카드의 규격과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은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제2 내지 제4 모서리부(E2 ~ E4)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에는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칭부(60) 및 해당 스위칭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명령을 출력을 위해 각종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콤(Micom)을 비롯해 각종 전기 소자(도시 생략)가 실장된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은 복수개의 IC칩(21, 22, 23)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충전 IC(21), Charger IC(22), 배터리 보호 IC(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IC칩(21, 22, 23)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에 배치되되, 플렉시블 배터리(30)의 하측 즉, 제1 모서리부(E1) 및 제2 모서리부(E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에 구비되되, 제3 모서리부(E3)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어부(MCU)(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배터리(30)는 제1 모서리부(E1)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일단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부(40)는 제3 모서리부(E3) 또는 제4 모서리부(E4) 중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부(40)는 제1 안테나 내지 제3 안테나(41 ~ 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41)는 제4 모서리부(E4)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플렉시블 배터리(3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안테나(42)는 제4 모서리부(E4)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1 안테나(41)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안테나(43)는 제3 모서리부(E3) 및 제4 모서리부(E4)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안테나(4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부(40)는 제 1축 안테나(41), 제 2축 안테나(42), 제 3축 안테나(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축 안테나(41), 상기 제 2축 안테나(42) 및 상기 제 3축 안테나(43)는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인 x, y, z 축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안테나의 방향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안테나 요소로부터 방출된 모든 무선 신호는 특정 방향 각도로 전달되며 우수한 안테나를 이용했을 때 방출 각도 감소로 인해 방향성이 향상된다. LC 공진 회로로부터 방출되는 LF(125KHz) 신호는 고주파 신호처럼 방향성이 우수하지는 않지만 방향장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특정한 트랜스폰더 디자인일 때 LF 신호의 통신거리 또는 유도 전압은 베이스 스테이션과 트랜스폰더 안테나의 유도 결합이 얼마나 우수하냐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모듈(300)에 포함된 상기 제 1축 안테나(41), 상기 제 2축 안테나(42) 및 상기 제 3축 안테나(43)를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방향성을 제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테나 이득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소한의 작동 전력으로 입력신호, 즉, 상기 LF 신호를 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선 충전 코일(50)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의 후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 및 플렉시블 배터리(30)의 후면부에 구비되되, 제1 모서리부(E1) 및 제2 모서리부(E2)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코일(50)은 나선형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코일은 제어부(180)에 위치하는 주파수 매칭회로와 연결되며, 주파수 매칭회로는 캐패시터 및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코일의 인덕턴스(L)와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C) 및 저항의 리액턴스(R) 값에 따라 송수신 가능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달라질 수 있다. 코일은 공진회로의 인덕터로서 기능을 하는바, 최적의 인덕턴스 값을 갖도록 각 코일 별로 다른 횟수로 권선되고, 다른 두께와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코일(50)은 무선전력수신을 위한 전력 수신코일일 수 있다. 즉, 무선 충전 코일(50)에서 형성하는 자기장 내에 진입하게 되면 유도기전력이 생성되어 플렉시블 배터리(30)를 충전할 수 있다.
삭제
스위칭부(60)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20)의 전면부에 구비되되, 제3 모서리부(E3) 또는 제4 모서리부(E4) 중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60)는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칭부(60)는 일정한 버튼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일 수 있으며, 물리적인 조작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60)의 상면에는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경화액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 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 통신부
20 : 제2 통신부
30 : 제어부
40 : 신호 차폐재
100 : 제1 통신모듈
200 : 제2 통신모듈
300 : 제3 통신모듈
400 : 제4 통신모듈

Claims (6)

  1. 플렉시블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고, 제1 모서리부, 제2 모서리부, 상기 제1 모서리부와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3 모서리부 및 상기 제2 모서리부와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제4 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 내지 제4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1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시블 배터리;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 코일;
    상기 제3 모서리부 또는 상기 제4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안테나부; 및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전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3 모서리부 또는 상기 제4 모서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는,
    상기 제4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배터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안테나;
    상기 제4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안테나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3 모서리부 및 상기 제4 모서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안테나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3 안테나는 각각의 방향성이 서로 수직하는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은,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플렉시블 배터리의 후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모서리부 및 상기 제2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되, 상기 제3 모서리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어부(MCU)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두께는, 1.7mm로 형성되는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가로 길이는 85mm 이상 86mm 미만으로 형성되고, 세로 길이는 54mm 이상 55mm 미만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KR1020190029076A 2019-03-14 2019-03-14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KR102260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076A KR102260124B1 (ko) 2019-03-14 2019-03-14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076A KR102260124B1 (ko) 2019-03-14 2019-03-14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69A KR20200109669A (ko) 2020-09-23
KR102260124B1 true KR102260124B1 (ko) 2021-06-03

Family

ID=7270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076A KR102260124B1 (ko) 2019-03-14 2019-03-14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1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9602A (ja) * 2006-07-12 2008-01-31 Tokai Rika Co Ltd カード型携帯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285B1 (ko) * 2014-12-24 2016-07-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무선 충전 스마트 키 시스템 및 스마트 키의 무선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9602A (ja) * 2006-07-12 2008-01-31 Tokai Rika Co Ltd カード型携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69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7943A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charger coil and an antenna element on the same plane
KR100813347B1 (ko) 안테나 코일, 안테나 코일을 갖는 공진 안테나, 및 공진안테나를 갖는 카드형 무선 장치
KR100813748B1 (ko) 카드형 무선기, 안테나 코일 및 통신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488607B1 (ko)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구조물
KR101865540B1 (ko) 무선 충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배터리
KR100725571B1 (ko) 카드형 무선기, 안테나 코일 및 통신 모듈의 제조 방법
CN102882545B (zh) 一种通信设备
US20100109968A1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8556182B2 (en) Card data storage device with detector plate
JP5472455B2 (ja) 通信端末およびカード型アンテナモジュール
KR20070115703A (ko) Ic태그 및 ic태그용 인렛
KR20060060545A (ko)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통신 단말기 수용 케이스, 무선통신 단말기 대응 시트, 및 무선 통신 단말기 대응 표시기기
KR20150072138A (ko) 차량의 무선충전 송신 모듈
CN106972237B (zh) 基于金属后壳的超宽带高性能nfc天线系统
US11043751B2 (en) NFC antenna device in a metallic environment
KR102260124B1 (ko)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JP3870921B2 (ja) 非接触識別タグ
EP4297546A1 (en) Shield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hielding member
JP2003046627A (ja) Icタグ付き携帯電話機
KR102381033B1 (ko) 스마트카드
KR20020090931A (ko) 알에프아이디 안테나 내장형 배터리팩
WO2023176119A1 (ja) 非接触情報媒体
CN112749571B (zh) 读卡终端及无线射频识别系统
KR20220160761A (ko) 차량용 스마트키 및 그 제조방법
KR102563317B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