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881B1 - 칩기판 - Google Patents

칩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881B1
KR102259881B1 KR1020170166716A KR20170166716A KR102259881B1 KR 102259881 B1 KR102259881 B1 KR 102259881B1 KR 1020170166716 A KR1020170166716 A KR 1020170166716A KR 20170166716 A KR20170166716 A KR 20170166716A KR 102259881 B1 KR102259881 B1 KR 102259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insulating layer
chip
chip substrate
opt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978A (ko
Inventor
안범모
박승호
송태환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7042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64673A/ko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66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88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47Semiconductor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33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the chip support struct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칩기판에 관한 것으로 큰 광출력을 갖는 발광면적이 큰 크기의 광소자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칩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칩기판{Chip substrate}
본 발명은 칩기판에 관한 것으로, 칩기판의 크기나 칩기판에 형성되는 캐비티(D)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보다 큰 광출력을 갖는 큰 발광면적의 광소자 칩이 실장될 수 있는 칩기판에 관한 것이다.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평판 표시기에 사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istal Display; LCD)를 위한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의 광원으로 LED가 사용된다.
이러한 LED와 같은 광소자 칩은 광디바이스용 칩원판에 실장되며, 실장된 광디바이스용 칩원판의 분리, 즉 소잉(sawing) 또는 다이싱(dicing)과정을 통해 각각의 단위 광디바이스가 제조된다
일례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541,035호(이하 선행기술 1)에서는 칩원판에서 광디바이스의 분리, 즉 소잉(sawing) 또는 다이싱(dicing) 과정에서 버를 발생하지 않는 칩원판의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원판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전도층(A, A')과, 상기 전도층(A)과 교호로 적층되어 상기 전도층(A, A')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B)과, 상기 칩원판의 상면에서 상기 절연층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하여 소정 깊이에 이르는 홈으로 이루어지되, 경사각(θ)을 갖는 캐비티(D)를 포함한다.
한편,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칩기판의 전체적인 크기와 칩기판에 형성되는 캐비티(D)의 크기, 깊이 및 반사각이 동일하다는 조건에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광소자 칩보다 크기가 더 광소자 칩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광소자 칩은 상기 캐비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데,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절연층(B)으로 인하여, 채용할 수 있는 광소자 칩의 크기에 제한이 있다.
다시 말해 만약, 광소자 칩과 전도층(A)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와이어 본딩 영역 확보를 위해 절연층(B)의 위치를 도면 1과 같이 배치(=좌측으로 이동하지 않을 경우)할 경우에는 광소자 칩의 크기의 증가는 매우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나아가 위 경우보다, 크기가 더 큰 광소자 칩을 캐비티(D)에 실장하기 위해 칩기판(10)에서 절연층(B)이 형성되는 위치를 좌측(도 2 단면도 기준)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된다.
즉,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 광소자 칩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절연층(B)이 형성되는 위치를 좌측으로 이동하여야 하고, 이 경우에는 광소자 칩과 전도층(A)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와이어 본딩 영역이 매우 좁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따라서, 광소자 칩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소자 칩과 전도층(A)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와이어 본딩 영역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칩기판과 관련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541,035호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캐비티 내에 실장되는 광소자 칩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소자 칩과 전도층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와이어 본딩 영역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칩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칩기판은 전도층; 상기 전도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이루어진 캐비티를 포함하되, 상기 캐비티의 하부의 일측 곡률과 상기 캐비티의 하부의 타측 곡률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칩기판은 상기 절연층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상기 캐비티의 하부의 곡률은 타측에 위치한 상기 캐비티의 곡률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칩기판은 상기 캐비티의 하부 중심에 배치되는 광소자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칩기판은 상기 광소자칩과 상기 전도층 사이에 형성되는 와이어 본딩은 상기 캐비티의 하부의 일측과 상기 절연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칩기판은 상기 캐비티의 일측은 상기 캐비티의 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2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면은 상기 캐비티의 타측과 같은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칩기판은 전도층; 상기 전도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이루어진 캐비티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층은 상기 캐비티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되, 상기 캐비티의 중심과 상기 캐비티의 하부 일측 사이의 거리(R1)는 상기 캐비티의 중심과 상기 캐비티의 하부 타측 사이의 거리(R2)보다 크며, 상기 캐비티의 중심과 상기 캐비티의 상부 일측 사이의 거리(R3)는 상기 캐비티의 중심과 상기 캐비티의 상부 타측 사이의 거리(R4)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칩기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칩기판의 크기 또는 칩기판에 형성되는 캐비티의 크기를 증가하지 않고도 큰 광출력을 갖는 큰 발광면적의 광소자 칩을 용이하게 칩기판에 실장할 수 있다.
(2) 광소자 칩과 전도층(A)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와이어 본딩 영역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칩기판의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칩기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칩기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칩기판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칩원판과 칩기판에 대한 설명은 한국등록특허 제1,541,035호를 참고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칩원판은 미리 결정된 크기의 복수의 칩기판으로 구성된 칩기판 어레이로서 칩원판을 각각의 칩기판으로 절단하여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칩기판(10)은 전도층(A,A'), 절연층(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절연층(B)은 2개의 전도층(A,A') 사이에 위치하며, 전도층(A,A')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킨다.
즉, 절연층(B)을 사이에 두고 절연되어 있는 칩기판(10)은 각각 (+) 전극 단자, (-) 전극 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칩기판(10)은 절연층(B)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하여 소정 깊이에 이르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즉 캐비티(D)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캐비티(D)의 평탄한 바닥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층(B)이 통과되어야 한다.
캐비티(D)는 칩기판(10)의 상면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캐비티(D)의 하부(43)는 좁고, 캐비티(D)의 상부(53)는 넓다.
캐비티(D)의 하부 중심에 광소자칩(20)이 배치된 후에 절연층(B)에 의해 분리된 전도층(A,A') 중 어느 하나의 전도층(A)과 광소자칩(20 사이에는 와이어 본딩(50)이 형성된다.
광소자칩(20)의 다른 전극은 전도층(A,A') 중 와이어 본딩(5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전도층(A')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광소자칩(20)은 와이어 본딩(50)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전도층(A')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면 4를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캐비티(D)의 반사각을 세타(
Figure 112017121685241-pat00001
)라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캐비티(D)의 반사각 세타(
Figure 112017121685241-pat00002
)를 유지하며, 캐비티(D)의 하부의 일측(47) 곡률과 캐비티(D)의 하부의 타측(45) 곡률을 서로 다르게 형성한다.
도면 4는 본 발명의 칩기판(1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절연층(B)을 기준으로 캐비티(D)의 하부 일측(47)의 곡률은 캐비티(D)의 하부의 타측(40) 곡률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캐비티(D)의 하부의 일측(47) 곡률(도면 4 기준으로 좌측)이 더 크게 형성되며, 이와 같은 캐비티(D)의 하부에서의 곡률은 절연층(B)을 기준으로 변하도록 캐비티(D)의 하부(43) 형상이 이루어진다.
평면도인 도면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캐비티(D)의 하부의 일측(47) 곡률이 더 크게 형성되므로, 절연층(B)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단면도인 도면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캐비티(D)의 일측(30)의 일부인 제2면(33)의 가상의 연장선과 캐비티(D)의 일측(30)의 일부인 제1면(31)사이의 공간이 본 발명의 평면도에서는 절연층(B)을 기준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표현된다.
즉, 단면도인 도면 3을 기준으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연층(B)의 좌측에 위치한 캐비티(D)의 일측(30)은 캐비티(D)의 하면(60)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면(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캐비티(D)의 일측(30)은 제1면(31)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2면(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캐비티(D)의 하부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되는 제1면(31)는 캐비티(D)의 하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한다.
이때, 제2면(33)은 캐비티(D)의 타측(40)과 같은 경사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캐비티(D)의 일측(30)의 일부인 제2면(33)을 캐비티(D)의 타측(40)과 같은 경사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캐비티(D)의 반사각인 세타(
Figure 112017121685241-pat00003
)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제1면(31)의 길이는 제2면(33)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
캐비티(D)의 일측(30)의 일부를 이루는 제1면(31)을 캐비티(D)의 하부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형성함으로써, 광소자 칩의 와이어 본딩(50)이 전도층(A)에 형성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캐비티(D)의 하부 일측(47)과 절연층(B) 사이)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소자 칩(20)과 전도층(A) 사이에 형성되는 와이어 본딩(50)은 캐비티(D)의 하부 일측(47)과 절연층(B)의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칩기판(10)은 전도층(A,A')과 전도층(A,A')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절연층(B)을 포함한다.
또한 칩기판(10)은 절연층(B)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이루어진 캐비티(D)를 포함한다.
절연층(B)은 캐비티의 중심(C)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절연층(B)은 캐비티의 하부 일측(47)에 치우쳐 위치한다.
평면도인 도 4를 기준으로 봤을 때, 본 발명의 칩기판(10)은 캐비티의 중심(C)과 캐비티의 하부 일측(47) 사이의 거리(R1)는 캐비티의 중심(C)과 캐비티의 하부 타측(45) 사이의 거리(R2)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캐비티의 중심(C)과 캐비티의 상부 일측(37) 사이의 거리(R3)는 캐비티의 중심(C)과 캐비티의 상부 타측(35) 사이의 거리(R4)와 같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캐비티(D)의 상부(53)는 진원을 이루는 반면에, 캐비티(D)의 하부(43)는 그 일측(47)은 타측(45)보다 캐비티의 중심(C)을 기준으로 멀리 떨어진 거리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칩기판에 의하면 칩기판 또는 캐비티(D)의 크기를 증가하지 않고도 큰 광출력을 갖는 큰 발광면적의 광소자 칩을 실장할 수 있다.
10 : 칩기판 20 : 광소자칩
30 : 캐비티의 일측 40 : 캐비티의 타측
D : 캐비티 A : 전도층
B : 절연층

Claims (6)

  1. 전도층;
    상기 전도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하여 소정 깊이를 갖는 홈을 형성하되, 상기 홈의 평탄한 바닥면에 상기 절연층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캐비티(D);를 포함하되,
    상기 캐비티(D)의 일측(30)은 제1면(31), 및 상기 제1면(31)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제2면(33)을 포함하되, 상기 제1면은 상기 캐비티(D)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면(33)은 캐비티(D)의 타측(40)과 같은 경사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제2면(33)과 상기 캐비티(D)의 상기 타측(40)은 동일한 반사각을 유지하며, 상기 캐비티(D)의 하부 일측(47)과 상기 절연층(B)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되, 상기 캐비티(D)의 중심(C)과 상기 캐비티(D)의 상부 일측(37) 사이의 거리(R3)는 상기 캐비티의 중심(C)과 상기 캐비티의 상부 타측(35) 사이의 거리(R4)와 같도록 형성하여 상기 캐비티(D)의 상부(53)는 진원을 이루고, 상기 캐비티의 중심(C)과 상기 캐비티의 하부 일측(47) 사이의 거리(R1)는 상기 캐비티의 중심(C)과 상기 캐비티의 하부 타측(45) 사이의 거리(R2)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기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한 상기 캐비티의 하부의 곡률은 타측에 위치한 상기 캐비티의 곡률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기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하부 중심에 배치되는 광소자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기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서 상기 절연층에 의해 분리된 전도층 중 어느 하나의 전도층과 상기 광소자칩 사이에는 와이어 본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기판
  5. 삭제
  6. 삭제
KR1020170166716A 2015-12-02 2017-12-06 칩기판 KR102259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716A KR102259881B1 (ko) 2015-12-02 2017-12-06 칩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421A KR20170064673A (ko) 2015-12-02 2015-12-02 칩기판
KR1020170166716A KR102259881B1 (ko) 2015-12-02 2017-12-06 칩기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421A Division KR20170064673A (ko) 2015-12-02 2015-12-02 칩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978A KR20170138978A (ko) 2017-12-18
KR102259881B1 true KR102259881B1 (ko) 2021-06-03

Family

ID=60923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716A KR102259881B1 (ko) 2015-12-02 2017-12-06 칩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8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222A (ko) * 2011-11-18 201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KR101541035B1 (ko) 2013-08-16 2015-08-03 (주)포인트엔지니어링 절단에 따른 버를 방지하는 칩원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50130153A (ko) * 2014-05-13 2015-11-23 (주)포인트엔지니어링 반구형 캐비티를 포함하는 칩 원판 및 칩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978A (ko) 201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85527A1 (en) Light source module,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US9913381B2 (en) Base substrate which prevents burrs generated during the cutting proc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71529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sensor layer
US20140029226A1 (en) Display device
TW201113603A (en) A foldable light source module and a backlight module with the light source module
TW201514591A (zh) 光源模組、其製造方法以及包含上述的背光單元
US9847462B2 (en) Array substrate for mounting chi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59881B1 (ko) 칩기판
US10591788B2 (en)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2016014144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JP2010219400A (ja) Led光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64673A (ko) 칩기판
JP6281577B2 (ja) 発光装置
US20130215627A1 (en) Electronic unit base and electronic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6004946A (ja) 光学装置、光学装置の実装構造、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9316768B2 (en) Substrate for preventing burr generation
US20160380167A1 (en) Pre-cut substrate and unit chip substrate comprising hemispherical cavity
WO2011049234A1 (ja) 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路装置の製造方法
US10651141B2 (en) Chip,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60007757A (ko) 발광 유닛,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WO2021025514A3 (ko) 광원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패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78138B1 (ko) 반도체 발광소자용 기판
TW202016711A (zh) 觸控面板之製作方法及觸控面板
KR102248642B1 (ko) 엘이디 패키지
KR102124026B1 (ko) 백라이트유닛용 광원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