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691B1 -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691B1
KR102259691B1 KR1020210011004A KR20210011004A KR102259691B1 KR 102259691 B1 KR102259691 B1 KR 102259691B1 KR 1020210011004 A KR1020210011004 A KR 1020210011004A KR 20210011004 A KR20210011004 A KR 20210011004A KR 102259691 B1 KR102259691 B1 KR 102259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nolin
cream composition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현
최유석
박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어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어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어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011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글리세린 25 내지 3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3 내지 8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 내지 5 중량부 및 물 30 내지 35 중량부를 용해하여 수상 성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 성분 및 라놀린 25 내지 35 중량부를 용해하고 이를 교반하여 에멀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에멀전을 고압 유화 공정을 통해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라놀린을 함유하는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최적화함으로써 발림성 및 보습 효과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REAM COMPOSITION FOR TEAT PROT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놀린 성분을 함유하는 크림 조성물의 사용감을 개선함으로써 보습 및 피부 보호의 효과를 나타내는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출산 후 모유 수유 시 유두 통증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유두 통증은 많은 경우 유두에 난 상처가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유두 및 가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수유크림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수유크림은 라놀린을 주성분으로 하는데, 상기 라놀린은 천연 오일로서 양털을 깎고 난 후 양의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분비물로서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라놀린은 사람의 피지와 비슷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크림, 샴푸, 비누, 에센스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라놀린은 입자가 커서 발림성이 나쁘고 발랐을 때의 피부 감촉이 좋지 않아 크림으로 제조할 때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압 유화 공정(Micro Fluidizing) 공법을 적용하여 입자를 미세하게 분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화된 라놀린은 피부 흡수성 및 발림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흘러내림이 심하고 피부에 발랐을 때 끈끈한 느낌이 있어 유두와 같은 민감한 부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발림성을 더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라놀린을 함유하는 크림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최적화함으로써 발림성 및 보습 효과를 개선한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글리세린 25 내지 3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3 내지 8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 내지 5 중량부 및 물 30 내지 35 중량부를 용해하여 수상 성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 성분 및 라놀린 25 내지 35 중량부를 용해하고 이를 교반하여 에멀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에멀전을 고압 유화(Micro Fluidizing) 공정을 통해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상 성분 및 에멀전은 70 내지 80℃에서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서, 라놀린 25 내지 35 중량부, 글리세린 25 내지 3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3 내지 8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 내지 5 중량부 및 물 30 내지 3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라놀린을 함유하는 크림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최적화함으로써 발림성 및 보습 효과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라놀린 수용액 상의 라놀린 입자의 상태(a) 및 균질화 단계를 거친 라놀린 입자의 상태(b)를 관찰한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라놀린 수용액, 크림 조성물 및 대조군의 피부침투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 따른 라놀린 수용액, 크림 조성물 및 대조군의 피부침투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 따른 라놀린 수용액, 크림 조성물 및 대조군의 피부침투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은 글리세린 25 내지 3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3 내지 8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 내지 5 중량부 및 물 30 내지 35 중량부를 용해하여 수상 성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 성분 및 라놀린 25 내지 35 중량부를 용해하고 이를 교반하여 에멀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에멀전을 고압 유화(Micro Fluidizing) 공정을 통해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은 라놀린 25 내지 35 중량부, 글리세린 25 내지 3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3 내지 8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 내지 5 중량부 및 물 30 내지 3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인데, 라놀린과 수용액을 혼합하면서 유화 공정을 수행하여 유상/수상(O/W) 에멀전을 형성하고, 다시 고압 유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균질화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라놀린 입자가 대단히 균일하며 고분산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피부에 흡수력이 높고 보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글리세린 25 내지 3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3 내지 8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 내지 5 중량부 및 물 30 내지 35 중량부를 용해하여 제조된 수용액은 오일 성분인 라놀린과 혼합됨으로써 O/W 에멀전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도 1(a)에서와 같은 라놀린 입자의 분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크림 제형으로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발림성이 좋지 못하여 끈적임이 심하고 바른 후의 느낌이 좋지 않아 사용자의 기호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O/W 에멀전을 고압 유화 공정을 통해 균질화 처리를 하면 도 1(b)에서와 같은 라놀린 입자의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는 대단히 균일하면서도 입자의 크기가 작아 피부에 대한 흡수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O/W 에멀전을 형성하기 위한 수상 성분으로는 물, 다가 알코올 및 보조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다가 알코올로는 글리세린, 1,3-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프로판디올, 메틸프로판디올, 디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상 성분의 상용성과 유화 공정 적합성을 고려하여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보조유화제로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기 수상 성분을 형성할 때 글리세린 25 내지 3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3 내지 8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 내지 5 중량부 및 물 30 내지 35 중량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상기 범위의 조합에 의해 유화 중합되어 안정적인 O/W 에멀전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수상 성분과 혼합되는 유상 성분으로 라놀린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오일, 왁스, 고급 알코올을 혼합하여 유상 성분을 제조하는 것과 달리 오일 성분인 라놀린만을 사용하여도 O/W 에멀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놀린은 25 내지 35 중량부의 범위에서 혼합되는데 상기 범위에서 수상 성분과 혼합하면 원활히 용해되면서 O/W 에멀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상 성분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70 내지 80℃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온도 범위에서 각 성분의 균질 용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유상 성분인 라놀린을 상기 수상 성분에 용해시킬 때에도 온도 범위를 70 내지 8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을 혼합할 때 유화제를 부가함으로써 분산성이 향상된 O/W 에멀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수크로스 라우레이트, 수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수크로스 올리에이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크로스계 유화제를 혼합하면 점도를 낮추어 주며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피부 흡수력이 약 10% 정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유화제를 부가하는 경우 상기 O/W 에멀전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1 내지 3 중량부의 유화제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화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유화제 부가로 인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너무 많으면 점도가 낮아져 발림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시험평가를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글리세린 30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3 중량부를 70 내지 80℃에서 물 32 중량부에 용해하여 수상 성분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상 성분을 70 내지 80℃로 유지한 상태에서 라놀린 30 중량부를 투입하고 이를 용해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40 내지 60℃에서 1,000 내지 1,200rpm의 속도로 5분간 교반하여 유화함으로써 에멀전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된 에멀전은 고압 유화 장치(M110H-30, Microfluidics)에 투입하고 1,000bar에서 1 사이클로 고압 유화 공정을 수행하여 크림 조성물을 수득하였다(실시예 1).
또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되 수상 성분을 제조한 후 수크로스 라우레이트 2 중량부를 부가하여 용해한 후 라놀린 30 중량부를 투입하고 이를 용해하여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2).
또한, 비교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되 라놀린을 40 중량부로 과량 투입하고 이를 용해하여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1).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크림 조성물을 H&A PharmaChem에 의뢰하여 분석한 결과, 밝은 노란색의 색상을 가지며 25℃에서 pH가 6.0 내지 8.0, 20℃에서 굴절률이 1.385 내지 1.47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금속 함유량은 20ppm 이하, 비소 함유량은 2ppm 이하, 세균은 100CFU/㎖ 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피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의 크림 조성물에 대하여 Zetsasizer를 이용하여 에멀전 상태를 관찰한 결과 도 1(a)에서와 같이 10㎛ 이상의 입자가 많이 관찰되었으나, 고압 유화 공정을 통해 균질화를 한 후 도 1(b)에서와 같이 입자 크기가 120 내지 130㎚로 미세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크림 조성물에 대하여 DESI-MS를 사용하여 피부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유리판을 DESI 샘플 홀더에 고정하고 prosolia 2D DESI를 이용하여 95% 메탄올이 2㎕/min의 유속으로 스프레이 모세관을 거친 후 시료의 표면과 충돌하여 시료의 성분을 기체 상태로 탈착함으로써 이온화시켰다. 이를 Water Synapt G2-MS 시스템을 이용하여 50 내지 800 달톤의 분자량으로 스캔한 후 라놀린 에스테르의 특성 피크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테이프를 제거한 피부 각질층 중 4개의 층에 대한 강도를 측정한 것이다.
실시예 1에 대한 측정결과는 도 2와 같은데 대조군에 비해 2 내지 5번째 층에 대해 각각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크림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매우 효과적으로 피부 내로 침투할 수 있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특히, W/O 에멀전 상태와 균질화 후의 상태를 비교하면 고압 유화 공정을 통해 균질화하는 경우 피부 투과도가 현저히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에서 유화제를 적용한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약 10% 정도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라놀린 입자의 분산성이나 입자 균일도가 향상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되는데, 이를 통해 피부 흡수력이 높아 더 효과적인 도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약 20% 정도의 강도 감소가 나타났는데, 이는 과량의 라놀린이 포함될 경우 충분한 분산이 되지 않아 입자 균일도가 저하되기 때문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수상과 유상의 유화 중합 시 함량에 따른 크림의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함량으로 제조해야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정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크림 조성물의 발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유 중인 피시험자 10명을 대상으로 발림성을 평가하였다. 발림성은 크림을 발랐을 때의 상대적인 끈적임과 흡수 정도를 평가하여 발림성이 우수한 정도를 1점에서 5점로 하여 순위를 매기게 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에 대해 평균 1점으로 발림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의 경우 2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으나 발림성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의 경우 평균 4점으로 낮은 발림성 평가 점수를 받았는데, 이는 입자의 균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피부 투과도 시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3)

  1. 글리세린 25 내지 3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3 내지 8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 내지 5 중량부 및 물 30 내지 35 중량부를 용해하여 수상 성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 성분 및 라놀린 25 내지 35 중량부를 용해하고 이를 교반하여 에멀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에멀전을 고압 유화 공정을 통해 균질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에멀전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1 내지 3 중량부의 수크로스계 유화제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 및 라놀린은 70 내지 80℃에서 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라놀린 25 내지 35 중량부, 수크로스계 유화제 1 내지 3 중량부, 글리세린 25 내지 3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 올리에이트 3 내지 8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1 내지 5 중량부 및 물 30 내지 3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KR1020210011004A 2021-01-26 2021-01-26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004A KR102259691B1 (ko) 2021-01-26 2021-01-26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004A KR102259691B1 (ko) 2021-01-26 2021-01-26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691B1 true KR102259691B1 (ko) 2021-06-02

Family

ID=7637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004A KR102259691B1 (ko) 2021-01-26 2021-01-26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691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597A (ko) * 2003-03-04 2004-09-10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00035005A (ko) * 2008-09-25 2010-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보습력이 우수한 어린이용 화장품 조성물
KR20100094567A (ko) * 2007-12-12 2010-08-2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7635B1 (ko) * 2015-03-13 2015-10-07 주식회사 제이크리에이션 스피룰리나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4228A (ko) * 2014-11-06 2016-05-16 김화임 유두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081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81068B1 (ko) * 2018-10-17 2019-05-22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액정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폼형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8026A (ko) * 2018-01-17 2019-07-25 소영코스메틱 주식회사 나노셀룰로오스를 함유한 나노에멀젼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22839B1 (ko) * 2019-09-30 2020-06-15 주식회사 다른코스메틱스 레티날 함유 멀티라멜라 소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325A (ko) * 2018-12-13 2020-06-24 (주)파이온텍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8597A (ko) * 2003-03-04 2004-09-10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캄파니즈,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00094567A (ko) * 2007-12-12 2010-08-2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피부 외용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35005A (ko) * 2008-09-25 2010-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보습력이 우수한 어린이용 화장품 조성물
KR20160054228A (ko) * 2014-11-06 2016-05-16 김화임 유두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7635B1 (ko) * 2015-03-13 2015-10-07 주식회사 제이크리에이션 스피룰리나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3081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8026A (ko) * 2018-01-17 2019-07-25 소영코스메틱 주식회사 나노셀룰로오스를 함유한 나노에멀젼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1068B1 (ko) * 2018-10-17 2019-05-22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액정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폼형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3325A (ko) * 2018-12-13 2020-06-24 (주)파이온텍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KR102122839B1 (ko) * 2019-09-30 2020-06-15 주식회사 다른코스메틱스 레티날 함유 멀티라멜라 소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7982T2 (de) Transparente wässrige zusammensetzungen mit hydrophoben silikonölen
KR910003553B1 (ko) 화장용 유액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568782B (zh) 一种具有改善皮肤屏障的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JP4963958B2 (ja) 安定した濃縮および希釈された水中油型エマルジョン、その調製プロセス、およびこれらのエマルジョンを用いた製剤プロセス
KR20150082870A (ko) 유중수형 피커링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520850A (zh) 一种防晒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48104B2 (ko)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538079A (zh) 采用d相乳化法制备的滋润保湿化妆水及其制备方法
JP2013506656A (ja) 剤形安定性を改善させたo/w型化粧料組成物
KR101448847B1 (ko)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6470614B2 (ja) 水性ゲル状化粧料
JPH08283303A (ja) 高級脂肪酸デキストリンからなる乳化剤、これを含有する乳化組成物および化粧料
KR102259691B1 (ko) 유두 보호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5902B1 (ko) 투명한 화장료 조성물
JP2634444B2 (ja) クリーム状または乳液状の油中水滴型乳化化粧料
KR20190088026A (ko) 나노셀룰로오스를 함유한 나노에멀젼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05381A (ko) 피부개선 기능 성분을 함유하는 고급 지방 알콜 베이스의 온라인 크리스탈 캡슐 에멀젼 제조 공정 및 이를 기초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8240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4418A (ko) 백탁현상이 없고 사용감이 우수한 레시틴 및 소수성 계면활성제 기반의 실록산프리(siloxane-free) 라멜라액정 O/W(oil-in-water) 유화 로션 크림 제형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S60166604A (ja) 弱酸性w/o/w型乳化化粧料の製造方法
KR102248265B1 (ko) 안정성이 우수한 세라마이드 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안정성이 우수한 세라마이드 볼
CN115400041B (zh) 一种具有α凝胶结构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223608B (zh) 一种高速均质强制增溶方法及其应用
JPH01176446A (ja) 親水型ゲル状組成物及び水中油型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