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693B1 -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693B1
KR102258693B1 KR1020190112265A KR20190112265A KR102258693B1 KR 102258693 B1 KR102258693 B1 KR 102258693B1 KR 1020190112265 A KR1020190112265 A KR 1020190112265A KR 20190112265 A KR20190112265 A KR 20190112265A KR 102258693 B1 KR102258693 B1 KR 10225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module
sample
raw material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740A (ko
Inventor
박미령
이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90112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6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2Fuels; Explosives
    • G01N33/222Solid fuels, e.g. co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6Pow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C10L9/08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by heat treatments, e.g. calcining
    • C10L9/083Torref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7Conditions of the cokes or characterised by the coke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1Pow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9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comprising robots or similar manip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6Specific details of the apparatus for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C10L2290/562Modular or modular elements containing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8Control or regulation of the fuel preparation of upgrading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60Measuring or analys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or process condition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 G01N2033/009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원료의 수분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은 건조된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측정모드 또는 대기모드를 설정하는 제어기; 및 상기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건조된 원료가 낙하하는 컨베이어 슈트 덕트(Duct)로부터 수분의 측정대상이 되는 시료원료를 취출하여 상기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컨베이어 슈트 덕트(Conveyor Chute Duct)로부터 상기 시료원료를 시료용기로 취출하는 취출모듈; 상기 시료용기로 취출된 시료원료를 그립(Grip)하여 수분이 측정되는 플레이트로 이동시키는 로봇모듈; 및 상기 플레이트로 이동된 상기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Water Content Measurement Automatic System for Measuring Water Content Of Material}
본 발명은 수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철강의 공정은 크게 제선, 제강, 연주, 압연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제선공정은 원료인 철광석과 연료인 석탄을 용광로에 장입한 후에 가열하여 선철을 추출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철광석과 석탄은 각각 덩어리 형태로 가공된 후 용광로로 장입되는데, 이는 가루형태의 분철광석이나 분탄의 경우, 열풍의 통기성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분철광석은 덩어리형태의 소결광으로 제조되게 되고, 분탄 또한 덩어리 형태의 성형탄으로 제조되게 된다.
여기서, 성형탄은 고온의 용광로에서 열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일정수준 이상의 강도를 가져야만 한다. 이러한 성형탄의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탄의 수분 함량인데, 분탄의 수분을 조절하기 위해 분탄을 건조하는 건조공정이 수행된다. 다만, 분탄에는 여러종류의 물질이 혼합되어 있고, 날씨에 따라 수분이 다르기 때문에, 건조공정이 수행되더라도 분탄의 수분이 적정수분 범위를 벗어날 수 있어 건조공정 후에 석탄의 수분이 주기적으로 검사되게 된다.
종래에는 조업자가 분탄의 수분을 건조된 분탄이 이송되는 벨트 컨베이어에서 직접 채취하여 측정하였는데, 해당 지역은 분탄의 특성 상 분진과 가스(CO 등)가 많이 발생하는 위험지역일 뿐만 아니라, 분석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분탄의 수분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업자가 분탄을 수동으로 채취하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의 횟수에 한계가 있어 데이터의 신뢰도가 낮고,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조업에 반영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분철광석의 수분을 측정할 때에도 이와 유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료의 수분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의 수분에 따라 원료의 건조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은 건조된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측정모드 또는 대기모드를 설정하는 제어기; 및 상기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건조된 원료가 낙하하는 컨베이어 슈트 덕트(Duct)로부터 수분의 측정대상이 되는 시료원료를 취출하여 상기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컨베이어 슈트 덕트(Conveyor Chute Duct)로부터 상기 시료원료를 시료용기로 취출하는 취출모듈; 상기 시료용기로 취출된 시료원료를 그립(Grip)하여 수분이 측정되는 플레이트로 이동시키는 로봇모듈; 및 상기 플레이트로 이동된 상기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료의 수분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업자가 수동으로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것에 비해 대량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어 수분 측정 데이터의 신뢰도가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료의 수분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업자가 원료가 위치하는 위험지역으로 진입하여 원료를 채취할 필요가 없어 조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료로 인한 장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의 수분에 따라 원료의 건조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원료를 건조할 수 있어 원료가 제조되는 경우 고품질의 완제품을 획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이 제선공정에 적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의 블록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모듈이 컨베이어 슈트 덕트로부터 시료원료를 취출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 안감에 결합된 케이블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모듈이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시료용기에 포함된 시료원료를 회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 클리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장치별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이하'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이라 함)이 제선공정에 적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이 제선공정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공정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선공정용 원료는 분쇄기(1)를 거쳐 가루형태로 분쇄되게 된다. 이때, 제선공정용 원료는 석탄(Coal), 코크스(Cokes), 철광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된 제선공정용 원료는 건조기(2)를 거쳐 건조되게 되는데, 건조된 제선공정용 원료는 컨베이어 슈트 덕트(Conveyor Chute Duct, 3)를 통해 저장소(4)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100)이 컨베이어 슈트 덕트(3)에서 낙하하는 원료를 취출하여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게 된다.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100)은 측정된 원료의 수분 정보를 건조기(2)를 제어하는 제선공정 시스템(미도시)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선공정 시스템은 측정된 원료의 수분을 기초로 원료의 수분이 적절한 수준이 되도록 건조기(2)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100)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100)의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100)의 블록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100)은 제어기(200) 및 측정장치(2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200)는 측정모드 또는 대기모드를 설정한다. 측정모드는 건조기(2)를 통과한 건조된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대기모드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것을 대기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제어기(200)가 측정모드로 설정하면, 측정장치(210)는 측정모드에 따라 컨베이어 슈트 덕트(3)에서 시료원료를 취출하여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시료원료는 측정장치(210)에 의해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부터 취출되어 수분의 측정대상이 되는 원료를 의미한다.
제어기(200)가 대기모드로 설정하면, 측정장치(210)는 대기모드에 따라 동작을 정지하게 된다.
제어기(200)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으로 측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200)는 측정장치(210)에 포함된 수분측정모듈(350)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을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기(200)는 수분측정모듈(260)의 측정시간을 수분측정모듈(350)의 개수로 분할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200)는 수분측정모듈(350)의 측정시간을 수분측정모듈(350)의 개수로 분할한 시간간격으로 측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분측정모듈(350)의 측정시간이 15분이고 수분측정모듈(350)의 개수가 3개이면, 제어기(200)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은 5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분측정모듈(350)의 측정시간과 개수를 고려하여 최적의 시간간격으로 측정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수분 측정의 속도가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대량의 수분 데이터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어기(200)는 컨베이어 슈트 덕트(3)에서 낙하하는 원료가 미리 정해진 생산량보다 작으면 대기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원료의 생산량이 작으면 건조기(2)에 의해 과건조되기 때문에 측정장치(210)에 의해 측정되는 수분이 유효수분값으로 활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제어기(200)는 건조기(2)를 제어하는 제선공정 시스템(미도시)으로 시료원료의 수분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선공정 시스템은 제어기(200)로부터 전달된 수분 정보를 기초로 건조기(2)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조기(2)를 통과하는 원료의 수분이 적정 수분을 가지게 할 수 있어 원료로 생성되는 성형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210)는 제어기(200)에 의해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측정장치(210)는 측정모드에 따라 건조된 원료가 낙하하는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부터 시료원료를 취출한다. 그리고, 측정장치(210)는 취출된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측정장치(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모듈(310), 벨트 컨베이어(320, Belt Conveyor), 로봇모듈(330), 수분 측정 모듈(350), 배출모듈(360), 및 핸드 클리너(370)를 포함한다.
취출모듈(310)은 흡입력을 발생시켜 건조된 원료가 낙하하는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부터 시료원료를 시료용기로 취출한다. 이때, 시료용기는 벨트 컨베이어(320)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취출모듈(420)이 흡입력을 발생시켜 시료원료를 취출하는 이유는, 컨베이어 슈트 덕트(3) 내에서 낙하하는 원료를 스푼형 또는 노출형 등의 타입으로 취출하는 경우에 시료원료를 취출하는 과정에서 원료의 무게로 인한 충격으로 취출모듈(420)이 파괴될 수 있어 후 공정에서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료원료를 취출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분진과 원료가 주변에 비산될 수 있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장비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취출모듈(420)이 시료원료를 흡입함으로써 취출모듈의 파괴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분진과 원료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취출모듈(31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출모듈(310)이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부터 시료원료를 취출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모듈(310)은 취출배관(410), 흡입유닛(420), 이동유닛(430), 및 제1 탈진유닛(440)을 포함한다.
취출배관(410)은 컨베이어 슈트 덕트(3) 내에 원료의 낙하방향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흡입유닛(420)에 설치된다. 취출배관(410)은 컨베이어 슈트 덕트(3) 내에 제1 방향으로 삽관되고, 흡입유닛(420)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시료원료가 취출배관(410)을 통해 흡입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슈트 덕트에는 취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취출배관(410)이 취출홀에 삽관되게 된다.
취출배관(410)은 제어기(200)에 의해 대기모드로 설정되면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취출배관(410)은 제어기(200)에 의해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이동유닛(430)에 의해 제1 방향으로 전진하여 컨베이어 슈트 덕트(3)의 취출홀에 삽관되게 된다. 그리고, 취출배관(410)은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이동유닛(430)에 의해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진하여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흡입유닛(420)은 취출배관(410)이 컨베이어 슈트 덕트(3) 내로 삽관되면 흡입력을 발생시켜 취출배관(410)을 통해 시료원료를 시료용기로 취출한다. 흡입유닛(420)은 시료원료가 흡입되면 벨트 컨베이어(320)에 위치하는 시료용기로 시료원료를 배출하게 된다.
이동유닛(430)은 취출배관(410)을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유닛(430)은 제어기(200)에 의해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취출배관(410)을 제1 방향으로 전진시켜 컨베이어 슈트 덕트(3)의 취출홀로 삽관시킨다. 그리고, 이동유닛(430)은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취출배관(410)을 제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진시켜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제1 탈진유닛(440)은 취출배관(410) 내부에 부착되는 원료를 탈락시킨다. 이를 위해 제1 탈진유닛(440)은 제1 공기주입부(미도시) 및 제1 진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 공기주입부는 취출배관(410)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취출배관 내부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한다. 그리고 제1 진동부는 취출배관(410)을 진동시켜 취출배관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한다.
원료는 건조된 후라도 점성과 수분 정도에 따라 취출배관(410)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료원료가 내부에 부착된 원료에 의해 취출배관(410)으로 취출되지 않아 수분 측정 효율이 낮아질 수 있고, 또한 이전에 부착된 원료가 시료원료로 취출됨에 따라 정확한 수분이 측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시료원료가 취출배관(410)을 통해 취출되지 않고 역비산하여 주변을 크게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탈진유닛(440)이 취출배관(410) 내부에 부착되는 원료를 제거함으로써 취출배관(410)을 통한 시료원료의 취출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벨트 컨베이어(320)에 대해 설명한다.
벨트 컨베이어(320)는 취출모듈(310)에 의해 시료원료가 시료용기로 취출되면 시료원료가 로봇모듈(330)에 의해 그립될 수 있게 시료용기를 이송시킨다. 구체적으로 벨트 컨베이어(320)는 시료원료가 제1 지점에 위치하는 시료용기로 취출되면 시료용기를 제2 지점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제1 지점은 취출모듈(310)의 하측에 위치하는 벨트 컨베이어(320) 상의 지점을 의미하고, 제2 지점은 로봇모듈(320)이 시료원료를 그립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320) 상의 지점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시료용기는 제2 지점으로 이송되게 되고, 시료용기에 포함된 시료원료는 로봇모듈(320)에 의해 수분측정모듈(350)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로 그립되어 이동되게 된다.
벨트 컨베이어(320)는 수분측정모듈(350)에 의해 시료원료의 수분의 측정이 완료되고, 로봇모듈(330)에 의해 측정이 완료된 시료원료가 수분측정모듈(350)의 플레이트에서 시료용기로 이동되면 시료용기를 제2 지점에서 제3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3 지점은 시료용기가 뒤집어지는 지점이다. 시료용기가 뒤집어지면 시료원료가 제3 지점의 하측에 위치하는 배출모듈(360)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를 때, 시료용기는 벨트 컨베이어(320)의 벨트 상에 고정되어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320)는 시료원료의 수분의 측정이 완료된 시료원료가 시료용기로 이동되면 시료용기를 제2 지점에서 제3 지점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시료용기가 뒤집어지고 시료용기에 포함된 시료원료가 배출모듈(360)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벨트 컨베이어(32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제3 지점으로 이동된 시료용기를 제1 지점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1 지점으로 이동된 시료용기에는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취출모듈(310)에 의해 시료원료가 취출되게 된다.
로봇모듈(330)은 취출모듈(310)에 의해 시료용기로 취출된 시료원료를 그립하여 수분측정모듈(350)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로봇모듈(330)은 취출모듈(310)에 의해 시료원료가 시료용기로 취출되고, 시료용기가 벨트 컨베이어(320)에 의해 제2 지점으로 이동되면 시료용기에 포함된 시료원료를 그립하여 수분측정모듈(350)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로 이동시킨다. 플레이트로 이동된 시료원료는 수분측정모듈(350)에 의해 수분이 측정되게 된다.
로봇모듈(330)은 수분측정모듈(350)에 의해 시료원료의 수분 측정이 완료되면 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시료원료를 그립하여 시료용기로 이동시킨다. 이때, 로봇모듈(330)은 플레이트에 원료를 남기지 않도록 복수회 그립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로봇모듈(3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핸드(510), 로봇암(520), 및 컨트롤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핸드(510)는 시료용기 또는 플레이트에 포함된 시료원료를 그립한다. 로봇암(520)은 로봇핸드(510)와 결합되어 로봇핸드(510)가 시료원료를 그립할 수 있게 로봇핸드(510)를 이동시키고 로봇핸드(510)에 의해 그립된 시료원료를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로봇암(520)은 미리 정해진 회전반경으로 회전하여 로봇 핸드(510)에 의해 시료용기 또는 플레이트에 포함된 시료원료가 그립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로봇암(520)은 미리 정해진 회전반경으로 회전하여 로봇 핸드(510)에 의해 그립된 시료원료를 시료용기 또는 플레이트로 이동시킨다. 이때, 로봇암(520)은 상하로 회전할 수 있고, 좌우로도 회전할 수 있다.
로봇 컨트롤러(530)는 제어기(200)에 의해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로봇핸드(510) 및 로봇암(520)을 동작시킨다. 로봇 컨트롤러(530)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시료용기가 제2 지점에 위치하면, 로봇암(520)을 회전시켠 로봇핸드(510)를 통해 시료원료를 그립되게 한다. 그리고 로봇 컨트롤러(530)는 로봇암(520)을 회전시켜 시료원료를 수분측정모듈(350)의 플레이트로 이동시킨다. 또한, 로봇 컨트롤러(530)는 수분측정모듈(350)의 측정이 완료되면 로봇암(520)을 회전시켜 로봇 핸드(510)를 통해 시료원료를 수분측정모듈(350)의 플레이트에서 시료용기로 이동시킨다.
수분측정모듈(350)은 제어기(200)에 의해 설정된 측정모드에 따라 로봇모듈(330)에 의해 플레이트로 이동된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수분측정모듈(350)은 제어기(200)에 의해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수분측정모듈(350)의 커버(Cover)를 오픈(Open)한다. 수분측정모듈(350)은 로봇모듈(330)에 의해 플레이트에 시료원료가 안착되면, 수분측정모듈(350)의 커버를 클로즈(Close)한다. 수분측정모듈(350)은 플레이트에 포함된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분을 제어기(200)로 전달하게 된다. 수분측정모듈(350)은 시료원료의 수분 측정이 완료되면 수분측정모듈(350)의 커버를 오픈한다. 수분측정모듈(350)은 로봇 모듈(330)에 의해 시료원료가 플레이트에서 시료용기로 이동되면 플레이트의 위치를 보정한다. 수분측정모듈(350)은 플레이트의 위치가 정위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수분측정모듈(350)의 커버를 클로즈하고, 대기하게 된다.
수분측정모듈(350)은 수분측정모듈(350)의 커버를 오픈 또는 클로즈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경우에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분측정모듈(350)은 플레이트의 위치가 정위치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포토센서(Photo Sensor)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분측정모듈(350)은 복수개 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르는 경우 제어기(200)는 수분측정모듈(350)의 측정시간을 수분측정모듈의 개수로 분할한 시간간격으로 측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수분측정모듈(350)이 n개이고 수분측정모듈(350)의 측정시간이 m이면, 제어기(200)는 m/n 시간간격으로 측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배출모듈(360)은 로봇모듈(330)에 의해 수분측정모듈(350)의 플레이트에서 시료용기로 회수된 시료원료를 배출한다. 컨베이어 벨트(320)를 통해 제2 지점에 위치하는 시료용기가 제3 지점으로 이동되고, 시료용기가 뒤집어지면 시료용기로 회수된 시료원료가 배출모듈(360)로 낙하하게 된다. 배출모듈(360)은 낙하하는 시료원료를 컨베이어 슈트 덕트로 배출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출모듈(360)은 배출배관(610) 및 제2 탈진유닛(620)을 포함한다.
배출배관(610)은 벨트 컨베이어(320)에 의해 시료용기가 뒤집어지면 시료용기의 시료원료를 회수하고, 회수된 시료원료를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 배출한다. 배출배관(610)은 컨베이어 슈트 덕트(3) 내에 건조된 원료의 낙하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컨베이어 슈트 덕트(3)에 삽관된다. 이에 따라 회수된 시료원료가 배출배관(610)을 통해 컨베이어 슈트 덕트로 이동하게 된다.
제2 탈진유닛(620)은 배출배관(610) 내부에 부착된 원료를 탈락시킨다. 이를 위해 제2 탈진유닛(620)은 제2 공기주입부(미도시) 및 제2 진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2 공기주입부는 배출배관(610)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배출배관 내부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한다. 그리고 제2 진동부는 배출배관(610)을 진동시켜 배출배관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한다.
원료는 건조된 후라도 점성과 수분 정도에 따라 배출배관(610)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2 탈진유닛(620)이 배출배관(610) 내부에 부착되는 원료를 제거함으로써 배출배관(610)을 통한 시료원료의 배출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핸드 클리너(370)는 로봇 모듈(330)의 로봇핸드(520)에 부착된 시료원료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핸드 클리너(370)에는 로봇 모듈(330)의 로봇핸드(520)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핸드 클리너(370)는 로봇모듈(330)의 로봇핸드(520)가 수용부로 삽입되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핸드 클리너(370)는 로봇모듈(330)의 로봇핸드(520)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압축공기를 주입하고, 로봇모듈(330)의 로봇핸드(520)가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제2 압축공기를 주입한다.
제1 압축공기는 로봇핸드(520)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주입되어 로봇핸드(520)에 부착된 시료원료의 역비산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제2 압축공기는 로봇핸드로 주입되어 로봇핸드(520)에 부착된 시료원료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제1 압축공기는 제2 압축공기보다 높은 압력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2 압축공기에 의해 로봇핸드(520)로부터 제거된 시료원료가 제1 압축공기가 형성하는 에어커튼에 의해 역비산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클리너(370)는 제1 및 제2 압축공기를 로봇핸드(520)로 분사할 수 있다. 핸드 클리너(370)는 제1 압축공기를 로봇핸드(520)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사하고, 제2 압축공기를 로봇핸드(52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분사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핸드 클리너(370)가 제2 압축공기를 로봇핸드(520)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분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 클리너(370)는 제2 압축공기를 로봇핸드(520)가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핸드 클리너(3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모듈(710)을 포함한다. 제2 배출모듈(710)은 핸드 클리너(370)의 하단에 연결되어 핸드 클리너(370)에 의해 제거된 시료원료를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2 배출모듈(710)은 제2 배출배관(720) 및 제3 탈진유닛(730)을 포함한다.
제2 배출배관(720)은 핸드 클리너(370)에 의해 로봇모듈(330)의 로봇핸드(510)로부터 제거된 시료원료를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 배출한다. 제2 배출배관(720)은 컨베이어 슈트 덕트(3) 내에 건조된 원료의 낙하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제3 방향으로 컨베이어 슈트 덕트(3)에 삽관된다. 이에 따라 로봇모듈(330)의 로봇핸드(510)로부터 제거된 시료원료가 제2 배출배관(720)을 통해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 이동하게 된다.
제3 탈진유닛(730)은 제2 배출배관(720) 내부에 부착된 원료를 탈락시킨다. 이를 위해 제3 탈진유닛(730)은 제3 공기주입부(미도시) 및 제3 진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제3 공기주입부는 제2 배출배관(720)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제2 배출배관(720) 내부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한다. 그리고 제3 진동부는 제2 배출배관(720)을 진동시켜 제2 배출배관(720)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은 제어기(200) 및 측정장치(210) 별로 구획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이 각 장치 별로 구획되는 것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장치별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제어기(200)는 제1 부스(810)에 설치될 수 있다. 측정장치(210)는 제1 부스(810)와 구획되는 제2 부스(8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스(810) 및 제2 부스(820)는 외부보다 높은 압력을 가진다. 이에 따라 분진이 제1 부스(810) 및 제2 부스(8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210)는 각 모듈 별로 다시 구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취출모듈(310) 및 배출모듈(360)은 제2-1 부스(830)에 설치될 수 있고, 로봇모듈(330), 핸드 클리너(370), 및 수분측정모듈(350)은 제2-2 부스(8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로봇모듈(330)의 로봇 컨트롤러(530)는 별도로 제어기(200)와 함께 제1 부스(8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벨트 컨베이어(320)는 제2-1 부스(830) 및 제2-2 부스(84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부스(810)에서 각 구성들을 제어하고, 제2-1 부스(830)에서 시료원료의 취배출을 수행하며, 제2-2 부스(840)에서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함으로써, 시료원료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오염에 의한 각 장치들의 고장율 또한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제2-1 부스(830)에는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 연결되는 삽입덕트가 형성되어 취출모듈(310)의 취출배관(410)이 삽입덕트를 통해 컨베이어 슈트 덕트(3)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는 취출배관(410)이 시료원료의 취출 후 후진하면서 취출배관(410) 외부에 부착된 원료에 의해 발생하는 오염을 삽입덕트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2 부스(840)의 도어 오픈 스위치(Door Open Switch, 미도시)에는 세이프티 스위치(Safety Switch, 미도시)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도어 오픈 스위치는 제2-2 부스(840)의 도어를 개폐하는 스위치를 의미한다.
세이프티 스위치는 제2-2 부스(840)의 도어가 열리면 로봇모듈(330)을 정지시킨다. 또한, 세이프티 스위치는 로봇모듈(330)이 정지된 후 제2-2 부스(840)의 도어가 닫히더라도 로봇모듈(330)을 동작시키지 않는다. 이때, 조업자가 직접 로봇모듈(330)을 턴 온시켜 동작시킬 수 있다.
로봇모듈(330)의 로봇암(520)은 회전하기 때문에 사람이 접근하는 경우 부상의 위험이 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별도의 세이프티 스위치를 이용하여 안전을 강화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컨베이어 슈트 덕트 100: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200: 제어기 210: 측정장치
310: 취출모듈 320: 벨트 컨베이어
330: 로봇모듈 350: 수분측정모듈
360: 배출모듈 370: 핸드 클리너

Claims (16)

  1. 건조된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측정모드 또는 대기모드를 설정하는 제어기; 및
    상기 측정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건조된 원료가 수직 낙하하는 컨베이어 슈트 덕트(Conveyor Chute Duct)로부터 수분의 측정대상이 되는 시료원료를 취출하여 낙하 중에 상기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측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장치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컨베이어 슈트 덕트로부터 상기 시료원료를 시료용기로 취출하는 취출모듈;
    상기 시료용기로 취출된 시료원료를 그립(Grip)하여 수분이 측정되는 플레이트로 이동시키는 로봇모듈;
    상기 시료원료가 제1 지점에 위치하는 시료용기로 취출되면 상기 시료원료를 상기 로봇모듈이 그립할 수 있게 상기 시료용기를 미리 정해진 제2 지점으로 이송시키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및
    상기 플레이트로 이동된 상기 시료원료의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슈트 덕트에는 취출배관이 삽관되는 취출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취출모듈은,
    상기 컨베이어 슈트 덕트 내에 원료의 낙하방향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설치된 취출배관;
    상기 취출홀에 상기 취출배관이 삽관되면 상기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취출배관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 슈트 덕트 내에서 낙하하고 있는 상기 시료원료를 상기 시료용기로 취출하는 흡입유닛; 및
    상기 취출배관 내부에 부착되는 원료를 제거하는 제1 탈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탈진유닛은 상기 취출배관을 진동시키는 제1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제1 부스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장치는 제1 부스와 구획되는 제2 부스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제2 부스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분측정모듈의 측정시간을 상기 수분측정모듈의 개수로 분할한 시간간격으로 상기 측정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모듈은,
    상기 취출배관을 상기 취출홀에 삽관되게 전진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컨베이어 슈트 덕트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취출배관을 후진시키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진유닛은
    상기 취출배관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제1 공기주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시료용기에 잔여 시료원료를 배출시키는 배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모듈은,
    상기 컨베이어 슈트 덕트 내에 원료의 낙하방향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컨베이어 슈트 덕트에 삽관되어 상기 시료용기가 뒤집어지면 상기 잔여 시료원료가 상기 컨베이어 슈트 덕트로 배출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모듈은,
    상기 배출배관 내부에 부착된 원료를 탈락시키는 제2 탈진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탈진유닛은
    상기 배출배관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제2 공기주입부; 및
    상기 배출배관을 진동시키는 제2 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모듈은
    상기 수분측정모듈에 의해 상기 시료원료의 수분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측정이 완료된 시료원료를 그립하여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시료용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용기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상기 수분측정모듈에 의해 상기 수분의 측정이 완료된 시료원료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시료용기로 상기 로봇모듈에 의해 이동되면, 상기 시료용기에 포함된 시료원료가 배출되게 상기 시료용기가 뒤집어지는 제3 지점으로 상기 시료용기를 이동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 지점으로 상기 시료용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원료를 그립하는 상기 로봇모듈의 로봇핸드에 부착된 시료원료를 제거하는 핸드 클리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 클리너는,
    상기 로봇모듈의 로봇핸드가 삽입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로봇모듈의 로봇핸드가 삽입되면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클리너는,
    상기 로봇모듈의 로봇핸드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시료원료의 역비산을 방지하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고, 상기 로봇모듈의 로봇핸드가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2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로봇모듈의 로봇핸드에 부착된 원료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공기는 상기 제2 압축공기보다 높은 압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스 및 상기 제2 부스는 외부보다 높은 압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KR1020190112265A 2019-09-10 2019-09-10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KR102258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65A KR102258693B1 (ko) 2019-09-10 2019-09-10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265A KR102258693B1 (ko) 2019-09-10 2019-09-10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740A KR20210030740A (ko) 2021-03-18
KR102258693B1 true KR102258693B1 (ko) 2021-05-28

Family

ID=7523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265A KR102258693B1 (ko) 2019-09-10 2019-09-10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6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921A (ja) * 1992-04-15 1993-11-12 Kanebo Ltd 噴霧乾燥機の水分検出装置
KR20040074353A (ko) * 2003-02-17 2004-08-25 웅지산전(주) 철광석 수분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KR100962661B1 (ko) * 2003-05-16 2010-06-11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배합원료의 수분 측정 장치
KR20170054631A (ko) * 2015-11-09 201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분 검사 장치
KR101753638B1 (ko) * 2015-12-02 2017-07-04 주식회사 포스코 시료의 압축 강도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740A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25337C (en) Particulate detection for industrial facilit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5309773A (en) Powder and granule inspection apparatus
KR101287464B1 (ko)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CN105347061A (zh) 一种烟丝结构检测器自动匀料进给装置
KR102258693B1 (ko) 원료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한 수분 측정 자동화 시스템
CN207408272U (zh) 基于线阵列相机和x射线双模式成像的水稻粒型参数测量装置
JP7224612B2 (ja) 成形品処理システム
CN113933185A (zh) 一种颗粒物料的冲击破碎特性检测装置及试验方法
CN108663281A (zh) 一种散状物料水分在线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101428424B1 (ko) 주물용 회수사 처리시스템
CN207066915U (zh) 一种散状物料水分在线检测装置
CN207066916U (zh) 一种散状物料水分在线检测装置
CN105483301A (zh) 高炉上料料批安全间隔控制方法
CN107414472A (zh) 一种三面锁附的自动锁螺钉机
CN109482510B (zh) 一种全自动硬度检测分拣机
KR101129969B1 (ko) 고로 분소결광 또는 분코크스 입도 선별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8181199A1 (ja) 含水物検出装置、含水物検出方法、およびゴム状重合体の製造方法
CN205328147U (zh) 圆棒自动落料装置
CN103558365B (zh) 模拟水泥熟料煅烧冷却的试验装置
CN108663280A (zh) 一种散状物料水分在线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102511449B1 (ko) 석탄의 수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6716067U (zh) 辊压机外排料系统
CN106918605A (zh) 一种粮食入仓系统
CN207036508U (zh) 风选物料快速取样装置
CN220525400U (zh) 粉粒物料取样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