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658B1 -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658B1
KR102258658B1 KR1020210019144A KR20210019144A KR102258658B1 KR 102258658 B1 KR102258658 B1 KR 102258658B1 KR 1020210019144 A KR1020210019144 A KR 1020210019144A KR 20210019144 A KR20210019144 A KR 20210019144A KR 102258658 B1 KR102258658 B1 KR 102258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stallation groove
moving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1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벽체의 설치홈에서 탄성력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은,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함체; 상기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함체 도어; 및 상기 함체의 둘레에 관통 배치되고, 벽체에 형성된 설치홈의 내측면과 대면되며, 탄성력에 의해 제 1 방향(예; Z축 방향) 및 제 2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PREFAB COMMUNICATION TERMINAL BOX FOR BUILD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탄성력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에서 결합 또는 분리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자함은 단독, 공동주택 혹은 건물등의 시공시 벽체에 매설되어 내부로 들어오는 전선, 예컨대, 통신을 위한 전화선, 인터넷 전용선, 안테나선 등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통신 단자함는 벽체 매립형 또는 벽체 설치형이 있다.
이 중 상기 벽체 설치형 통신 단자함을 살펴보면, 상기 통신 단자는 벽체에 미리 매립된 통신 케이블과 외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상기 통신 케이블이 벽체에 매립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벽체에 설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에 상기 통신 단자함의 함체를 끼워 결합한 후 상기 통신 단자를 상기 함체에 설치하는 형태로 설치한다.
이러한 종래의 벽체 설치형 통신 단자함은 벽체의 설치홈에 함체를 결합하여 설치할 경우, 상기 함체와 접촉되는 상기 설치홈의 내측 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함체의 결합이 어렵고, 더불어, 이러한 상기 설치홈의 내측 표면에 상기 함체를 억지로 결합할 경우, 상기 설치홈 크기와 상기 함체의 외측 크기가 서로 맞지 않음으로 인해 상기 함체가 파손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함체의 크기가 상기 설치홈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 상기 함체가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4935호(2015.03.23 공고)가 있으면, 상기 선행문헌에는 "세대용 통신 단자함"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통신 단자함의 함체에 형성된 설치함에 탄성력에 의해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통신 단자함의 함체에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복수개의 결합 구조를 구성할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은,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함체; 상기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함체 도어; 및 상기 함체의 둘레에 관통 배치되고, 벽체에 형성된 설치홈의 내측면과 대면되며, 탄성력에 의해 제 1 방향(예; Z축 방향) 및 제 2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는, 제 1 본체 하우징;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에 배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제 1 이동부; 및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동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는, 제 2 본체 하우징;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에 배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예; X축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제 2 이동부; 및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동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통신 단자함의 함체의 둘레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벽체에 형성된 설치홈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상기 함체는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이 경사지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의 크기가 함체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함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함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상기 함체가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단자함은 상기 함체의 설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함체의 설치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함체의 외측 둘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에 형성된 제 1, 2 슬라이딩 부재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 2 레일 결합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함체는 상기 제 1, 2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 1, 2 레일 결합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2 결합 구조를 복수개로 배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함체는 복수개의 상기 제 1, 2 결합 구조의 탄성력에 의해 벽체의 설치홈에서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함체의 고정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에 포함된 제 1, 2 이동부에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과 접촉됨과 동시에 회전하는 회전 롤러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2 이동부는 상기 회전 롤러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에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2 이동부는 상기 설치홈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 측단면도 이다.
도 5는 도 3의 C부 확대 측단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다.
도 7은 도 6의 D부 확대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구성 중 제 1, 2 레일 결합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다.
도 9는 도 8의 E부 확대 정면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구성 중 제 1, 2 이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의 다른 실시예인 제 1, 2 이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로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은 벽체(1)에 형성된 설치함(2)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되는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 측단면도 이며, 도 5는 도 3의 C부 확대 측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은 함체(20), 함체 도어(30)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함체(20)는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함체(20)는 사각의 박스 형상이외에 다양한 박스 형상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함체(20)는 원통형 박수 형상, 삼각형의 박스 형상 또는 마름모형의 박스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의 박수 형상의 함체(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함체(20)의 내부에는 통신 단자(미도시됨)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자는 전화를 연결하기 위한 단자 또는 컴퓨터를 연결하기 위한 공유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함체(20)는 복수개의 함체 패널을 사각의 박수 형태로 배치한 후 조립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함체 패널의 재질은 합성 수지 또는 금속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 패널의 재질은 상기 개시된 재질이외에 다른 재질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함체(20)는 상기 함체(2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패널(23), 상기 함체(2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패널(24), 상기 함체(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패널(21), 상기 함체(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패널(22), 상기 함체(20)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 패널(25) 및 상기 함체(2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 패널(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20)의 전면 패널에는 개구부(20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부(20a)에는 회전에 따라 상기 함체(2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함체 도어(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함체 도어(30)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부(20a)를 개폐함으로써, 상기 함체(20)의 내부 공간을 개방하거나 밀폐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상기 함체(20)는 건축물의 벽체(1)에 형성된 설치홈(2)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함체(20)의 전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설치홈(2)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함체(2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40)가 관통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40)는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과 대면됨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해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 및 제 2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본체 하우징(41a), 제 1 이동부(41b) 및 제 1 탄성 부재(41c)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은 상기 제 1 이동부(41b) 및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부(41b)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는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동부(41b)가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은 제 1 이동 공간(A1)이 형성된 실린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이동부(41b)를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제 1 이동홀(41a-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이동홀(41a-1)은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 1 이동부(41b)를 상기 제 1 이동 공간(A1)에서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이동부(41b)는 상기 제 1 이동홀(41a-1)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타일단에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플레이트(41a-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부(41b)의 일단은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과 접촉 이동하도록 곡선(C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 1 이동부(41b)의 타일단은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이탈 방지 부재(50)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이동부(41b)의 타일단에 형성된 제 1 이탈 방지 부재(50)가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제 1 이동 공간(A1)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에 형성된 걸림턱(41a-3)에 걸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부(41b)는 상기 제 1 이탈 방지 부재(50)가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걸림턱(41a-3)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부(41b)의 일단은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제 1 이동홀(41a-1)에 관통되어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이동부(41b)의 일단에 형성된 곡선(C1)이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이탈 방지 부재(50)를 형성한 제 1 이동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곡선(C1)이 형성된 제 1 이동부(41b)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노출된 상기 상기 곡선(C1)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의 일단(41c-1)은 상기 제 1 이동부(41b)에 형성된 제 1 안착홈(41d)에 안착됨과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의 타일단(41c-1)은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41a)의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41a-2)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의 일단(41c-1)은 제 1 안착홈(41d)에 안착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의 타일단(41c-2)은 제 1 지지 플레이트(41a-2)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는 상기 제 1 이동부(41b)가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의 일단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 1 이동부(41b)도 함께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는 상기 함체(20)의 상부 패널(21) 및 하부 패널(2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홀(20-1)에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을 향하여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20)의 상부 패널(21)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홀(20-1)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는 상기 함체(20)의 하부 패널(22)의 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홀(20-1)에 배치된 또 다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 패널(2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는 상기 하부 패널(22)에 배치된 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42)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본체 하우징(42a), 제 2 이동부(42b) 및 제 2 탄성 부재(42c)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은 상기 제 2 이동부(42b) 및 상기 제 2 탄성 부재(42c)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부(42b)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예; X축 방향)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탄성 부재(42c)는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동부(42b)가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은 제 2 이동 공간(A2)이 형성된 실린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의 일단에는 상기 제 2 이동부(42b)를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의 외부로 돌출 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 이동 공간(A2)에서 상기 제 2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이동홀(42a-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이동부(42b)는 상기 제 2 이동홀(42a-1)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의 타일단에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42c)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플레이트(42a-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부(42b)의 일단은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과 접촉 이동하도록 곡선(C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 2 이동부(42b)의 타일단은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이탈 방지 부재(51)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이동부(42b)의 타일단에 형성된 제 2 이탈 방지 부재(51)가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의 제 2 이동 공간(A2)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에 형성된 걸림턱(42a-3)에 걸릴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이동부(42b)는 상기 제 2 이탈 방지 부재(51)가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의 걸림턱(42a-3)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이동부(42b)의 일단은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의 제 2 이동홀(42a-1)에 관통되어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이동부(42b)의 일단에 형성된 곡선(C1)이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42c)의 일단(42c-1)은 상기 제 2 이동부(42b)에 형성된 제 2 안착홈(미도시됨)에 안착됨과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탄성 부재(42c)의 타일단(42c-2)은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42a)의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42a-2)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탄성 부재(42c)의 일단(42c-1)은 제 2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42c)의 타일단(42c-2)은 제 2 지지 플레이트(42a-2)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42c)는 상기 제 2 이동부(42b)가 상기 제 2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탄성 부재(42c)의 일단(42c-1)이 상기 제 2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 2 이동부(42b)도 함께 상기 제 2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42)는 상기 함체(20)의 좌측 패널(23) 및 우측 패널(2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20-2)에 상기 제 2 방향(예; X축 방향)을 향하여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함체(20)의 좌측 패널(23)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미도시됨)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42)는 상기 함체(20)의 우측 패널(24)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20-2)에 배치된 다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42)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좌측 패널(23)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42)는 상기 우측 패널(24)에 배치된 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42)와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앞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가 배치된 함체(20)를 상기 벽체(1)의 설치홈(2)내에 결합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가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예컨데,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2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가 상기 설치홈(2)의 상부 내측면(2a)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의 제 1 이동부(41b)가 상기 설치홈(2)의 상부 내측면(2a)과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설치홈(2)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부(41b)의 일단에 형성된 곡선(C1)은 상기 설치홈(2)의 상부 내측면(2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설치홈(2)의 상부 내측면(2a)이 볼록하게 돌출될 경우, 상기 제 1 이동부(41b)는 돌출된 상기 설치홈(2)의 상부 내측면(2a)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부(41b)는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을 따라 직선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를 누를 수 있고, 이때,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는 눌림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부(41b)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부(41b)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설치홈(2)의 상부 내측면(2a)을 가압함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와 같이, 상기 설치홈(2)의 하부 내측면(2b)이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하부 패널(22)에 배치된 또 다른 제 1 결합 구조(41)의 제 1 이동부(41b)는 경사진 상기 설치홈(2)의 하부 내측면(2b)을 타고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설치홈(2)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부(41b)는 상기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제 1 탄성 부재(41c)를 누를 수 있고, 이때,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는 눌림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부(41b)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부(41b)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설치홈(2)의 하부 내측면(2b)을 가압함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2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와 상기 하부 패널(22)에 배치된 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41c)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설치홈(2)의 상부 내측면(2a) 및 하부 내측면(2b)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함체(20)의 좌측 패널(23) 및 우측 패널(24)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42)는 위에서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와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42)의 구성은 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측 패널(23)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42)와 상기 우측 패널(24)에 배치된 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42)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42c)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설치홈(2)의 좌, 우측 내측면(미도시됨)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체(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32)에 의해 상기 설치홈(2)내에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설치홈(2)의 크기가 상기 함체(20)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함체(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의 상기 제 1, 2 탄성 부재(41c, 42c)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함(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함체(20)가 상기 설치홈(2)에 결합된 후에 상기 설치홈(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함체(20)를 상기 설치홈(2)에서 분리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함체(20)를 잡고, 당겨서 상기 설치홈(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체(20)의 상부 패널(21) 및 하부 패널(22)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41)의 제 1 이동부(41b)는 제 1 탄성 부재(41c)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설치홈(2)의 상부 내측면(2a) 및 하부 내측면(2b)에서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20)의 좌측 패널(23) 및 우측 패널(24)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42)의 제 2 이동부(42b)도 제 2 탄성 부재(42c)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설치홈(2)의 좌, 우 내측면(미도시됨)에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체(20)는 이러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에 의해 상기 설치홈(2)내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2 탄성 부재(41c, 42c)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와이어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2 탄성 부재(41c, 42c)는 상기 개시된 스프링들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탄성 부재(41c, 42c)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함체(20)의 둘레에는 제 1, 2 탄성 부재(41c, 42c)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벽체(1)의 상기 설치홈(2)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를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상기 함체(20)는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이 경사지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함체(20)의 설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함체(20)의 설치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2)의 크기가 상기 함체(20)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상기 함체(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설치함(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 없이 상기 함체(20)가 상기 설치홈(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단자함(10)은 상기 함체(20)의 설치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함체(20)의 설치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는 외부 통신 케이블(미도시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는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도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는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의 일단은 상기 외부 통신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의 타일단은 내부 통신 케이블(미도시됨)을 이용하여 상기 함체(20)의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6의 D부 확대 사시도 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의 구성 중 제 1, 2 레일 결합부(70, 7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고, 도 9는 도 8의 E부 확대 정면도 이다.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은 벽체(1)에 형성된 함체(20), 함체 도어(30)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함체(20)의 전면에는 개구부(20a)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함체 도어(30)는 상기 개구부(20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함체 도어(30)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부(20a)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400)는 상기 함체(20)의 외측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400)는 상기 벽체(1)에 형성된 설치홈(2)의 내측면과 대면되고, 탄성력에 의해 제 1 방향(예; Z축 방향)(①) 및 제 2 방향(예; X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400)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0, 4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0, 420)는 제 1, 2 본체 하우징(410a, 420a), 제 1, 2 이동부(410b, 420b) 및 제 1, 2 탄성 부재(410c. 42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0, 42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 하나는, 도 1 내지 도 5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2 본체 하우징(410a, 420a)의 일단은 상기 제 1, 2 이동부(410b, 420b)를 이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 1, 2 본체 하우징(410a, 420a)의 타일단은 후술하는 제 1, 2 레일 결합부(70, 71)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2 슬라이딩 부재(60, 6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레일 결합부(70, 71)는 상기 함체(2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2 슬라이딩 부재(60, 61)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레일 결합부(70)는 상기 함체(20)의 상부 패널(21) 및 하부 패널(22)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레일 결합부(71)는 상기 함체(20)의 좌측 패널(23) 및 우측 패널(2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본체 하우징(410a)의 타일단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부재(60)는 상기 제 1 레일 결합부(70)에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본체 하우징(420a)의 타일단에 형성된 제 2 슬라이딩 결합부(61)는 상기 제 2 레일 결합부(71)에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함체(2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0, 420)에 형성된 제 1, 2 슬라이딩 부재(60, 61)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 1, 2 레일 결합부(70, 71)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함체(20)는 상기 제 1, 2 슬라이딩 부재(60, 61)와 상기 제 1, 2 레일 결합부(70, 71)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2 결합 구조(410, 420)를 복수개로 배치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결합 구조(410, 420)는 현장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2 레일 결합부(70, 71)에 추가적으로 더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함체(20)를 상기 벽체(1)의 설치홈(2)에 결합될 경우, 상기 함체(20)는 복수개의 상기 제 1, 2 결합 구조(410, 420)에 의해 상기 설치홈(2)에서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함체(20)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사용자가 함체(20)의 고정력을 더 증가 시킬 경우, 사용자는 함체(20)의 제 1, 2 레일 결합부(70, 71)에 이미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제 1, 2 결합 구조(410)이외에 추가로 상기 제 1, 2 레일 결합부(70, 71)에 또 다른 상기 제 1, 2 결합 구조(410, 420)를 더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20)를 상기 벽체(1)의 설치홈(2)로부터 분리할 경우, 상기 함체(20)는 복수개의 상기 제 1, 2 결합 구조(410, 420)에 의해 상기 설치홈(2)에서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체(20)는 복수개의 상기 제 1, 2 결합 구조(410, 420)에 의해 상기 설치홈(2)으로부터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의 구성 중 제 1, 2 이동부(41b, 42b, 410b, 420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의 다른 실시예인 제 1, 2 이동부(41b, 42b, 410b, 420b)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로 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 하면,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10)은 벽체(1)에 형성된 함체(20), 함체 도어(30) 및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도 1의 40)(도 6의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는 상기 함체(2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도 2의 41, 42, 도 6의 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 410, 420)는 상기 벽체(1)에 형성된 설치홈(2)의 내측면과 대면되고, 탄성력에 의해 제 1 방향(예; Z축 방향) 및 제 2 방향(예;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 410, 420)는 제 1, 2 본체 하우징(도 2의 41a, 42a, 도 7, 9의 410a, 420a), 제 1, 2 이동부(도 2의 41b, 42b, 도 7, 9의 410, 420) 및 제 1, 2 탄성 부재(도 2의 41c, 42c, 도 7, 9의 410c, 42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41, 42, 410, 420)는 위에서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도 2의 41, 42, 도 6의 410, 420)와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유사거나 동일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제 1, 2 이동부(41b, 42b, 410b, 420b)는 회전에 따라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 롤러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2 이동부(41b, 42b, 410b, 420b)의 일단에는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과 대면되는 곡선(C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선(C1)에는 상기 회전 롤러부(80)를 설치할 수 있는 롤러홈(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홈(82)에는 상기 회전 롤러부(8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축(8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회전 롤러부(80)는 상기 롤러홈(82)에 형성된 롤러축(8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롤러부(80)가 결합된 상기 제 1, 2 이동부(41b, 42b, 410b, 420b)는 상기 제 1, 2 본체 하우징(도 2의 41a, 42a, 도 7, 9의 410a, 420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 2 이동부(41b, 42b, 410b, 420b)가 결합된 상기 제 1, 2 본체 하우징(도 2의 41a, 42a, 도 7, 9의 410a, 420a)은 상기 함체(도 1의 20)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함체(20)를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에 결합할 경우, 상기 제 1, 2 이동부(41b, 42b, 410b, 420b)의 회전 롤러부(80)가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대면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함체(20)를 상기 설치홈(2)의 내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회전 롤러부(80)가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2 이동부(41b, 42b, 410b, 420b)에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과 접촉됨과 동시에 회전 이동하는 회전 롤러부(8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2 이동부(41b, 42b, 410b, 420b)는 상기 회전 롤러부(80)에 의해 상기 설치홈(2)의 내측면에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2 이동부(41b, 42b, 410b, 420b)는 상기 설치홈(2)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건축용 조립식 단자함 20: 함체
30: 함체 도어 40, 400: 결합 구조
41, 42, 410, 420: 제 1, 2 결합 구조
41a, 410a: 제 1 본체 하우징 41b, 410b: 제 1 이동부
41c, 410c: 제 1 탄성 부재
42a, 420a: 제 2 본체 하우징 42b, 420b: 제 2 이동부
42c. 420c: 제 2 탄성 부재
C1: 곡선 50, 51: 제 1, 2 이탈 방지 부재
70, 71: 제 1, 2 레일 결합부 80 : 회전 롤러부

Claims (4)

  1.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
    전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함체;
    상기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함체 도어; 및
    상기 함체의 둘레에 관통 배치되고, 벽체에 형성된 설치홈의 내측면과 대면되며, 탄성력에 의해 제 1, 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으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결합 구조는,
    제 1 본체 하우징;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에 배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제 1 이동부; 및
    상기 제 1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동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결합 구조는,
    제 2 본체 하우징;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에 배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는 제 2 이동부; 및
    상기 제 2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동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2 결합 구조에 형성된 제 1, 2 슬라이딩 부재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2 레일 결합부가 포함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이동부의 일단은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과 접촉 이동하는 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2 이동부의 타일단은 상기 제 1, 2 본체 하우징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2 이탈 방지 부재를 형성한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이동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KR1020210019144A 2021-02-10 2021-02-10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KR102258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144A KR102258658B1 (ko) 2021-02-10 2021-02-10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144A KR102258658B1 (ko) 2021-02-10 2021-02-10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658B1 true KR102258658B1 (ko) 2021-05-31

Family

ID=7614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144A KR102258658B1 (ko) 2021-02-10 2021-02-10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601B1 (ko) * 2022-01-24 2022-11-1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KR102660595B1 (ko) * 2023-11-29 2024-04-25 이경미 공동주택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40B1 (ko) * 2007-02-28 2007-09-14 (주)대광기술단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공급 콘센트 단자함
KR102156835B1 (ko) * 2020-05-19 2020-09-16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고정장치
KR102157724B1 (ko) * 2020-04-22 2020-09-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180694B1 (ko) * 2020-06-25 2020-11-19 (주)건창기술단 건축용 조립식 통신단자함
CN212114661U (zh) * 2020-06-16 2020-12-08 永旺永乐(江苏)物业服务有限公司 一种带有内嵌式金属钢片的暗盒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40B1 (ko) * 2007-02-28 2007-09-14 (주)대광기술단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공급 콘센트 단자함
KR102157724B1 (ko) * 2020-04-22 2020-09-18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방진구조
KR102156835B1 (ko) * 2020-05-19 2020-09-16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고정장치
CN212114661U (zh) * 2020-06-16 2020-12-08 永旺永乐(江苏)物业服务有限公司 一种带有内嵌式金属钢片的暗盒
KR102180694B1 (ko) * 2020-06-25 2020-11-19 (주)건창기술단 건축용 조립식 통신단자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601B1 (ko) * 2022-01-24 2022-11-10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utp 통신케이블 접속단자 구조
KR102660595B1 (ko) * 2023-11-29 2024-04-25 이경미 공동주택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658B1 (ko) 건축용 조립식 통신 단자함
US9350149B2 (en) Universal box system
EP3067785B1 (en) Electronic device
US8816231B2 (en) Slim key structure and slim keyboard having the same
JP6669336B2 (ja) バスダクトプラグインホール保護構造
JPS58111283A (ja) 電気コネクター
EP1596479A1 (en) Coaxial cable distributor
JP7196308B2 (ja) 留め具受け構造を備えた取付け装置
US11530539B2 (en) Modular wall assembly using solenoid
TW200541168A (en) Electrical connector
RU2424608C2 (ru) Устройство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к замыкающим системам концевых соединителей, применимым к электрическим устройствам
TW503417B (en) Swi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417408A (zh) 連接器結構以及電子裝置
US7959461B1 (en) MiniPCI connector
CN108292812A (zh) 壁板连接器系统
KR200354304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
TWM250358U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60707Y1 (ko) 홈 오토메이션 제어기용 수납박스
US9777511B2 (en) Locking device
US20070111593A1 (en) Terminal box
KR101861366B1 (ko) 고정부용 덮개 장치
KR101058427B1 (ko) 벽부매립형 액세스포인트
KR20170051634A (ko) 분전반 캐비닛의 도어 개폐장치
KR102155806B1 (ko) 건축물 디지털 통신용 세대통신 단자반
KR102556511B1 (ko) 매립가능한 멀티탭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